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32Y1 - 골프공 파지용 클립 - Google Patents
골프공 파지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332Y1 KR200497332Y1 KR2020210001640U KR20210001640U KR200497332Y1 KR 200497332 Y1 KR200497332 Y1 KR 200497332Y1 KR 2020210001640 U KR2020210001640 U KR 2020210001640U KR 20210001640 U KR20210001640 U KR 20210001640U KR 200497332 Y1 KR200497332 Y1 KR 2004973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olf ball
- gripping ring
- grip
- clip
- grip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38—Structurally associated means for storing and dispens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골프공 파지용 클립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은,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그립의 중앙홀로 삽입되며 양단으로 벌어져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중앙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골프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벌어진 제1 파지링과 제2 파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은,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그립의 중앙홀로 삽입되며 양단으로 벌어져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중앙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골프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벌어진 제1 파지링과 제2 파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골프공 파지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golf)는 일정한 장소에서 골프공을 골프채로 쳐서 가장 적은 타수로 정해진 홀컵에 넣는 경기로, 골퍼는 홀컵에 들어간 골프공을 꺼내거나 그린 또는 지면 상에 놓여진 골프공을 줍기 위해 허리를 자주 굽힐 수 밖에 없다. 허리를 자주 굽히면, 허리에 무리가 가므로 디스크 등과 같은 허리 질환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고혈압이 있는 경우 머리가 낮게 숙여짐으로 인해 뇌출혈 등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허리를 굽히면서 골퍼의 체중이 홀컵 주변의 그린에 집중되어 그린이 훼손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홀컵에 들어간 골프공이나 그린 또는 지면 상에 놓여진 골프공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클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은,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상기 그립의 중앙홀로 삽입되며 양단으로 벌어져 상기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앙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골프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벌어진 제1 파지링과 제2 파지링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상기 금속 와이어의 양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양단부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다시 굴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굴절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굴절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사부 사이의 굴절각보다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의 굴절각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 와이어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나란히 형성된 직선을 이루고,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금속 와이어가 동일한 직경으로 2회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상기 금속 와이어가 감겨 형성된 링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직선 구간을 이루는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골프채의 그립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립이 아래를 향하도록 골프채를 뒤집으면,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이 파지된 상태에서 그립이 위를 향하도록 골프채를 다시 뒤집으면, 골프공이 들어 올려지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골프공을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불편함이 해소됨은 물론 허리 질환과 뇌출혈 등의 발생도 줄일 수 있고 그린의 훼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으로 골프공을 파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으로 골프공을 파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은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골프채의 그립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립이 아래를 향하도록 골프채를 뒤집으면,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이 파지된 상태에서 그립이 위를 향하도록 골프채를 다시 뒤집으면, 골프공이 들어 올려지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골프공을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불편함이 해소됨은 물론 허리 질환과 뇌출혈 등의 발생도 줄일 수 있고 그린의 훼손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골프공 파지용 클립(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정면도이며, 도 3은 골프공 파지용 클립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다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은 지지부(10)와 연결부(20), 및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을 포함하며, 지지부(10)와 연결부(20), 및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굴절되어 형성된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부(10)와 연결부(20), 및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을 구분하여 설명하나, 지지부(10)와 연결부(20), 및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서로 일체 구조로써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의 각 영역이 구획된 것일 수 있다.
먼저, 지지부(10)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 그립(도 4의 G 참조)의 중앙홀(도 4의 H 참조)로 삽입되며 양단으로 벌어져 그립(G)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지지부(10)는 그립(G)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중앙홀(H)을 통과하여 그립(G) 내부에 수용되며, 한 쌍이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그립(G)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지지부(10)가 그립(G) 내부에 수용되어 그립(G)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이 그립(G)으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후술할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이 골프공(B)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이 그립(G)으로부터 이탈하는 것도 방지되므로,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을 번거롭게 착탈할 필요 없이 그립(G)에 끼운 채로도 골프공(B)을 타격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도 있다. 지지부(1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지지부(10)에는 연결부(20)가 연장된다.
연결부(20)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의 중간부를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이 지지부(10)로부터 연장되어 중앙홀(H)에 삽입된다. 통상, 그립(G)은 그립감의 향상을 위해 탄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형성되고, 중앙홀(H)의 직경보다 연결부(20)의 직경,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부(20)의 직경과, 한 쌍의 연결부(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모두 합한 값이 더 크므로, 중앙홀(H)에 삽입된 한 쌍의 연결부(20)는 그립(G)에 의해 압착 고정되어 수평 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부(20)의 수평 방향 흔들림이 방지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이 골프공(B)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연결부(20)는 금속 와이어가 지지부(10)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란히 형성된 직선을 이루고, 지지부(10)는 연결부(20)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금속 와이어의 양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0)는 연결부(20)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그립(G)의 내주면을 지지하며, 양단부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다시 굴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는 연결부(20)로부터 외측으로 굴절되는 제1 경사부(11)와, 제1 경사부(11)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굴절되는 제2 경사부(12)를 포함하고, 연결부(20)와 제1 경사부(11) 사이의 굴절각(a) 보다 제1 경사부(11)와 제2 경사부(12) 사이의 굴절각(b)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와 제1 경사부(11) 사이의 굴절각(a)보다 제1 경사부(11)와 제2 경사부(12) 사이의 굴절각(b)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0)를 그립(G)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부(10)를 가압하였을 때 제2 경사부(12)가 쉽게 모아져 지지부(10)가 중앙홀(H)을 관통하여 그립(G) 내부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가 그립(G) 내부로 수용된 후 그립(G) 내부에서 퍼져 내주면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20)와 제1 경사부(11) 사이의 굴절각(a)보다 제1 경사부(11)와 제2 경사부(12) 사이의 굴절각(b)이 더 크게 형성될 경우, 지지부(10)를 그립(G)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부(10)를 가압하였을 때 제2 경사부(12)가 모아지지 않아 지지부(10)가 그립(G)에 걸려 중앙홀(H)에 삽입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원 고안은 연결부(20)와 제1 경사부(11) 사이의 굴절각(a)보다 제1 경사부(11)와 제2 경사부(12) 사이의 굴절각(b)이 더 작게 형성되어 지지부(10)의 가압 시 제2 경사부(12)가 용이하게 모아지므로, 지지부(10)가 중앙홀(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그립(G)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각각의 연결부(20)에는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이 연장된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각각 골프공(B)의 일 측과 타 측을 파지할 수 있다. 즉, 골프공(B)은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삽입되어 일 측이 제1 파지링(30)에 의해 파지되고 타 측이 제2 파지링(40)에 의해 파지된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골프공(B)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연결부(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진 타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벌어진 상태로 각각 유지될 수도 있다. 이하,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의 벌어진 타단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연결부(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금속 와이어가 동일한 직경으로 2회 감겨 형성되며, 상방 또는 하방에서 보았을 때 ∞ 형상을 이루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결부(2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벌어져 v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파지링(30)은 금속 와이어가 감겨 형성된 링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직선 구간을 이루는 제1 직선부(31)를 포함하며, 제2 파지링(40)은 금속 와이어가 감겨 형성된 링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직선 구간을 이루는 제2 직선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는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를 제외한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의 나머지 부분은 각각 곡선구간(32, 42)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직선부(31)의 일단과 연결부(20) 사이, 제2 직선부(41)의 일단과 연결부(20) 사이, 및 제1 직선부(31)의 타단과 제2 직선부(41)의 타단 사이는 모두 곡선구간(32, 42)을 이룬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에 각각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가 형성됨으로써,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골프공(B)이 위치한 상태에서 골프채(C)를 가압할 때 골프공(B)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골프공(B)을 신속하게 파지할 수 있다. 골프공(B)은 공기 저항을 줄이고 공의 탄력과 타격 거리 향상을 위해 외측 표면에 복수의 홈, 즉, 딤플(dimple)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한 요철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골프공(B)의 요철면에 제1 파지링(30)의 곡선구간(32)과 제1 직선부(31) 사이의 꺽인 부분, 및 제2 파지링(40)의 곡선구간(42)과 제2 직선부(41) 사이의 꺽인 부분이 각각 걸리게 되므로, 골프공(B)이 미끄러지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파지될 수 있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에 각각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가 생략되는 경우, 골프공(B)의 요철면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 골프공(B)이 쉽게 미끄러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골프공(B)을 신속하게 파지할 수 없다. 본원 고안은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에 각각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를 형성하여, 골프공(B)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현재 위치에서 골프공(B)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의 사용 상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을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으로 골프공을 파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을 골프채(C)의 그립(G)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립(G)이 아래를 향하도록 골프채(C)를 뒤집으면,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지면에 놓인 골프공(B)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B)이 파지된 상태에서 그립(G)이 위를 향하도록 골프채(C)를 다시 뒤집으면, 골프공(B)이 들어 올려지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골프공(B)을 파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불편함이 해소됨은 물론 허리 질환과 뇌출혈 등의 발생도 줄일 수 있고 그린의 훼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은 그립(G)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은 지지부(10)의 양단부, 즉, 제2 경사부(12) 사이가 서로 벌어진 상태이므로, 중앙홀(H)에 삽입하기 위해서 제2 경사부(12) 사이의 간격을 좁혀야 한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의 경계, 또는 제2 직선부(41)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제2 경사부(12)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제1 경사부(11)와 제2 경사부(12) 사이의 굴절각(b)은 연결부(20)와 제1 경사부(11) 사이의 굴절각(a)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의 경계, 또는 제2 직선부(41)를 양 측에서 가압하였을 때 제2 경사부(12)가 쉽게 모아지며, 이로 인해, 지지부(10)가 중앙홀(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0)가 중앙홀(H)에 삽입되면, 연결부(20)가 중앙홀(H)에 삽입되도록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을 가압한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은 각각 연결부(20)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벌어져 v자 형상을 이루므로, 중앙홀(H)에 삽입되지 않고 그립(G)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립(G)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중앙홀(H)의 직경보다 연결부(20)의 직경이 더 크므로, 중앙홀(H)에 삽입된 연결부(20)는 그립(G)에 의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립(G) 내부로 수용된 지지부(10)는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의 경계가 그립(G)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골프공 파지용 클립(1)이 그립(G)에 삽입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G) 외부로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만 노출될 수 있다.
골프공(B)을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G)이 아래를 향하도록 골프채(C)를 뒤집으며, 골프채(C)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골프공(B)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골프채(C)의 위치를 조정한다. 골프공(B)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위치하면, 골프채(C)를 가압하며, 이 때,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가 일부 벌어지며 골프공(B)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에는 각각 제1 직선부(31)와 제2 직선부(41)가 형성되므로, 골프공(B)에 형성된 요철면에 제1 파지링(30)의 곡선구간(32)과 제1 직선부(31) 사이의 꺽인 부분, 및 제2 파지링(40)의 곡선구간(42)과 제2 직선부(41) 사이의 꺽인 부분이 각각 걸리게 되어 골프공(B)이 미끄러지지 않고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골프공(B)이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삽입되면, 그립(G)이 위를 향하도록 골프채(C)를 다시 뒤집고, 제1 파지링(30)과 제2 파지링(40) 사이에 삽입된 골프공(B)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골프공 파지용 클립
10: 지지부 11: 제1 경사부
12: 제2 경사부 20: 연결부
30: 제1 파지링 31: 제1 직선부
32: 곡선구간 40: 제2 파지링
41: 제2 직선부 42: 곡선구간
B: 골프공 C: 골프채
G: 그립 H: 중앙홀
10: 지지부 11: 제1 경사부
12: 제2 경사부 20: 연결부
30: 제1 파지링 31: 제1 직선부
32: 곡선구간 40: 제2 파지링
41: 제2 직선부 42: 곡선구간
B: 골프공 C: 골프채
G: 그립 H: 중앙홀
Claims (8)
- 탄성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골프채의 그립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중앙홀로 삽입되며 양단으로 벌어져 상기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앙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골프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벌어진 제1 파지링과 제2 파지링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하나의 금속 와이어가 굴절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상기 금속 와이어의 양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그립의 내주면을 지지하되, 양단부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다시 굴절되어,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굴절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굴절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사부 사이의 굴절각보다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의 굴절각이 더 작게 형성된 골프공 파지용 클립.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 와이어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나란히 형성된 직선을 이루고,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금속 와이어가 동일한 직경으로 2회 감겨 형성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은,
상기 금속 와이어가 감겨 형성된 링 형상 중 적어도 일부가 직선 구간을 이루는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각각 포함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제1 파지링과 상기 제2 파지링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골프공 파지용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640U KR200497332Y1 (ko) | 2021-05-25 | 2021-05-25 | 골프공 파지용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640U KR200497332Y1 (ko) | 2021-05-25 | 2021-05-25 | 골프공 파지용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834U KR20220002834U (ko) | 2022-12-02 |
KR200497332Y1 true KR200497332Y1 (ko) | 2023-10-12 |
Family
ID=8439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640U Active KR200497332Y1 (ko) | 2021-05-25 | 2021-05-25 | 골프공 파지용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332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3970B2 (ja) * | 1990-04-06 | 2000-04-17 | 株式会社リコー | 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
JP3110281B2 (ja) * | 1994-12-05 | 2000-11-20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溶融金属誘導加熱装置用保持容器 |
JP3144793B2 (ja) * | 1990-10-19 | 2001-03-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部品吸着ノズルおよびその部品吸着ノズルを備えた部品装着装置 |
KR102080406B1 (ko) * | 2018-09-13 | 2020-02-21 | 김영선 | 파크 골프용 볼 회수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3970U (ja) * | 1996-07-25 | 1997-02-07 | 武美 小岩 | パター及びパター用グリップ |
JP3110281U (ja) * | 2005-02-08 | 2005-06-16 | 善一 水野 | ゴルフボール拾上げ具 |
KR20060090851A (ko) | 2005-02-11 | 2006-08-17 | 김기문 | 홀컵으로부터 골프공 집게 |
JP3144793U (ja) * | 2008-07-02 | 2008-09-11 | 徳雄 水野 | 球技用スティック |
-
2021
- 2021-05-25 KR KR2020210001640U patent/KR200497332Y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3970B2 (ja) * | 1990-04-06 | 2000-04-17 | 株式会社リコー | 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
JP3144793B2 (ja) * | 1990-10-19 | 2001-03-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部品吸着ノズルおよびその部品吸着ノズルを備えた部品装着装置 |
JP3110281B2 (ja) * | 1994-12-05 | 2000-11-20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溶融金属誘導加熱装置用保持容器 |
KR102080406B1 (ko) * | 2018-09-13 | 2020-02-21 | 김영선 | 파크 골프용 볼 회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834U (ko) | 2022-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0239A (en) | Golf-club holder for use with golf carts | |
JPH01164381A (ja) | パター | |
WO2007057743A2 (en) | Ball retrieval device | |
US20020169030A1 (en) | Golf ball retriever | |
US6447407B1 (en) | Golf accessory device | |
US5947850A (en) | Tennis ball retriever | |
JP2000271253A (ja) | ゴルフパターヘッド | |
KR200497332Y1 (ko) | 골프공 파지용 클립 | |
US20210362008A1 (en) | Golf ball retrieval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
US7311345B2 (en) | Golf ball retriever | |
JP2012029858A (ja) | ゴルフボール拾い上げパター | |
KR200469576Y1 (ko) |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클립 | |
US20150335960A1 (en) | Tennis racket having an optimized striking area | |
KR200478462Y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 |
KR102533285B1 (ko) | 골프클럽 파지용 보조그립 | |
US20090176590A1 (en) | Putting mat | |
JP3110281U (ja) | ゴルフボール拾上げ具 | |
US20060073904A1 (en) | Object retrieving device | |
US11752410B2 (en) | Force sensor for alerting golfer when club held too tightly | |
KR20220126397A (ko) | 파크골프공 회수기 | |
US7384347B2 (en) | Golf ball retrieval device | |
CN109876398B (zh) | 一种防脱手的新型羽毛球拍 | |
KR20220001828U (ko) | 파크골프용 공집게 | |
US20140057741A1 (en) | Adjustable shape golf tee | |
JP3229565U (ja) | アーチェリーの弓にストリングを張る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5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