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504B1 - Receptacle - Google Patents
Recepta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504B1 KR101323504B1 KR1020127011547A KR20127011547A KR101323504B1 KR 101323504 B1 KR101323504 B1 KR 101323504B1 KR 1020127011547 A KR1020127011547 A KR 1020127011547A KR 20127011547 A KR20127011547 A KR 20127011547A KR 101323504 B1 KR101323504 B1 KR 101323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outlet cover
- plug
- cover
- plug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복수회의 개폐 동작에도 콘센트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가 제공된다. 콘센트 커버(2)는 샤프트(32)에 부착되며 샤프트(32)는 완충 부재(33)의 삽통공(33a)을 통해 삽입되어, 완충 부재(33)는 샤프트(3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제공된다. 콘센트 커버(2)가 회동하는 때에, 샤프트(32)는 콘센트 커버(2)와 일체로 회동된다. 따라서, 샤프트(32)와 완충 부재(33)는 서로 마찰접촉된다. 이에 의해 완충 부재(33)와 샤프트(32)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이 발생되어 콘센트 커버(2)의 회동속도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콘센트 커버(2)가 콘센트 본체에 접촉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된다.The impact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can be alleviated, so that the outl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n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The outlet cover 2 is attached to the shaft 32 and the shaft 32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3a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33, so that the shock absorbing member 33 is pivotally provided relative to the shaft 32. do. When the outlet cover 2 is rotated, the shaft 32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outlet cover 2. Thus, the shaft 32 and the cushioning member 33 are in frictional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sliding resist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33 and the shaft 32, thereby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let cover 2, thereby alleviating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outlet cover 2 contacts the outlet body.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having a cover covering a plug pin insertion port.
종래, 가옥의 외벽등에 부착되는 옥외용의 콘센트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옥외 콘센트는, 예를 들면 옥외용 조명기구의 점등용등 에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용으로 이용되는 경향에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nventionally, outdoor outlets are known that are attached to outer walls of houses. Such outdoor outlets are used, for example, for lighting of outdoor lighting fixtures, and in recent years have tended to be us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상기와 같은 옥외 콘센트는, 플러그 핀 삽입구에 빗물 등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5-158345호 공보)에 기재된 콘센트 커버를 장착하는 등,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 핀 삽입구(상기 문헌중에는 삽입구로 기재)을 커버(상기 문헌중에서는 덮개로 기재)로 막게 되어 있다. In order to prevent water such as rainwater from entering the plug pin insertion port, the above-described outdoor outlet is not used, for example, by attaching the outlet cov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58345). In this case, the plug pin insertion hole (described as an insertion hole in the document) is closed with a cover (described as a cover in the document).
상기 종래예는, 플러그 핀 삽입구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콘센트를 수납하는 케이스(상기 문헌중에서는 커버 본체로 기재)와, 콘센트의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 이 커버는, 회동축을 거쳐서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는, 스프링 등의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닫히는 방향(플러그 핀 삽입구를 막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어,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에는 볼록 형상의 미끄럼 접촉부가 마련됨과 함께, 케이스에는 평면형상의 미끄럼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어, 커버가 닫히기 직전에 상기 미끄럼 접촉부끼리가 서로 스침으로써, 커버의 회전속도가 늦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에 의해 커버가 파손하거나 큰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The said conventional example is equipped with the case which accommodates an outlet in the state which exposed the plug pin insertion hole (it describes as a cover main body in the said document), and the cover which covers the plug pin insertion hole of an outlet, and this cover has a rotating shaft. It is attached to the case freely by rotation. Moreover, this cover is pressurized by the biasing member, such as a spring,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irection which blocks a plug pin insertion port), and is closed automatically when a plug is not connected to an outlet.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onvex sliding contact portion,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lat sliding contact portion, and the sliding contact portions rub against each other just before the cover is clos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cover is slowed dow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when the cover is closed or to generate a loud sound.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케이스측, 커버측의 양쪽에 미끄럼 접촉부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스나 커버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버가 닫힐 때에 커버의 회전속도를 적당하게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미끄럼 접촉부끼리가 약간 접촉하는 정도로 커버와 케이스의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어,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example, since the sliding contact portions need to be provided on both the case side and the cov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se and the cover are enlarg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ropriately low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losed,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cover and the case such that the sliding contact portions slightly contact each oth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nufacturing is difficult.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며, 콘센트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view of th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le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가 형성된 플러그 삽입면을 갖는 콘센트 본체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플러그 삽입면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플러그 삽입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콘센트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콘센트 커버를 그 일단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콘센트 커버에 고정되어서 해당 콘센트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콘센트 커버를 닫힘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을 가지는 댐퍼 부재가 마련되고, 이 댐퍼 부재는, 상기 콘센트 커버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할 때에 슬라이딩 저항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바이어싱 부재로부터 상기 콘센트 커버에 부여되는 가압력을 감쇠시킨다. An outle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let body having a plug insertion surface formed with a plug pi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lug pin of a plug is detachably inserted,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plug insertion surface of the outlet body, and the outlet body. An outlet cover rotat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plug insertion surface to the outside, and a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outlet cover about the outlet body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one end thereof, the rotation shaft being The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outlet cover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outlet cover, and a biasing member for urging the outlet cover to the closed position side,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shaft hole into which the pivot shaft is inserted. A damper member is provided, and this damper member is provided with the outlet cover. By adding a sliding resistance when th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portion, the biasing member from the damping force that is imparted to the outlet cover.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닫힘 위치측으로 가압된 콘센트 커버가 회동축에 부착됨과 함께, 이 회동축에는, 해당 회동축과 서로 접촉하도록 댐퍼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측으로 회동할 때에, 회동축과 댐퍼 부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콘센트 커버가 닫히는 힘을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콘센트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저항을 부가하는 댐퍼 부재를 지지부와 일체적으로 마련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콘센트 본체나 콘센트 커버가 대형화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종래예와 같이 케이스와 커버의 위치 정렬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콘센트를 조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ile the outlet cover pressurized toward the closed position side is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the damper member is attached to this rotation shaft so as to contact with the rotation shaft. Therefore, when the outlet cove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side, the closing force of the outlet cover can be weakened by the sliding resistance generat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the damper member, so that the shock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can be alleviated. . Moreover, since the damper member which adds a sliding resistance was provided integrally with a support part, like a conventional example, an outlet main body and an outlet cover do not enlarg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align the case and the cover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outlet can be easily assembled.
상기 콘센트 본체가 플러그 삽입면을 대략 하향으로 하여 벽면에 배치된 상태 및 상기 콘센트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콘센트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콘센트 커버에는, 상기 콘센트 커버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배수 구멍이 마련되어, 상기 콘센트 커버의 상기 콘센트 본체에 대향하는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배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outlet body is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ith the plug insertion surface approximately downward, and the outlet cover is closed,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outlet cover. The outlet cover is provided with a drainage hole forming a gap between the outlet cover and the support portion, and water flowing along a surface of the outlet cover that faces the outlet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hol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 본체를 벽면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콘센트 커버를 닫았을 때에, 지지부는 콘센트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 콘센트 커버에는, 콘센트 커버와 지지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이 공간에는, 콘센트의 플러그 핀 삽입구가 존재하고 있음)에 빗물 등이 침입해도, 이 물은 배수 구멍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므로, 예를 들면 이 물이 콘센트의 각 플러그 핀 삽입구내에 들어가서 플러그 핀 받이부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공간에 침입한 물 중에서 콘센트 커버의 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는 물은, 지지부에 도달하기 전에 배수 구멍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므로, 이 물이 지지부에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지지부에 마련된 댐퍼 부재가 이 물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in the state where the outlet body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outlet cover. The outlet cover is formed with a drainage hole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let cover and the support portion. Therefore, even if rainwater or the like penetrate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outlet cover and the outlet body (the plug pin insertion port of the outlet exists in this space),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Water can get into each plug pin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and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lug pin receiving parts. In addition, the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outlet cover among the water entering th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before reaching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water is difficult to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and the damper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The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by this water.
상기 콘센트 커버의 상기 콘센트 본체와 대향하는 면에,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상기 배수 구멍으로 이끄는 리브가 마련되어도 좋다.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cover that faces the outlet main body, a rib may be provided that direct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ace to the drain hole while the outlet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 커버의 콘센트 본체와 대향하는 면에, 이 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배수 구멍으로 이끄는 리브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배수 구멍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물이 지지부에 침입하기 어려워져, 지지부에 마련된 댐퍼 부재가 이 물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rib which leads the water which flows through this surface to a drain hole is provided in the surface which faces the outlet main body of an outlet cover. As a result, the water flowing along this surface can be guided to the drainage hole, so that the water is less likely to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and the damper member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water.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접촉하는 상기 콘센트 커버의 부위에, 방수 시일 패킹이 마련되어도 좋다. The waterproof seal packing may be provided in the part of the said outlet cover which contacts the said outlet main body in a closed posi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 커버에 방수 시일 패킹을 마련했으므로,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waterproof seal packing is provided in the outlet cover, water can be prevented from invading the space enclosed by the outlet cover and the outlet body.
상기 콘센트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이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로 회동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가 마련되어도 좋다. A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outlet cover and the outlet body that face each other so as to alleviate the shock when the outlet cove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완충 부재를 마련했으므로, 콘센트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충 부재가 없을 때보다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was provided in at least one surface among the surfaces in which the outlet cover and the outlet main body oppose each other, the shock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can be more alleviated than without the shock absorbing member.
상기 콘센트 커버에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에, 이 플러그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The said outlet cover may be provided with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which keeps the plug pin inserted in the said plug pin insertion port by holding this plug, when the plug pin of a plug is inserted into the said plug pin insertion port.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센트 커버에 플러그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마련했으므로,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로부터 손을 떼어도 플러그가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which hold | maintains a plug is provided in an outlet cover, even if you remove a hand from a plug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plug pin of a plug into the plug pin insertion opening, a plug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ut by itself, and a plug is inserted. State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며, 콘센트 커버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utle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outlet cover is clo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콘센트 커버와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바이어싱 스프링을 나타내는 우측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콘센트 커버가이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콘센트에 삽입되기 전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콘센트에 삽입된 후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 커버 및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 커버 및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et cover and the support, and FIG. 3B is a right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iasing sprin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when the outlet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when the outlet cover is in this open posi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plug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단면도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utlet.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cover and a support part i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cover and a support part in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when the outlet cover in a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in an open position.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하기 설명중에 기재하는 상하 좌우 및 앞뒤 방향은, 각각 도 1 및 도 4중에 나타낸 직교 좌표의 방향에 대응한다.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the up, down, left,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rrespond to the directions of the rectangular coordinates shown in FIGS. 1 and 4, respectively.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1)은 콘센트 본체와, 콘센트 커버(2)와, 지지부(3)로 구성된다. 상기 콘센트 본체는, 보디(4)와, 보디(4)의 하면으로부터 플러그 핀 삽입구(51a)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보디(4)에 수납되는 콘센트 블럭(5)과, 보디(4)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덮는 화장 커버(6)로 이루어진다. 콘센트 커버(2)는, 보디(4)의 하면으로부터 노출한 플러그 핀 삽입구(51a)를 덮도록, 지지부(3)에 의해 보디(4)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보디(4)의 후면은 시일 패킹(7) 및 절연 부착 프레임(8)으로 덮어져 있다. The
보디(4)은, 시일 패킹(7)이 부착되는 프레임형상의 베이스(41)와, 베이스(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42)로 이루어진다. 베이스(41) 전면의 상단 중앙부 및 하단 중앙부에는, 부착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41a, 4lb)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의 부착 구멍(4lb)의 주위에는, 나사 커버(43)의 계지부(43a)를 계지하는 계지 구멍(41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41)의 상측면에는, 돌출부(42)와의 경계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감합홈(41d)이 형성되고 있고, 베이스(41)의 좌우 양측면에는 계지 홈(41e)이 마련되어 있다. The
돌출부(42)는, 대략 반원형상 상측벽부(42a)와,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하방을 향할수록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지고, 베이스(41)의 좌우 양쪽 측벽으로부터 연속해서 마련된 전방벽부(42b)와, 대략 반원형상 하측벽부(42c)로 구성된다. 돌출부(42)의 상측벽부(42a)에는, 상측의 부착 구멍(41a)에 삽입 통과되는 부착 나사를 통과시키는 홈부(42d)가 오목하게 마련되고, 전방벽부(42b)의 중앙 하부에는, 하측벽부(4c)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2개의 슬릿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휨 자유롭게 형성된 휨부(42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로부터 베이스(41)의 전면에 걸쳐서, 후술하는 콘센트 케이스(51)의 노출면(5lb)이 노출되는 삽입 통과구(42f)와, 후술하는 지지부 본체(31)의 지지 단부(31c)가 노출되는 삽입 통과구(41f)가, 측면시 대략 L자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개구하고 있다. The protruding
콘센트 블럭(5)은, 바깥쪽 테두리를 구성하는 콘센트 케이스(51)내에,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수납되는 플러그 핀 받이부(52)와, 벽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이 고정 스프링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The
콘센트 케이스(51)에는, 노출면(5lb)의 후술하는 오목부(51e)의 저면(51e1)에 형성되어서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51a)와, 전선을 고정 스프링에 삽입하기 위한 전선 삽입구(51c)가 마련되어 있다. The
플러그 핀 삽입구(51a)는,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 중 한 쌍의 전압측 플러그 핀 및 접지측 플러그 핀(91a1)이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한 쌍의 편평 플러그 핀 삽입구(51a1)과,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 중 접지극의 플러그 핀(91a2)이 삽입되는 대략 반원형상의 플러그 핀 삽입구(51a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plug
노출면(5lb)의 외주에는,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51d)가 노출면(5lb)과 단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다. 고정 플랜지가 하측벽부(42c)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노출면(5lb)이 삽입 통과구(42f)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또한 이 노출면(5lb)에는,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의 삽입 방향(이하, "플러그 삽입방향"이라 함)에 있어서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51e), 즉 도 1에 있어서 상방으로 움푹 들어감과 함께, 하면으로부터 봐서 원형 형상을 갖는 오목부(51e)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51e)는, 플러그 핀 삽입구(51a)를 가지는 저면(51e1)과, 저면(51e1)의 주연을 둘러쌈과 함께 상기 삽입 방향의 전방(즉,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면(51e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51e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9)의 플러그 케이스(92)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posed surface 5lb, a fixing
이 콘센트 케이스(51)은, 부착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콘센트 케이스(51)의 좌우 양측면에 마련된 보디 부착부(51f)에 삽입 통과하고, 이 부착 나사를 돌출부(42)의 후면에 형성된 부착 구멍(42g)에 나사식 결합하여, 돌출부(42)에 고정된다. This
화장 커버(6)은, 합성 수지로부터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디(4)의 상면, 전면, 및 측면을 덮도록 보디(4)에 부착된다. 이 화장 커버(6)은, 돌출부(42)의 상측벽부(42a)를 덮는 대략 반원형상 상측벽부(6a)와, 돌출부(42)의 반원통형상 전방벽부(42b)을 덮는 반원통형상 전방벽부(6b)과, 베이스(41)의 측면을 덮는 측벽부(6c)로 구성된다. The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 커버(6)의 상측벽부(6a)의 내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감합편(6d)이 마련된다. 또한, 화장 커버(6)의 좌우 양측의 측벽부(6c)의 내면에는, 측면시 대략 T자형상의 감합편(6e)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장 커버(6)의 전방벽부(6b)의 내면 하부에는, 복수의 (예컨대 4개의) 갈고리형 계지부(6f)(도 4 참조)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커버(6)는, 보디(4)의 상방으로부터, 감합편(6d) 및 감합편(6e)이 베이스(41) 상부의 감합홈(41d) 및 베이스(41) 측부의 계지 홈(41e)에 각각 슬라이드 감합되도록 하면서, 갈고리형의 계지부(6f)를 휨부(42e)의 하부에 계지함으로써, 보디(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또, 화장 커버(6)을 보디(4)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휨부(42e)와 화장 커버(6)의 전방벽부(6b)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지그를 삽입하고, 휨부(42e)를 후방으로 변위시켜서 갈고리형의 계지부(6f)를 휨부(42e)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화장 커버(6)을 분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콘센트 커버(2)은,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와 대략 동일한 반원형상이며, 전단에는 전방을 향하게 손잡이부(2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콘센트 커버(2)의 플러그 핀 삽입구(51a)와 대향하는 면(상면)의 중앙에는, 오목부(2b)가 오목하게 마련되고, 오목부(2b)의 중앙에는,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했을 때에 해당 플러그(9)을 걸어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2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콘센트 커버(2)의 후단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2개의 회동 지지부(21)가 그 축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콘센트 커버(2)로부터 돌출되어 동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 회동 지지부(21)에는, 후술하는 샤프트(32)의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삽통공(21a) 및, 후술하는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직선부(34c)가 삽입되는 계지 구멍(21b)(도3a 참조)이,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The
지지부(3)은, 베이스(41) 전면의 하부에 나사고정되는 지지부 본체(31)와, 지지부 본체(31)에 회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샤프트(32)와, 샤프트(32)의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의 삽통공(33a)를 가지는 예컨대 우레탄제의 댐퍼 부재(33)와, 2개의 바이어싱 스프링(34)을 가지고 있다. 바이어싱 스프링(34)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2)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나선형상의 스프링부(34a)와, 스프링부(34a)의 한쪽 단부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L자형상의 L자부(34b)와, 스프링부(34a)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부(34c)로 이루어진다. The
지지부 본체(31)은, 대략 직방체형상의 지지 기판부(31a)의 상반부에, 전방을 향하게 돌출된 대략 직방체형상의 기판 단차부(31b)를 갖는다. 기판 단차부(31b)의 중앙부에는, 단면 대략 U자형상의 지지 단차부(31c)가 전방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지지 단차부(31c)에는, 샤프트(32)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삽통공(31d)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지지 단차부(31c)의 좌우 양측에는,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이며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스프링부(34a)의 길이와 거의 같은 깊이의 유지 구멍(31e)이, 삽통공(31d)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 단차부(31c)의 좌우 양측에는, 2개의 바이어싱 스프링(34)이 각각 수납되는 원통 형상의 유지 구멍(31e)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유지 구멍(31e)의 중심끼리가 연결되도록, 샤프트(32)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31d)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단차부(31b)에 있어서 유지 구멍(31e)의 후방에는,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스프링부(34a)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은 폭의 홈(31f)이, 유지 구멍(31e)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도 3a 참조). 즉 바이어싱 스프링(34)은, 스프링부(34a)를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딩시켜서 홈(31f)을 통과시키고, 또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유지 구멍(31e)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지지부 본체(31)의 후면에는 댐퍼 부재(33)와 대략 동일 형상의 수납 구멍(31g)이 마련되어 있고(도 2 참조), 댐퍼 부재(33)은, 이 수납 구멍(31g)의 내부에 수납되어서, 지지부 본체(3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댐퍼 부재(33)가 수납 구멍(31g)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지지부 본체(31)의 삽통공(31d)와 댐퍼 부재(33)의 삽통공(33a)이 동일직선상에 배치되어서, 쌍방에 샤프트(32)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The support part
시일 패킹(7)은, 연질염화비닐 등의 탄성재료로부터 이루어지고, 베이스(41)의 후방에 부착된다. 이 시일 패킹(7)의 외곽의 치수는, 베이스(41)의 외곽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며, 시일 패킹(7)으로 벽면과 보디(4)의 사이를 밀착하는 것에 의해, 벽면과 보디(4)의 사이로부터 빗물 등의 물이 콘센트(1)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 시일 패킹(7)의 상단중앙부 및 하단중앙부에는, 보디(4)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7a, 7b)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또한, 시일 패킹(7)의 전면에는, 보디(4)의 후면에 형성된 감합 리브(41g)에 끼워 넣어지는 감합홈(7c)이 마련되고, 중앙상부에는, 벽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7d)이 관통하고 있다. The seal packing 7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oft vinyl chloride, and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절연 부착 프레임(8)은, 그 외곽의 치수가 시일 패킹(7)의 외곽의 치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서, 시일 패킹(7)의 후방으로부터 이 시일 패킹(7)의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절연 부착 프레임(8)의 상단중앙부 및 하단중앙부에는, 전술한 부착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부착 구멍(8a, 8b)이 각각 천공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8c)이 형성되어 있다. The insulating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블럭(5)은, 보디(4)의 돌출부(42)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콘센트 블럭(5)의 일부는,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에 마련된 관통 구멍인 삽입 통과구(42f)에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 케이스(51)의 고정부(51d)가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에 탑재되어, 노출면(5lb)과 고정부(51d)를 연결하는 측면부(51g)가 삽입 통과구(42f)의 주연에 단차지게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노출면(5lb)이 삽입 통과구(42f)로부터 노출하도록 돌출부(42)에 대하여 콘센트 블럭(5)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의 하면과 노출면(5lb)이, 콘센트 본체의 플러그 삽입면을 형성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삽입 통과구(42f)는, 전방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센트 블럭(5)은, 하방을 향할수록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경사한 형태로, 돌출부(42)에 부착되어 있다. 콘센트 케이스(51)의 오목부(51e)의 저면(51e1)에는, 플러그 핀 삽입구(51a)가 형성되고 있어, 이 저면(51e1) 및 플러그 핀 삽입구(51a)는, 삽입 통과구(42f)와 같이, 전방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The
베이스(41)에는, 삽입 통과구(41f)로부터 지지 단차부(31c)가 돌출하는 형태로, 지지부(3)가 후방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3)의 지지부 본체(31)는, 지지 기판부(31a)에 천공된 2개의 부착 구멍(31h)(도 3a 참조)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베이스(41) 후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41h)(도 2 참조)에 나사 결합하는 부착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베이스(41)에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 기판부(31a) 아래쪽에 형성된 대략 직방 형상의 3개의 계지 구멍(31i)에는, 나사 커버(43)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설치됨과 함께 베이스(41)에 형성된 계지 구멍(41i)에 삽입 통과된 3개의 커버 클릭(43b)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The
콘센트 커버(2)과 지지부(3)는, 콘센트 커버(2)의 회동 지지부(21)에 형성된 계지 구멍(2lb)내로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직선부(34c)을 삽입 통과한 후,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스프링부(34a)를 유지 구멍(34e)에 끼워 넣음과 함께 바이어싱 스프링(34)의 L자부(34b)을 지지부 본체(31)의 지지 단차부(31c)에 걸고(도 3a 참조), 샤프트(32)를, 회동 지지부(21)의 삽통공(21a)과, 바이어싱 스프링(34)과, 지지 단차부(31c)의 삽통공(31d)과, 댐퍼 부재(33)의 삽통공(33a)에 각각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댐퍼 부재(33)의 삽통공(33a)에는 그리스가 주입되어 있어, 샤프트(32)은, 댐퍼 부재(33)에 마찰되면서, 이 댐퍼 부재(33)에 대하여 회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32)은, 회동 지지부(21)의 삽통공(21a)에 압입 고정되어 있어, 콘센트 커버(2)과 샤프트(32)가 일체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콘센트 커버(2)을 닫힘 위치로부터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콘센트 커버(2)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와 비교해서 바이어싱 스프링(34)의 스프링부(34a)가 그 초기상태로부터 즉 콘센트 커버(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스프링 형상으로부터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바이어싱 스프링(34)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콘센트 커버(2)은 닫힘 위치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After the
즉 콘센트 커버(2)은, 삽입 통과구(42f) 및 플러그 핀 삽입구(51a)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닫힘 위치와, 삽입 통과구(42f)로부터 이격된 열림 위치의 사이를, 샤프트(32)을 회전 중심으로해서 회동 가능하며, 바이어싱 스프링(34)에 의해 닫힘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4)의 베이스(41)의 후방에는 시일 패킹(7)이 마련되고, 시일 패킹(7)후방에는, 절연 부착 프레임(8)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2개의 부착 나사를, 베이스(41)에 형성된 부착 구멍(41a, 4lb)과, 시일 패킹(7)에 형성된 부착 구멍(7a, 7b)과, 절연 부착 프레임(8)에 형성된 부착 구멍(8a, 8b)에 각각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보디(4)과 벽면과의 사이에 시일 패킹(7)과 절연 부착 프레임(8)이 끼워지는 형태로, 각각의 위치가 유지되어서 벽면에 고정된다. Moreover, as mentioned above, the seal packing 7 is provided in the back of the
다음에,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꽂고 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5-8,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plugging in and removing the
우선, 도 5을 참조하여,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의 콘센트(1)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5, the state of the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커버(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이 콘센트 커버(2)은, 보디(4)의 돌출부(42)의 하면을 덮음과 함께 화장 커버(6)의 하측 에지를 덮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 커버(2)은 화장 커버(6)의 개구한 하면과 대략 동일 형상이며, 전방에서는 화장 커버(6)의 하단면에 접촉하고, 후방에서는 화장 커버(6)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어, 화장 커버(6)을 하측으로부터 대략 간극없이 덮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바이어싱 스프링(34)에 의해, 콘센트 커버(2)에 삽입 통과구(42f)를 향해서 가압하는 힘이 작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콘센트 커버(2)의 자중(自重)에 의해 콘센트 커버(2)가 아래쪽으로 회동해서 화장 커버(6)과 콘센트 커버(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일반적으로, 플러그 핀 삽입구를 덮는 콘센트 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했을 경우, 플러그를 뽑은 뒤에 이 콘센트 커버를 닫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 콘센트의 부근에 있어서 세차를 하고 있을 때에, 세차에 사용하고 있던 물이 플러그 핀 삽입구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3)에 바이어싱 스프링(34)을 마련해서 콘센트 커버(2)을 항상 삽입 통과구(42f)를 향해 가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콘센트 커버(2)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outlet cover covering the plug pin insertion port is provided to be openable and closed, the outlet cover may be forgotten to be closed after the plug is removed.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washing the car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water used for washing may intrude into the plug pin insertion port.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iasing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operation when inserting the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할 때에는, 우선, 콘센트 커버(2)의 손잡이부(2a)를 손으로 쥐고 콘센트 커버(2)을 아래쪽으로 회동시켜, 콘센트 커버(2)을 연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9)의 플러그 케이스(92)에 있어서 플러그 핀(91a)이 마련된 전방면(92a)이, 콘센트 케이스(51)의 저면(51e1)에 닿을 때까지 플러그(9)을 상방으로 억지로 밀어 넣어,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꽂는다. When inserting the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했을 때의 콘센트(1)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9, the state of the
콘센트 블럭(5)에 수납된 플러그 핀 받이부(52)는, 플러그(9)의 각 플러그 핀(91a)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핀 받이부(52)는, 플러그 핀(91a)에 있어서의 전압측 플러그 핀 및 접지측 플러그 핀(91a1)의 각각을 각 플러그 핀(91a1)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전원측 핀 받이와, 플러그 핀(91a)에 있어서의 접지극의 플러그 핀(91a2)을 플러그 핀(91a2)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접지측 핀 받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원측 핀 받이 및 접지측 핀 받이의 각각은, 각 플러그 핀(91a1 및 91a2)을 끼울 때,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이 탄성변형에 기인하는 복원력에 의해, 전원측 핀 받이 및 접지측 핀 받이는, 각 플러그 핀(91a1 및 91a2)의 각각을 유지하게 된다. The plug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되었을 때에, 유지부(2c)에 의해 플러그(9)을 계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콘센트 커버(2)의 오목부(2b) 내에 형성된 유지부(2c)가, 플러그 케이스(92)의 배면(92b)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한 상태가 된다. 즉, 플러그 케이스(92)의 배면(92b)을 유지부(2c)에 걸어, 플러그(9)을 유지하고 있다. 콘센트 커버(2)은, 바이어싱 스프링(34)에 의해 도 8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으므로, 유지부(2c)가 플러그(9)을 상방으로 밀게 되어, 안정적으로 플러그(9)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유지부(2c)로 플러그(9)을 유지함으로써, 플러그(9)는 콘센트(1)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어, 예를 들면 플러그(9)의 케이블에 발이 걸린 경우라도 플러그(9)가 콘센트(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 케이스(51)에 오목부(51e)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51e) 내에 플러그 케이스(9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되어서 플러그(9)가 도통하고 있을 때에는, 플러그 케이스(92)의 전방면(92a)과 삽입 통과구(42f)의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고 있지 않아, 도통한 플러그 핀(91a)에 손 등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마지막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로부터 뽑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Finally,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the operation when the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을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삽입한 상태(도 8 참조)로부터, 손잡이부(2a)를 쥐고 콘센트 커버(2)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유지부(2c)과 플러그 케이스(92)의 배면(92b)을 이격시킨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9)를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하방)으로 당기면, 플러그(9)의 플러그 핀(91a)이 플러그 핀 삽입구(51a)로부터 빠진다. 여기에서 플러그(9)를 아래쪽으로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플러그(9)를 뽑을 수 있다. From the state in which the
플러그(9)를 뽑은 후에 콘센트 커버(2)의 손잡이부(2a)로부터 손을 떼면, 바이어싱 스프링(34)의 가압력에 의해, 콘센트 커버(2)은 닫힘 위치측으로(도 7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샤프트(32)는 콘센트 커버(2)의 회동 지지부(21)에 압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2)도 콘센트 커버(2)과 함께 회동한다. 이 때, 샤프트(32)과 댐퍼 부재(33)가 마찰되어 슬라이딩 저항이 발생하므로, 샤프트(32) 및 콘센트 커버(2)의 회전속도가 저하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 커버(2)가 화장 커버(6)에 접촉할 때의 콘센트 커버(2)의 회전속도가, 댐퍼 부재(33)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늦어지므로, 콘센트 커버(2)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 부재(33)를 지지부 본체(3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으므로, 댐퍼 부재(33)를 고정하지 않고 있을 경우보다도, 회동하는 샤프트(32)에 대하여 강한 슬라이딩 저항을 가하게 되어 있다.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는, 댐퍼 부재(33)를 설치함으로써 콘센트 커버(2)가 닫힐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콘센트 커버(2)을 닫을 때에 큰 소리가 발생하거나, 충격으로 콘센트 커버(2)가 파손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저항을 부가하는 댐퍼 부재(33)을 지지부(3)와 일체적으로 마련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콘센트 본체나 콘센트 커버가 대형화하는 일이 없다. 또한, 댐퍼 부재(33)을 배치할 때에 종래예와 같이 위치 정렬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용이하게 콘센트(1)을 조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 9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콘센트 커버(2)에 배수 구멍(22)과 리브(23)을 마련한 것 이외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콘센트 커버(2)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tructure except having provided the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화장 커버(6)의 하면을 덮도록 콘센트 커버(2)를 마련함으로써, 콘센트 커버(2)와 화장 커버(6)로 둘러싸여진 공간(플러그 핀 삽입구(51a)가 있는 공간)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이어도 물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고, 예를 들면 콘센트 커버(2)의 손잡이부(2a)와 화장 커버(6) 전방벽부(6b)의 사이의 약간의 간극으로부터, 빗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 물은, 예를 들면, 콘센트 커버(2)에 대하여 아래쪽에 있는 지지부(3)에 흘러 들어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댐퍼 부재(33)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커버(2)의 2개의 회동 지지부(21)의 사이에 배수 구멍(22)을 마련하고, 회동 지지부(21)의 전방(회동 지지부(21)로부터 봐서 손잡이부(2a) 측)에 리브(23)를 마련하고 있다. 이 배수 구멍(22)은, 콘센트 커버(2)를 지지부(3)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단차부(31c)와 콘센트 커버(2)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형성되고, 리브(23)는, 손잡이부(2a)로부터 회동 지지부(21)를 향해서 흐르는 물을 배수 구멍(22)으로 이끌도록, 콘센트 커버(2)의 상면(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대향하는 면)에, 이 면보다도 한층 높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공간 내에 침입한 물은, 리브(23)를 따라 배수 구멍(22)에 흘러서 외부에 배출된다. 따라서, 지지부(3)에 물이 흘러 들어와서 댐퍼 부재(33)가 열화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제 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콘센트 커버(2)에 방수 시일 패킹(24)을 마련한 것 이외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으로, 콘센트 커버(2)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except having provided the waterproof seal packing 24 in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 커버(2)의 상면(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플러그 핀 삽입구(51a)에 대향하는 면) 및 측면에, 엘라스토머 등의 탄력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형성된 대략 U자형상의 방수 시일 패킹(24)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 커버(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콘센트 커버(2)와 화장 커버(6)가 간극없이 밀착하므로, 콘센트 커버(2)와 화장 커버(6)로 둘러싸여진 공간으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antially U-shaped waterproof seal packing formed from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n elastomer, on the upper surface (surface facing the plug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해서,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콘센트 커버(2)에 배수 구멍이나 리브를 마련해도 좋다.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제 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하기 설명중에서의 상하 방향은, 도 11중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돌출부(42)의 하측벽부(42c)에 완충 부재(100)을 마련한 것 이외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공통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tructure except having provided the
본 실시형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2) 하측벽부(42c)의 하면에,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주형상의 완충 부재(100)을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콘센트 커버(2)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변위할 때에,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댐퍼 부재(33)와 샤프트(32)의 사이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콘센트 커버(2)의 회전속도가 저하하는 것에 더하여, 콘센트 커버(2)가 완충 부재(100)에 접촉함으로써 충격이 완화되므로, 제 1 실시 형태보다도 더욱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또한, 완충 부재(100)은 콘센트 케이스(51)의 노출면(5lb)이나 콘센트 커버(2)의 상면 등에 마련해도 좋고, 복수 부분에 동시에 마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실시 형태나 제 3 실시 형태와 같이, 배수 구멍이나 리브, 방수 시일 패킹을 마련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like a 2nd embodiment or 3rd embodiment, you may provide a drain hole, a rib, and a waterproof seal packing.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는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regoing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6)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핀 삽입구가 형성된 플러그 삽입면을 갖는 콘센트 본체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플러그 삽입면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플러그 삽입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콘센트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대하여 상기 콘센트 커버의 그 일단부에 마련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콘센트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콘센트 커버에 고정되어서 해당 콘센트 커버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콘센트 커버를 닫힘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을 가지는 댐퍼 부재가 마련되고, 이 댐퍼 부재는, 상기 콘센트 커버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할 때에 슬라이딩 저항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바이어싱 부재로부터 상기 콘센트 커버에 부여되는 가압력을 감쇠시키며,
상기 콘센트 커버에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플러그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플러그 핀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콘센트.
In the outlet,
An outlet body having a plug insertion surface with a plug pi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lug pin of a plug is detachably inserted;
An outlet cover rotat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plug insertion surface of the outlet body and an open position exposing the plug insertion surface of the outlet body to the outside;
A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outlet cover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the outlet cover with respect to the outlet body, wherein the rotation shaft is fixed to the outlet cover to integrally rotate with the outlet cover. With the support,
A biasing member for urging the outlet cover to the closed position;
The said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the damper member which has a shaft hole into which the said rotation shaft is inserted, This damper member adds a sliding resistance when the said outlet cove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aid support part, and the said outlet cover is removed from the said biasing member. Dampens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The outlet cover is provided with a retaining portion provided to hold the plug pin in the plug pin insertion hole by holding the plug when the plug pi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pin insertion hol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센트 본체가 상기 플러그 삽입면이 하향으로 되도록 벽면에 배치된 상태 및 상기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콘센트 커버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대향하는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해당 콘센트 커버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outlet cover in a state where the outlet body is disposed on a wall surface such that the plug insertion surface is downward and the outlet cover is in a closed position.
The outlet cover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pposite to the outlet body to the outside such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let cover and the support portion.
상기 콘센트 커버의 상기 콘센트 본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이 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상기 배수 구멍으로 이끄는 리브를 마련한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outle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let cover facing the outlet body, the ribs leading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ace to the drainage hole when the outlet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상기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접촉하는 상기 콘센트 커버의 부위에, 방수 시일 패킹을 마련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outlet provided with a waterproof seal packing at a portion of the outlet cover that contacts the outlet body while the outlet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상기 콘센트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상기 콘센트 커버가 닫힘 위치로 회동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마련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outlet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of the outlet cover and the outlet main body facing each other, to cushion the shock when the outlet cover rotates to the closed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31781A JP4951048B2 (en) | 2009-10-05 | 2009-10-05 | Outlet |
JPJP-P-2009-231781 | 2009-10-05 | ||
PCT/IB2010/002470 WO2011042783A1 (en) | 2009-10-05 | 2010-09-30 | Recepta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2379A KR20120072379A (en) | 2012-07-03 |
KR101323504B1 true KR101323504B1 (en) | 2013-10-29 |
Family
ID=4385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1547A KR101323504B1 (en) | 2009-10-05 | 2010-09-30 | Recepta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951048B2 (en) |
KR (1) | KR101323504B1 (en) |
CN (1) | CN102576958B (en) |
TW (1) | TWI406456B (en) |
WO (1) | WO201104278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83395B2 (en) * | 2009-12-14 | 2014-09-0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Outlet block |
TWI398046B (en) * | 2010-12-17 | 2013-06-01 | Ability Entpr Co Ltd | Signal transmission mechanism |
JP5732319B2 (en) * | 2011-06-02 | 2015-06-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5906410B2 (en) * | 2011-09-21 | 2016-04-2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Outlet |
JP2013109981A (en) * | 2011-11-22 | 2013-06-06 | Panasonic Corp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CN103762448A (en) * | 2014-01-25 | 2014-04-30 | 骆德元 | Resistance mechanism of floor socket |
CN104979689A (en) * | 2014-04-11 | 2015-10-14 | 德胜(苏州)洋楼有限公司 | Outdoor socket for log cabin |
JP2017228370A (en) * | 2016-06-20 | 2017-12-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Wiring accessory cover, wiring accessory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accessory cov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7581U (en) * | 1983-12-23 | 1985-07-22 | 松下電工株式会社 | Rainproof wiring equipment |
JPH0973946A (en) * | 1995-09-05 | 1997-03-18 | Sumitomo Wiring Syst Ltd | Water-proof structure |
JP2001317537A (en) * | 2000-05-08 | 2001-11-16 | Sando Kogyosho:Kk | Rotation suppressing device for small sized apparatus |
JP2005158345A (en) * | 2003-11-21 | 2005-06-16 | Sumitomo Wiring Syst Ltd | Outlet cover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8989U (en) * | 1981-09-10 | 1983-03-14 | 株式会社林製作所 | Power plug fall prevention device for concrete vibrator |
JPS60107581A (en) * | 1983-11-15 | 1985-06-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easuring device for position of sound source |
CN2181098Y (en) * | 1993-11-30 | 1994-10-26 | 洪志平 | Outdoor rain-proof electric plug and socket |
JPH09147980A (en) * | 1995-11-20 | 1997-06-06 | Hitachi Ltd | Plug removal cover structure |
JP2000252010A (en) * | 1999-02-26 | 2000-09-14 | Asahi Optical Co Ltd | Coming-out preventing structure of connector device |
JP3709837B2 (en) * | 2001-11-27 | 2005-10-26 | 松下電工株式会社 | Drip-proof plate |
CN2537142Y (en) * | 2002-04-29 | 2003-02-19 | 赖丽纯 | Rotary pivoted socket with long wire for outdoor grass plots |
JP2004214064A (en) * | 2003-01-06 | 2004-07-29 | Yoshinobu Ito | Power receptacle and plug connection set |
KR20040076668A (en) * | 2003-02-26 | 2004-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hwasher |
CN100363205C (en) * | 2004-03-10 | 2008-01-23 | 怡利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 Ceiling multimedia playing device |
CN101355210B (en) * | 2007-07-25 | 2011-08-17 | 乐清市恒通电气有限公司 | Socket for industry |
-
2009
- 2009-10-05 JP JP2009231781A patent/JP4951048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09-30 CN CN201080044647.4A patent/CN10257695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9-30 WO PCT/IB2010/002470 patent/WO201104278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30 KR KR1020127011547A patent/KR10132350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10-04 TW TW099133760A patent/TWI406456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7581U (en) * | 1983-12-23 | 1985-07-22 | 松下電工株式会社 | Rainproof wiring equipment |
JPH0973946A (en) * | 1995-09-05 | 1997-03-18 | Sumitomo Wiring Syst Ltd | Water-proof structure |
JP2001317537A (en) * | 2000-05-08 | 2001-11-16 | Sando Kogyosho:Kk | Rotation suppressing device for small sized apparatus |
JP2005158345A (en) * | 2003-11-21 | 2005-06-16 | Sumitomo Wiring Syst Ltd | Outlet cover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06456B (en) | 2013-08-21 |
JP2011081962A (en) | 2011-04-21 |
WO2011042783A8 (en) | 2012-03-29 |
KR20120072379A (en) | 2012-07-03 |
JP4951048B2 (en) | 2012-06-13 |
TW201125232A (en) | 2011-07-16 |
CN102576958B (en) | 2015-04-15 |
WO2011042783A1 (en) | 2011-04-14 |
CN102576958A (en) | 2012-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3504B1 (en) | Receptacle | |
KR100225430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 |
KR100724995B1 (en) |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 |
KR100989090B1 (en) | Desk-mounted multi-outlet | |
JP2002250845A (en) |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 |
US10910760B1 (en) | Modular connector with a rotatable locking part for engaging with a mating modular connector | |
JP5834172B2 (en) | Outlet plate and embedded outlet including the same | |
JP5583395B2 (en) | Outlet block | |
JPWO2018190032A1 (en) | Electronics and protective covers | |
JP2005158331A (en) |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
KR100688445B1 (en) | Desk with power supply unit and communication unit | |
CN110649470B (en) | Cover body and distribution board | |
JP5853168B2 (en) | Cord connector and plug and cord connector | |
KR200366241Y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from static electricity | |
KR200226176Y1 (en) | Computer case | |
KR101063564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SB connector | |
KR100934001B1 (en) |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communication pad for internet refrigerator | |
KR100700785B1 (en) | Battery pack mounting structure of portable display | |
JP5801736B2 (en) | Joint box | |
JP2007335263A (en) | Table tap | |
KR200424485Y1 (en) | Actuat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
KR100762988B1 (en) | Actuat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
JP5840307B2 (en) | Circuit breaker | |
KR101258684B1 (en) | USB memory of stick typ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for terminal | |
KR20060120905A (en) | Portable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