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6175Y1 -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75Y1
KR200496175Y1 KR2020210000258U KR20210000258U KR200496175Y1 KR 200496175 Y1 KR200496175 Y1 KR 200496175Y1 KR 2020210000258 U KR2020210000258 U KR 2020210000258U KR 20210000258 U KR20210000258 U KR 20210000258U KR 200496175 Y1 KR200496175 Y1 KR 200496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plate
handle
handle device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885U (ko
Inventor
김재숙
Original Assignee
크리에이티브오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에이티브오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리에이티브오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7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75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9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incisions in the container or blank forming straps used as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설치되는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상부덮판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핸들부재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상부덮판에 형성된 슬롯홀(slot hole)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덮판 위로 돌출되는 C자 형상의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핸들부재는, 그립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상기 후크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Separable handle device for packing box}
본 고안은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설치되는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상부덮판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핸들부재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상부덮판에 형성된 슬롯홀(slot hole)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덮판 위로 돌출되는 C자 형상의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핸들부재는, 그립부의 좌우 양단에 각각 상기 후크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다과, 식품류 과일 등의 상품을 포장하는 상자는 내용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두꺼운 판지 재질로 제작하며, 상자 상면을 덮는 상부덮판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포장상자를 들어 올렸을 때 모든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손잡이 설치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자 상부덮판을 두껍게 제작하거나, 상부덮판 저면에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보강판을 추가로 설치하기도 하였다.
첨부 도 1은 통상적인 포장상자용 손잡이(10)를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6)의 양단에 각각 지지판(8)이 설치되어 있고, 상자(12)의 상부덮판(14)에는 상기 지지판(8)이 삽입 지지되는 슬롯홀(18)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판(1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판(8)을 받쳐주는 보강판(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2)에도 상기 지지판(8)이 삽입 지지되는 슬롯홀(4)이 관통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포장상자용 손잡이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1914360호(2018년 10월 26일)에는 상기 도 1의 지지판(8)에 대응하는 지지편(1)의 상면에 쐐기형 돌출침(5)이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가 제시되어 있고,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9149호(1998년 10월 07일)에는 상기 그립부(6)에 대응하는 손잡이부(22)와, 상기 보강판(2)에 대응하는 지지부(20)가 한몸으로 형성된 박스용 손잡이가 소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914360호(2018년 10월 26일)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9149호(1998년 10월 07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01481호(2005년 11월 10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40906호(2008년 07월 02일)
상기 도 1과 같은 포장상자용 손잡이에 있어서, 그립부(6)가 지탱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상기 그립부(6)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판(8)의 크기에 의존한다. 즉, 상기 지지판(8)의 크기가 작으면, 상기 그립부(6)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는 면적이 좁아져서 상자(12)의 상부덮판(14)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종래 포장상자용 손잡이의 경우, 상자(12)에 손잡이(10)를 설치할 때, 상기 지지판(8)을 접어서 상부덮판(14)에 관통된 슬롯홀(18)에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8)의 크기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상기 지지판(8)을 받쳐주는 보강판(2)을 설치하기도 한다다.
또한, 상기 도 1과 같은 포장상자용 손잡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종이 재질의 상자(12)로부터 분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자(12)를 폐기할 때 손잡이(10)를 분리수거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형성되는 슬롯홀의 크기와 상관없이 손잡이의 그립부 양단에 설치되는 지지판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손잡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쓰레기의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에 대해서는 첨부 도 1의 손잡이 장치와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는,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를 들어 올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를 상기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지지해 주는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형성된 슬롯홀(slot hole)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덮판 위로 돌출되는 C자 형상의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좌우 양단에서 각각 상기 후크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는, 포장상자에 설치할 때 지지부재의 지지판이 상부덮판에 형성된 슬롯홀을 통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슬롯홀의 크기와 상관없이 상기 지지판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고, 따라서 포장상자를 집어들었을 때 핸들부재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손잡이 설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는, 지지부재의 후크부로부터 핸들부재의 접속부를 분리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 장치와 종이재질의 포장상자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의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는, 핸들부재의 접속부가 지지부재의 후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가 자체 무게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쪽 옆쪽으로 눕혀질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가 공간적인 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포장상자용 손잡이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의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20)의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재(20)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B)에 본 고안의 분리형 손잡이 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B)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재(10)와 핸들부재(20)와 구성된다. 상기 포장상자(B)의 상면을 덮는 양쪽 상부덮판(B1)에는 상기 지지부재(10)가 설치되는 슬롯홀(H) 2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부재(10) 2개와 상기 핸들부재가 1개와 결합하여 한 세트의 손잡이 장치를 구성한다.
먼저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상부덮판(B1)의 슬롯홀(H)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후크부(11)와 지지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부(11)는 상기 슬롯홀(H)을 통과하여 상부덮판(B1) 위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C자 형상의 걸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은 상기 후크부(11)의 하단에서 사방으로 확장되어 상부덮판(B1) 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부(11)가 슬롯홀(H)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동시에 핸들부재(10)를 집어 들었을 때 포장상자(B)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한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지지판(12)이 사각형 모양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판(12)은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핸들부재(20)는, 첨부 도 3과 같이 그립부(21)와 접속부(22)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그립부(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선이나 둥글게 휘어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립부(21)의 저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도록 손가락 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2)는 상기 그립부(21)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0)의 후크부(11) 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부(21)를 상기 지지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양쪽 접속부(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부덮판(B1)에 형성된 양쪽 슬롯홀(H)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부(11)는 내부공간에 비해 입구가 좁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접속부(22)를 후크부(11) 속으로 삽입할 수는 있으나, 일단 삽입된 후에는 상기 후크부(11)에서 접속부(22)가 저절로 빠져나오지는 않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그립부(21)의 양단에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절곡부(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22)는 상기 절곡부(23)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20)는 상기 접속부(22)가 상기 후크부(11)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양쪽 후크부(11)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첨부 도 4는 도 3의 핸들부재(20) 이외에 본 고안에서 사용 가능한 핸들부재(20)의 다양한 형상들을 예시한 것이다. 첨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2)는 연결 핀 형상일 수도 있고, 고리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는, 후크부(11)의 하단과 지지판(12) 사이에 상기 상부덮판(B1)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언더컷(1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더컷(13)은 상부덮판(B1)의 슬롯홀(H)에 지지부재(10)를 삽입 했을 때, 상기 언더컷(13)에 상부덮판(B1)이 끼이면서 상기 지지부재(10)를 상부덮판(B1)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크부(11)의 상단 테두리에는 날카로운 칼날부(11a)나 톱니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포장상자(B)의 상부덮판(B1)에는 대체로 지지부재(10)를 삽입하는 슬롯홀(H)을 미리 천공해 두지만, 상기 슬롯홀(H)이 미리 천공되어 있지 않거나 그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상기 칼날부(11a)나 톱니부를 이용하면 상부덮판(B1)에 후크부(11)를 보다 편리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용 손잡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포장상자(B)의 상부덮판(B1)에 슬롯홀(H) 2개를 형성하고, 상기 슬롯홀(H)에다 각각 상기 지지부재(10)를 하나씩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롯홀(H)의 간격은 핸들부재(20)의 규격, 즉 양쪽 접속부(2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는 도 6과 같이 지지판(12)을 상부덮판(B1)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후크부(11)가 상부덮판(B1)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20)의 그립부(21) 양단에 설치된 접속부(22)를 각각 상기 후크부(11)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상기 핸들부재(20)가 지지부재(10)에 결합되면서 손잡이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장치는 후크부(11)의 입구가 내부공간에 비해 좁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11)에서 핸들부재(20)의 접속부(22)가 저절로 빠져나올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예컨대 포장상자(B)를 폐기할 때는 후크부(11)에서 접속부(22)를 강제로 이탈시켜서 상기 포장상자(B)로부터 지지부재(10)와 핸들부재(20)를 분리한 다음,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분리배출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지지부재(10)에 후크부(11)가 설치되고, 핸들부재(20)에 접속부(22)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핸들부재(20)에 C자형 후크부가 구비되고, 지지부재(10)에 이에 대응하는 접속부가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비록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는 이러한 설계변경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손잡이 장치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서로 균등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10) 지지부재 (11) 후크부
(11a) 칼날부 (12) 지지판
(13) 언더컷 (20) 핸들부재
(21) 그립부 (22) 접속부
(23) 절곡부 (B) 포장상자
(B1) 상부덮판 (H) 슬롯홀

Claims (5)

  1. 통상적인 상품 포장상자를 들어 올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를 상기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지지해 주는 한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포장상자의 상부덮판에 형성된 슬롯홀(slot hole)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덮판 위로 돌출되는 C자 형상의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슬롯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좌우 양단에서 각각 상기 후크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부를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상부덮판을 관통하여 슬롯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칼날부 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에서 양쪽 접속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부덮판에 형성된 양쪽 슬롯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후크부는 내부공간에 비해 입구가 좁아서 상기 후크부 내에 삽입된 접속부가 저절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양단에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 절곡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연결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크부의 하단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상기 상부덮판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언더컷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5. 삭제
KR2020210000258U 2021-01-26 2021-01-26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Active KR200496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58U KR200496175Y1 (ko) 2021-01-26 2021-01-26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58U KR200496175Y1 (ko) 2021-01-26 2021-01-26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85U KR20220001885U (ko) 2022-08-02
KR200496175Y1 true KR200496175Y1 (ko) 2022-11-18

Family

ID=8280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58U Active KR200496175Y1 (ko) 2021-01-26 2021-01-26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75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149U (ko)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박스용 손잡이
KR200401481Y1 (ko) 2005-08-18 2005-11-1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판지 포장박스의 상면 손잡이 장치
KR200440906Y1 (ko) 2007-10-22 2008-07-08 (주) 동남사 포장박스 손잡이 체결구조
KR101914360B1 (ko) 2017-02-08 2018-11-01 문주연 포장용 상자의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85U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689B1 (en) Collapsible container
US5429261A (en) Plastic foldable box
CA1242090A (en) Collapsible spoon
US20220169416A1 (en) Paper handle for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623305A1 (en)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KR102308256B1 (ko) 보강부를 갖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
JPS6226985B2 (ko)
KR102219470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200496175Y1 (ko) 포장상자용 분리형 손잡이 장치
KR102525938B1 (ko) 포장박스용 접이형 종이 손잡이
JPH06298246A (ja) 組立式コンテナ
US20070272699A1 (en) Fold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JP4156868B2 (ja) 上蓋
KR200493329Y1 (ko) 포크를 구비한 박스 지지체
JP5431032B2 (ja) 箱型容器
CN213677592U (zh) 一种加固型的可折叠式周转箱
KR102308998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JP4139627B2 (ja) パレットボックス
CN221252340U (zh) 一种防止受重塌陷的注塑盒盖及盒子
CN211108472U (zh) 档案保存专用折叠式纸箱
JP3031521U (ja) 折りたたみ自在な包装用緩衝材
JPH0523464Y2 (ko)
KR100969960B1 (ko) 케익박스
JP3045657U (ja) 食品包装用容器
JPH04278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1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8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211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