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2025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25Y1
KR200492025Y1 KR2020180005073U KR20180005073U KR200492025Y1 KR 200492025 Y1 KR200492025 Y1 KR 200492025Y1 KR 2020180005073 U KR2020180005073 U KR 2020180005073U KR 20180005073 U KR20180005073 U KR 20180005073U KR 200492025 Y1 KR200492025 Y1 KR 20049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handle
foreign material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973U (ko
Inventor
이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5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2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25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 고정되는 도포도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접혔다 펼쳐지도록 칼선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포부재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
화장이라 함은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서,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분(粉), 파운데이션, 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 투명감 등을 연출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을 비롯하여, 립글로스,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인조속눈썹, 눈썹먹, 아이라인, 립스틱 등으로 눈, 눈썹, 입술 등을 돋보이게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고체상태 또는 액체상태로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이들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의 타입에 따라 사용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술용 화장품이 고체상태일 때에는 바(bar) 형태의 립스틱을 화장품 용기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입술용 화장품이 액체상태일 때에는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액체상태의 립글로스를 도포부재로 소량씩 찍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액체상태 립글로스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와 도포도구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포도구는, 용기뚜껑에 연결되는 스틱과, 스틱의 단부에 구비되는 도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분리하여 도포도구를 용기본체로부터 끄집어 내고,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품을 피부에 발라 화장을 하게 된다.
그런데, 도포부재 사용시 이물질이 묻을 수 있고, 이물질이 묻은 상태의 도포부재가 화장품에 혼입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혼입된 이물질이 화장품 내용물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일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재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포부재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 고정되는 도포도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접혔다 펼쳐지도록 칼선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고정되는 상단 링; 수직으로 세워진 손잡이 하단과 연결되는 하단 링; 및 상기 상단 링과 상기 하단 링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칼선이 형성된 발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도포도구의 도포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하단 링이 하강하여 상기 발포부재가 확장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하단 링이 상승하여 상기 발포부재가 수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발포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링 위로 돌출되고, 상기 용기뚜겅은 내부에 돌출된 상기 손잡이의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 링은 상기 상단 링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도구는 상기 용기뚜껑에 연결되는 스틱과, 상기 스틱의 단부에 구비된 도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이물질 제거부를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구비함으로써, 도포부재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는 탈착 가능하여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하여 도포부재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용기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용기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용기뚜껑(20), 도포도구(30) 및 이물질 제거부(4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내부에 화장품(COS)을 수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용기뚜껑(20)에 의해 상부가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화장품(COS)은 액체상태로서, 립글로스,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인조속눈썹, 눈썹먹, 아이라인 등으로 눈, 눈썹, 입술 등을 돋보이게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상부로 연장되어 배출구를 이루는 입구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부(11)는 후술할 용기뚜껑(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리세스되며, 입구부(11)의 내부에는 후술할 와이퍼(15)와 이물질 제거부(4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용기뚜껑(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단단한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10)는, 그 형태나 구조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도포도구(30)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COS)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나 구조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15)는 용기본체(10)의 배출구인 입구부(11) 내부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후술할 도포도구(30)가 용기본체(10)에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와이퍼(15)는 용기본체(10)와 후술할 이물질 제거부(40) 사이로 화장품(COS)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도포도구(30)에 묻어 나오는 화장품(COS)의 양이 적절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와이퍼(15)의 상부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퍼(15)가 용기본체(10)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와이퍼(15)가 용기본체(10)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퍼(15)의 하부는 도포도구(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인출시킬 때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액체상태의 화장품(COS)이 후술할 스틱(31)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후술할 도포부재(32)에 화장품(COS)이 적정량 묻어 나오게 조절할 수 있도록, 와이퍼(15)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뚜껑(20)은 용기본체(1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용기본체(10)의 상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도포도구(30)가 내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용기뚜껑(20)과 도포도구(3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용기뚜껑(20)의 하단 내주면에는 용기본체(1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산(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포도구(30)는 용기뚜껑(20)의 내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COS)을 묻혀 인출한 후 화장할 수 있도록, 용기뚜껑(10)에 연결되는 스틱(31)과, 상기 스틱(31)의 단부에 구비된 도포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포도구(30)는 용기뚜껑(20)의 내뚜껑과 일체형으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포도구(30)는 용기뚜껑(2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스틱(31)은 상단이 용기뚜껑(20)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어 용기본체(10)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되고, 하단에 도포부재(32)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포부재(32)는 스틱(31)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브러쉬 타입(brush type), 플록킹 팁 타입(flocking tip type) 등 액체상태의 화장품(COS)을 묻혀 화장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재(32)는 후술할 이물질 제거부(40)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인입 또는 인출시 이물질 제거부(40)에 접촉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물질 제거부(40)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40)는 칼선(KL)이 형성되어 접혔다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제거부(40)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에 고정되는 상단 링(41), 수직으로 세워진 손잡이(45) 하단과 연결되는 하단 링(42), 상단 링(41)과 하단 링(42) 사이에 구비되며 칼선(KL)이 형성된 발포부재(43)를 포함한다.
상단 링(41)과 하단 링(42) 사이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의 발포부재(43)가 부착될 수 있다. 발포부재(43)는 도포도구(30)의 도포부재(32)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스폰지와 같이 부드럽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포도구(30)를 용기본체(10)에 넣는 과정에서, 도포부재(32)가 발포부재(43)와 접촉되면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5)를 이용해 발포부재(43)의 접혔다 펼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손잡이(45)는 하단 링(42)과 연결되되,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단 링(41) 측으로 연장된다. 손잡이(45)는 와이퍼(15)의 내주면과 상단 링(41)의 둘레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5)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45)를 누르면 하단 링(42)이 하강하여 발포부재(43)가 확장되고, 반대로 손잡이(45)를 잡아당기면 하단 링(42)이 상승하여 발포부재(43)가 수축된다. 발포부재(43)가 확장되면, 도포부재(32)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이물질 제거 기능이 활성화된다.
또한, 하단 링(42)은 상단 링(41)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발포부재(43)는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단 링(42)의 내경은 도포부재(32)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잇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40)는 와이퍼(15)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상단 링(41)은 와이퍼(15) 상부에 고정되며, 하단 링(42)은 손잡이(45) 누름 동작에 의해 용기본체(10) 내측을 향해 하강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45) 또는 하단 링(42)의 외주면에는 하강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와이퍼(11)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돌기/홈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발포부재(43)는 칼선(KL)으로 인해 펼쳐진 상태에서 다수의 개구가 노출되며, 접혔다 펼치는 형상 변형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칼선(KL)의 형태는 예시적이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손잡이(45)는 발포부재(43)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단 링(41) 위로 돌출되기 때문에, 용기뚜겅(20)은 내부에 돌출된 손잡이(45)의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45)의 상단에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 또는 와이퍼(15)에 걸리는 걸림턱(47)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47)은 손잡이(45)의 상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45)를 누르는 과정에서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45)를 잡아당기기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이물질 제거부(40)를 용기본체(10)의 입구부(11)에 구비함으로써, 도포부재(32)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40)는 탈착 가능하여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하여 도포부재(32)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1: 입구부 15: 와이퍼
20: 용기뚜껑 30: 도포도구
31: 스틱 32: 도포부재
40: 이물질 제거부 41: 상단 링
42: 하단 링 43: 발포부재
45: 손잡이 47: 걸림턱
KL: 칼선 COS: 화장품

Claims (9)

  1.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 고정되는 도포도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접혔다 펼쳐지도록 칼선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상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상부를 이루는 상단 링;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손잡이 하단과 연결되는 하단 링; 및
    상기 상단 링과 상기 하단 링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칼선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를 이루는 발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는 상기 도포도구의 도포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하단 링이 하강하여 상기 발포부재가 확장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하단 링이 상승하여 상기 발포부재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발포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링 위로 돌출되며,
    상기 용기뚜껑은 내부에 돌출된 상기 손잡이의 수용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링은 상기 상단 링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 사이에 구비되는 와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도구는 상기 용기뚜껑에 연결되는 스틱과, 상기 스틱의 단부에 구비된 도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80005073U 2018-11-07 2018-11-07 화장품 용기 Active KR200492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73U KR200492025Y1 (ko) 2018-11-07 2018-11-07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73U KR200492025Y1 (ko) 2018-11-07 2018-11-0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73U KR20200000973U (ko) 2020-05-15
KR200492025Y1 true KR200492025Y1 (ko) 2020-08-26

Family

ID=7061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073U Active KR200492025Y1 (ko) 2018-11-07 2018-11-0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2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04Y1 (ko) * 2005-07-25 2005-10-05 변재삼 2단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100649052B1 (ko) 2004-04-09 2006-11-27 로레알 물질을 포장하고 적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4296B1 (fr) * 2015-04-01 2018-09-28 Parfums Christian Dior Dispositif d'essorage pour un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ou pateux
KR20180042821A (ko) * 2017-12-21 2018-04-26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팔레트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052B1 (ko) 2004-04-09 2006-11-27 로레알 물질을 포장하고 적용하는 장치
KR200397604Y1 (ko) * 2005-07-25 2005-10-05 변재삼 2단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73U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CN106333471B (zh) 具有弹性狭缝部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US12310484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separately formed surfaces
US20060207627A1 (en) Dispenser with applicator
KR102313212B1 (ko) 화장품 용기
KR101744387B1 (ko) 화장용 도구
KR101862858B1 (ko) 핑거 마스카라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180101096A (ko)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H11155629A (ja) 液状化粧料容器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KR102351643B1 (ko) 마스카라
JP5518451B2 (ja) 化粧料用容器の中蓋
KR20140003580U (ko) 몸체에 블레이드가 형성된 화장도구
EP3547870B1 (en) Kit for producing an assembly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10237385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3326Y1 (ko) 받침가드를 가지는 마스카라 어셈블리
JPS6335705Y2 (ko)
CN212117402U (zh) 挤压式多功能气垫包装容器
KR200498502Y1 (ko)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22152432A (ja) 製品を貯蔵および塗布するための装置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CN207383798U (zh) 睫毛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1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7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