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0604Y1 - Floor box - Google Patents

Floor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04Y1
KR200490604Y1 KR2020180000062U KR20180000062U KR200490604Y1 KR 200490604 Y1 KR200490604 Y1 KR 200490604Y1 KR 2020180000062 U KR2020180000062 U KR 2020180000062U KR 20180000062 U KR20180000062 U KR 20180000062U KR 200490604 Y1 KR200490604 Y1 KR 200490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lease block
handle
release
installat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793U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180000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04Y1/en
Publication of KR20190001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9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04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로어 박스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건물 바닥에 설치시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내측 부위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버하우징본체와, 상기 연통홀상에 설치되고, 일부 영역에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된 설치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와, 상기 설치부의 설치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양측단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과, 상기 메인커버의 설치플레이트 하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와 상기 메인커버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블록이 마련된 해제유닛 및 상기 해제블록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 이동된 상기 해제블록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box cover assembly and a floor box using the same, which are simple in structure,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nd which can be neatly finished when installed on a building floo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cov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main body including a cover housing body including a locking jaw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the installation portion is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hole, the installation plate is provided in some areas; A handle which is rotatably disposed on an installation plate of the installation unit, a handle bracket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in a hinged state with both ends of the handl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of the main cover to be movable; A release unit provided with a release block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ver housing body and the main cover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and arranged to contact the release block to return the release block moved by the handle to an initial position. Floor box fo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Server and provides the assembly floor box using the same.

Description

플로어 박스{FLOOR BOX}Floor box {FLOOR BOX}

본 고안은 플로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건물 바닥에 설치시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box for a floor box and a floor box using the same, which are simple in structure,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and which can be neatly finished when installed on a building floor.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는 외관의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플로어(Floor)를 깔고, 그 위에 바닥재인 아스타일이나 카펫 등을 깔아 실내의 바닥으로 사용한다.In general, a floor of a certain height is laid on an indoor concrete floor such as a high-rise building or an officetel, and an attic or carpet, which is a flooring material, is used as an indoor floor.

이러한 실내의 바닥에 사무기기, 전화기 및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해 사용처 근처에서 각종 전선을 인출하여 전자기기와 접속 연결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 상태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and inst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office equipment, telephones, and computers on the floor of the room, by drawing various wires near the place of use and connecting them with the electronic devices, the wiring state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floor, and various wires are connected. I can tidy it up.

따라서, 실내의 바닥에는 플로어 박스를 매설한 다음, 플로어 박스에 구비된 각종 접속단자에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및 기타 전선 등과 같은 인입선을 접속 연결하여 외부와 플로어 박스 사이의 각종 전선을 정리 정돈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전자기기에서 인출되는 입력단자와 플로어 박스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접속 연결하여 실내의 전자기기와 플로어 박스 사이의 각종 전선을 정리 정돈할 수 있다.Therefore, a floor box is buried on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n various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floor box are connected to various wires such as power lines, telephone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other wires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to connect various types of spa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floor box. I can arrange the electric wires. In addition,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drawn from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floor box, it is possible to arrange various wires between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and the floor box.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어 박스는 커버의 개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loor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s inconvenient.

즉, 플로어 박스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인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이용하여 플로어 박스와 체결된 체결부재를 푼 다음, 커버를 분리시키는 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에서 주변에 도구가 없을 경우, 신속하게 플로어 박스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order to separate the cover from the floor box, a structure that separates the cover after un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loor box by using a screwdriver or a coin, which is a separate tool, is mainly appli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remove the cover from the floor box when there is no tool around in an emergency situ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1891호(2001.04.16. 등록공고, 고안의 명칭 : 플러어 설치용 소켓 박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1891 (2001.04.16. Registered notification, designation name: socket installation box for plug install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편리하면서도 건물 바닥에 설치시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design is a simple structure,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while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that can be neat finish when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and floor boxes using the same It is intended to provid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는 내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내측 부위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버하우징본체와, 상기 연통홀상에 설치되고, 일부 영역에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된 설치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와, 상기 설치부의 설치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양측단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과, 상기 메인커버의 설치플레이트 하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와 상기 메인커버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블록이 마련된 해제유닛 및 상기 해제블록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 이동된 상기 해제블록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box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on the inside, the cover housing including a locking jaw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A main cover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hole, the main cover including an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late in a partial region, a handle rotatably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plat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hinged to both side ends of the handle; A release unit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and a release block movab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of the main cover and provided with a release block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housing body and the main cover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And the release block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lease block, the release block moved by the handle to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position.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과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회전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홈부와,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의 일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핸들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the main body fram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and protrudes for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main body frame to the main body frame And a pair of rotating frames rotated together with the receiving grooves formed inside the pair of rotating frames to accommodate the handle brackets, and formed at one end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respectively, to engage the handle brackets. The hinge hole is formed, and may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release block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해제블록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해제블록본체와, 상기 해제블록본체의 양측 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본체를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돌기와, 상기 해제블록본체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하우징에 상기 메인커버가 결합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로부터 상기 메인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해제블록본체에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수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block, the release block body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and protrudes upward from both front end portions of the release block body. Is formed and a moving projection for moving the release block body to the elastic member sid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front end of the release block body, when the main cover is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the locking It is disposed so as to be caught on the jaw to prevent the main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body and formed at the rear end on the release block body at least on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an do.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돌기가 회전되기 전에 상기 이동돌기가 접촉되는 제1 접촉영역과, 상기 가압돌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돌기가 접촉되는 제2 접촉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의 폭은 상기 힌지홀로부터 상기 제1 접촉영역까지의 폭 보다 상기 힌지홀로부터 상기 제2 접촉영역까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rojection, the first contact region to which the moving projection is contacted before the pressing projection is rotated, the movement as the pressing projection is rotated And a second contact region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herein the width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inge hole to the first contact region, and the width of the pressing protrus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hinge hole. do.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loc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portion. The exposure hole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양측 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of the mounting plate is cut, the movement of the moving projection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s 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groove for forming a spac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본체는, 상기 커버하우징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안착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housing body further includes a mounting end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body to seat the main cover;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en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본체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안착단부 영역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하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housing body is formed concave in the seating end region portion where the locking jaw is form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pressing projection is seated and supported The groove may further includ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는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앞서 기재된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or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x body in which connection terminals for power and communication wiring are disposed, and a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which is installed above the box body.

본 고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는 간단한 구조의 해제유닛에 의해 커버하우징으로부터 메인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커버하우징으로부터 메인커버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loor box cover assembly and floor box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cover from the cover housing by a simple structure of the release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main cover from the cover housing without a conventional tool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고안은 커버어셈블리를 메인커버와 상면이 평평한 표면커버를 포함하는 이중커버로 구성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 플로어 박스의 상면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cleanly close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box exposed to the indoor space by configuring the cover assembly with a double cover including a main cover and a flat surface cov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에서 메인커버 및 표면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하우징본체에 핸들, 핸들브라켓 및 해제유닛이 설치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브라켓에 핸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및 해제블록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설치된 해체유닛에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ver box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cover and a surface cover are separated in a structure of a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the handle bracket and the release unit is installed in the cover hous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rear surface of FIG. 4 and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on a locking jaw.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hand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the rele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mantling unit is installed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which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may be specifically realized.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에서 메인커버 및 표면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loor box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cover and a surfac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of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하우징본체에 핸들, 핸들브라켓 및 해제유닛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Nex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the handle bracket and the release uni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cover hous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surface of Figure 4, the obstacle Figure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caught in the jaw.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는 커버하우징본체(100)와, 메인커버(200)와, 핸들(300)과, 핸들브라켓(400)과, 해제유닛(500) 및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1 to 5, a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ousing body 100, a main cover 200, a handle 300, a handle bracket 400, , A release unit 500 and an elastic member 600.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는 환형 구조로 형성되어 플로어 박스의 박스본체(미도시)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외부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통홀(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는 안착단부(110)와 걸림턱(120) 및 지지홈부(130)를 포함한다.The cover housing body 100 is formed in an annula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box body (not shown) of the floor box, the communication hole 101 is formed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inner space of the box body. The cover housing body 100 includes a seating end 110, a locking jaw 120 and the support groove 130.

상기 안착단부(110)는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메인커버(200)가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ating end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body 100 so that the main cov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안착단부(110)의 하면으로부터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해제블록(510)의 걸림돌기(513)가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end 110 toward the groun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s 513 of the release block 51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caught.

즉,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상기 메인커버(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로부터 상기 메인커버(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latching jaw 120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cover 200 is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body 100, optionally prevent the main cover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body 100. do.

상기 지지홈부(130)는 상기 걸림턱(120)이 형성된 상기 안착단부(110)의 상면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핸들(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4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130 may b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ating end 110 in which the locking step 120 is formed, and the pressing protrusion 340 formed on the handle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and support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커버(200)는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의 연통홀(101)상의 안착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ain co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ver housing body 100 may be installed on the seating end on the communication hole 101 of the cover housing body 100.

즉, 상기 메인커버(200)는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의 연통홀(101)을 마감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연통홀(101)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main cover 200 serves to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101 of the cover housing body 100 and open the communication hole 101 as necessary.

한편, 상기 메인커버(200)의 일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핸들(300)과 핸들브라켓(40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플레이트(211)가 마련된 설치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of the main cover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ortion 210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late 211 for installing the handle 300 and the handle brac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부(210)가 대략 ‘ㄷ’자 구조로 형성된 것이 제시된다. 물론, 상기 설치부(21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핸들(300) 및 핸들브라켓(400)의 구조를 감안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부(210)가 대략 ‘ㄷ’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unit 210 is provided to have a substantially '' shape. Of course, the installation unit 21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andle 300 and the handle brac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unit 210 is approximately ' It is good to form a 'c' structure.

즉, 상기 설치부(210)의 설치플레이트(211)의 상면에 상기 핸들(300)과 핸들브라켓(400)가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handle 300 and the handle bracket 4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of the installation unit 210 in a seated state.

한편, 상기 설치부(210)는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양측 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 이동홈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groove 220 formed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is cut.

즉, 상기 이동홈부(220)는 후술하는 핸들(300)에 형성된 가압돌기(34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해제블록(510)의 이동돌기(51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공간인 것이다. That is, the moving groove 220 is a moving space for allowing the moving protrusion 512 of the release block 510 to be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0 formed on the handle 300 to be described later. .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브라켓에 핸들이 결합된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및 해제블록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도 7의 (a)는 핸들이 작동되기 전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핸들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coupled to the hand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the releas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 of Figure 7 shows the state before the handle is operated, Figure 7 (b) shows the operated state of the handl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및 핸들브라켓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6 and 7,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300)은 상기 설치부(도 2의 210)와 대응되도록 대략 ‘ㄷ’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부(210)의 설치플레이트(21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handl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installation portion (210 of FIG. 2),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of the installation portion 210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즉, 상기 핸들(300)은 후술하는 해제유닛(5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해제유닛(500)의 해제블록(510)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핸들(300)은 본체프레임(310)과, 한쌍의 회전프레임(320)과, 수용홈부(330) 및 가압돌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handle 300 serves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eleas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he release block 510 of the release unit 500 to the rear side. The handle 300 may include a main body frame 310, a pair of rotating frames 320, a receiving groove 330 and the pressing projection 340.

상기 본체프레임(310)은 상기 설치부(210)의 폭 길이보다 작은 폭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frame 31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stallation portion 210 and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320)은 상기 본체프레임(310)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3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pair of rotating frames 320 may protrude for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main body frame 310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frame 310.

상기 수용홈부(330)는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320)의 내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핸들브라켓(400)이 수용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330 may be formed inside the pair of rotating frames 320 to accommodate the handle brac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압돌기(340)는 한쌍의 회전프레임(320)의 일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핸들브라켓(400)과의 힌지(410) 결합을 위한 힌지홀(4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20)의 회전에 의해 후술하는 해제블록(510)의 이동돌기(512)를 가압하여 상기 해제블록(510)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The pressing protrusion 340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 320, a hinge hole 411 for coupling the hinge 410 with the handle bracket 400 is formed, the rotating frame ( By rotating the 320, the moving projection 512 of the release block 510 to be described later is pressed to move the release block 510 to the rear side.

이때, 상기 핸들브라켓(400)의 양측에는 상기 핸들(30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410)가 상기 힌지홀(411)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2 힌지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second hinge holes 41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andle bracket 400 such that the hinge 410 is penetrated through the hinge hole 411 to be coupled to the handle 300. Can be.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340)는 가압돌기(340)가 회전되기 전에 상기 이동돌기(512)가 접촉되는 제1 접촉영역(A1)과, 상기 가압돌기(340)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돌기(512)가 접촉되는 제2 접촉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a), the pressing projection 340 is the first contact region (A1) to contact the moving projection 512 before the pressing projection 340 is rotated, the pressing As the protrusion 340 is rotated, the moving protrusion 51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area A2.

이때, 상기 가압돌기(340)의 폭은 상기 힌지홀(411)로부터 상기 제1 접촉영역(A1)까지의 폭(D1) 보다 상기 힌지홀(411)로부터 상기 제2 접촉영역(A)까지의 폭(D2)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0 is greater from the hinge hole 411 to the second contact area A than the width D1 from the hinge hole 411 to the first contact area A1.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D2 is made larger.

이때, 상기 가압돌기(340)의 힌지홀(411)로부터 상기 제1 접촉영역(A1)까지의 폭(D1)과 상기 힌지홀(411)로부터 상기 제2 접촉영역(A2)까지의 폭(D2)의 차이는 후술하는 걸림돌기(513)가 걸림턱(120)에 걸리게 되는 폭 만큼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width D1 from the hinge hole 411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0 to the first contact area A1 and the width D2 from the hinge hole 411 to the second contact area A2. ) Is mo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fference as much as the width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513 to be described later (120).

즉,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340)가 상기 제1 접촉영역(A1)에서 상기 제2 접촉영역(A2)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접촉영역(A1)과 상기 제2 접촉영역(A2)의 폭 차이만큼 상기 이동돌기(512)가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턱(도 5의 120)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도 5의 513)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b) of FIG. 7, the pressing protrusion 340 is rotated from the first contact area A1 to the second contact area A2 and the first contact area A1. The moving protrusion 512 is moved by the width difference of the second contact area A2, and as a result, the locking protrusion 513 of FIG. 5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step 120 of FIG. 5.

상기 핸들브라켓(400)은 상기 핸들(300)의 양측단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에 고정될 수 있다.The handle bracket 400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211 in a hinged state with both side ends of the handle 300.

상기 핸들브라켓(400)은 상기 핸들(300)을 상기 설치부(210)상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상기 핸들(300)이 회전될 경우 상기 핸들(300)의 회전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도 병행한다.The handle bracket 400 also serves to fix the handle 300 on the installation unit 210 and to hold the rotation center of the handle 300 when the handle 300 is rotated. .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핸들브라켓(400)은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상면에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handle bracket 40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by bolting.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가 설치된 해체유닛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도 8의 (a)는 해제유닛의 해제블록이 작동되어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해제유닛의 해제블록이 작동이 해제된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복원력이 발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mantling unit is installed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 of Figure 8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y the release block of the release unit is operated, Figure 8 (b) is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state in which the release block of the release unit is released This state is shown.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유닛(500) 및 탄성부재(6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configuration of the release unit 500 and the elastic memb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제유닛(500)은 상기 메인커버(200)의 상기 설치플레이트(도 3의 211)의 하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3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와 상기 메인커버(200)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블록(510)이 구비된다.The release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of FIG. 3) of the main cover 20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300 A release block 510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 housing body 100 and the main cover 200 is provided.

상기 해제블록(510)은 해제블록본체(511)와, 이동돌기(512)와, 걸림돌기(513) 및 탄성부재 수용홈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block 510 may include a release block body 511, a moving protrusion 512, a locking protrusion 513, 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ion groove 514.

상기 해제블록본체(511)는 상기 해제블록(510)의 외관을 이루며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하면에 밀착 설치된다.The release block body 511 forms the exterior of the release block 510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상기 이동돌기(512)는 상기 해제블록본체(511)의 양측 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34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본체(511)를 상기 탄성부재(600) 측으로 이동시킨다.The moving protrusion 51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front ends of the release block body 511 to move the release block body 511 toward the elastic member 60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0. Move it.

상기 걸림돌기(513)는 상기 해제블록본체(511)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상기 메인커버(2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20)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로부터 상기 메인커버(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cking protrusion 513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release block body 511, when the main cover 200 is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body 100, formed in the cover housing body 100 The main cover 2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main body 100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120.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부(514)는 상기 해제블록본체(511)에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600)의 일부가 수용된다.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51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lease block body 511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6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제유닛(500)은 고정블록(520)과, 고정부(530) 및 고정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lock 520, a fixing part 530 and a fixing member 540.

상기 고정블록(520)은 상기 해제블록(510)을 수용하기 위한 해제블록 수용홈부(521)가 마련된다.The fixed block 520 is provided with a release block accommodating groove 521 for accommodating the release block 510.

즉, 상기 고정블록(520)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521)에 상기 해제블록(510)을 수용하여 상기 해제블록(510)이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하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at is, the fixing block 520 is supported so that the release block 510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by receiving the release block 510 in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521. do.

상기 고정부(530)는 상기 고정블록(520)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5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531)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5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block 520 and a through hole 531 may be provided to fix the fixing block 520.

상기 고정부재(540)는 상기 해제블록(510)이 수용된 상기 고정블록(520)을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하면에 고정시킨다. The fixing member 540 fixes the fixing block 520 in which the release block 510 is accommoda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211.

이때, 상기 고정부재(540)가 상기 고정부(530)의 관통홀(53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메인커버(200)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설치플레이트(211)의 하면에 상기 해제블록(510)이 수용된 상기 고정블록(520)이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540 is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over 200 in a state of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531 of the fixing part 530, thereby preventing the installation plate ( The fixing block 520 in which the release block 510 is accommodated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211.

한편, 상기 고정블록(520)은 상기 걸림돌기(513)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52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홀부(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block 520 may further include an exposure hole 522 to expose the engaging projection 513 to the outsid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521.

즉, 상기 노출홀부(522)는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52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블록(510)이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521)에 설치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513)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52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exposure hole 5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block accommodating groove 521, and when the release block 510 is installed in the release block accommodating groove 521, the locking protrusion 513 is forme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521.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해제블록(510)의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부(514)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3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해제블록(51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lastic member 600 is dispos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514 of the release block 510, and serves to return the release block 510 moved by the handle 300 to the initial position. do.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6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부(514)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부(514)의 내면과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고정블록(520)의 후방측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0 is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51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514, the other end is the rear of the fixing block 520 It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ide inner surface.

즉,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0)는 상기 해제블록(510)의 작동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해제블록(510)의 작동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51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8, the elastic member 600 is compres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block 510,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block 510 When released, the release block 5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600)가 2개 사용된 것이 제시되고 있지만, 상기 메인커버(20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적절한 개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ggested that two elastic members 600 are used, but an appropriate number may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main cover 200.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어셈블리는 상기 메인커버(200) 상면에 배치되는 표면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the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cover 70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cover 200.

이때, 상기 메인커버(200)는 상기 표면커버(70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도 3의 20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cover 20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02 of FIG. 3) so that the surface cover 700 may be seated and fixed.

상기 표면커버(700)의 상면은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가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 표면커버(700)의 상면은 플로어 박스의 상면을 깔끔하게 마감하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cover 700 forms a flat surface. Therefore, when the floo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ro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cover 700 exposed to the indoor space cleanly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box.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의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결합된 상기 메인커버(200)를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the main cover 200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body 100 of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결합된 메인커버(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0)의 본체프레임(310)을 파지하여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First, in order to separate the main cover 200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body 100, the user grips the body frame 310 of the handle 300 and rotates upward.

이때, 상기 핸들(300)의 본체프레임(310)과 함께 회전프레임(320)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돌기(340)가 회전된다.At this time, as the rotating frame 3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frame 310 of the handle 300, the pressing projection 340 is rotated.

상기 가압돌기(340)가 회전되면, 상기 가압돌기(340)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 상기 이동돌기(512)가 상기 가압돌기(340)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탄성부재(600)가 설치된 후방측으로 이동된다.When the pressing protrusion 340 is rotated, the moving protrusion 512 install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340 receives a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40 and moves to the rear sid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600 is installed. do.

상기 이동돌기(512)가 이동되면 상기 이동돌기(512)와 함께 상기 해제블록본체(511)가 이동되면서 상기 해제블록본체(511)에 형성된 걸림돌기(513)가 이동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해제블록본체(511)가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60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600)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When the movable protrusion 512 is moved, the release block body 511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vable protrusion 512, and the locking protrusion 513 formed at the release block body 511 is moved to cover the housing body 100. It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step 120 formed in). At this time, the release block body 511 is moved to press the elastic member 600, the elastic member 600 is in a compressed state.

상기 걸림돌기(513)가 걸림턱(12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로부터 상기 메인커버(200)가 분리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의 연통홀(101)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locking protrusion 513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120, the main cov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body 100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 101 of the cover housing body 100 is opened. do.

한편,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다시 상기 메인커버(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로부터 상기 메인커버(200)를 분리하기 위해 회전시킨 상기 핸들(300)의 본체프레임(31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메인커버(200)를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에 형성된 안착단부(110)에 안착시킨다.Meanwhile, in order to couple the main cover 200 to the cover housing main body 100 again, the user rotates the main body 200 to separate the main cover 200 from the cover housing main body 100. The main cover 200 is mounted on the seating end 110 formed in the cover housing body 100 while the frame 310 is gripped.

다음으로, 사용자가 파지했던 상기 핸들(300)의 본체프레임(310)을 놓게 되면, 상기 핸들(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510)을 매개로 압축되었던 상기 탄성부재(60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Next, when the user releases the body frame 310 of the handle 300, the user grips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600 that was compressed via the release block 510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300 As it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600 generates a restoring force.

상기 탄성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510)이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release block 510 is moved to the front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0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해제블록(510)이 초기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513) 또한 상기 걸림턱(12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120)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하우징본체(100)와 상기 메인커버(20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As the release block 51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locking protrusion 513 is also moved to the locking jaw 120 to be caught by the locking jaw 120, so that the cover housing body 100 and the main body are closed. The coupling between the covers 200 is complete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박스는 박스본체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oor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x body and a cover assembly for a floor box as described above.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단자(미도시)가 배치된 상기 박스본체(미도시)의 상부에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된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커버어셈블리를 결합시켜 상기 플로어 박스를 완성할 수 있다. The floor is coupled to the cover assembly for drawing the wires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body (not shown) in which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for wiring of power and communication is disposed. You can complete the box.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 박스는 간단한 구조의 해제유닛에 의해 커버하우징으로부터 메인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커버하우징으로부터 메인커버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and the floor box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main cover from the cover housing by a simple structure release unit, so that the main cover from the cover housing without a separate tool a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ver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본 고안은 커버어셈블리를 메인커버와 상면이 평평한 표면커버를 포함하는 이중커버로 구성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 플로어 박스의 상면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cleanly close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box exposed to the indoor space by configuring the cover assembly with a double cover including a main cover and a flat surface cover.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an be modified or changed.

100: 커버하우징본체 101: 연통홀
110: 안착단부 120: 걸림턱
130: 지지홈부 200: 메인커버
210: 설치부 211: 설치플레이트
220: 이동홈부 300: 핸들
310: 본체프레임 320: 회전프레임
330: 수용홈부 340: 가압돌기
400: 핸들브라켓 500: 해제유닛
510: 해제블록 511: 해제블록본체
512: 이동돌기 513: 걸림돌기
514: 탄성부재 수용홈부 520: 고정블록
521: 해제블록 수용홈부 522: 노출홀부
530: 고정부 531: 관통홀
540: 고정부재 600: 탄성부재
700: 표면커버
100: cover housing body 101: communication hole
110: seating end 120: locking jaw
130: support groove 200: main cover
210: mounting portion 211: mounting plate
220: moving groove 300: handle
310: main frame 320: rotation frame
330: receiving groove 340: pressing projection
400: handle bracket 500: release unit
510: release block 511: release block body
512: moving projection 513: locking projection
514: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520: fixed block
521: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522: exposed hole
530: fixed portion 531: through hole
540: fixing member 600: elastic member
700: surface cover

Claims (10)

내부에 전원 및 통신의 배선을 위한 연결단자가 배치되는 박스본체; 및
상기 박스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에 결합된 전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박스용 커버어셈블리는,
내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안착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지면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로 배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버하우징본체;
상기 안착단부에 안착되고, 일부 영역에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된 설치부를 포함하는 메인커버;
상기 설치부의 설치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양측단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핸들브라켓;
상기 메인커버의 설치플레이트 하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와 상기 메인커버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블록이 마련된 해제유닛; 및
상기 해제블록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 이동된 상기 해제블록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프레임과 함께 회전되는 한쌍의 회전프레임;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홈부;
상기 한쌍의 회전프레임의 일측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핸들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블록은,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해제블록본체;
상기 해제블록본체의 양측 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해제블록본체를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돌기;
상기 해제블록본체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하우징에 상기 메인커버가 결합될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하우징본체로부터 상기 메인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해제블록본체에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수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돌기가 회전되기 전에 상기 이동돌기가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접촉영역과, 상기 제1 접촉영역에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돌기가 접촉되게 만곡 형성된 제2 접촉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돌기의 폭은 상기 힌지홀로부터 상기 제1 접촉영역까지의 폭 보다 상기 힌지홀로부터 상기 제2 접촉영역까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하우징본체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안착단부의 상면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하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박스.
A box body in which a connection terminal for wiring power and communication is disposed; And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x body, the cover assembly for the floor box for drawing the wire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outside; includes;
The floor box cover assembly,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seating end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end toward the ground direction,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hole. A cover housing body including a locking jaw disposed therein;
A main cover seated on the seating end and including an installation part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late in a partial region;
A handle rotatably disposed on an installation plate of the installation unit;
A handle bracket fixed to the installation plate in a hinged state at both ends of the handle;
A release unit movab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of the main cover and provided with a release block for releasing coupling between the cover housing body and the main cover by a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And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lease block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release block moved by the handle to an initial position.
The handle is,
A main body fram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A pair of rotating frames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main body fram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main body frame;
An accommodating groove part formed inside the pair of rotating frames to accommodate the handle bracket;
And a pressure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frames, a hinge hole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bracket, and pressing the release block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The release block is,
A release block bod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A mov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both front end portions of the release block body to move the release block body toward the elastic member by a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release block body, and the main cover coupled to the cover housing to be caught by the locking jaw to prevent the main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housing body; And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elease block body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The pressing protrusion is
A first contact region formed to be inclined to contact the moving protrusion before the pressing protrusion is rotated, and a second contact region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the first contact region and is curved to contact the moving protrusion while the pressing protrusion is rotated. Including, but the width of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width from the hinge hole to the second contact area is larger than the width from the hinge hole to the first contact area,
The cover housing body,
And a support groove formed in a recess o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ating end in which the latching jaw is formed to be seated and supported by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해제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해제블록 수용홈부가 마련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관통홀이 마련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ease unit,
A fixed block provided with a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elease block;
Fixed pa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ed block and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nd
And a fixing member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main cover in a state of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of the fixing part in order to fix the fixing block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해제블록 수용홈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박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ed block,
A floor box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exposure hole for the engaging proj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lease block receiving groo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양측 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tallation unit,
Floor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plate is formed in a cut state, the moving groove for forming a moving space of the moving projection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0062U 2018-01-05 2018-01-05 Floor box Active KR2004906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62U KR200490604Y1 (en) 2018-01-05 2018-01-05 Floor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62U KR200490604Y1 (en) 2018-01-05 2018-01-05 Floor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93U KR20190001793U (en) 2019-07-15
KR200490604Y1 true KR200490604Y1 (en) 2019-12-05

Family

ID=6722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62U Active KR200490604Y1 (en) 2018-01-05 2018-01-05 Floor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04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2104A1 (en) * 2013-03-15 2015-08-06 Hubbell Incorporated Floor box cov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891Y1 (en) 2000-11-01 2001-04-16 지교수 Socket box to be installed in floor
KR101199647B1 (en) * 2010-01-20 2012-11-08 미강건철주식회사 manho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2104A1 (en) * 2013-03-15 2015-08-06 Hubbell Incorporated Floor box cov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93U (en)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662B2 (en) Co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floor box
US6376770B1 (en) Quick connecting universal electrical box and wiring system
US7999419B2 (en) While-in-use electrical box that shuts power off to the device when cover is open
US6552262B2 (en) Cover assembly with pivoting access doors
US7183503B2 (en) Recessed in-floor fitting
US20170047717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JP7253105B1 (en) Mounting device with fastener receiving structure
KR200490604Y1 (en) Floor box
CA3122584C (en) In-floor electrical fitting
US5179252A (en) Structure of floor junction box
KR102005774B1 (en) The system box of a undergrounded type with a slide type cover
KR200457427Y1 (en) Compact safety outlet module
CN102801034A (en) Ground power supply socket cover assembly
KR102018722B1 (en) Cover assembly for floor box and floor box using the same
KR200421888Y1 (en) Multibox for wire arrangement
CN221428076U (en) Dust cover and charging socket assembly
KR102344847B1 (en) concealed type concent
KR102092134B1 (en) Table with wire duct structure
KR100688445B1 (en)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CN108332496B (en) Folding door handle for refrigeration equipment and refrigeration equipment
WO2001061815A1 (en) Assembly for an outlet
JPH10210626A (en) Information socket
JP2025067856A (en) Dust cover and charging socket assembly
KR102816056B1 (en) Wall mounted type safety power outlet
KR200353044Y1 (en) Concen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1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11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