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635B1 - Adjustable seat - Google Patents
Adjustable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1635B1 KR100941635B1 KR1020080055754A KR20080055754A KR100941635B1 KR 100941635 B1 KR100941635 B1 KR 100941635B1 KR 1020080055754 A KR1020080055754 A KR 1020080055754A KR 20080055754 A KR20080055754 A KR 20080055754A KR 100941635 B1 KR100941635 B1 KR 1009416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upport frame
- seat
- bolt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좌석에 관한 것으로, 높낮이를 달리하는 수개의 받침부(112)(122) 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높게 단차진 지지부(114)(124)를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의 걸림상태에서 U볼트(14)로 연결하여 열별 후방으로 갈수록 높은 수개의 받침틀(110)(120)을 얻고, 각 받침틀(110)(120)은 지지부(114)(124)의 겹침부위를 U볼트(30)로 연결하여 열별 일렬로 고정형성하며, 열간 이웃하는 받침틀(110)(110')(120)(120') 간에는 연결부(130)(140)로 분리가능케 연결하여 관람석단(100)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각 부품의 부피가 적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은 물론 조립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고 또 부품수를 최소화한만큼 조립시공시 연결부위가 줄어들게 될 뿐 아니라 각 받침틀(110)(120)은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에 의한 걸림으로 고정수단인 U볼트의 사용갯수를 줄일 수가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관람석으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견고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eat, the stepped portion 10 and the engaging groove 12 to the support step 114, 124 stepped higher toward the rear on a number of support portions 112, 122 of varying heights In the locked state of the U bolt (14) to connect to the rear rear row by column to obtain a number of higher support frame (110, 120), each support frame (110, 120) is the overlap of the support portion 114, 124 U It is connected to the bolt 30 to form a fixed row by row, between the adjacent neighboring support frame 110, 110 ', 120, 120'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30, 140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udience seat 100 By constructing the components, the volume and light weight of each component is easy to carry, as well as easy handling during assembly and construction as well as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as well as reducing the connection part during assembly, each support frame 110, 120 is a stumbling block. Working time by reducing the number of U bolts, which are fixing means, by the locking by the part 10 and the locking groove 12 Reducing costs so that it can have a sufficient rigidity required as the bleach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분해조립하여 원하는 장소에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한 가변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필요부품수와 부품간 연결을 위한 볼트의 필요갯수를 줄여서 분해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변 좌석으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강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eat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installed in a desired place as necessary, and in detail, so that disassembly and assembly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by reducing the number of necessary parts and the required number of bolts for connection between parts. It is designed to have enough strength as a variable seat.
가변 좌석은 각종 경기장이나 공연장에 시설되는 주관람석 외에 여유공간을 통하여 수용인원을 늘려주고자 하거나 또는 주관람석 시설이 없는 야외에 주관람석을 대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눈,비등에 노출되는 야외에 설치될 경우 별다른 부가기능없이 지정된 장소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Variable seating is to be installe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through free space in addition to the main auditoriums installed in various stadiums or performance halls, or to replace the main auditorium in the open air where there is no main auditorium facility. In this case, i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lace without any additional functions.
또한 가변 좌석의 경우에도 수용인원이 많을수록 사용시 큰 하중에 가해지게 되므로 견고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한 다음 후방으로 갈수록 높게 단차진 의자와 난간대 및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등을 형성해 주어야만 관람석으로서의 기능을 만족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variable seats, the larger the number of seats, the greater the load will be applied. .
그러나 이러한 가변 좌석의 경우 각기 별도 제작된 여러개의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시공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용되는 부품의 부피가 크고 무거울 경우 운반은 물론 조립시공시 취급이 어려워 이제껏 각 지주와 연결용 횡간, 높이가 다른 받침대 및 지지대등을 모두 단품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접이음과 볼트넛이음을 병행하여 연결설치해 주도록 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variable seat, it is desirable to assemble and construct several parts that are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field.However, when the volume of the used parts is large and heavy,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nd handle when assembling the construction. All pedestals and supports with different heights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single products, so that welding joints and bolt nut joints can be installed in parallel.
즉 필요부품을 비싼 용접이음만으로 연결해 줄 경우 설치시간과 비용이 과다소요됨은 물론 해체가 어렵고 또 부품의 재사용이 전혀 불가능하며, 볼트넛을 이용한 이음시에는 연결부위가 증가하게 되고 또 연결부위의 강도강화를 위하여는 보다 많은 볼트넛이 이용되어야 하므로 이역시 설치시간과 비용이 과다소요되므로 이제껏 단품들을 현장에 운반하여 강도가 요구되는 부위는 용접이음하여 부분별 구조물을 얻고 그 구조물들을 볼트넛으로 이음하여 관람석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In other words, if the necessary parts are connected only by expensive welding joints, the installation time and cost are excessive, and the disassembly is difficult and the parts cannot be reused at all. Since more bolt nuts have to be used for reinforcement, installation time and cost are excessive. Therefore, the parts that are required for strength are transported to the site so that the parts requiring strength are welded to obtain parts of each structure and the structures are bolted to the bolt nut. To make up the grandstand.
따라서 현장에서의 조립시공시 용접이음이 병행되는만큼 작업시간과 비용이 추가소요되고 또 용접된 구조물들을 볼트넛으로 이어주는데에도 이음부위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많은 수의 볼트넛이 이용되는만큼 작업시간이 추가소요되며, 해체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사용하고자 할 경우 분해불가능한 구조물의 부피가 커 운반 및 재시공상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work time and cost are additionally required as the welding joint is parallel when assembling in the field, and the working time is required because a large number of bolt nuts are us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joint even when connecting the welded structures to the bolt nuts. This is required additionally, if you want to use the dismantled and installed in other places,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arge amount of non-decomposable structure is accompanied by a lot of difficulties in transportation and reconstruction.
본 발명은 필요부품의 부피를 작게 하고 또 경량화하면서 필요부품수를 최소화하고, 현장에서의 조립시공시에는 최소갯수의 볼트만으로도 부품간 견고하게 연결고정해 줄 수가 있는 가변 좌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ariable seat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necessary parts while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required parts, and for securely connecting and fixing the parts with only a minimum number of bolts when installing in the field.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납작한 형태로서 갈수록 높은 여러개의 받침부 상에 이역시 납작한 형태로서 각기 후방으로 갈수록 단차진 지지부가 걸림돌부와 걸림홈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U볼트로 연결고정하여 얻은 수개의 받침틀을 각기 일부 겹쳐지게 하여 그 겹침부위를 U볼트로 연결고정하고, 라인별 이웃하는 받침틀 간에는 연결부를 통하여 분리가능케 연결하여 관람석을 얻은 다음, 그 상면에 발판과 가림판 및 좌석을 연결형성하고, 관람석단의 사방에는 여러개로 분리제작되는 난간대를 돌편과 U볼트로 연결고정하여서 된 가변 좌석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form obtained by connecting and fixing with U bolts in a state in which a stepped support is caught by a catching protrusion and a catching groove as the flat form is gradually flattened on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Several overlapping supporting frames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the overlapping parts are connected with U bolts, and the adjacent supporting frames for each line are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connecting parts to obtain a grandstand, and then a footrest, a blind plate, and a seat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It is achieved by a variable seat that is fixed by connecting a handrail and a U-bolt that are separately manufactured on all sides of the audience.
본 발명은 관람석단(100)을 구성하는 받침부(112)(122)는 높이만 달리할뿐 모두 납작한 형태를 띠고 있고, 지지부(114)(124) 역시 납작한 형태이며, 열별 이웃하는 받침틀(110)(110')(120)(120')은 연결하는 연결부(130)(140) 및 난간대(500)(600) 역시 납작한 형태로서 모든 필요부품들은 부피가 적고 가벼워 운반은 물론 조립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또한 관람석단(100)은 받침부(112)(122)와 지지부(114)(124) 및 연결 부(130)(140)로 구성되므로 필요로 하는 부품수가 줄어든만큼 연결부위가 줄어들게 됨은 물론 받침부(112)(122)와 지지부(114)(124)는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U볼트(14)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하고 또 받침틀(110)(120) 간에는 지지부(114)(124)의 겹침부위를 U볼트(30)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하며, 열별 이d웃하는 받침틀(110)(110')(120)(120') 간에는 연결부(130)(140)로 연결해 주도록 함으로서, 최소갯수의 U볼트만으로도 견고히 연결고정해 줄 수가 있어 설치시간과 비용을 훨씬 절감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더나아가 해체후 다른 장소에 설치사용하고자 할 시에도 각 부품의 부피증가우려가 전혀 없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또 설치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dismantling and using it in other places after dismantling, there is no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volume of each part, so it is easy to transport and handl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cos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 중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mong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In order not to be ambiguous,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관람석단의 일부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게 단차진 관람석단(100) 상면에 발판(200)과 가림판(300) 및 좌석(400)을 연결고정하고, 관람석단(100)의 외측둘레부에는 난간대(500)(600)가 연결고정하며, 좌석수에 따라 그 측면과 내측 출입구에는 계단(700)이 연결설치하여 관람석(A)으로서 요구되는 기본기능을 만족시켜 주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grandst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tepped on the upper surface stepped 200, the stepped 200 and the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관람석단의 각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로서, 관람석단(100)은 열별 각 받침틀(110)(120)이 갖는 받침부(112)(122)를 갈수록 높게 형성하여 열별 갈수록 높은 수개의 받침틀(110)(120)이 일렬로 연결되게 하고 또 열간 이웃하는 받침틀(110)(110')간에는 연결부(130)(140)로 분리가능케 연결하여 열간 간격유지 및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갖도록 구성함을 보여주고 있다.3 to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portion of the viewing platfo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 내지 도 7은 관람석단을 구성하는 수개의 받침틀 중 최전방의 제1받침틀 및 이웃하는 제1받침틀간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받침틀(110)은 전후받침부(112)와 지지부(114)가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에 의해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수개의 U볼트(14)로 연결되고, 전후받침부(112)의 수직대에 형성되는 볼트(16)와 상하수평부 단부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연결공(18)을 통하여 이웃하는 제1받침틀(110')간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3 to 7 show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neighboring first support frame of the several support frame constituting the viewing group, the
이때 이용되는 전후받침부(112)는 같은 높이로서 그 상부수평대 상에 각각 1개이상 걸림돌부(10)가 돌출형성되게 하고 또 지지부(114)는 하부수평대의 저면 양측에 한개이상의 걸림홈(12)이 형성되게 하여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또한 지지부(114)는 하부수평대 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높게 단차지고 또 상단부에는 연결편(20a) 사이에 결합홈(20b)을 갖는 수개의 지지대(20)가 등간격으로 수직고정되며, 지지대(20) 사이사이에는 이역시 후방으로 갈수록 높게 단차진 발판대(22)가 수평되게 연결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연결부(130)는 수직봉(132) 일측에 두개의 경사진 연결봉을 통하여 결합공을 갖는 고정편(134)이 연결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봉(132)의 상하돌출부를 받침부(112)가 갖는 상하연결공(18)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그 수직봉(132)을 축으로 한 회전으로 이웃하는 제1받침틀(110')의 받침부(112)가 갖는 볼트(16)가 고정편(134)의 결합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너트를 죄여주는 것으로 열별 제1받침틀(110)(110')간 일체감있게 연결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이때 연결부(130)가 갖는 수직봉(132)의 상하단부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하연결부로부터 그 상부가 더 길게 돌출되게 하여 상부돌출부가 받침부(112)가 갖는 상부연결공에 깊숙히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하부돌출부를 하부연결공에 삽입해 주는 것으로 결합되며, 결합시 긴 상부돌출부에 의해 이탈방지된다.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도 8 및 도 9는 관람석단을 구성하는 제2받침틀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받침틀(120)이 갖는 받침부(122)는 제1받침틀(110)이 갖는 받침부(122)보다 높게 제작되고 또 후방에 1개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역시 그 상면에 갖는 걸림돌부가 지지부(124)의 저면 후방에 갖는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U볼트에 의해 받침부(122)와 지지부(124)가 연결되게 하고 또 지지부(124)의 선단부는 제1받침틀(110)이 갖는 지지부(114)의 후단상면과 접촉되게 하여 그 겹침부위를 U볼트(30)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각 받침틀(110)(120)간 일렬로 견고히 연결되게 하며, 이역시 받침부(122)가 갖는 볼트(32) 및 상하마주보게 형성되는 연결공(34)을 통하여 이웃하는 제2받침틀(120')과 연결부(140)로 일체감있게 연결해 주도록 구성된다.8 and 9 illustrate a second support frame constituting the audience, the
이때 지지부(124)는 제1받침틀(110)이 갖는 지지부(114)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서, 그 전단부가 제1받침틀(110)이 갖는 지지부(114)의 후단 상면과 일부 겹쳐지게 하여 그 겹침부위를 통하여 연결고정해 주도록 함으로서, 그 지지부(124)가 갖는 단차는 제1받침틀(110)이 갖는 지지부(114)의 단차를 자연스럽게 연장시켜 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은 설치공간을 허락하거나 또는 보다 많은 인원을 수용하고자 할 경우 제3, 제4, 제5받침틀을 연결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으로서, 이들 모두는 제1,2 받침틀(110)(120)과 같이 앞선 받침틀이 갖는 받침부보다 높은 받침부를 갖도록 하여 앞선 받침틀과 U볼트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최후방 받침틀이 갖는 받침부는 좀더 견고히 제작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to allow the installation space or to accommodate the third, fourth, and fifth support frame to accommodate more personnel, all of which are the first,
도 10 내지 도 13은 관람석단 상에 발판과 가림판 및 좌석의 설치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발판(200)은 받침틀(110)(120)의 각 지지부(114)(124)가 갖는 지지대(20) 사이사이에 안치시켜서 지지부의 발판대(22)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발판 사이사이에는 지지대(20)를 피해 가림판(300)이 끼워 설치되게 하며, 좌석(400)은 지지부(114)(124)의 좌우지지대(20) 간에 갖는 간격만큼 긴 받침대(410) 상에 수개의 좌석이 연결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그 받침대(410)를 지지대(20)가 갖는 결합홈(20b)에 결합하여 연결편(20a)을 통하여 볼트넛으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구성된다.10 to 13 show the installation of the scaffolding, the blind plate and the seat on the audience seat, the
이때 발판(200)과 가림판(300)은 조립고정되는데, 가림판(300)의 단부에 걸 림편(320)(340)이 형성되게 하여 조립시 발판(200)과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별다른 고정수단없이 견고히 조립고정해 줄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도 14 내지 도 16은 관람석단 사방에 연결설치되는 난간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든 난간대(500)(600)는 적정길이로 제작되어 필요한만큼 연장되게 연결설치되는데, 전후방에 갖는 각기 수직대가 갖는 돌편(510)이 관람석단(100)의 상단모서리부와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그 수직대를 통하여 관람석단(100)측에 U볼트(36)로 연결고정하고, 측면 난간대(600)는 지지부(114)(124)가 갖는 경사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수직대에 형성되는 돌편(610)이 지지부(114) (116)의 외측지지대(20)가 갖는 결합홈(20b)에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그 수직대를 통하여 관람석단측에 U볼트(38)로 연결고정하여 일체감을 갖도록 한다.Figures 14 to 16 show the balustrades installed connected to all sides of the spectators, all
도 17 내지 도 19는 계단의 조립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계단(700)은 통상 관람석단(100)의 측면 전방 및 그 수용인원에 따라 내측 중앙부에 마련되는 출입구를 통하여 연결설치되는데, 내측 중앙부에 설치시에도 해당열의 해당구간에 위치하는 받침틀을 제외하여 출입구가 형성되게 한 다음 그 출입구를 통하여 설치해 주면 된다.17 to 19 show the assembly of the staircase, the
이때 이용되는 계단(700)은 갈수록 높게 단차진 두개이상의 받침틀(710)을 횡간(720)으로 연결하고 그 단차면에는 발판(730)을 볼트로 연결하며, 측면에는 이역시 돌편(740a)과 U볼트(40)를 통하여 난간대(740)를 연결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는 관람석단(100)의 원하는 위치에 밀착시켜서 이웃하는 수직대를 U볼트로 연연결고정해 주는 것으로 설치완료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설치공간이 허락하거나 또는 수용하고자 하는 인원에 따라 갈수록 높은 여러개의 받침틀(110)(120)을 연결하고 또 좌우폭을 늘려주는 것으로 원하는 인원을 수용하도록 설치해 줄 수가 있고, 각 받침틀(110)(120)의 지지부(114)(124)를 통하여 발판(200)과 좌석(400)등을 단차지게 연결설치해 줄 수가 있으며, 관람석단(100)의 테두리부에는 난간대(500)(600)가 연결설치되게 하고 또 원하는 여러개소에 계단(700)을 연결설치해 주도록 함으로서, 관람석(A)으로서의 기본기능을 만족할 수가 있게 된다.1 and 2,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to allow or accommodate the installation spac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o connect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은 관람석단(100)을 구성하는 각 받침틀(110)(120)이 작고 납작한 형태의 받침부(112)(122)와 지지부(114)(124)로 분리구성되고 또 인근의 다른 받침틀과는 이역시 작고 납작한 형태의 연결부(130)(140)로 연결해 주도록 하며, 여기에 분리가능케 연결되는 발판(200)과 좌석(400) 그리고 난간대(500)(600) 및 계단(700)이 더해지도록 함으로서, 필요로 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각 부품은 부피가 적고 가벼운만큼 운반은 물론 조립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ach
더나아가 관람석단(A)의 각 받침틀(110)(120)을 구성하는 받침부(112)(122)와 지지부(114)(124)는 걸림돌부(10)와 걸림홈(12)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각기 마주하는 수평대를 U볼트(14)로 연결고정하고, 받침틀(110)(120) 간에는 그 지지부(114)(124)의 일부가 상하로 포개지도록 하여 U볼트(30)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하며, 열별 이웃하는 받침틀(110)(110')(120)(120')간에는 연결부(130)(140)로 연결고정해 주도록 함으로서, 부품수를 최소화한만큼 연결부위가 감소하게 되고 또 U볼 트의 이용갯수를 줄이면서 부품간 견고히 연결해 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도 1 : 본 발명의 일부사시도1: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관람석단의 일부사시도2: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iewing grou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본 발명 제1받침틀의 전반부 분해사시도3: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alf of the first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발명 제1받침틀의 전반부 저면분해사시도4: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alf of the first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발명 제1받침틀의 후반부 분해사시도5: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발명 연결부의 조립전 일부단면구성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efore assembl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발명 연결부의 조립후 일부단면구성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fter assembling the conn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 본 발명 제2받침틀의 후반부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 본 발명 제1,2받침틀의 연결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9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 본 발명 발판과 가림판 및 좌석의 연결설치시의 일부분해사시도10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screen and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 본 발명 발판과 가림판 및 좌석의 연결설치시의 저면일부분해사시도11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screen and seat
도 12 : 본 발명 좌석의 연결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12: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 본 발명 발판과 가림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정면구성도13 is a partial front configuration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caffolding and screening plate
도 14 : 본 발명 전방난간대의 조립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1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rail
도 15 : 본 발명 후방난간대의 조립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15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railing
도 16 : 본 발명 측면난간대의 조립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1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railing
도 17 : 본 발명 계단의 일부분해사시도1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tairs
도 18 : 본 발명 계단에 난간대의 조립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handrails on the stai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 본 발명 관람석단에 계단의 연결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19: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stairs to the audienc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관람석 (100)--관람석단(A)-The Grandstand (100)-The Grandstand
(110)(120)--받침틀 (112)(122)--받침부(110) (120)-support frame (112) (122)-support
(114)(124)--지지부 (130)(140)--연결부(114) (124)-Supports (130) (140)-Connections
(132)--수직봉 (134)--고정편(132)-Vertical Rod (134)-Fixed
(200)--발판 (300)--가림판(200)-Stool (300)-Blind
(400)--좌석 (500)(600)--난간대(400)-seat (500) (600)-handrail
(510)(610)--돌편 (700)--계단(510) (610)-Stone (700)-Stairs
(710)--지지틀 (720)--횡간(710)-support frame (720)-span
(730)--발판 (740)--난간대(730)-Stool (740)-Handrail
(740a)--돌편 (10)--걸림돌부(740a) --Stone (10)-Job
(12)--걸림홈 (14)(30)(36)(38)(40)--U볼트(12)-Janging Groove (14) (30) (36) (38) (40)-U Bolt
(16)(32)--볼트 (18)(34)--연결공(16) (32)-Bolt (18) (34)-Connector
(20)--지지대 (20a)--연결편(20)-support (20a)-connection
(20b)--결합홈 (22)--발판대(20b)-Joining Groove (22)-Staging Bas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754A KR100941635B1 (en) | 2008-06-13 | 2008-06-13 | Adjustable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754A KR100941635B1 (en) | 2008-06-13 | 2008-06-13 | Adjustable sea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9700A KR20090129700A (en) | 2009-12-17 |
KR100941635B1 true KR100941635B1 (en) | 2010-02-11 |
Family
ID=4168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5754A KR100941635B1 (en) | 2008-06-13 | 2008-06-13 | Adjustable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16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46B1 (en) * | 2011-08-09 | 2012-01-05 | (주)가온시스템 | Prefab grandstand with truss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6754B1 (en) * | 2010-08-16 | 2011-01-10 | 진우건철(주) | Eco-Friendly Prefab Bleachers |
GB2524081A (en) * | 2014-03-14 | 2015-09-16 | Flexi Terrace Systems Ltd | A Demountable terracing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4050A (en) | 1996-12-27 | 1998-07-14 | Nippon Light Metal Co Ltd | Temporary structures |
JPH11311034A (en) | 1998-04-30 | 1999-11-09 | Tatsuo Ono | Temporary stand |
JP2000282698A (en) | 1999-03-30 | 2000-10-1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Moving stand |
JP3903354B2 (en) * | 1997-09-09 | 2007-04-11 | 株式会社コトブキ | Mobile bleachers |
-
2008
- 2008-06-13 KR KR1020080055754A patent/KR1009416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4050A (en) | 1996-12-27 | 1998-07-14 | Nippon Light Metal Co Ltd | Temporary structures |
JP3903354B2 (en) * | 1997-09-09 | 2007-04-11 | 株式会社コトブキ | Mobile bleachers |
JPH11311034A (en) | 1998-04-30 | 1999-11-09 | Tatsuo Ono | Temporary stand |
JP2000282698A (en) | 1999-03-30 | 2000-10-1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Moving stan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46B1 (en) * | 2011-08-09 | 2012-01-05 | (주)가온시스템 | Prefab grandstand with truss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9700A (en) | 2009-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90588A1 (en) | Temporary viewing platforms | |
MX2007007838A (en) | Public access stair system. | |
KR101289048B1 (en) | Built-up high load safety stair using temporary bent | |
KR100941635B1 (en) | Adjustable seat | |
KR102235163B1 (en) | bridge inspection facility | |
DK155024B (en) | TERRACE PLANT WITH SIDE SITE | |
US7222467B2 (en) | Screen with integral railing | |
US3875707A (en) | Portable, patio elevated | |
NL8601366A (en) | BEARING STRUCTURE FOR STANDS. | |
JP2522751B2 (en) | Framework scaffolding | |
KR100969826B1 (en) | Deck load system | |
GB2444495A (en) | Modular tiered seating podium | |
KR101103046B1 (en) | Prefab grandstand with truss system | |
US3117350A (en) | Portable bleacher | |
KR200490448Y1 (en) | Prefabricated Hand Rails for Stairs | |
JPH0593448A (en) | Standardized step module | |
CN210422007U (en) | Install interim stair of adjustable instrument formula fast | |
KR200496052Y1 (en) | Assembling Seat | |
KR20130032569A (en) | Assembling seat | |
JPH10184050A (en) | Temporary structures | |
JP3233531B2 (en) | Assembly stairs | |
KR102687818B1 (en) |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for bridge check equipment of easily assembling work | |
US8091295B1 (en) | Machine for constructing height adjustable stair steps | |
GB2433078A (en) | Structural Member | |
JP6377238B1 (en) | Assembling stair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