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83Y1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Google Patents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283Y1 KR200481283Y1 KR2020160000477U KR20160000477U KR200481283Y1 KR 200481283 Y1 KR200481283 Y1 KR 200481283Y1 KR 2020160000477 U KR2020160000477 U KR 2020160000477U KR 20160000477 U KR20160000477 U KR 20160000477U KR 200481283 Y1 KR200481283 Y1 KR 2004812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 frame
- upper plate
- pair
-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1—Height adjustable table top with parallel link arm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실장의 상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거실장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는 구획판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홈과 수납홀을 구성하는 수납몸체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성하여 상기 수납몸체의 하부에 수납홀과 연통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되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은 폐쇄 구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진 수납장; 서로 대칭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납장의 구획판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수납장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이 상부에 수평결합되도록 고정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에 수평결합된 상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변경되도록 고정프레임과 조절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제1, 2링크바로 구성되어 링크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일측이 조절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부재에 결합되어 조절프레임의 위치변경폭 및 작동을 조절하는 쇼크 업소버로 이루어진 조절수단; 상기 수납장의 수납몸체 상면에 구성되어 안착되는 상판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한 쌍의 조절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바와, 링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바로 이루어져 조절수단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ing room lift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 top plate of a living room, comprising: a housing body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formed therein by a partition plate and a storage body constituting a storage hole; and a through hole A storage spac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to form a stor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hole, wherei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are closed, and a support leg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support portion; A pair of fixed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partition plate of the cabinet, and an upp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cabinet ar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xed frame so as to b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link frames constituting first and second link links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adjustment frame such that the upper plate horizontally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shock absorb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adjus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link member to adjust the displacement width and operation of the adjusting frame; A cushioning material absorbing impact of the upper plate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of the cabinet and is seated; A first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adjusting frames to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the adjusting means, the reinforcing bar consisting of a second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link members to each oth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실장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낮은 위치에 있는 거실장의 상판을 사용자에 맞는 높이 및 방향으로 위치변경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를 하면서 팔을 거치하거나 음식을 섭취하는데 있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위치변경이 상판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판에 놓여진 물품의 흐트러짐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판의 위치변경을 통해 수납장의 상측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홈을 이용한 물품의 용이한 수납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거실장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ing room lift, more specifically, a living room which is lower in position and can be relocated to a height and a direction suitable for the user, thereby enabling convenient use of the living room while read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can be changed whil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disturbance of the articles plac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storag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To a living room lift capable of facilitating easy storage, storage and use of articles using the storage grooves.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거실장을 포함하여 식탁, 협탁, 책상 및 회의용 테이블로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일정한 모양 및 넓이의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 table is used as a dining table, a desk, a desk and a conference table including a living room,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shape and a wide area.
따라서, 거실장과 같은 테이블은 사용자가 한정된 자세에서 한정된 사용만 할 수 있었는데, 만약, 그 외의 기능 수행이 필요할 경우에는, 그에 맞는 별도의 기구물을 구입 및 보유한 후, 테이블에 기구물을 올려놓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Therefore, a table such as a living room could only be used in a limited manner by a limited number of users. If other functions need to be performed,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nd hold a separate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table, I was forced to take the trouble.
그리고, 거실장과 같은 테이블은 일상 중 아주 흔하게 접하는 기구물중 하나임에 따라, 책이나 신문, 잡지 등과 같은 독서물 또는 각종 서류를 올려 놓고 독서를 허가나 토론 및 회의를 수행하는 경우가 아주 많을 뿐만 아니라, 차를 마시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reading tables such as books, newspapers, magazines, or other documents are placed on the table to allow reading, discussion, and meetings, as the table such as the living room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objects in everyday life. It is also used for drinking.
그러나, 전술한 거실장과 같은 테이블은, 독서하거나 차를 마시기엔 부적합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눈 높이와 전혀 맞지 않은므로, 장시간 이용할 경우 눈의 피로는 물론, 삐뚤어질 자세로 인한 척추 등의 건강까지 크게 해칠 수 있는바, 상당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table such as the above-mentioned living room is not suitable for reading or drinking tea, it is not fit to the height of the user's eyes. Therefore,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hurt the situation, and a great deal of attention is required.
한편, 시중에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통상의 독서대는 독서를 위한 기능만을 갖는 독서 전용 기구물임에 따라 독서 이외의 기타 다른 용도로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구매에 다른 비용부담 또한 만만치 않은 문제점이 있어, 이의 일환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704호와 같은 "다용도 테이블"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normal reading book which is generally sold on the market is a reading-only apparatus having only a function for rea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at all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reading, As a part of this, a "versatile table" such as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15704 has been devised.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다용도 테이블은 독서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독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판의 일부를 기울여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일부를 기울려 설치한다 하더라도, 높이의 보정까지는 이루지 못하여 사용자가 불편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문제점이 있었으며, 독서가 아닌 차를 마실 때에는, 사용이 자체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multi-purpose table is configured to be used for a book reading unit.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tilting a part of the top plate for use as a book reading 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maintain the uncomfortable posture constantl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 not use the tea when drinking the tea rather than the reading.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거실장의 상판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독서를 하거나 차를 마실 때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거실장 리프트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Thus,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a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of the living room so that the user has devised a living room lift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reading or drinking tea.
본 고안의 목적은 낮은 위치에 있는 거실장의 상판을 사용자에 맞는 높이 및 방향으로 위치변경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를 하면서 팔을 거치하거나 음식을 섭취하는데 있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거실장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ving room lift which can be used for mounting a living room or eating food while reading a book by changing the position of a top plate of a living room in a lower position to a height and a direction suitable for a user .
또한, 본 고안은 상판의 위치변경이 상판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판에 놓여진 물품의 흐트러짐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위치변경을 통해 수납장의 상측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홈을 이용한 물품의 용이한 수납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거실장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disturbing the article placed on the upper plat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plate, and it is also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cabine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use the article easily by using the storage groo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는 구획판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홈과 수납홀을 구성하는 수납몸체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성하여 상기 수납몸체의 하부에 수납홀과 연통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되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은 폐쇄 구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진 수납장; 서로 대칭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납장의 구획판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수납장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이 상부에 수평결합되도록 고정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에 수평결합된 상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변경되도록 고정프레임과 조절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제1, 2링크바로 구성되어 링크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일측이 조절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부재에 결합되어 조절프레임의 위치변경폭 및 작동을 조절하는 쇼크 업소버로 이루어진 조절수단; 상기 수납장의 수납몸체 상면에 구성되어 안착되는 상판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한 쌍의 조절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바와, 링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바로 이루어져 조절수단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거실장 리프트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housing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partitioning plate formed therein and a storage hole constituting the storage hole,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torage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rei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hole,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being closed, and a support leg supported by the support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 pair of fixed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partition plate of the cabinet, and an upp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cabinet ar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xed frame so as to b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link frames constituting first and second link links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adjustment frame such that the upper plate horizontally coupled to the adjustment frame is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shock absorb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adjus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link member to adjust the displacement width and operation of the adjusting frame; A cushioning material absorbing impact of the upper plate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of the cabinet and is seated; A first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adjustment frames to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the adjusting means, the reinforcing member consisting of a second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link members to each other.
본 고안의 거실장 리프트를 이용하면, 낮은 위치에 있는 거실장의 상판을 사용자에 맞는 높이 및 방향으로 위치변경 할 수 있으므로 독서를 하면서 팔을 거치하거나 차를 마시는데 있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With the elevator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of the lower elevator in the height and direction suitable for the user, so that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elevator while loading or drinking tea while reading.
또한, 본 고안은 상판의 위치변경이 상판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루어지므로 상판에 놓여진 물품의 흐트러짐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의 위치변경을 통해 수납장의 상측 개구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수납홈을 이용한 물품의 용이한 수납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disturbing the articles placed on the upper plate because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plate. Since the upper opening of the storag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use the article easily.
도 1은 본 고안의 거실장 리프트에 구성된 조절수단이 펼쳐지 상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절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거실장 리프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절수단의 작동을 통해 거실장 리프트의 상판이 위치변경되기 전, 후 상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changed by the adjustment means provided in the lifting column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column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d. Fig.
FIG. 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upper frame of the lifting frame lif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장의 상판의 높이 및 방향 즉,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거실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거실장 리프트(100)에 관한 것으로, 수납장(10)과,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첫째, 수납장(10)은 통상적인 거실장과 같이 사용자가 책을 읽거나 차를 마시는데 사용되는 테이블의 몸체로서,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장(10)의 상부에는 조절수단(20)의 조작을 통해 위치변경을 이룸으로써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11)이 설치된다.First, the
또한, 상기 수납장(10)의 내부에는 구획판(1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홈(13)을 구성함으로써 책이나 도구와 같은 물품을 수납홈(13)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그리고, 이와 같은 수납장(10)은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는 구획판(1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홈(13)과 수납홀(14)을 구성하는 수납몸체(15)를 구성한다.Such a
여기서, 상기 수납홈(13)은 구획판(12)에 의해 구획된 바닥부분이 메워진 형태의 것을 말하고, 수납홀(14)은 바닥부분이 뚫려 있는 것을 말하는데, 조절수단(20)은 접혀져 있을 시 수납홀(14)에 접철되어 보관된다.Here, the
아울러, 상기 수납몸체(15)의 하부에는 받침부(18)가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부(18)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6)을 구성하여 수납홀(14)과 연통되는 수납공간(17)을 형성하되,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7)의 양측은 폐쇄되어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8)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9)가 구성되어 수납장(10)의 지지가 이루어진다.A receiving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면, 수납장(10)의 수납홈(13)과, 수납홀(14) 및 수납공간(17)을 통해 물품의 보관 및 사용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tore and use articles through the
또한, 도 1 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장(10)에 구성된 수납몸체(15)의 상면에는 상판(11)이 안착되는 완충재(30)가 더 포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완충재(30)는 조절수단의 조작에 따라 위치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수납몸체(15)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11)과 충격을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파손의 예방와 더불어, 충격 소음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1 or 3 and 4,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둘째, 조절수단(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상판(11)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납장(10)의 구획판(12)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1)을 구성하며, 상기 수납장(1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11)이 상부에 수평결합되도록 고정프레임(2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프레임(23)을 구성한다.Second, the adjusting means 20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조절프레임(23)에 수평결합된 상판(11)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변경되도록 고정프레임(21)과 조절프레임(23)을 링크결합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27)가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프레임(23)과 링크부재(27) 사이에는, 일측이 조절프레임(23)에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부재(27)에 결합되는 쇼크 업소버(29)가 더 포함 구성되어 조절프레임(23)의 위치변경폭 및 작동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A pair of
여기서, 쇼크 업소버(29)는 링크부재(27)의 작동을 보조하여 조절프레임(23)에 결합된 상판(11)의 위치변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으로, 조절수단(20)이 접혀 상판(11)이 수납장(10)의 상측 개구를 폐쇄할 때와, 상기 조절수단(20)이 완전히 펴질때에 작동정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판(11)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hock absorber 29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링크부재(27)는 조절프레임(23)의 수평배치를 유지시킨 상태로 조절프레임(23)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한 쌍의 링크부재(27)가 제1, 2링크바(25, 26)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조절프레임(23)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따라서, 제1, 2링크바(25, 26)로 이루어진 링크부재(27)에 의하면, 상기 링크부재(27)의 링크작동에도 조절프레임(23)의 수평배치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조절프레임(23)에 결합된 상판(11)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상판(11)에 책 또는 찻잔과 같은 물품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도 상판(11)의 위치변경을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아울러, 상기 조절수단(20)에는 상판(11)의 위치변경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위치 변경되어 수납몸체(15)에서 이격배치된 상판(11)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부재(40)가 더 포함 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보강부재(40)의 구성은 한 쌍의 조절프레임(23)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바(41)와, 링크부재(27)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바(42)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means 20 can prevent shaking caused when the position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쇼파(미도시)에 앉은 상태로 상판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동작으로 조절수단(20)에 구성된 쇼크 업소버(29)를 작동시킨다.First, the shock absorber 29 constituting the
그러면, 상기 소크 업소버(29)의 작동에 따라, 링크부재(27)가 회동조절되어 조절프레임(23)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때, 상기 링크부재(27)는, 제1, 2링크바(25, 2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링크부재(20)의 회동에도 조절프레임(23)의 수평유지가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변동이 이루어진다.Then, the
따라서, 상기 조절프레임(23)에 고정결합된 상판(11)이 링크부재(27)의 회동에 따라 수평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용자가 앉은 쇼파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가슴 부근으로 위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판(11)의 위치변동은 소크 업소버(29)의 부드러운 작동과 보강부재(40)의 견고한 지지를 통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판(11)에 책이나 찻잔과 같은 물품이 놓여 있다 하더라도 상판(11)의 위치변동을 쉽게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물품을 치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판(11)의 위치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조절된 상판(11)을 이용하여 책을 편리하게 읽거나 차를 편안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상판(11)의 위치가 변동되어 수납장(10)의 상측이 개구되면, 개구를 통해 수납장(10)의 수납홈(13)과 수납홀(14)이 모두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수납홈(13)과 수납홀(14)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을 쉽게 꺼낼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으며, 수납장(10)의 전, 후방 관통홀(16)을 통해 수납공간(17)에 보관된 물품도 수납홀(14)을 통해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판(11)을 사용자에 근접시켜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판(11)을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세게 누르는 동작만으로 본 고안의 거실장 리프트(10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통상의 거실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그리고 이때에는, 상판(11)에 의해 수납장(10)의 상측 개구가 폐쇄되어 지므로 수납홈(13)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어 물품의 보관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수납몸체(15)의 상부에 구성된 완충재(30)에 의해 상판(11)이 부딪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파손 예방 및 소음 저감을 이룰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opening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실장 리프트(100)를 사용하면, 낮은 위치에 있는 거실장의 상판(11)을 사용자에 맞는 높이 및 방향으로 위치변경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를 하면서 팔을 거치하거나 음식을 섭취하는데 있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11)의 위치변경시 물품의 흐트러짐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판(11)의 위치변경을 통해 수납장(1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할 수 있어 물품의 용이한 수납보관 및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10 : 수납장 11 : 상판 12 : 구획판 13 : 수납홈 14 : 수납홀 15 : 수납몸체 16 : 관통홀 17 : 수납공간 18 : 받침부 19 : 지지다리
20 : 조절수단 21 : 고정프레임 23 : 조절프레임 25, 26 : 제1, 2링크바 27 : 링크부재 29 : 쇼크 업소버
30 : 완충재 40 : 보강부재 41, 42 : 제1, 2보강바
100 : 거실장 리프트[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box,
20: adjusting means 21: fixed frame 23: regulating
30: cushioning material 40: reinforcing
100: Lifting lift
Claims (5)
서로 대칭되도록 양측으로 이격되어 수납장(10)의 구획판(12)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1)과, 상기 수납장(1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상판(11)이 상부에 수평결합되도록 고정프레임(2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프레임(23)과, 상기 조절프레임(23)에 수평결합된 상판(11)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변경되도록 고정프레임(21)과 조절프레임(23)을 각각 연결하는 제1, 2링크바(25, 26)로 구성되어 링크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27)와, 일측이 조절프레임(23)에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부재(27)에 결합되어 조절프레임(23)의 위치변경폭 및 작동을 조절하는 쇼크 업소버(29)로 이루어진 조절수단(20);
상기 수납장(10)의 수납몸체(15) 상면에 구성되어 안착되는 상판(11)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30);
한 쌍의 조절프레임(23)을 서로 연결하는 제1보강바(41)와, 링크부재(27)를 서로 연결하는 제2보강바(42)로 이루어져 조절수단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거실장 리프트.A storage body 15 constituting the storage hole 13 and the storage hole 14 formed by the partition plate 12 and a through hole 16 penetr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e formed inside the upper side, A storage space 17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hole 14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15 and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17 ar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18 which is closed, (10) comprising a support leg (19) supported on the ground;
A pair of fixed frames 21 fixed to the partition plate 12 of the cabinet 10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top plate 11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cabinet 10, A pair of adjustment frames 23 disposed parallel to the fixed frame 21 so as to be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21, A pair of link members 27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ink bars 25 and 26 for linking the fixed frame 21 and the adjustment frame 23 so as to be changed and a link member 27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adjustment frame 23 And a shock absorber (29) coupled to the link member (27) and adapted to adjust the displacement width and operation of the adjustment frame (23);
A cushioning material (30) absorbing the impact of the upper plate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5) of the storage space (10);
A reinforcing member 40 consisting of a first reinforcing bar 41 connecting the pair of adjustment frames 23 to each othe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42 connecting the linking members 27 to reinforce the adjust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composed of a living room li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0477U KR200481283Y1 (en) | 2016-01-27 | 2016-01-27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0477U KR200481283Y1 (en) | 2016-01-27 | 2016-01-27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283Y1 true KR200481283Y1 (en) | 2016-09-07 |
Family
ID=569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0477U Active KR200481283Y1 (en) | 2016-01-27 | 2016-01-27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283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81537A (en) * | 2017-12-22 | 2018-05-04 | 广西玉林市风益餐饮管理有限公司 | A kind of hotel's tea table easy to remove |
KR200488508Y1 (en) * | 2017-09-29 | 2019-02-13 | 주식회사 스튜디오이엘 | Table having maze-structure for pet |
CN114081281A (en) * | 2021-11-29 | 2022-02-25 | 江西庭艺户外家具有限公司 | Liftable hidden tea table |
KR20220002059U (en) * | 2021-02-16 | 2022-08-23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Cat table with a cat maze |
KR102515148B1 (en) * | 2021-09-28 | 2023-03-29 | 김학겸 | Housing for window-mounted air conditioning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3120A (en) * | 1990-11-13 | 1998-10-20 | Jeltec Ergonomiteknik Ab | Vertically adjustable desktop, preferably a school desk |
KR200339136Y1 (en) * | 2003-10-30 | 2004-01-16 | 주식회사 리바트 | Table having upper plate which can be maintained at each other different height |
KR200415704Y1 (en) | 2006-02-24 | 2006-05-04 | 김성태 | Versatile table |
JP2011000222A (en) * | 2009-06-17 | 2011-01-06 | Plus Corp | Desk with liftable top plate |
-
2016
- 2016-01-27 KR KR2020160000477U patent/KR200481283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3120A (en) * | 1990-11-13 | 1998-10-20 | Jeltec Ergonomiteknik Ab | Vertically adjustable desktop, preferably a school desk |
KR200339136Y1 (en) * | 2003-10-30 | 2004-01-16 | 주식회사 리바트 | Table having upper plate which can be maintained at each other different height |
KR200415704Y1 (en) | 2006-02-24 | 2006-05-04 | 김성태 | Versatile table |
JP2011000222A (en) * | 2009-06-17 | 2011-01-06 | Plus Corp | Desk with liftable top plat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508Y1 (en) * | 2017-09-29 | 2019-02-13 | 주식회사 스튜디오이엘 | Table having maze-structure for pet |
CN107981537A (en) * | 2017-12-22 | 2018-05-04 | 广西玉林市风益餐饮管理有限公司 | A kind of hotel's tea table easy to remove |
KR20220002059U (en) * | 2021-02-16 | 2022-08-23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Cat table with a cat maze |
KR200497035Y1 (en) | 2021-02-16 | 2023-07-06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Cat table with a cat maze |
KR102515148B1 (en) * | 2021-09-28 | 2023-03-29 | 김학겸 | Housing for window-mounted air conditioning system |
CN114081281A (en) * | 2021-11-29 | 2022-02-25 | 江西庭艺户外家具有限公司 | Liftable hidden tea t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1283Y1 (en) | The lift for living room dresser | |
US20180263374A1 (en) |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 |
US8443736B2 (en) | Furniture-supported retractable platform assembly | |
US5535683A (en) | Carrying case convertible into portable table | |
US6193308B1 (en) | Collapsible chair having a table | |
JPS6116711A (en) | Sofer-bed assembly | |
US20090101048A1 (en) | Table, in Particular School Desk | |
US5727476A (en) | Convertible ottoman-table | |
KR200494650Y1 (en) | A chair having a storage | |
KR20190108708A (en) | Prefabricated table | |
KR101274910B1 (en) | A Multi-purpose furniture with function of sofa and bed | |
KR20150003918U (en) | Multifunctional bed | |
KR102062084B1 (en) | Trays with cup holder modules | |
CN211092567U (en) | Multifunctional hidden storage cabinet | |
US2131122A (en) | Convertible furniture device | |
US20070284973A1 (en) | Mobile modular furniture framework | |
CN107048830A (en) | Multifunctional desk bed and multifunctional chair sub-bed | |
AU2017371710B2 (en) | A table assembly | |
US1593176A (en) | Convertible furniture | |
KR20140040573A (en) | Compartment possess the desk | |
JP7505300B2 (en) | bag | |
US20060180053A1 (en) | Decorative TV tray with beverage holder | |
JP3212826U (en) | desk | |
KR20110000249U (en) | Multipurpose bookshelf with bed mattress | |
KR102062083B1 (en) | Trays with cup hold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1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9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606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9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