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445B1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Google Patents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8445B1 KR100688445B1 KR1020050059885A KR20050059885A KR100688445B1 KR 100688445 B1 KR100688445 B1 KR 100688445B1 KR 1020050059885 A KR1020050059885 A KR 1020050059885A KR 20050059885 A KR20050059885 A KR 20050059885A KR 100688445 B1 KR100688445 B1 KR 100688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ommunication
- case
- applying unit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 A47B2021/068—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with power or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face with pop-up power out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케이스를 삽입 설치하면서 그 내부에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하여 전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하여 바닥에 어지럽게 널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전선 및 통신선을 외부 전원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로 개폐하여 케이스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커버를 탄성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커버 개방 작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unit and a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therein while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case o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to accommodate the inside while connecting the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and to prevent them from being cluttered on the floor. I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case with a cove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side the case while opening the cover elastically so that the cover open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t relates to a desk provided with a wealth.
상판, 케이스, 전원인가부, 통신인가부, 설치부재, 고정부재, 커버, 로킹수단 Top plate, case, power supply unit,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mounting member, fixing member, cover, locking mean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에 설치된 케이스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ase installed on the top plate of a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부를 보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전원인가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통신인가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in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커버를 로킹하는 로킹부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unit for locking a cover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제 1로커에 설치된 로킹핀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ocking pin installed in the first locker of the 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7a and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작동시 로킹핀의 이동 경로를 보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pi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Explana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2: 전원인가부 4: 통신인가부2: power supply part 4: communication part
10: 상판 12: 설치홀10: top plate 12: mounting hole
20: 케이스 22: 전원홀20: case 22: power hole
24: 통신홀 30: 설치부재24: communication hole 30: mounting member
40,50: 제 1,2고정부재 60: 커버40, 50: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 60: cover
64: 토션스프링 80,90: 제 1,2로킹부64:
82,92: 제 1로커 82,92: first locker
본 발명은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에 케이스를 삽입 설치하면서 그 내부에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하여 전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면서 내부에 수용하여 바닥에 어지럽게 널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전선 및 통신선을 외부 전원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로 개폐하여 케이스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커버를 탄성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커버 개방 작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power supply unit and a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are provided therein while the case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of the desk to connect the wires and the communication lines. I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cluttered on the floor and easily connects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to an external power source.The cover can be elastically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cas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to the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having a power applying unit and a communication applying unit to be opened to facilitate the cover open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사무용 책상은 컴퓨터나 전화기 등 기기를 구비한다.In general, an office desk includes a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telephone.
이러한 기기는 외부 전원이나 신호 교환을 위한 랜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These devices require LAN power lines to exchange external power or signals.
그래서, 사무용 책상 위의 기기는 멀티탭이나 외부로부터 다수 가닥의 전선 및 랜선 등을 공급받게 된다.Thus, the device on the office desk receives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s and LAN lines from a power strip or an external device.
또한, 노트북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로서 고정형인 데스크 탑 컴퓨터와는 달리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된다.In addition, a notebook computer is a portable computer, unlike a fixed desktop computer, is light in weight and small in volume, and is conveniently used for busy modern people.
그런데,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는 휴대시에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지만 그 용량에 한계가 있어 사무실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원 이외에도 통신사용을 위한 전화선 및 타사용자와의 신호교환을 위한 랜선 등이 필요하다.By the way, the laptop computer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internal battery when carrying, but its capacity is limited, so when performing work in the office, general AC power is used. A telephone line for use and a LAN lin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other users are required.
따라서,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를 사무실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트북 컴퓨터가 놓여지는 책상이 구비되어야 하고,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 전화선, 랜선 등이 인가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use such a notebook computer in a place such as an office, a desk on which the notebook computer is placed must be provided, and a power source, a telephone line, a LAN line, or the like must be applied to the notebook computer.
그러나, 사무용 책상 위에 놓인 데스크 탑 컴퓨터나 전화기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 전화선, 랜선 등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선들을 별도의 메인선으로부터 인출하여 각각의 기기에 인가해야 하므로 선들의 인출 및 인가작업이 불편하고, 각각에 인가되는 선들은 사무용 책상의 하부 바닥에 즐비하게 놓여져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apply power, telephone line, LAN line, etc. to a desktop computer, a telephone or a notebook computer placed on an office desk, each line must be drawn out from a separate main line and applied to each device. It is inconvenient, and the lines applied to each of them are placed on the lower floor of the office desk, and there is a problem of becoming dir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책상의 상판에 기기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전원인가부 및 랜선과 전화선 등의 통신선을 접속하는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케이스를 삽입 설치하여 각 선의 설치시 허리를 숙이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개폐하도록 커버를 두어 케이스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보호하고, 커버를 탄성적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개방되도록 하여 누름 동작으로 간단히 커버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erting a case having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he wire and a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LAN line and a telephone line on the top plate of the desk, When installing, i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bowing the waist, and the cove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as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ase to protect the power supply and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part, and the cover is elastically rotated upward to op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k having a power applying unit and a communication applying unit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simply by pressing operation.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위치에 설치홀을 통공한 상판과,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며 상측을 개방하고 컴퓨터와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와 제 1전선으로 연결되는 전원인가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원홀 및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통신인가부를 설치하기 위한 통신홀을 통공함과 아울러 내부에 제 1전선 및 통신선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상판의 설치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와, 상기 전원인가부를 케이스의 전원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 1고정부재와, 상기 통신인가부를 케이스의 통신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 2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wer supply for installing a top plate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ower supply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and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computers and telephones A case through which a hole is provided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applicator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communication lin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i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therein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upper plate; A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comprising an installation member for installation, a first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power hole of the case,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case. It is to provide a desk provided with an applicator.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변에 힌지 결합되고 타변에서 로킹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되며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커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ase and selectively locked by the locking means on the other side and elastically rot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상판에 설치된 케이스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as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전원인가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통신인가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ower applying unit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applying unit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커버를 로킹하는 로킹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제 1로커에 설치된 로킹핀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cking unit for locking a cover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locking pin installed in a first locker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작동시 로킹핀의 이동 경로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pi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10)은 컴퓨터나 전화기 등 전자기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그리고, 상기 상판(10)은 소정 위치에 설치홀(12)을 상·하측 연통되게 통공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설치홀(12)에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25)을 갖는 케이스(20)가 고정 설 치된다.The
이때, 상기 케이스(20)는 설치홀(12)에 삽입되어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단 둘레에 걸림편(21)을 연장 형성하여 상판(10)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판(10)에 지지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20)는 내부에 전원홀(22)과 통신홀(23)을 통공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원홀(22)은 상판(10)에 놓여지는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제 1전선(6)과 접속하며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멀티탭과 같은 전원인가부(2)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통신홀(23)은 상판(10)에 놓여지는 전화기 및 컴퓨터 등에 연결되는 통신선(8)과 접속되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인가부(4)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케이스(20)는 상판(10)의 전측(前側)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면(24)을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그래서, 상기 전원홀(22)와 통신홀(23)이 경사면(24)에 통공되고, 이 전원홀(22)과 통신홀(23)에 각각 전원인가부(2)와 통신인가부(4)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편하게 전원인가부(2)에 제 1전선(6)을 접속하며 통신인가부(4)에 통신선(8)을 접속함에 따라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Thus,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20)는 바닥에 놓이는 컴퓨터의 본체 등과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제 2전선(7)을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하기 위해 배선홀(26)을 임의의 둘레에 통공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 1전선(6)과 제 2전선(7) 및 통신선(8)은 케이스(20)의 공간(25)에 수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전원인가부(2)는 외부의 전원과 접속하기 위해 외부전원선(9)을 일측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20)는 안내홀(27)을 통공하여 외부전원선(9)을 안내한다.The
이는, 상기 외부전원선(9)이 바닥 방향으로 바로 하향하면 전원인가부(2)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됨에 따라 전원인가부(2)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외부전원선(9)은 케이스(20)의 안내홀(27)에 삽입되어 하향하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상기 전원인가부(2)는 전원스위치(3)를 두어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는 설치부재(30)에 의해 상판(10)에 고정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설치부재(30)는 케이스(20)의 측면과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동시에 접하는 'ㄱ'자 형상의 제 1브라켓(32) 및 상기 케이스(20)와 제 1브라켓(32)·상기 상판(10)과 제 1브라켓(32)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제 1체결나사(34)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 1브라켓(32)은 90°절곡되어 케이스(20)의 외측과 상판(10)의 하면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 1체결나사(34)는 제 1브라켓(32)의 양단부와 각각의 끝단에 접하는 케이스(20) 및 상판(10)을 체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 1브라켓(32)은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케이스(20)의 마주하는 외측에 하나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전원인가부(2)는 케이스(20)의 전원홀(22)에 제 1고정부재(40)로써 고정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고정부재(40)는 전원인가부(2)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42)와, 상기 전원인가부(2)의 플레이트(42)와 접하도록 케이스(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 2브라켓(44)과, 상기 플레이트(42)와 제 2브라켓(44)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제 2체결나사(46)로 이루어진다.The first fixing
상기 플레이트(42)는 멀티탭인 전원인가부(2)의 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물로써 전원인가부(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 2브라켓(44)은 전원홀(22)에 인접한 케이스(20)의 하부에서 적어도 마주하는 한 쌍으로 돌설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2브라켓(44)은 전원인가부(2)의 길이에 따라 돌설되는 개수를 정하고, 케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 2체결나사(46)는 플레이트(42)와 제 2브라켓(44)을 접한 상태에서 플레이트(42)와 제 2브라켓(44)을 함께 체결함으로써 전원인가부(2)를 고정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인가부(4)는 랜선이나 전화선 등을 접속하는 접속잭으로서, 통신홀(23)에 제 2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 2고정부재(50)는 통신인가부(4)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통신홀(23)의 상측에 걸리기 위한 고정편(52) 및 상기 통신홀(23)의 하측에 접하며 걸리도록 통신인가부(4)의 둘레에 적어도 마주 하는 한 쌍 형성되는 고정돌기(54)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ixing
상기 고정편(52)은 통신선(8)과 접속되는 통신인가부(4)의 상부에서 둘레로 연장 형성된다.The fixing
그래서, 상기 고정편(52)은 통신홀(23)의 상측에 걸리면서 통신인가부(4)를 지지한다.Thus, the fixing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54)는 통신인가부(4)의 둘레에 적어도 마주하는 한 쌍 돌출된다.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돌기(54)는 통신홀(23)의 하측에 걸림으로써 통신인가부(4)가 임의적으로 통신홀(23)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xing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커버(60)를 상하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를 개폐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커버(60)는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전원인가부(2)와 통신인가부(4)와 제 1전선(6) 및 제 2전선(7)을 보호한다.The
이때, 상기 커버(60)는 케이스(20)를 닫은 상태에서 상판(10)의 놓여지는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제 1전선(6) 및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통신선(8)을 내부의 전원인가부(2) 및 통신인가부(4)와 접속하기 위해 삽입하도록 삽입홀(62)을 통공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커버(60)는 케이스(20)의 일변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 회동되며 케이스(20)의 상부를 개폐한다.The
상기 커버(60)는 케이스(20)와의 사이에 토션스프링(64)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커버(60)의 열림동작시 탄성적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The
상기 토션스프링(64)은 커버(60)와 케이스(20)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66)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커버(60)는 로킹수단(70)에 의해 케이스(20)에 선택적으로 로킹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커버(60)는 한번 누르는 동작시 로킹수단(70)에 의해 케이스(20)에 로킹되고, 다시 한번 누르는 동작으로 로킹수단(70)에 의해 케이스(20)와 로킹해제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로킹수단(70)은 토션스프링(64)을 개재한 커버(60)의 일변에 반대되는 타변 및 케이스(20)에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ocking means 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상기 로킹수단(70)은 케이스(20)의 타변에 해당하는 측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로킹부(80)와, 상기 커버(60)의 상측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번갈아 가며 제 1로킹부(80)에 걸려 로킹되거나 제 1로킹부(80)와 로킹 해제되도록 커버(6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로킹부(90)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means 70 is alternately formed by the first lock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로킹부(80)는 케이스(20)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제 2로킹부(90)는 제 1로킹부(8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커버(60)의 하측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locking
상기 제 1로킹부(80)는 상부를 개방하며 커버(60)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81)과, 상기 하우징(81)의 내부에 수용되며 누르는 힘에 의해 번갈아 가며 승하강되면서 제 2로킹부(90)를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함과 아울러 상단에 제 1걸림턱(83)을 두어 내부로 하강시 제 2로킹부(9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로커(82)와, 상기 제 1로커(8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승하는 제 1로커(82)를 하우징(81)의 내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84)과, 상기 제 1로커(82)를 걸어 하우징(81)의 내부에서 제 2로킹부(90)와 함께 고정하거나 또는 해제하여 하우징(81)의 외부로 돌출시키며 제 2로킹부(90)를 분리하는 로킹부재(85)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하우징(81)은 케이스(20)의 내측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부를 개방한다.The
이때, 상기 하우징(81)은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해 일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편(81a)을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개폐편(81a)은 가장자리에 결합공(81c)을 형성하고, 하우징은 테두리에 결합돌기(81b)를 돌출함에 따라 결합돌기(81b)가 결합공(81c)에 억지 삽입되면서 개폐편(81a)은 하우징(81)에 결합된다.The opening and
그리고, 상기 제 1로커(82)는 소정 각도 휘는 탄성력을 상단부에 부여하고, 상단 일측에 제 1걸림턱(83)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걸림턱(83)은, 후술할, 제 2로킹부(90)의 제 2로커(92)에 형성된 제 2걸림턱(93)과 상호 걸리게 된다.The first catching
또한, 상기 제 1로커(82)는 커버(60)의 누름 동작에 의해 번갈아 가며 하우징(81)의 내부로 하강하거나 또는 하우징(81)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 1로커(82)가 하우징(81)의 내부로 하강시 제 1걸림턱(83)에 걸린 제 2걸림턱(93)에 의해 제 2로커(92)가 하우징(81)의 내부로 삽입되며 로킹되고, 제 1로커(82)가 하우징(81)의 상부로 상승시 제 2걸림턱(93)은 제 1걸림턱(83)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면서 제 2로커(92)는 로킹 해제된다.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 1로커(82)와 하우징(81)의 바닥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84)이 개재됨으로써 제 1로커(82)는 코일스프링(8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코일스프링(84)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하우징(81)은 내부 바닥에 안착홈(84a)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84)의 하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코일스프링(84)의 압축시 요동되거나 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 1로커(82)는 로킹부재(85)에 의해 한번 누름에 의해 하강하면서 하우징(81)의 내부에 걸리거나, 또 한번 누름에 의해 하우징(81)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로킹부재(85)는 제 1로커(82)에 측면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하며 제 1로커(82)가 하우징(81)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단을 삽입한 로킹핀과(86), 상기 제 1로커(82)의 승하강에 따라 로킹핀(86)의 타단을 안내하며 로킹핀(86)의 타단의 상승점을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81)의 내측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87)과, 상기 가이드홈(87)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그 하단에 로킹홈(88a)을 상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한 로킹돌기(88)와, 상기 로킹홈(88a)에 마주하는 가이드 홈(87)의 내측에 직각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87)을 따라 하강하는 로킹핀(86)을 로킹홈(88a)으로 안내하는 안내돌기(89)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상기 로킹핀(86)은 양끝단을 축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 형성한다.The locking pins 86 are bent at both end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로킹핀(86)의 일단은 제 1로커(8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One end of the locking
또한, 상기 로킹핀(86)은 제 1로커(82)를 걸어 하우징(81)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이때, 상기 로킹핀(86)은 제 1로커(82)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형상의 회동제한돌기(82a)를 돌출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또한, 상기 가이드홈(87)은 하우징(81)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제 1로커(82)의 승하강시 로킹핀(86)의 타단을 안내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 1로커(82)가 상사점까지 상승시 로킹핀(86)의 타단은 가이드홈(87)의 내측 상단부에 걸림으로써 제 1로커(82)가 하우징(81)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가이드홈(87)은 하단부 중앙에 로킹돌기(88)를 돌출한다.The
상기 제 1로커(82)가 하우징(81)의 내외부로 승하강시, 로킹핀(86)의 타단은 로킹돌기(88)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로킹돌기(88)는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 형상의 로킹홈(88a)을 함몰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상기 로킹핀(86)의 타단은 한번의 누름에 의해 로킹돌기(88)의 일측 둘레를 따라 하강하면서 로킹홈(88a)에 마주하는 가이드홈(87)의 하단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로킹홈(88a)에 삽입되다.The other end of the locking
그래서, 상기 제 1로커(82)는 상승하지 않게 된다.Thus, the
또한, 상기 제 1로커(82)가 또 한번 눌러지게 되면, 로킹핀(86)의 타단은 로킹홈(88a)에서 이탈됨에 따라 제 1로커(82)는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89)는 로킹홈(88a)의 마주하는 가이드홈(87)의 하부 내측에 직각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하향한 로킹핀(86)이 로킹홈(88a)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 2로킹부(90)는 커버(60)의 하측에 고정 부착되는 체결편(91)과, 상기 체결편(9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제 1로킹부(8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끝단에 제 2걸림턱(93)을 형성한 제 2로커(92)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체결편(91)은 커버(60)의 하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 2로커(92)는 체결편(91)에서 연장 형성되는 돌기로써, 커버(60)의 닫힘시 하우징(81)과 제 1로커(82) 사이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 2로커(92)는 끝단에 제 2걸림턱(93)을 형성하여 커버(60)의 닫힘시 제 1로커(82)의 제 1걸림턱(83)에 걸려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가 케이스(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60)를 한번 누르게 되면, 제 2로커(92)는 하향하면서 제 1로커 (82)를 누르게 되고, 제 1로커(82)는 코일스프링(84)을 압축하면서 하우징(81)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7A and 8, when the
이때, 상기 제 1로커(82)와 하우징(81) 사이에 개재된 로킹핀(86)은 로킹돌기(88)의 좌측면(도면에서 봤을 때) 둘레와 접한 가이드홈(87)을 따라 하향하게 되면서 상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상기 로킹핀(86)이 가이드홈(87)의 내측 하단에 다다르게 되면, 제 1로커(82) 및 제 2로커(92)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면서 외력 제거시 안내돌기(89)의 수직면인 좌측면(도면에서 봤을 때)을 따라 로킹돌기(88)의 로킹홈(88a)에 삽입된다.When the locking
이때, 상기 로킹핀(86)은 하우징(8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된다.In this case, the locking
그래서, 상기 제 1로커(82)는 제 2로커(92)와 함께 하우징(81)의 내부에 고정된다.Thus, the
점선은 로킹핀(86)의 이동궤적을 보인 것이다.The dotted line show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cking
한편, 도 7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로커(92)가 또 한번 눌려지게 되면, 제 1로커(82)도 함께 하우징(81)의 하부로 소정 하강하면서 로킹핀(86)은 로킹홈(88a)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안내돌기(89)의 빗면인 우측면(도면에서 봤을 때)을 따라 안내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B and 8, when the
그러면서, 상기 제 2로커(92)에 가해진 외력의 제거시, 제 1로커(82)는 코일스프링(8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제 2로커(92)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로킹핀(86)은 로킹돌기(88)의 우측면(도면에서 봤을 때) 둘레에 인접한 가이드홈(87)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상기 제 1로커(82)에 의해 밀린 제 2로커(92)가 하우징(8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시 로킹핀(86)은 하우징(8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되고, 커버(60)의 회동시 제 2로커(92)는 탄성을 갖는 제 1로커(82)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된다.When the
점선은 로킹핀(86)의 이동궤적을 보인 것이다.The dotted line shows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ock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는 책상의 상판에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설치하여 상판에 놓이는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케이스 내부에 공간을 두어 전선들을 수용함으로써 바닥에 전선을 즐비하게 깔아 놓지 않음에 따라 책상 바닥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k having the power applying unit and the communication appl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o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and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mmunication applying unit are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placed on the upper plate. By facilitating a space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the wires, the floor is not neatly laid on the floor, thereby effectively tidying the desk floor.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내측에서 구배진 경사면에 설치함에 따라 전기적 접속시 자리에 앉아서 할 수 있고 접속상태를 앉아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case can be seated at the time of electrical connection by install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on the inclined slope from the insi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t and check the connection stat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커버를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하여 간단한 누름 동작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se is provided with a cover to open and clos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erein, by installing the cover to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orsion spring elastically can be easily opened b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커버는 삽입홀을 통공하여 케이스를 닫은 상태로 상부로 외부의 전선들을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와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has an effect of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mmunication application unit by inserting the external wires into the case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close the cas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885A KR100688445B1 (en) | 2005-07-04 | 2005-07-04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9885A KR100688445B1 (en) | 2005-07-04 | 2005-07-04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4364A KR20070004364A (en) | 2007-01-09 |
KR100688445B1 true KR100688445B1 (en) | 2007-03-02 |
Family
ID=3787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9885A KR100688445B1 (en) | 2005-07-04 | 2005-07-04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844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820B1 (en) | 2009-02-13 | 2009-11-06 | 지근택 | Integrated table computer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985Y1 (en) * | 2010-12-13 | 2013-09-26 |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 a desk for Wire Cap |
KR101666375B1 (en) * | 2015-02-09 | 2016-10-14 | 주식회사 코아스 | Cable tray and table having the cable tray |
EP3174435B1 (en) * | 2015-06-15 | 2019-10-09 |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 Modular furniture system with wire management |
KR102568861B1 (en) * | 2023-02-16 | 2023-08-22 | (주)코아스 | Semi-automatic open-and-shut module, and furniture having the mod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8381A (en) * | 2000-03-07 | 2001-09-26 | 추후제출 |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
-
2005
- 2005-07-04 KR KR1020050059885A patent/KR10068844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8381A (en) * | 2000-03-07 | 2001-09-26 | 추후제출 |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01883810000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820B1 (en) | 2009-02-13 | 2009-11-06 | 지근택 | Integrated table compute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4364A (en) | 2007-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26916A (en) | Computer housing having a door which can be opened/closed from either side | |
KR100225430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 |
US8360791B2 (en) | Safe electrical outlet | |
KR200440437Y1 (en) | Desk-mounted multi-outlet | |
KR100989090B1 (en) | Desk-mounted multi-outlet | |
KR101837291B1 (en) | Cap assembly structure of power outlet for vehicle | |
KR101323504B1 (en) | Receptacle | |
KR100924603B1 (en) | Desk Flush Dual Outlet | |
KR100688445B1 (en)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
CN101272012A (en) | Interface protecti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nterface protection mechanism | |
KR200457427Y1 (en) | Compact safety outlet module | |
KR102466912B1 (en) | the table assembly with power lines hiding | |
KR200421888Y1 (en) | Multibox for wire arrangement | |
KR20080111314A (en) | Multifunction table | |
CN213026789U (en) | USB concentrator | |
KR101017075B1 (en) | Switchgear on partition door panel | |
CN209516121U (en) | Insert row equipment | |
KR200412632Y1 (en) | Outlet Cover Assembly | |
KR200408946Y1 (en) | Multi-tap switch cover | |
JP2661565B2 (en) | Thumb screw holding structure | |
KR200253349Y1 (en) | Foreign material interception apparatus for terminal plate for telephone line | |
CN221428076U (en) | Dust cover and charging socket assembly | |
CN218826757U (en) | Key switch and water outlet device | |
KR102154431B1 (en) | Rotating multi outlet embedded in a desk | |
KR100648242B1 (en) | Structure for attaching a battery pack to a portable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