[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357Y1 -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357Y1
KR200498357Y1 KR2020210002086U KR20210002086U KR200498357Y1 KR 200498357 Y1 KR200498357 Y1 KR 200498357Y1 KR 2020210002086 U KR2020210002086 U KR 2020210002086U KR 20210002086 U KR20210002086 U KR 20210002086U KR 200498357 Y1 KR200498357 Y1 KR 200498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hallux valgus
toes
foot
oversho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077U (ko
Inventor
이우금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2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357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35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20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덧버선은 앞부분에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들을 분리할 수 있는 발가락부(100);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200); 및 발 삽입구에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밴드(300)를 포함하고, 발의 체온유지 및 상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의 노출을 방지하여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Shocks for correction of valgus}
본 고안은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교정신발을 사용할 때 착용하는 기능성 덧버선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에 착용하는 벙어리장갑과 같이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을 분리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능성 덧버선으로 무지외반증 교정 시 착용하여 맨발의 노출을 막아 발의 체온을 유지하고 발을 보호하며, 무지외반증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관상의 불편함을 감소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무지외반증은 일명 ‘하이힐 병’으로 불리고 있으며, 큰 키를 선호하는 여성들이 하이힐을 신을 때 또는 신발의 앞쪽 폭이 좁거나 뾰족한 신발을 신으면 악화되는 질병으로,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 쪽으로 휘어짐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른 발가락들의 공간부족으로 발가락의 변형 또는 외측전위 등이 일어나게 되어 외관상 매우 보기가 좋지 않고, 심하면 관절이 탈구되기도 하여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무지외반증은 일시적이거나 고정적인 질병이 아니며, 지속적인 보행습관에 의해 점차로 심하게 변형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발가락 전체의 균형 붕괴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의 어려움뿐 아니라 무릎, 고관절 및 척추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필연적으로 2차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무지외반증의 교정 및 치료를 위해 다양한 교정기구 또는 교정신발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의 이용 시 질병의 특성상 맨발로 사용하게 되므로 발의 체온을 유지하고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덧버선이 필요한 실정이나 이를 위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제안은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과 2에서는 도 1과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발가락을 분리하는 덧버선 또는 덧버선을 제안하여 발가락사이의 습기제거 및 통풍의 개선 등을 통해 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허문헌 3은 엄지발가락 삽입부 외에 검지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와 약지와 소지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의 삽입부로 구성되는 덧버선을 제안하여 발바닥의 아치를 보호하는 기능성 덧버선을 제공하였다(도 3 참조).  그러나 이러한 상기 기술들은 덧버선 착용 시 지정된 공간에 각각의 발가락을 일일이 끼워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신고 벗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에 독립적인 공간을 만들고, 고탄력탄성사를 8자 모양으로 연결되게 편직 하여 엄지발가락과 발목에 일정한 압박을 가하고 엄지발가락을 발뒤꿈치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여 걸음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덧버선을 고안하였으나, 8자 모양의 고탄력탄성사로 인해 덧버선 착용 시 독립공간에 엄지발가락을 끼우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착용 시 엄지발가락과 발목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착용감이 좋지 않아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기능성 두발가락 커버를 제안하여 엄지발가락에 집중되는 하중이 분배되도록 하였다.  
상기 언급된 모든 선행기술들은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교정신발에 적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라, 발가락 또는 발바닥의 건강개선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된 기능성 덧버선으로서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교정신발을 위한 덧버선으로 사용할 수 없거나 제한적인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23078호 (공고일 2016년 05월 31일)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9344호 (공고일 2019년 07월 11일) (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2637호 (공고일 2014년 04월 10일) (4) 국내 등록실용공보 제20-0360699호 (공고일 2004년 09월 01일) (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68375호 (공고일 2017년 08월 30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교정신발을 위한 기능성 덧버선의 개발에 대한 것으로, 무지외반증 교정 및 치료 시 착용하여 맨발의 노출을 막아 발의 체온을 유지하고 발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 덧버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덧버선을 발가락부와 몸통부로 나누어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직조공정을 통해 각각 직조한 후 서로 맞대어 직조로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덧버선이 발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밴드를 발 삽입구에 장착함으로써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개선하는 것을 또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 덧버선은 앞부분에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들을 분리할 수 있는 발가락부(100);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200); 및 발 삽입구에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밴드(300)를 포함하고, 발의 체온유지 및 상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의 노출을 방지하여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발가락부(100)는 상기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0), 및 상기 나머지발가락들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0)로 구성되어, 상기 덧버선의 착용 시 상기 엄지발가락이 상기 나머지발가락들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가락부(100)와 상기 몸통부(200)는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직조공정을 통해 각각 직조되며, 직조 후 서로 맞대어져 직조로 결합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 삽입구에 상기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밴드(300)가 상기 몸통부(200)와 직조로 결합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발가락부(100)는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 (110)와 나머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120)로 나누어져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무지외반증 교정 및 치료 시 엄지와 검지발가락을 분리하는 분리판에 의해 이 부분에 압력과 마찰을 받게 된다.  분리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덧버선 전체를 두껍게 직조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발바닥과 발등 부분은 압박감을 느끼게 되어 착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덧버선을 발바닥과 발등 및 뒤꿈치를 감싸는 몸통부(200)와 발가락이 들어가는 발가락부(100)로 분리하고, 몸통부(200)는 얇게 직조하여 발바닥 및 발등의 압박감을 줄이고, 발가락부(100)는 두껍게 직조하여 쿠션감을 갖게 함으로써, 무지외반증 교정 및 치료 시 분리판으로부터 받는 압력과 마찰을 줄여 발가락 착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마찰되는 부분이 쉽게 닳아 구멍이 나는 것을 방지하여 덧버선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였다.
또한, 발가락 덧버선은 일반 덧버선과 달리 발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이 별도로 있어서 일반 덧버선과 같이 일체형의 제작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제작공정상 어려움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낮아지게 되는데,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를 별도로 직조한 후 맞대어 직조로 결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을 분리하여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덧버선이 개발되었으며, 무지외반증 치료 시 착용하여 발의 체온유지 및 발을 보호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의 보행에서 무지외반증 교정신발 사용 시, 본 기능성 덧버선의 착용으로 맨발의 노출을 막아 발을 보호하고 무지외반증에 의한 미관상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덧버선의 발가락부와 몸통부를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별도의 직조공정을 통해 직조한 후 서로 맞대어 직조로 결합함으로써 발바닥 및 발등의 압박감은 줄이고, 무지외반증 교정 및 치료 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마찰을 감소시켜 착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분리판과의 마찰에 의해 덧버선의 발가락부분이 쉽게 닳아 구멍이 나는 것을 늦추어 덧버선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였으며, 몸통부와 발가락부를 별도로 직조한 후 맞대어 결합함으로써 발가락 덧버선의 제작공정상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2은 특허문헌 2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3는 특허문헌 3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4는 특허문헌 4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5는 특허문헌 5에 의한 기능성 덧신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무지외반증 교정기구 및 교정신발을 위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에 대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의 발가락 덧신 양말(A)은 기본적으로 발바닥(10)과 발등(20)과 발 삽입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장갑편직기(40)와 양말편직기(50)를 한 조로 조합하고 이들 편직기(40)(50) 사이에 연결전환구(60)를 배치하며 고유 특성이 상이한 복수 개의 기능성 원사를 상기 편직기 제직 구간별로 차등 공급하여 발바닥(10)과 발등(20)과 발 삽입구(30)에 유기적으로 연계한 발가락부(11)와 탄성 밴딩부(12)와 벗겨짐 방지부(13)와 마감부(14)가 상기 장갑편직기(40)와 양말편직기(50)를 연이어 통과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위 예시에 있어 발바닥(10)과 발등(20)과 발 삽입구(30) 및 발가락부(11)와 탄성 밴딩부(12)와 벗겨짐 방지부(13)와 마감부(14)는 일련의 연이은 편직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일체 형성되어지되, 발과 접촉하는 방향(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성 원사는 포근함과 땀 흡수 특성이 우수한 면사와 탄성적 특성이 우수한 스판사와 슬립 방지 특성이 우수한 고무사를 편직기 구간별 제직 과정에서 단독 내지는 합사 형태로 차등 공급하는 것이며, 필요할 경우 보온, 쿨링, 방수투습, 흡습속건 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합성사 내지 천연사를 선택 적용하여도 좋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편직기 제직 구간은 총 6 단계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되, 제 1 구간(P1)은 장갑편직기(40)에 기능성 원사 중 면사만을 단독 공급하여 발바닥(10) 선단으로 개별 분리 수용 가능한 발가락부(11)를 편직 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구간(P2)은 장갑편직기(40)에 기능성 원사 중 면사와 스판사를 합사 공급하여 발바닥(10) 앞꿈치와 발등(20)을 편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구간(P3)은 장갑편직기(40)에 면사와 스판사와 고무사를 합사 공급하여 발바닥(10) 앞꿈치 및 발등(20) 후단으로 탄성 밴딩부(12)를 편직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 4 구간(P4)은 양말편직기(50)에 면사와 스판사를 합사 공급하여 발 삽입구(30) 개방 외곽 단부에 오버록 되지 않은 마감부(14)와 발바닥(10) 중앙 부위를 연이어 편직 하기 위한 것이며, 제 5 구간(P5)은 양말편직기(50)에 고무사를 단독 공급하여 상기 제 4 구간(P4)에서 형성된 마감부(14) 후단으로 벗겨짐 방지부(13)를 편직 하기 위한 것이고, 제 6 구간(P6)은 양말편직기(50)에 면사와 스판사를 합사 공급하여 발바닥(10) 뒤꿈치를 편직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편성에 있어 제 3 구간의 탄성 밴딩부(12)는 착용자 발 앞꿈치와 뒤꿈치 사이의 내측 굴곡을 따라 신축적으로 밀착되도록 덧신 양말 중앙에 위치한 발바닥(10)과 발등(20) 후단으로 일체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마감부(14) 선단 일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마감부 자체의 탄성 복원력 향상에 따른 마감부(14) 벌어짐 현상 및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5 구간(P5)의 벗겨짐 방지부(13) 역시 마감부(14) 후단 일부를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마감부(14)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켜 장시간 사용중 마감부 벌어짐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도 2은 특허문헌 2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른발 기능성 양말은, 좌우 해당 발에 맞게 착용되는 양말로써, 상기 양말 내부 중 발가락들이 위치되는 발가락 수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각각 이격시키는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발가락 이격부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을 따라 돌출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지압부는 상기 양말과 동일한 재질로 직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에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발바닥 아치 부분 전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에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발바닥 아치 부분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발바닥 아치 부분이 위치되는 내부에 에어팩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해당 발에 맞게 착용하는 양말로써, 상기 양말 내부 중 발가락들이 위치되는 발가락 수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각각 이격시키는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발가락 이격부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을 따라 돌출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지압부는 상기 양말과 동일한 재질로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발가락 이격부는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의 사이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약지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의 사이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고, 발가락의 측면이 닿는 면에 부분적으로 다수 돌출되는 지압돌기가 중심으로 갈수록 중복 박음질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선단 양측면은 발가락의 단부가 전면 밀착되도록 라운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해당 발에 맞게 착용하는 양말로써, 상기 양말 내부 중 발가락들이 위치되는 발가락 수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각각 이격시키는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발가락 이격부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을 따라 돌출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지압부는 상기 양말과 동일한 재질로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발가락 이격부는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의 사이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약지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의 사이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고, 발가락의 측면이 닿는 면에 부분적으로 다수 돌출되는 지압돌기가 중심으로 갈수록 중복 박음질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선단 양측면은 발가락의 단부가 전면 밀착되도록 라운딩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에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발바닥 아치 부분 전까지 연장 형성되어 지압과 함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지점을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해당 발에 맞게 착용하는 양말로써, 상기 양말 내부 중 발가락들이 위치되는 발가락 수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각각 이격시키는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발가락 이격부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을 따라 돌출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지압부는 상기 양말과 동일한 재질로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발가락 이격부는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의 사이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약지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의 사이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고, 발가락의 측면이 닿는 면에 부분적으로 다수 돌출되는 지압돌기가 중심으로 갈수록 중복 박음질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선단 양측면은 발가락의 단부가 전면 밀착되도록 라운딩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에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발바닥 아치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어 지압과 함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지점을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해당 발에 맞게 착용하는 양말로써, 상기 양말 내부 중 발가락들이 위치되는 발가락 수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발가락과 발가락의 사이를 각각 이격시키는 복수의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발가락 이격부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을 따라 돌출되는 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이격부 및 상기 지압부는 상기 양말과 동일한 재질로 직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발가락 이격부는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의 사이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약지 발가락과 새끼 발가락의 사이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되고, 발가락의 측면이 닿는 면에 부분적으로 다수 돌출되는 지압돌기가 중심으로 갈수록 중복 박음질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선단 양측면은 발가락의 단부가 전면 밀착되도록 라운딩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지골과 중족골과의 경계 지점에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발바닥 아치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어 지압과 함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지점을 들어올리고,발바닥 아치 부분이 위치되는 내부에 에어팩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는 특허문헌 3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1 삽입부(111), 상기 제2 삽입부(11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11) 및 상기 제1 몸통부(131)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3 몸통부(133)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1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부(112)와 상기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1횡궁(151), 2횡궁(152) 또는 3횡궁(153)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부(100); 및 상기 발가락 삽입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3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바닥의 1횡궁(151), 2횡궁 또는 3횡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 검지 발가락과 중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2 삽입부(112), 약지 발가락과 소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제3 삽입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30)는, 상기 제1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몸통부(131), 상기 제2 삽입부(1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몸통부(132), 및 상기 제3 삽입부(113)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몸통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삽입부(112)와 상기 제3 삽입부(113)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11) 및 상기 제1 몸통부(131)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삽입부(113) 및 상기 제3 몸통부(133)는 탄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특허문헌 4에 의한 기능성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동 시 발을 보다나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보다 편리하게 형성되고, 양말의 원사를 흡한 속건 소재로 형성하고, 발목부분은 스판 소재를 넓게 형성하고, 이들 흡한 속건 소재에 고탄력 탄성사를 8자로 연결되게 편직하고, 엄지 발가락 부분을 독립적으로 편직하고 ,바닥부분은 2중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특허문헌 5에 의한 기능성 덧신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는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이 함께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와 연결되며 원호 형태로 발등의 상면 일부를 감싸고 발의 엄지쪽 측면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착용시 두 발가락과 발등을 함께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는 검지 발가락의 기절골의 몸측 말단부와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의 몸측 말단부를 연결하는 원호 형태로 발등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말단은 발가락의 말단과 밀착 되도록 V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말단에는 발가락을 삽입 시 공기가 배출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관통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내면 및 커버부의 내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바닥측 외면에는 다수의 동심원 형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바닥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바닥 고정돌기는 동심원 중앙 쪽 돌출부가 동심원 외곽 쪽 돌출부보다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의 내부에는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덧버선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덧버선(1)은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부(100)와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200) 및 발 삽입구에 부착되는 밴드(300)로 구성되어있으며,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는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직조공정을 통해 각각 직조된 후 서로 맞대어져 직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가락부(100)는 다시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 (110)와 나머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0)로 나누어져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을 분리하였으며, 몸통부(200) 윗부분의 발 삽입구에 덧버선의 벗겨짐 방지 및 착용감 개선을 위한 밴드(300)가 직조로 결합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2)은 발가락부(100)의 단부와 몸통부(200)의 단부가 일부 중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6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1)과 상이하다. 발가락부(100)는 제1 두께(T1)를 갖고, 몸통부(200)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는 동일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2)은 발가락부(100)의 단부와 몸통부(200)의 단부가 일부 중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몸통부(200)의 단부가 발가락부(100)의 단부보다 상부(또는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과 같이 발가락부(100)의 단부(100CB)와 몸통부(200)의 단부(200CB)가 상호 직조 방식으로 결합되지 않고, 상호 중첩하여 직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발가락부(100)의 단부(100CB)와 몸통부(200)의 단부(200CB)는 직접 접할 수 있다. 즉, 발가락부(100)의 단부(100CB)와 몸통부(200)의 단부(200CB) 간 중첩 면적이 도 7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1)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발가락부(100)의 단부(100CB)와 몸통부(200)의 단부(200CB)의 결합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발가락부(100)의 단부(100CB)와 몸통부(200)의 단부(200CB)의 결합 면적이 증가되면, 결과적으로,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 간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덧버선(2)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은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 간 결합 면적(또는 부착 면적)이 상이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따른 덧버선(2)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은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 간 결합 면적(또는 부착 면적)이 상이해질 수 있다.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는 도 8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과 달리,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는 상호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은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착용자의 발가락 사이즈(Size)나, 무지외반증의 증상 정도에 따라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 간 중첩 영역을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덧버선의 착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가 상호 완전히 중첩하도록 덧버선을 착용할 수 있다.
다만, 덧버선의 착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부(100) 및 결합부(100CB_1)를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와 탈착한 후 발가락부(100) 및 결합부(100CB_1)를 상대적으로 몸통부(200)를 향해 이동시킨 후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를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에 다시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는 덧버선의 착용자가 도 9의 덧버선의 발가락부(100)의 사이즈보다 발가락 사이즈가 더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덧버선의 착용자는 발가락 사이즈와 무관하게 무지외반증 증상이 심해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들을 더욱 강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다만, 덧버선의 착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부(100) 및 결합부(100CB_1)를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와 탈착한 후 발가락부(100) 및 결합부(100CB_1)를 상대적으로 몸통부(200)로부터 멀리 이동시킨 후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를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에 다시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는 덧버선의 착용자가 도 9의 덧버선의 발가락부(100)의 사이즈보다 발가락 사이즈가 더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덧버선의 착용자는 발가락 사이즈와 무관하게 무지외반증 증상이 완화되어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들을 도 9 대비 약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는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의 상하관계가 도 8에 따른 덧버선의 단면도와 반대 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7 및 도 8에 따른 덧버선과 동일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는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의 상하관계가 도 9에 따른 덧버선의 단면도와 반대 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7 및 도 8에 따른 덧버선과 동일하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의 발가락부(100)의 제1 두께(T1)와 몸통부(200)의 제2 두께(T2)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8에 따른 덧버선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은 발가락부(100)의 제1 두께(T1)가 몸통부(200)의 제2 두께(T2)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가락부(100)는 다시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 (110)와 나머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0)로 나누어져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데, 무지외반증상이 있는 착용자의 경우,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이 분리될 경우, 통증이 수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발가락부(100)의 제1 두께(T1)는 몸통부(200)의 제2 두께(T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에게 보다 통증이 유발되는 발가락부(100)에서 푹신푹신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몸통부(200)는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통부(200)는 얇게 직조하여 발바닥과 발등 및 뒤꿈치의 압박감을 줄이고, 발가락부(100)는 두껍게 직조하여 쿠션감을 갖게 함으로써, 마찰을 줄여 착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이 쉽게 닳아 구멍이 나는 것을 늦추어 덧버선의 수명이 연장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통부(200)의 재질과 발가락부(100)의 재질은 상호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부(100)는 제1 경도(Rigidity)는 몸통부(200)의 제2 경도보다 작게 설계됨으로써, 착용자의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발가락부(100)에서 보다 좋은 착용감을 선사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의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는 발가락부(100)의 측면과 몸통부(200)의 측면에 상호 직조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따른 덧버선과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가락부(100)는 제2 두께(T2)보다 큰 제1 두께(T1)를 갖고, 몸통부(200)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은 덧버선의 발가락부(100)와 몸통부(200)는 발가락부(100)의 측면과 몸통부(200)의 측면에 상호 직조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4에 따른 덧버선과 상이하다.
몸통부(200)와 발가락부(100)를 별도로 직조한 후 맞대어 결합함으로써 발가락 덧버선의 제작공정상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110 : 제1 삽입부
120 : 제2 삽입부
200 : 몸통부
300 : 밴드

Claims (4)

  1. 앞부분에 엄지발가락과 나머지발가락들을 분리할 수 있는 발가락부(100);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는 몸통부(200); 및
    발 삽입구에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밴드(300)를 포함하고,
    발의 체온유지 및 상기 발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의 노출을 방지하여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발가락부(100)는 상기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0), 및 상기 나머지발가락들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0)로 구성되어, 상기 덧버선의 착용 시 상기 엄지발가락이 상기 나머지발가락들과 분리되고,
    상기 발가락부(100)와 상기 몸통부(200)는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직조공정을 통해 각각 직조되며, 직조 후 서로 맞대어져 직조로 결합되고,
    상기 발 삽입구에 상기 덧버선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밴드(300)가 상기 몸통부(200)와 직조로 결합되고,
    상기 발가락부(100)의 단부와 상기 몸통부(200)의 단부가 일부 중첩하고,
    상기 발가락부(100)는 제1 두께(T1)를 갖고, 상기 몸통부(200)는 제2 두께(T2)를 갖고, 상기 제1 두께(T1)가 상기 제2 두께(T2)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상기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착용자의 발가락 사이즈(Size)나 무지외반증의 증상 정도에 따라 발가락부(100)의 결합부(100CB_1)와 몸통부(200)의 결합부(200CB_1) 간 중첩 영역을 상대적으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2086U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Active KR200498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86U KR20049835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86U KR20049835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77U KR20230000077U (ko) 2023-01-10
KR200498357Y1 true KR200498357Y1 (ko) 2024-09-20

Family

ID=8489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86U Active KR200498357Y1 (ko) 2021-07-01 2021-07-01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357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98Y1 (ko) * 2004-05-14 2004-10-16 신건호 이중양말
KR200428642Y1 (ko) 2006-07-31 2006-10-16 황종혁 엄지발가락 교정용 양말
US20070074334A1 (en) 2005-04-01 2007-04-05 Steel Michael M Toe spacer sock and corrective footwear
KR101474156B1 (ko) * 2013-08-27 2014-12-17 김신준 발가락 덧버선
KR101552964B1 (ko) * 2014-11-05 2015-09-14 홍두호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69738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靴下
JP2018166963A (ja) 2017-03-30 2018-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外反母趾用衣類
WO2019112762A1 (en) 2017-12-06 2019-06-13 David Shaffer Therapeutic so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99Y1 (ko) 2004-06-09 2004-09-01 유재은 압박 양말
KR101382637B1 (ko) 2013-04-17 2014-04-10 박균섭 기능성 양말
KR101623078B1 (ko) 2015-11-20 2016-05-31 백문흠 발가락 덧신 양말의 제조방법
KR101768375B1 (ko) 2016-05-20 2017-08-30 오상선 기능성 두 발가락 커버
KR101999344B1 (ko) 2018-02-26 2019-07-11 김금석 바른발 기능성 양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98Y1 (ko) * 2004-05-14 2004-10-16 신건호 이중양말
US20070074334A1 (en) 2005-04-01 2007-04-05 Steel Michael M Toe spacer sock and corrective footwear
KR200428642Y1 (ko) 2006-07-31 2006-10-16 황종혁 엄지발가락 교정용 양말
KR101474156B1 (ko) * 2013-08-27 2014-12-17 김신준 발가락 덧버선
JP2016069738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靴下
KR101552964B1 (ko) * 2014-11-05 2015-09-14 홍두호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66963A (ja) 2017-03-30 2018-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外反母趾用衣類
WO2019112762A1 (en) 2017-12-06 2019-06-13 David Shaffer Therapeutic s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77U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044B2 (en) Cushioning foot insert
US20110277218A1 (en) Performance sock
EP2517587B1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lable toe portions
EP0804099B1 (en) Foot protector in combination with hosiery and method of knitting same
US20120174433A1 (en) Articles of Footwear
US20180153258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ctive regions and secure regions
CN113647720B (zh) 具有多个层的鞋类物品
AU2014202890A1 (en) Modern dance shoe
US20110314694A1 (en)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AU2003205324B2 (en) Sock with an ankle-located support
AU2003205324A1 (en) Sock with an ankle-located support
US20190105187A1 (en) Foot supporting garments and methods
US20030005601A1 (en) Corrective appliance mounted to footwear for correcting and preventing deformity of a foot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498357Y1 (ko) 무지외반증 교정을 위한 덧버선
AU2011291428A1 (en) Footwear for modern d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10070601A (ko) 구두용 누드 양말
US20210244129A1 (en) Maternity footwear
CN212913497U (zh) 矫正袜
US20180332899A1 (en) Padded Sock
KR20220000308U (ko) 다기능 양말
JPS6348165Y2 (ko)
JP4619056B2 (ja) 履物製品とそのソール部材及びソールパッド
CN220404224U (zh) 拇趾外翻矫形鞋垫
JP3228866U (ja) 足袋型フット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7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522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311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409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