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48Y1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448Y1 KR200490448Y1 KR2020180004143U KR20180004143U KR200490448Y1 KR 200490448 Y1 KR200490448 Y1 KR 200490448Y1 KR 2020180004143 U KR2020180004143 U KR 2020180004143U KR 20180004143 U KR20180004143 U KR 20180004143U KR 200490448 Y1 KR200490448 Y1 KR 2004904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bracket
- hole
- coupling hole
- stri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부재; 상기 스트링거부재의 측면에 볼트의 체결로 설치되는 하부브래킷부재; 다수의 중간난간대 및 상부난간대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브래킷부재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포스트부재; 상기 상부난간대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포스트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부재;를 마련하여 핸드레일의 설치 작업 시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여 용접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용접 작업에 따른 용접 인원이 불필요하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체결수단에 의해 핸드레일을 설치함에 따라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 prefabricated handrail for a staircase, comprising: a stringer member installed on a side of a staircas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lower bracket member installed at a side of the stringer member by fastening a bolt; A fixed post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 side of the lower bracket member so tha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andrails and upper handrails are installed; By providing an upper bracket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ost member so that the upper handrail is installed stably, the welding work is unnecessary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andrail, and can be safely installed without fear of fire due to welding, weld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worker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work because the welding personnel are unnecessary, and the work time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by installing the handrail by the fastening means.
Description
본 고안은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의 설치 시 용접 작업 없이 핸드레일의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that can make the installation of the handrail safer without welding when installing the handrail install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tairs. will be.
일반적으로 핸드레일(handrail)이라 하면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항만, 해양구조물, 선박 및 각종 플랜트 등에 안전을 확보하고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일종의 보호 설비를 말한다.In general, a handrail refers to a kind of protective equipment installed to ensure safety and smooth traffic in roads, residential complexes, subways, ports, offshore structures, ships, and various plants.
한편 건물 계단에는 보행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시설물로서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 구조물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a safety facility to prevent the fall of pedestrians, the railing structure is installed along the side edge of the building stairs.
이러한 계단 난간 구조물은 각 계단참에 세워진 상하 포스트 사이에 경사진 형태의 난간 패널을 연결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난간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게 되면 보행자가 손으로 잡아 의지할 수 있도록 상부 핸드레일과 하부 핸드레일이 서로 평행하게 경사 방향으로 설치된다.Such a stair railing structure is installed by connecting a sloped railing panel between upper and lower posts erected at each landing, and when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railing panel is viewed, the upper handrail and the lower handrail can be relied on by pedestrians by hand. These are installed in the inclined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상하부 핸드레일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의 동자 기둥들이 연결되어 핸드레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Between the upper and lower handrails, the pillars of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handrail.
상기와 같은 계단 난간을 시공함에 있어 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 작업이 모두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현장 인건비 상승 및 공기 단축의 필요에 따라 공장에서 핸드레일과 동자기둥을 조립하여 난간 패널을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이를 반입하여 설치 장소인 계단에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stair railing as described above, all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work was done on-site, but recently, handrails and copper columns are assembled in the factory to manufacture handrail panel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on-site labor cost increase and shortening of air. It is a general form to carry in and install it on the stairs which are installation places.
이에 상기와 같은 핸드레일(handrail)과 동자기둥을 연결하여 난간 패널을 조립함에 있어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방식들을 보게 되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조립 연결 방식으로는 스크류 연결방식과 용접 방식 및 억지끼움 방식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handrails and the same colum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ssemble the handrail panel, the conventionally used methods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crew connection method, the welding method, and the interference method are most commonly used. The fitting method is representative.
상기 방식들의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tents of the above schemes are as shown in FIG.
먼저, 종래의 방식들 중 스크류 연결 방식은 별도의 연결구(3)를 사용하여 핸드레일(1)과 동자기둥(2)을 연결하는 방식에 해당하는데, 상기 종래의 연결구(3)는 도 1의 (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측(도면상 윗쪽 부분)은 핸드레일(1)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도면상 아래쪽 부분)에는 동자기둥(2)의 상단부가 끼움 고정되어 있다.First,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s, the screw connection method corresponds to a method of connecting the handrail 1 and the copper pillar 2 by using a separate connector 3, the conventional connector 3 of FIG. As shown in (a), one side (upper part in the drawing)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andrail 1, and the other end (lower part in the drawing) is fit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olumn 2 fixed.
상기 윗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은 힌지(h)로 결합되어 핸드레일(1)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동자기둥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coupled to the hinge (h)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magnetic po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1).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에 있어 연결구(3)를 핸드레일(1)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 연결구마다 스크류 볼트(s)를 일일이 안쪽에서 박아 고정하였는데, 난간 패널의 조립 제작 과정에 있어 이러한 스크류 볼팅 작업은 인력 및 시간적 소요가 많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으로서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작 단가가 올라가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ng the connector 3 to the handrail 1,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crew bolts s were fixed and fixed from the inside of each connector, and in the assembly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andrail panel, This screw bolting work is a very cumbersome work that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 rise in manufacturing cost.
다음으로, 도 1의(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용접(welding) 방식을 살펴 보면, 이는 핸드레일(1)에 동자기둥(2)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용접 방식에 따를 경우, 핸드레일(1)과 동자기둥(2)의 용접 시 마감면이 깨끗하지 않아 미관상으로 문제가 있었다.Next, looking at a welding method as shown in FIG. 1 (b), this is a method of welding and fixing a copper pole 2 to the handrail 1,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welding method. In this case, when the welding of the handrail (1) and the copper pillar (2) the finish surface is not clean, there was a problem in appearanc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용접 방식에 따르면 핸드레일-동자기둥 접합부에 별도의 마감 캡(c)을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마감 캡은 경사진 접합부의 형태에 맞게 커버가 가능하도록 곡면 벤딩 가공된 링의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는바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weld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finishing cap (c) was installed at the handrail-column joint, and the finishing cap was in the form of a curved bent ring to cover the inclined joint. To be produc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아울러 설치 후에도 다소의 충격에 의해서도 마감 캡이 쉽게 이탈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even after install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losing cap is easily detached and falls down by some impact.
또한 도 1의(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억지끼움 방식을 보게 되면, 이는 핸드레일(1)에 동자기둥(2)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결합공(p)을 천공하고 여기에 동자기둥(2)을 삽입하여 결합공(p)과 동자기둥(2) 외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억지끼움(tight-fit)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In addition, if you see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s shown in Fig. 1 (c), it drills the coupling hole (p) to fit the copper pole (2) to the handrail (1) and the copper pole (2) ) Is inserted into a tight-fit method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coupling hole (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pper pole (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억지끼움 방식에 따르면, 핸드레일(1)의 결합공(p)과 동자기둥(2)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기 쉬우며, 억지끼움 작업 시 마찰로 인해 동자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는바, 후속 마무리 작업으로서 억지끼움부에 별도의 후도장 작업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terference fit method as described above, a gap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coupling hole (p) of the handrail (1) and the copper pole (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pper pole due to friction during interference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scratches occurr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after-painting work is required in the interference fitting as a subsequent finishing work.
한편 용접 방식에 따른 핸드레일은 용접 도중에 인화물질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어 인명사고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하여 건축물을 재시공 해야 문제점이 있고, 용접 작업 시 On the other hand, handrails according to the welding method may cause a fire due to a flammable material during welding, which requires a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due to fire as well as a human accident.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계단 핸드레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air handrail device'.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계단 핸드레일 장치는 계단의 방향이 전환되는 계단참을 중심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속되는 계단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있어서, 위쪽 첫번째 계단과 아래쪽 첫번째 계단에 고정되는 지지구에 지주가 설치된 지지수단,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드바와 상기 핸드바를 상호연결하되 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운 자바라관으로 형성되는 형태변형부재에 코팅관을 결합하여 상기 핸드바에 나사결합되는 핸드바연결구가 갖추어진 손잡이수단 및 상기 지주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핸드바와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간살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난간대 몸체를 구비한다.The stair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s installed on the stairs that are continuous up and down centering on the landing where the direction of the stairs is switched, and in the stair handrail device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the upper first stairs and the lower first Support means installed on the support is fixed to the staircase, the hand ba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hand bar is connected to the shape bar formed by a bellows tube to form a deformation of the bellows freely connected to the hand bar to the hand bar Handle means equipped with screwed hand bar connector and the handrail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and parallel to the hand bar, the handrail is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상기 간살은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난간대 몸체에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에 절곡부를 두어 상기 난간대 몸체에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난간대 몸체의 상부에 끼워지며 양측에 발광체가 구비되어 발광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 덮개가 구비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The liver is coupled to the balustrade bod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has a bent portion at the top and the bottom so as to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lustrade body. It includes a guide means having a cover to form.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계단용 핸드레일'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ep handrail'.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계단용 핸드레일은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는 단형(段形)의 통로인 계단에 설치되는 계단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한 쌍의 플레이트가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회동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락킹(locking)수단를 포함한다.The stair handrail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s a stair handrail installed in a stairway which is a stepped passage that connects two floor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 pair of plates ar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rizontal frame to mainta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a support frame supporti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 pivot fram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by a hinge, and installed on the pivot frame to lock or unlock the pivot frame. And locking means capable of locking.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되 중앙홀(hole)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중앙홀(hole)에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핀(pin)부와, 상기 핀(pin)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핀부와 스프링을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the base plate having a central hole, a pin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and a spring inserted into the pin portion. And a housing covering the pin portion and the spring.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 작업 없이 계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안전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the step of allowing the handrail to be installed on the stairs without welding work safely assembled by means of fastening such as bolt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레일을 볼트 체결로 설치함으로써 핸드레일의 설치 작업을 신속하게 함은 물론 핸드레일의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rail for the prefabricated staircase that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the handrail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the handrail by bolt fasten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부재; 상기 스트링거부재의 측면에 볼트 또는 피스등의 체결수단으로 설치되는 하부브래킷부재; 다수의 중간난간대 및 상부난간대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브래킷부재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포스트부재; 상기 상부난간대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포스트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inger memb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aircase is install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lower bracket member installed on a side of the stringer member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piece; A fixed post member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 side of the lower bracket member so tha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andrails and upper handrails are installed; And an upper bracket member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member so that the upper handrail is stably installed.
상기 고정포스트부재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본체; 상기 중간난간대가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중간난간대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구멍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구멍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구멍; 상기 상부난간대를 고정시키는 상기 상부브래킷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결합구멍; 상기 상부브래킷부재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결합구멍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post member is a post body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post main body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the middle handrail is coupled;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side of the coupling hole to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intermediate handrail is stably fixed; An upper coupling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body so that the upper bracket member for fixing the upper handrail is fitted into and couple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coupling hole to be fastened to the upper bracket member.
상기 하부브래킷부재는 상기 스트링거부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스트링거부재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브래킷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본체에는 상기 스트링거부재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래킷본체에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bracket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which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ringer member, the first bracket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stringer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the bracket body The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to be fixed to the stringer member, the second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in the bracket body made of a rectangular shape.
상기 상부브래킷부재는 상기 고정포스트부재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상부난간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상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상부난간대에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bracket member is a vertical fram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xed post member; A support fram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upper handrail is stably seat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such that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pieces are fastened to the upper handrail.
상기 스트링거부재에는 상기 하부브래킷부재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에는 상기 하부브래킷부재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in the stringer member to fix the lower bracket member, and the lower bracket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holes by fastening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에 의하면, 핸드레일의 설치 작업 시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여 용접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용접 작업에 따른 용접 인원이 불필요하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체결수단에 의해 핸드레일을 설치함에 따라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work is unnecessary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handrail, so that it can be safely installed without the risk of fire due to welding, and the welding personnel according to the welding work are unnecessary. The number of worker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reduced, and the work time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by installing the handrail by the fastening mean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에 의하면, 핸드레일의 시공 후 핸드레일의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한 경우, 파손 또는 손상된 핸드레일을 분리한 다음 해당 구간에 핸드레일을 체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handrail is damaged or damag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handrail, the broken or damaged handrail is separated and then the handrail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can be easily reinstalled by the fastening means. The effect can be obtained.
도 1은 종래의 핸드레일의 조립 방식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와 스트링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상부난간대와 고정포스트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와 중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view showing assembly methods of a conventional handrail
Figure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fixed post member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st member and the stringer member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andrail and the fixed post member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st member and the intermediate handrail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부재(10), 상기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로 설치되는 하부브래킷부재(20), 다수의 중간난간대(52) 및 상부난간대(51)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포스트부재(30), 상기 상부난간대(51)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부재(40)를 포함한다.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은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현장 작업 시 용접 작업 없이 고정포스트부재(30)를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함은 물론 고정포스트부재(30)에 중간난간대(52) 및 상부난간대(51)를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용접 작업에 의한 화재 발생의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핸드레일의 유지·보수 작업 시 핸드레일의 일부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the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pieces without the welding work in the field work for installing the handrail, as well as the fixed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은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링거부재(10), 상기 스트링거부재(10)에 설치되는 하부브래킷부재(20),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에 고정된 고정포스트부재(30),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부재(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스트링거부재(10)는 계단(도 5 및 도 6 참조)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링거부재(10)는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어 발 빠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이러한 스트링거부재(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링거부재(10)는 외측면에 하부브래킷부재(20)가 설치되도록 측면에 다수의 고정구멍(11)이 형성된다.The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는 고정포스트부재(30)를 스트링거부재(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는 상기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21)과 제2 브래킷(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브래킷(21)은 상기 스트링거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브래킷본체(2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본체(22)에는 상기 스트링거부재(10)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25)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래킷본체(26)에 다수의 볼트구멍(27)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 브래킷(21)은 경사지게 형성된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제2 브래킷(25)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설치된다.The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21)은 상면이 스트링거부재(10)와 동일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브래킷본체(22)와 상기 스트링거부재(10)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도록 다수의 볼트구멍(23)이 형성된다.2 and 3, the
상기 제2 브래킷(25)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브래킷본체(26)에 다수의 볼트구멍(27)이 형성된다. 이들 하부브래킷부재(20)는 고정포스트부재(30)를 스트링거부재(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볼트구멍(23, 27)이 형성된다.The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fixed post member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포스트본체(31), 상기 중간난간대(52)가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3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33), 상기 중간난간대(52)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구멍(33)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구멍(33)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구멍(34), 상기 상부난간대(51)를 고정시키는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가 끼워지게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결합구멍(35),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결합구멍(35)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멍(3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ixed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는 계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난간대(51)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로 포스트본체(31)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fixed
이러한 포스트본체(31)의 높이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부난간대(51) 및 중간난간대(52)에 따라 그 높이가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eight of the
상기 포스트본체(31)는 일정 두께 및 폭을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본체(31)의 하부에는 하부브래킷부재(20)가 고정되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포스트본체(31)에는 중간난간대(5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33)은 중간난간대(52)가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결합구멍(33)은 중간난간대(52)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상기 결합구멍(33)의 측면에는 중간난간대(52)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체결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구멍(34)은 결합구멍(3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A
즉, 상기 결합구멍(33)은 포스트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멍(34)은 포스트본체(31)의 측면에서 결합구멍(33)까지 관통되게 형성된다.That is, the
아울러 제1 체결구멍(34)은 중간난간대(52)에 체결되는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이 고정포스트부재(3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체결구멍(34)의 내측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1 체결구멍(34)은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의 볼트머리가 고정포스트부재(3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체결구멍(34)의 입구를 확장하여 형성한다.That is, the
이러한 제1 체결구멍(34)은 일정 높이 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3)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단에는 상부결합구멍(35)이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holes 3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s 33 formed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respectively, and an
상기 상부결합구멍(35)은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구멍(35)은 상부브래킷부재(40)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브래킷부재(40)의 수직프레임(41)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The
상기 상부결합구멍(35)의 일측에는 상부브래킷부재(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 체결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구멍(36)은 고정포스트부재(30)의 일 측면에서 상부결합구멍(35)까지 관통되게 형성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는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1), 상기 상부난간대(51)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51) 상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프레임(43), 상기 상부난간대(51)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43)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멍(44)을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는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부에 상부난간대(51)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는 상부결합구멍(35)에 끼워지는 수직프레임(41)과 상기 수직프레임(41)의 상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수직프레임(41)은 상부결합구멍(35)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3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관통구멍(42)이 형성된다.The
아울러 상기 받침프레임(43)은 상부난간대(51)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부난간대(51)와 동일한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43)은 상부난간대(51)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프레임(43)에는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체결구멍(44)이 다수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와 스트링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상부난간대와 고정포스트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고정포스트부재와 중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st member and the stringer member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andrail and the fixed post member are coupled,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st member and the middle handrail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거부재(10)는 설치하고자 하는 계단의 길이에 맞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위에 제1 브래킷(21) 또는 제2 브래킷(25)에 대응되는 고정구멍(11)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2 to 7, the
아울러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인 제1 브래킷(21)과 제2 브래킷(25)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브래킷(21)에 고정되는 고정포스트부재(30)와 제2 브래킷(25)에 고정되는 고정포스트부재(30)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하부에는 제1 브래킷(21) 및 제2 브래킷(25)이 안착되도록 안착홈(32)을 형성한다.A fixed
아울러 포스트본체(31)에는 중간난간대(52)를 끼울 수 있도록 결합구멍(3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33)에 대응되는 제1 체결구멍(34)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또 포스트본체(31)의 상단에는 상부브래킷부재(40)를 결합하도록 상부결합구멍(35)을 형성하고, 상부결합구멍(35)의 측면에는 제2 체결구멍(36)을 형성한다.In addition, a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안착홈(32)에는 제1 브래킷(21) 또는 제2 브래킷(25)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즉, 이들 하부브래킷부재(20)와 고정포스트부재(30)는 핸드레일의 설치 현장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미리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 5, a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는 하부브래킷부재(20)인 제1 브래킷(21) 또는 제2 브래킷(25)에 의해 핸드레일 설치 현장에서 하부브래킷부재(20)와 스트링거부재(10)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fix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부결합구멍(35)에는 상부브래킷부재(40)의 수직프레임(41)을 끼운 상태에서 제2 체결구멍(36)에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부브래킷부재(40)를 고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bolt or piece is inserted into the
이러한 상부브래킷부재(40)는 핸드레일 설치 현장에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의 체결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난간대(51)와 받침프레임(43)은 리벳 등에 의해 미리 고정된다.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난간대(52)는 포스트본체(31)의 결합구멍(33)에 끼운 상태에서 제1 체결구멍(34)에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7, the
다음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의 시공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2.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Bottom stereoscopic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안착홈(32)에는 제1 브래킷(21) 또는 제2 브래킷(25)이 용접에 의해 미리 제작되고, 상기 상부난간대(51)와 상부브래킷부재(40)는 볼트 또는 피스,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미리 제작된다.2 to 10, a
즉, 핸드레일을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 현장에 맞게 고정포스트부재(30)와 상부난간대(51)에 상부브래킷부재(40)를 미리 제작한다.That is, the
상기 계단의 측면에는 미리 제작된 스트링거부재(10)를 설치하며, 상기 스트링거부재(10)의 고정구멍(11)에는 제1 브래킷(21)이 고정된 고정포스트부재(30a)를 설치하며, 제2 브래킷(25)이 고정된 고정포스트부재(30b)를 설치한다.The side of the staircase is provided with a
이들 고정포스트부재(30a, 30b)는 제1 브래킷(21)에 형성된 볼트구멍(23)과 제2 브래킷(25)에 형성된 볼트구멍(27)을 각각 스트링거부재(10)의 고정구멍(1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게 된다.These fixing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결합구멍(33)에 중간난간대(52)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제1 체결구멍(34)에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게 된다.When the construction of the fixed
이때 중간난간대(52)에는 체결수단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탭구멍이 미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tab hole can be formed in advance in the
상기 중간난간대(52)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난간대(51)를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부결합구멍(35)에 안착시키게 된다.When the construction of the
즉, 상기 상부난간대(51)의 저면에는 상부브래킷부재(40)가 리벳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의 수직프레임(41)을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부결합구멍(35)에 일치되게 안착시킨다.That is, since the
이와 같이 수직프레임(41)이 상부결합구멍(35)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상부난간대(51)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As such, the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handrail for stai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건축물의 각 층마다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건축물의 최상층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handrail is installed in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FIG. 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handrail is installed in a top floor of a building.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은 현장 작업 시 용접 작업 없이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의 체결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1 and 12, the handrail can be easily installed by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or pieces without welding during field work.
이와 같이 체결수단에 의해 핸드레일을 설치하게 됨에 따라 용접작업에 필요한 용접자 및 화기감시자 등의 인원이 불필요하게 되고, 용접 작업에 따른 화기 작업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the handrail is installed by the faste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personnel such as a welder and a fire watcher, which are required for welding work, are unnecessary, and a fire caused by fire work according to the welding work can be prevented.
또한 핸드레일의 시공 후 핸드레일의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한 경우, 파손 또는 손상된 핸드레일을 분리한 다음 해당 구간에 핸드레일을 체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재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andrail is damaged or damag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handrail, the broken or damaged handrail can be removed and then the handrail can be easily reinstalled by a fastening means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트링거부재 11: 고정구멍
20: 하부브래킷부재 21: 제1 브래킷
22: 브래킷본체 23: 볼트구멍
25: 제2 브래킷 26: 브래킷본체
27: 볼트구멍
30: 고정포스트부재 31: 포스트본체
32: 안착홈부 33: 결합구멍
34: 제1 체결구멍 35: 상부결합구멍
36: 제2 체결구멍
40: 상부브래킷부재 41: 수직프레임
42: 관통구멍 43: 방침프레임
44: 체결구멍10: stringer member 11: fixing hole
20: lower bracket member 21: first bracket
22: bracket body 23: bolt hole
25: second bracket 26: bracket body
27: bolt hole
30: fixed post member 31: post body
32: seating groove 33: coupling hole
34: first fastening hole 35: upper coupling hole
36: second fastening hole
40: upper bracket member 41: vertical frame
42: through hole 43: policy frame
44: fastening hole
Claims (5)
상기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멍(11)에 볼트의 체결수단으로 설치되는 하부브래킷부재(20);
다수의 중간난간대(52) 및 상부난간대(51)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포스트부재(30);
상기 상부난간대(51)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는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구멍(42)이 형성된 수직프레임(41);
상기 상부난간대(51)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41) 상면에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프레임(43);
상기 상부난간대(51)에 볼트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43)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멍(4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포스트부재(30)는
일정 두께 및 폭을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계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난간대(51)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브래킷부재(20)가 고정되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된 포스트본체(31);
상기 중간난간대(52)가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3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33);
상기 중간난간대(52)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구멍(33)의 측면에서 결합구멍(3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결합구멍(33)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구멍(34);
상기 상부난간대(51)를 고정시키는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포스트본체(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결합구멍(35);
상기 상부브래킷부재(40)에 체결되도록 상기 상부결합구멍(35)의 측면에 상부결합구멍(35)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체결구멍(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One side is horizontally extende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 are formed on the sid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air stringer member 10;
A lower bracket member 20 installed as a fastening means of a bolt in a fixing hole 11 formed at a side of the stringer member 10;
A fixed post member 30 installed vertically on the side of the lower bracket member 20 such tha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handrails 52 and upper handrails 51 are installed;
And an upper bracket member 40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fixed post member 30 so that the upper handrail 51 is stably installed.
The upper bracket member 40
A vertical frame 41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xed post member 30 and having a through hole 42 formed therein;
A support frame 43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41 so that the upper handrail 51 is stably seat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4 formed in the support frame 43 to fasten the fastening means of the bolt to the upper handrail 51.
The fixed post member 30
It is made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is formed at the height to install the upper handrail 51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ircase, the lower post body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32 so that the lower bracket member 20 is fixed (31);
Coupling holes 33 formed in the post main body 31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the middle handrail 52 is coupled;
A first fastening hole 34 formed to penetrate to the coupling hole 3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hole 33 from the side of the coupling hole 33 so that the intermediate handrail 52 is stably fixed;
An upper coupling hole 35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body 31 so that the upper bracket member 40 which fixes the upper handrail 51 is fitted into and couple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36) formed to penetrate to the upper coupling hole (35) on the side of the upper coupling hole (35) to be fastened to the upper bracket member (40). rail.
상기 하부브래킷부재(20)는 경사지게 형성된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브래킷(21)과 수평으로 연장된 스트링거부재(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브래킷(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브래킷(21)은 스트링거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브래킷본체(2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본체(22)에는 상기 스트링거부재(10)에 볼트의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도록 고정구멍(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래킷(25)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래킷본체(26)에 고정구멍(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구멍(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bracket member 20 is composed of a first bracket 2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ringer member 10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a second bracket 25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ringer member 10 extending horizontally. ,
The first bracket 21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stringer member 10, the inclined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racket body 22, the bracket body 22 to the fastening means of the bolt to the stringer member 10 A plurality of bolt holes 23 are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11 to be installed by
The second bracket 25 is a stepped prefabricated handrai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olt holes (27) ar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1) in the bracket body 26 made of a rectangular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143U KR200490448Y1 (en) | 2018-09-05 | 2018-09-05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143U KR200490448Y1 (en) | 2018-09-05 | 2018-09-05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448Y1 true KR200490448Y1 (en) | 2019-12-02 |
Family
ID=6883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41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90448Y1 (en) | 2018-09-05 | 2018-09-05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44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023B1 (en) * | 2023-04-25 | 2023-09-15 |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 Handrail structure having buffering function and wide walkwa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085A (en) * | 2003-02-25 | 2004-09-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ounting structure of handrail |
KR100828175B1 (en) | 2006-12-01 | 2008-05-08 | 이도춘 | Stair Handrail Device |
KR100989111B1 (en) * | 2010-03-30 | 2010-10-20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Tilting access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
KR101891791B1 (en) | 2017-03-20 | 2018-08-24 | (주)경성정기 | Handrail for stairs |
KR101894208B1 (en) * | 2018-04-10 | 2018-08-31 | 김순식 | Handrail for iron structure stairs |
-
2018
- 2018-09-05 KR KR2020180004143U patent/KR20049044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085A (en) * | 2003-02-25 | 2004-09-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ounting structure of handrail |
JP3979307B2 (en) * | 2003-02-25 | 2007-09-19 | 松下電工株式会社 | Handrail mounting structure |
KR100828175B1 (en) | 2006-12-01 | 2008-05-08 | 이도춘 | Stair Handrail Device |
KR100989111B1 (en) * | 2010-03-30 | 2010-10-20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Tilting access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
KR101891791B1 (en) | 2017-03-20 | 2018-08-24 | (주)경성정기 | Handrail for stairs |
KR101894208B1 (en) * | 2018-04-10 | 2018-08-31 | 김순식 | Handrail for iron structure stai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023B1 (en) * | 2023-04-25 | 2023-09-15 |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 Handrail structure having buffering function and wide walkw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0418B1 (en) | Dismountable facade scaffold | |
KR101290296B1 (en) |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0490153Y1 (en) | Hanger type check equipment for bridge | |
KR102157134B1 (en) | Rail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 |
KR100989111B1 (en) | Tilting access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 |
KR200490448Y1 (en)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
JP6590512B2 (en) | Staircase temporary scaffolding | |
KR200439417Y1 (en) | Prefab railing | |
KR101570672B1 (en) | combining apparatus | |
CN212535166U (en) | Assembled stair face limit guard rail and pole setting subassembly thereof | |
KR101867005B1 (en) | Assembly type hand rail | |
KR200436708Y1 (en) | Handrail | |
KR101265098B1 (en) | Assembly type guard rail | |
KR101852139B1 (en) | Handrail for stairs | |
KR100918194B1 (en) | Prefabricated staircase handle facility for building structure | |
KR102315853B1 (en) |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Handrail Of Deck | |
KR100941635B1 (en) | Adjustable seat | |
KR200378136Y1 (en) | Assembly stairs handrail | |
KR200408510Y1 (en) | Rail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Scaffolding Frame | |
JP5517210B2 (en) | handrail | |
KR100743517B1 (en) | Railing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Railing | |
JP7002967B2 (en) | Elevation passage | |
KR101848879B1 (en) | Functional banister holder and banister structure having the same | |
JP4022668B2 (en) | Handrail for passa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andrail for passage | |
KR101988242B1 (en) | Architectural stair rail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90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1206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430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91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11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308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