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9326Y1 - 선반용 척 - Google Patents

선반용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26Y1
KR200489326Y1 KR2020170005564U KR20170005564U KR200489326Y1 KR 200489326 Y1 KR200489326 Y1 KR 200489326Y1 KR 2020170005564 U KR2020170005564 U KR 2020170005564U KR 20170005564 U KR20170005564 U KR 20170005564U KR 200489326 Y1 KR200489326 Y1 KR 200489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jaws
workpiece
fastening
gri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86U (ko
Inventor
정영수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2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2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2Jaws, accessories or adjust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7Details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4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4Jaws
    • B23B2231/341Jaws with har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용 척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 및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를 포함하고, 상기 보디는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죠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제1 죠; 및 상기 제1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죠가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용 척{CHUCK FOR LATHE}
본 고안은, 선반용 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이하 모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던가 또는 더욱 정밀한 가공을 추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를 말한다.
상기 공작기계는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는 절삭 공작기계와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공작기계(금속가공기계)로 구분된다.
상기 절삭 공작기계에는 선반, 밀링기, 머시닝센터,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고, 상기 비절삭 공작기계(금속성형기계)에는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절단절곡기, 단조기, 인발기 등이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 중 선반은 공작기계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며,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고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주축 및 상기 주축에 의해 회전되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를 포함한다.
이 중, 상기 주축대에는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척이 구비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8319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선반용 척은,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10) 및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1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20)를 포함한다.
상기 보디(10)에는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죠(20)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그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왕복 운동되며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반용 척에 있어서는, 죠가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척으로 다양한 직경의 공작물을 파지하게 되는데, 공작물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죠의 이동 거리가 짧지만, 공작물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죠의 이동 거리가 길어 죠가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예를들어 가스 터빈을 제조하기 위한 초대형 선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8319호
따라서, 본 고안은, 죠가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반용 척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 및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를 포함하고, 상기 보디는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죠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제1 죠; 및 상기 제1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를 포함하는 선반용 척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죠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죠 체결부; 및 상기 제1 죠 체결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을 파지 가능한 제1 죠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죠는, 상기 제1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 체결부; 및 상기 제2 죠 체결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을 파지 가능한 제2 죠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죠가 상기 제1 죠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죠 파지부가 상기 제1 죠 파지부보다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죠 체결부에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제1 죠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죠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죠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죠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죠는, 상기 제2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 체결부; 및 상기 제3 죠 체결부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을 파지 가능한 제3 죠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죠가 상기 제1 죠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죠가 상기 제2 죠에 장착되면, 상기 제3 죠 파지부가 상기 제1 죠 파지부 및 상기 제2 죠 파지부보다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죠 체결부는 상기 제2 죠 파지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반용 척은,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 및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를 포함하고, 상기 보디는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죠는,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제1 죠; 및 상기 제1 죠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죠가 공작물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반용 척에서 제2 죠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에서 제2 죠에 장착되는 제3 죠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선반용 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반용 척에서 제2 죠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은,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100) 및 공작물(S)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10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디(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보디(100)의 일 선단면에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죠(2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제1 죠(210) 및 상기 제1 죠(2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죠(200)는, 공작물(S)의 직경이 사전에 결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제1 죠(210)가 공작물(S)을 파지하고, 공작물(S)의 직경이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죠(220)가 공작물(S)을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죠(21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죠 체결부(212) 및 상기 제1 죠 체결부(212)로부터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1 죠 파지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죠 체결부(212)는, 상기 척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11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삽입되는 제1 죠 슬라이딩돌기(212a) 및 상기 척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1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제1 죠 체결돌기(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제1 죠(2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 체결부(222) 및 상기 제2 죠 체결부(222)로부터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2 죠 파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죠 체결부(222)는 상기 제1 죠 체결돌기(212b)가 삽입되는 제2 죠 체결홈(222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죠 체결홈(222a)에 상기 제1 죠 체결돌기(212b)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죠 파지부(224)는,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죠 파지부(214)보다 상기 척의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직경이 사전에 결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는 제1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제1 죠(210)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제1 죠(21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공작물이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제1 공작물이 상기 척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죠(210)가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죠 파지부(214)가 상기 제1 공작물에 접촉됨으로써, 파지가 완료될 수 있다.
그 다음, 직경이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에 포함되는 제2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죠(210)와 그 제1 죠(210)에 장착된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공작물이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제2 공작물이 상기 척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죠(210)와 그 제1 죠(210)에 장착된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죠 파지부(224)가 상기 제2 공작물에 접촉됨으로써, 파지가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척은, 상기 제1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상기 제1 죠(210)와 상기 제2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상기 제2 죠(220)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공작물을 상기 제1 죠(210)로 파지할 때보다 상기 죠(200)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 상기 죠(200)가 공작물(S)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죠(200)는, 상기 제2 죠(22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죠(230)는, 상기 제2 죠(22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 체결부(232) 및 상기 제3 죠 체결부(23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3 죠 파지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죠 체결부(232)는 상기 제2 죠 파지부(224)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죠 체결부(232)는 상기 제2 죠 파지부(224)가 삽입되는 제3 죠 체결홈(2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죠 파지부(224)가 상기 제3 죠 체결홈(23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제3 죠(230)와 상기 제2 죠(220)를 관통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죠 파지부(234)는,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된 상기 제2 죠(22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죠 파지부(214) 및 상기 제2 죠 파지부(224)보다 상기 척의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직경이 상기 제2 범위보다 작은 제3 범위에 포함되는 제3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죠(230)는 상기 제2 죠(220)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죠(210), 상기 제2 죠(220) 및 상기 제3 죠(23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원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3 공작물이 삽입될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제3 공작물이 상기 척의 회전축 상에 배채되고, 상기 제1 죠(210), 상기 제2 죠(220) 및 상기 제3 죠(230)가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상기 척의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3 죠 파지부(234)가 상기 제3 공작물에 접촉됨으로써, 파지가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공작물을 상기 제1 죠(210) 또는 상기 제2 죠(220)로 파지할 때보다 상기 죠(200)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 상기 죠(200)가 공작물(S)을 파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100: 보디 110: 슬라이딩 홈
200: 죠 210: 제1 죠
212: 제1 죠 체결부 212b: 제1 죠 체결돌기
214: 제1 죠 파지부 220: 제2 죠
222: 제2 죠 체결부 222a: 제2 죠 체결홈
224: 제2 죠 파지부 230: 제3 죠
232: 제3 죠 체결부 232a: 제3 죠 체결홈
234: 제3 죠 파지부

Claims (6)

  1. 선반의 주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보디(100); 및
    공작물(S)을 파지하도록 상기 보디(10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죠(200);를 포함하고,
    상기 보디(100)는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10)을 포함하고,
    상기 죠(2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한 제1 죠(210); 및
    상기 제1 죠(2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죠(21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죠 체결부(212); 및 상기 제1 죠 체결부(21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1 죠 파지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죠(220)는, 상기 제1 죠(2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죠 체결부(222); 및 상기 제2 죠 체결부(22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2 죠 파지부(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죠 파지부(224)가 상기 제1 죠 파지부(214)보다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공작물(S)의 직경이 사전에 결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제1 죠 파지부(214)가 공작물(S)을 파지하고, 공작물(S)의 직경이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죠 파지부(224)가 공작물(S)을 파지하여, 상기 죠(200)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죠 체결부(212)에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1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제1 죠 체결돌기(212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죠 체결부(222)에는 상기 제1 죠 체결돌기(212b)가 삽입되는 제2 죠 체결홈(2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죠 체결부(222)와 상기 제2 죠 파지부(224) 사이에는 상기 제2 죠(220)의 외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척.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죠(22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230)를 더 포함하는 선반용 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죠(230)는,
    상기 제2 죠(22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 죠 체결부(232); 및
    상기 제3 죠 체결부(232)로부터 회전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연장되고 공작물(S)을 파지 가능한 제3 죠 파지부(234);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죠 체결부(232)와 상기 제2 죠 파지부(234) 사이에는 상기 제3 죠(230)의 외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죠(220)가 상기 제1 죠(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죠(230)가 상기 제2 죠(220)에 장착되면, 상기 제3 죠 파지부(234)가 상기 제1 죠 파지부(214) 및 상기 제2 죠 파지부(224)보다 회전 방향 상 구심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죠 체결부(232)는 상기 제2 죠 파지부(224)에 체결되는 선반용 척.
KR2020170005564U 2017-10-30 2017-10-30 선반용 척 Active KR200489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64U KR200489326Y1 (ko) 2017-10-30 2017-10-30 선반용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64U KR200489326Y1 (ko) 2017-10-30 2017-10-30 선반용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86U KR20190001086U (ko) 2019-05-09
KR200489326Y1 true KR200489326Y1 (ko) 2019-05-31

Family

ID=6653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64U Active KR200489326Y1 (ko) 2017-10-30 2017-10-30 선반용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837A (zh) * 2019-11-08 2020-02-07 苏州新派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精度数控机床的四爪卡盘夹具
KR20240060138A (ko) * 2022-10-28 2024-05-08 김건민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706U (ja) * 1983-05-23 1984-12-07 寺坂 哲一 工作機械用チヤツク
JPH04130105U (ja) * 1991-05-22 1992-11-30 鷹司 志田 旋盤チヤツクの補助ツメ
KR100978319B1 (ko) 2008-04-04 2010-08-26 고기택 선반용 자동배출식 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837A (zh) * 2019-11-08 2020-02-07 苏州新派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精度数控机床的四爪卡盘夹具
KR20240060138A (ko) * 2022-10-28 2024-05-08 김건민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KR102710991B1 (ko) * 2022-10-28 2024-09-26 김건민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86U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9812A1 (en) Workholding arbor for gears
KR102062846B1 (ko) 디버링 툴
KR200489326Y1 (ko) 선반용 척
JP2008006528A (ja) ワーク保持装置及びワーク加工方法
KR20200000189A (ko) 축형롤러기어캠 가공장치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JP5689303B2 (ja) 旋盤用チャック
KR100191290B1 (ko) 슬롯팅 기계
JP2005111598A (ja) 治具プレート
JP4426407B2 (ja) 切削加工装置
KR101807811B1 (ko) 심압대를 개조한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의 가공방법
JP4199630B2 (ja) 自動6面加工システム
JP5375987B2 (ja) シート面加工方法
JP4946967B2 (ja) 面取り工具
WO2021052911A3 (fr) Peigne pour machines-outils,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outil, dispositif d'entrainement d'outil rotatifs ainsi qu'une machine-outil
KR200490404Y1 (ko) 키 웨이 가공용 밀링 커터
JP2020099961A (ja) 治具
JP2011200955A (ja) 切削工具
CN110481224B (zh) 一种表冠全自动加工雕刻装置
CN222660899U (zh) 自动夹头
JP2009083071A (ja) シート面加工工具およびシート面加工方法並びにそのシート面加工工具を用いたインジェクタの製造方法
TWM301717U (en) Hybrid automatic processing machine
CN210908414U (zh) 一种具有打孔功能的防滑丝丝锥
JP6959117B2 (ja) 加工用工具及び加工装置並びに加工方法
JP4609790B2 (ja) 内面ブローチ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0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424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810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5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