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50Y1 - A chair having a storage - Google Patents
A chair having a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4650Y1 KR200494650Y1 KR2020200002872U KR20200002872U KR200494650Y1 KR 200494650 Y1 KR200494650 Y1 KR 200494650Y1 KR 2020200002872 U KR2020200002872 U KR 2020200002872U KR 20200002872 U KR20200002872 U KR 20200002872U KR 200494650 Y1 KR200494650 Y1 KR 2004946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seat plate
- pin
- storage container
-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 A47C7/628—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accessible by displacement of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13)가 내부에 형성된 수납통(10); 및 이 수납통(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납통(10)의 상단부에는 제1힌지(14)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20)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21)에 수평힌지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21)가 구비되어, 상기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하고,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는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 개방시 좌판(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좌판(20)의 제2힌지(21)에는 좌판(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19)에 걸려지는 터치부(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10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ccommodation portion 13 formed therein; and a seat plate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to support the buttocks of a seated person. A backrest 40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seated on the 20 is further provided, a first hinge 1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10, and one side of the seat plate 20 has the storage A second hinge 21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21 of the barrel 10 by a horizontal hinge pin 30 is provided, so that the seat plate 20 is a receiving part ( 13), a stopper ( 19) is protruded, and the second hinge 21 of the sea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touch unit 25 that is caught by the stopper 19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20. A chair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이나 술집 등에서 겉옷이나 가방 등의 물건을 음식냄새가 베어들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equipped with a storage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equipped with a storage part that can store items such as outerwear or bags in a restaurant or bar so that the smell of food is not absorbed.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술집 등에서는 테이블과 의자를 비치하고 테이블에서 고기를 구워서 먹는 형태가 많다. 이때,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되는 고기냄새 등의 음식물 냄새가 겉옷에 베어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방 등의 물건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겉옷이나 가방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의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통과, 이 수납통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원반형 좌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좌판이 수납통과 분리된 형태이므로 좌판이 수납통의 상면에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좌판의 저면에 수납통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하향돌출부가 형성된다. In general, in restaurants and bars, there are many types of eating by providing tables and chairs and grilling meat on the table.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dor of food, such as the smell of meat, generated while roasting the meat, was absorbed into the outer gar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ems such as bags occupy a lot of sp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chai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apable of accommodating outerwear or bags has been proposed. Such a chair consists of a storage container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disc-shaped seat plate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allows a user to sit there. At this time, since the seat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a downwar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to fit into the upper opening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seat plat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그런데 종래 겉옷이나 가방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의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좌판을 수납통에서 분리시켜 들고 있고 다른 손으로는 겉옷을 수납통 내부에 수납 및 인출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납통에서 분리된 좌판의 하향돌출부가 수납통의 상면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정렬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의자의 좌판에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특히, 술을 파는 식당에서 취객이 뒤로 넘어질 수 있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hair that can store outerwear or bags, the user has to separate the seat plate from the storage box with one hand and store and withdraw the outer garment inside the storage box with the other hand,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 In addition, since the user has to align the downward protrusion of the seat plate separated from the storage box to fit into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storage box,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addition, since the seat plate of the chair is not provided with a backre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runken person may fall backward in a restaurant that sells alcohol, thereby reducing safety.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좌판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도 사용자의 겉옷이나 가방 등을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는 두 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좌판을 수동으로 정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엉덩이가 좌판에서 벗어나거나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store and withdraw the user's outerwear or bag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seat plate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both hands.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because it can be used, and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manually align the seat plate. It is to provide equipped chairs.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13)가 내부에 형성된 수납통(10); 및 이 수납통(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판(20);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납통(10)의 상단부에는 제1힌지(14)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20)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21)에 수평힌지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21)가 구비되어, 상기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하고,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는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 개방시 좌판(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좌판(20)의 제2힌지(21)에는 좌판(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19)에 걸려지는 터치부(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40)가 결합된 좌판(20)의 무게중심(G)이 수평힌지핀(30)을 지나는 수직선(V)을 중심으로 수납통(10)보다 외측에 위치되면 좌판(20)의 제2힌지(21)의 터치부(25)가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스토퍼(19)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는 수평힌지핀(30)이 삽입되는 핀홀(16)이 형성되되 이 핀홀(16)의 양단부에는 내경이 확장된 확장걸림부(17a,17b)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힌지핀(30)은 핀바디(31)와, 이 핀바디(31)의 일단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일측 확장걸림부(17a)에 걸려지는 핀헤드(32)와, 상기 핀바디(31)의 타단에서 길이방향 절개부(35)에 의해 분할되며 각 외주면에는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타측 확장걸림부(17b)에 걸려지는 걸림편(34)이 돌출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좌판(20)의 제2힌지(21)가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 수평힌지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하므로 사용자는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겉옷이나 핸드백, 백팩 등의 물건을 수납통(10)의 수납부(13)에 좀 더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수납통에서 완전히 분리된 좌판을 수납통의 상면에 정렬시켜 결합할 필요없이 자동정렬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때, 좌판(20)에 등받이(40)가 구비되어 착석자의 엉덩이가 좌판(20)에서 벗어나지 않아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되고, 특히 술집에서 사용될 경우 취객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 스토퍼(19)가 구비되고 수납통(10)의 수납부(13) 개방시 상기 스토퍼(19)에 걸리는 터치부(25)가 좌판(20)의 제2힌지(21)에 구비되어, 좌판(20)이 불필요하게 많이 회동되면서 등받이(40)가 결합된 좌판(20)의 무게에 의해 수납통(10)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물건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또한 등받이(40)가 결합된 좌판(20)의 무게중심(G)이 수평힌지핀(30)을 지나는 수직선(V)을 중심으로 수납통(10)보다 외측에 위치되면 상기 좌판(20)의 터치부(25)가 수납통(10)의 스토퍼(19)에 걸려지도록 하여, 좌판(20)이 임의적으로 회동되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폐쇄하도록 닫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수납통(10)의 수납부(13)에 손을 넣어 물건을 수납 및 인출시킬 때 좌판(20)이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
한편,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는 수평힌지핀(30)이 끼워지는 핀홀(16)이 형성되되 양단부에 내경이 확장된 걸림확장부(17a,17b)가 형성되고, 수평힌지핀(30)이 핀바디(31)의 양단부에 상기 제1힌지(14)의 걸림확장부(17a,17b)에 각각 걸려지는 핀헤드(32) 및 분할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평힌지핀(30)을 상기 제1힌지(14)의 핀홀(16)에 좀 더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좌판(20)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이때, 다양한 색상의 좌판(20)을 수납통(10)에 선택정으로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좌판(20)을 각각 수납통(10)에서 분리시켜 수납통(10)을 포갠 상태로 운반 및 배송할 수 있어 부피를 줄임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사용자는 좌판(20)을 수납통(10)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힌지부위를 보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hair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3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hinge portion of the embodiment;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는 수납통(10), 좌판(20) 및 등받이(40)를 포함한다. 1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chair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hai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수납통(10)은 저면판(11)과, 이 저면판(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된 측판(12)을 포함하여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13)가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좌판(20)을 지지한다. 수납통(10)은 저면판(11)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통일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저면판(11)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The
그리고 수납통(10)의 측판(12)의 상단부에는 제1힌지(14)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힌지(14)는 수납통(10)의 측판(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측판(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힌지블록(15)과, 이 제1힌지블록(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핀홀(16)과, 상기 제1힌지블록(15)의 외주면에서 핀홀(16)과 연통되도록 함몰된 힌지홈(18)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힌지블록()의 폭방향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힌지블록(15)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핀홀(16)의 내경보다 내경이 확장된 한 쌍의 확장걸림부(17a,17b)가 형성된다. And a
한편, 제1힌지블록(15)에는 상기 좌판(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가 제1힌지블록(15)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스토퍼(19)는 제1힌지블록(15) 자체가 핀홀(16)을 중심으로 편심돌출된 형태도 가능하나, 도 3과 같이 제1힌지블록(15)의 저면에서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를 예시하였다. On the other hand, on the
상기 좌판(20)은 수납통(10)의 상면에 놓여서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것으로, 일측에는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 수평힌지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21)가 구비되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한다. 도 2와 같이, 제2힌지(21)는 좌판(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좌판(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힌지블록(22)과, 이 제2힌지블록(22)에서 상기 제1힌지(14)의 힌지홈(18)에 삽입되며 선단에는 제1힌지(14)의 핀홀(16)과 연통되는 보조핀홀(24)이 형성된 힌지돌기(23)를 포함한다. 한편, 좌판(20)은 수지로 사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쿠션(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수평힌지핀(30)이 제1힌지(14)의 핀홀(16)과 제2힌지(21)의 보조핀홀(24)에 관통결합되어, 좌판(20)이 수평힌지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하게 된다. 이때, 제2힌지블록(22)에는 제1힌지(14)의 스토퍼(19)에 걸려지는 터치부(25)가 구비된다. 이 터치부(25)는 제1힌지(14)가 핀홀(16)을 중심으로 편심돌출된 스토퍼(19)와 대응되도록 제2힌지블록(22)의 선단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는 형태도 가능하지만, 도 3과 같이 제2힌지블록(22)의 선단에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터치부(25)의 일면이 제1힌지(14)의 제1힌지블록(15)의 라운드진 선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좌판(20)이 수평힌지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터치부(25)의 일면이 제1힌지블록(15)의 라운드진 선단부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좌판(20)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And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는 수평힌지핀(30)이 핀바디(31)와, 이 핀바디(31)의 일단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일측 확장걸림부(17a,17b)에 걸려지는 핀헤드(32)와, 상기 핀바디(31)의 타단에서 길이방향 절개부(35)에 의해 분할되며 각 외주면에는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타측 확장걸림부(17a,17b)에 걸려지는 걸림편(34)이 돌출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chai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등받이(40)는 좌판(2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받쳐준다. 도 1과 같이, 등받이(40)는 좌판(20)의 제2힌지(21)가 구비된 후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의자가 도시안된 테이블의 둘레에 놓여질 때, 좌판(20)이 회동되면서 테이블에 걸려지지 않으므로,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겉옷이나 핸드백, 백팩 등의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다. The
도 4와 같이, 등받이(40)가 결합된 좌판(20)이 수평힌지핀(3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무게중심(G)이 수평힌지핀(30)을 지나는 수직선(V)을 중심으로 수납통(10)보다 외측에 위치되면, 좌판(20)의 제2힌지(21)의 터치부(25)가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스토퍼(19)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40)가 결합된 좌판(20)의 무게중심(G)과 수평힌지핀(30)을 지나는 가상선(A)이 상기 수직선(V)과 이루는 각도(a)가 대략 10ㅀ이내가 되면 좌판(20)의 제2힌지(21)의 터치부(25)가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스토퍼(19)에 걸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판(20)이 수납통(10)의 후방으로 많이 제처지지 않아서 수납통(10) 후방의 벽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효과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좌판(20)이 불필요하게 많이 제처짐에 따라 후방에 위치한 사람이나 물건과 충돌되면서 사람이 상해를 입거나 물건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4,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수납통 13 : 수납부
14 : 제1힌지 19 : 스토퍼
20 : 좌판 21 : 제2힌지
25 : 터치부 30 : 수평힌지핀
40 : 등받이 10: storage box 13: storage unit
14: first hinge 19: stopper
20: seat plate 21: second hinge
25: touch unit 30: horizontal hinge pin
40: backrest
Claims (3)
상기 수납통(1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며, 일측에는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 수평힌지핀(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21)가 구비되어 수납통(10)의 수납부(13)를 회동개폐하는 좌판(20); 및
상기 좌판(20)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4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에는 좌판(20)이 수납통(10)의 수납부(13) 개방시 좌판(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와, 상기 수평힌지핀(30)이 삽입되는 핀홀(16)이 구비되되 상기 핀홀(16)의 양단부에는 내경이 확장된 확장걸림부(17a,17b)가 구비되고,
상기 좌판(20)의 제2힌지(21)에는 좌판(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19)에 걸려지는 터치부(25)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힌지핀(30)은 핀바디(31)와, 이 핀바디(31)의 일단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일측 확장걸림부(17a)에 걸려지는 핀헤드(32)와, 상기 핀바디(31)의 타단에서 길이방향 절개부(35)에 의해 분할되며 각 외주면에는 수납통(10)의 제1힌지(14)의 타측 확장걸림부(17b)에 걸려지는 걸림편(34)이 돌출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구비된 의자. The receiving part 13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receiving container 10 having a first hinge 14 at the upper end thereof;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to support the hip of the seated pers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14 of the storage container 10 by a horizontal hinge pin 30 on one side. a seat plate 20 provided with a second hinge 21 to pivotally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ng part 13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0; and
and a backrest (40) protruding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seat plate (20) to support the back of a seated person seated on the seat plate (20);
The first hinge 14 of the housing 10 includes a stopper 19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20 when the seat plate 20 opens the housing 13 of the housing 10, and the horizontal hinge A pinhole 16 into which the pin 30 is inserted is provided, and both ends of the pinhole 16 are provided with extension locking portions 17a and 17b having an enlarged inner diameter,
The second hinge 21 of the sea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touch unit 25 caught on the stopper 19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20,
The horizontal hinge pin 30 has a pin body 31, and the diameter is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pin body 31 to one side extension locking part 17a of the first hinge 14 of the storage container 10. It is divided by the pin head 32 to be hung, and a longitudinal cutout 35 at the other end of the pin body 31, and the other extension locking part of the first hinge 14 of the housing container 10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 17b) A chair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33) from which the locking piece (34) protru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2872U KR200494650Y1 (en) | 2020-08-05 | 2020-08-05 | A chair having a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2872U KR200494650Y1 (en) | 2020-08-05 | 2020-08-05 | A chair having a sto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4650Y1 true KR200494650Y1 (en) | 2021-11-22 |
Family
ID=7871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2872U Active KR200494650Y1 (en) | 2020-08-05 | 2020-08-05 | A chair having a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65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4186A (en) | 2023-06-08 | 2024-12-17 | 변창심 | Chair with storage space |
KR20250000025U (en) | 2023-06-28 | 2025-01-06 | 변창심 | Chair with storage contai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2025U (en) * | 2006-12-18 | 2008-06-23 | 이상현 | Storage chair |
KR20090091489A (en) * | 2008-02-25 | 2009-08-28 | 문재화 | Easy chair with storage space |
JP2018023633A (en) * | 2016-08-10 | 2018-02-15 | 株式会社イトーキ | Chair |
KR200488493Y1 (en) | 2016-07-01 | 2019-02-11 | 난징 순룬 홈 텍스타일 컴퍼니 리미티드 | Storage stool |
-
2020
- 2020-08-05 KR KR2020200002872U patent/KR200494650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2025U (en) * | 2006-12-18 | 2008-06-23 | 이상현 | Storage chair |
KR20090091489A (en) * | 2008-02-25 | 2009-08-28 | 문재화 | Easy chair with storage space |
KR200488493Y1 (en) | 2016-07-01 | 2019-02-11 | 난징 순룬 홈 텍스타일 컴퍼니 리미티드 | Storage stool |
JP2018023633A (en) * | 2016-08-10 | 2018-02-15 | 株式会社イトーキ | Chai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74186A (en) | 2023-06-08 | 2024-12-17 | 변창심 | Chair with storage space |
KR20250000025U (en) | 2023-06-28 | 2025-01-06 | 변창심 | Chair with storage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9106B2 (en) | Cooler with seat and anti-tip support | |
US4932571A (en) | Foldable garment display device | |
US4474407A (en) | Portable chair with insulated seat cooler | |
KR200494650Y1 (en) | A chair having a storage | |
US4577903A (en) | Wheelchair attached storage bag | |
US6877801B2 (en) | Adjustable child support structure with accessories | |
US5535683A (en) | Carrying case convertible into portable table | |
ES2245160B1 (en) | SELECTIVE GARBAGE CONTAINER. | |
US6264078B1 (en) | Combination sports bag and chair assembly | |
US5332286A (en) | Booster seat apparatus | |
US20190313799A1 (en) | Foldable director chair | |
KR200481283Y1 (en)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
KR100998026B1 (en) | Easy chair with storage space | |
KR102010662B1 (en) | Versatile chair with easy height adjustment | |
US1947940A (en) | Child's traveling case toilet and chamber therefor | |
US5961191A (en) | Picnic caddy | |
KR20190108708A (en) | Prefabricated table | |
JP7239313B2 (en) | How to use stroller bag and stroller bag | |
JP2013536039A (en) | Functional chair | |
KR200493525Y1 (en) | warm and cool-keeping bag for golf cart and bag set having this same | |
US6345861B1 (en) | Compact transportable folding chair | |
KR20250000025U (en) | Chair with storage container | |
KR100807215B1 (en) | carrier | |
CN209284416U (en) | Multifunctional storage box | |
WO2013073967A2 (en) | Cooler b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80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10824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11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U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23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2111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230213 Appeal identifier: 202310000080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U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42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211117 Request date: 2023042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3100001575 Request date: 20230213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identifier: 2023100001575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U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305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211117 Request date: 2023051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3100001809 Request date: 2023042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3100001809 Request date: 20230213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identifier: 2023100001809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57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517 Effective date: 2023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8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517 Effective date: 20231031 |
|
UJ1301 | Trial decision |
Appeal identifier: 202310000157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517 Appeal identifier: 202310000157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425 Appeal identifier: 2023100001575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213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2310000080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517 Appeal identifier: 202310000080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425 Appeal identifier: 202310000080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231031 Request date: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