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8736Y1 -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36Y1
KR200488736Y1 KR2020180004866U KR20180004866U KR200488736Y1 KR 200488736 Y1 KR200488736 Y1 KR 200488736Y1 KR 2020180004866 U KR2020180004866 U KR 2020180004866U KR 20180004866 U KR20180004866 U KR 20180004866U KR 200488736 Y1 KR200488736 Y1 KR 200488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coupling
piece
lock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아름
엄인영
오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2020180004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3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 용기나 튜브 용기 또는 일반 화장품 용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 안의 화장료를 일정량 안전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화장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가 돌출된 구조로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가압하였을 때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가 일정량 담기도록 형성된 화장료 저류부와, 상기 토출부가 삽입되면서 화장료 저류부 상으로 돌출되도록 화장료 저류부를 향해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용기 본체 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Spatula being combined with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을 도포할 때 사용되는 스패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우치 용기나 튜브 용기 또는 일반 화장품 용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 안의 화장료를 일정량 안전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혹은 화장품은 법규상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예컨대 형태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파우더 또는 케이크 등과 같이 경(硬)한 소재의 화장료가 있는가 하면, 액상이나 점액상 또는 겔상이나 크림상과 같은 연성의 화장료도 있다.
이러한 화장료들은 그 성상(性狀)에 따라 보존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계된 용기에 수용하게 되며, 특히 유동성을 갖는 연성의 화장료는 사용자가 직접 용기(예를 들면 파우치 용기, 튜브 용기 등)로부터 손에 덜어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처럼 화장료를 용기로부터 손에 덜어서 사용하게 되면, 뜻하지 않게 적정량보다 과도한 양이 용기로부터 흘러나와 화장료를 낭비하게 되는 사례가 많다. 또,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 속의 내용물(즉, 화장료)을 손가락 등으로 직접 찍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 안으로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들어가서 화장료를 오염시키거나 변질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하기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지된 것과 같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료를 화장용 주걱으로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화장 내용물 통과부재와 화장 내용물 통과 결정부재 및 중간 결합체가 차례로 결합되고, 중간 결합체에는 화장용 주걱 결합체를 매개로 화장용 주걱이 결합되며, 화장용 주걱에는 화장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용기본체를 손으로 압박하면 용기본체 내의 화장 내용물이 화장용 주걱의 배출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부위에 화장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화장품 용기에 구비된 화장용 주걱은 화장용 주걱 결합체와 접합이 되고, 화장용 주걱 결합체는 중간 결합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이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화장용 주걱을 교체하거나 다른 용기에 재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은 화장품 용기마다 화장용 주걱을 함께 구성하여 제조 판매하여야 함으로 인해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 및 제품 단가 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237호(2014.05.02. 공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화장품 용기 안의 화장료를 일정량 안전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에 쉽게 결합하거나 그 역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여러 용기를 상대로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화장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가 돌출된 구조로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가압하였을 때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가 일정량 담기도록 형성된 화장료 저류부와, 상기 토출부가 삽입되면서 화장료 저류부 상으로 돌출되도록 화장료 저류부를 향해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용기 본체 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스패츌러의 후단부에서 용기 본체 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벌어졌다가 맞붙을 수 있게 되는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에 형성되는 제1로킹홀과, 제1결합편과 제2결합편이 서로 밀착될 때 제2결합편 측에서 제1로킹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편에 제1로킹홀과 대응하는 제2로킹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제2결합편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2결합편의 저면 측으로부터 제2로킹홀과 제1로킹홀에 차례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토출부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이 용기 본체 측에 결합될 때 제1로킹홀과 결합돌기 사이에 위치하면서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패츌러가 화장품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장품 용기에 구비된 토출부의 선단부가 스패츌러의 화장료 저류부 상으로 돌출이 되기 때문에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가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안전하게 화장료 저류부의 면적만큼 일정량만 담기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의 화장료를 스패츌러의 화장료 저류부로 안전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화장료를 용기로부터 손에 덜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화장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손이 아닌 스패츌러의 사용을 통해 화장료를 일정량씩 토출하여 도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장료의 도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화장료를 스패츌러로 일정량만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화장품 용기 내에 담긴 화장료에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패츌러에 구비된 결합수단이 화장품 용기의 용기 본체 측에 결합과 제거가 용이한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담긴 화장료를 다 사용한 후에는 스패츌러를 화장품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는 새로운 화장품 용기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패츌러를 매번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여러 화장품 용기에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자원절약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패츌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패츌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패츌러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패츌러가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스패츌러가 화장품 용기에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스패츌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패츌러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2와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스패츌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스패츌러가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스패츌러가 화장품 용기에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로 제시된 스패츌러(10)는 그 결합 대상인 화장품 용기(20)에 대하여 간편하게 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착탈식 결합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의 스패츌러(10)가 결합될 화장품 용기(20)는 도 1에 파우치 용기(10)로 예시되어 있으나, 파우치 용기뿐만 아니라 튜브 용기를 포함한 모든 일반 화장품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사용편의성을 고려한다면 손으로 눌러서 내용물(즉, 화장료)을 화장품 용기의 내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을 정도의 연성을 가진 재질의 화장품 용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20)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용기 본체(21)에 화장료를 수용하게 되며, 용기 본체(21)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은 유연하고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1)의 일단부에 화장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22)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스패츌러(10)가 결합될 화장품 용기(20)의 경우 이 토출부(22)가 돌출된 구조를 갖게 된다. 토출부(22)는 용기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의 선단부 중앙에 토출부(22)가 구비되어 있고, 이 토출부(22)를 감싸는 형태로 용기 본체(21)의 선단부에는 얇은 두께의 절취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절취부(23)는 절취선(23a)을 따라 잘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절취선(23a)을 따라 절취부(23)를 용기 본체(21)로부터 잘라내어 제거하면 토출부(22)가 용기 본체(21)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로 노출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스패츌러(10)는 도 2∼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가 일정량 담길 수 있도록 주걱 형태를 기본적 외형으로 하면서 화장료 저류부(11)와 관통공(12) 및 결합수단(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패츌러(10)의 화장료 저류부(11)는 일정량의 화장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측면이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과 면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고안의 스패츌러(10)가 용기 본체(21)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1)를 가압하였을 때 용기 본체(21)의 선단부에 마련된 토출부(22)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가 일정량 담기게 된다.
스패츌러(10)의 관통공(12)은 화장품 용기(20)의 토출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패츌러(1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관통공(12)은 화장료 저류부(11)의 후단부 측에서 화장료 저류부(11)를 향해 개방이 됨으로써, 토출부(22)가 관통공(12)으로 삽입되었을 때 토출부(22)의 선단부가 화장료 저류부(11) 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스패츌러(10)의 결합수단(13)은 스패츌러(10)가 용기 본체(21) 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다. 결합수단(13)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결합편(13a) 및 제2결합편(13b)과 제1로킹홀(13c), 그리고 결합돌기(13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결합편을 제1결합편(13a)이라 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결합편을 제2결합편(13b)이라 한다. 이들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은 각각 스패츌러(10)의 후단부에서 용기 본체(21) 측을 향해 연장된다. 특히,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은 스패츌러(10)의 후단부를 기점으로 일체를 이루다가 용기 본체(21) 측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벌어졌다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이들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 사이의 공간은 상기 관통공(12)과 연통하게 되며,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 사이를 경유하여 관통공(12)으로 화장품 용기(20)의 토출부(22)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1로킹홀(13c)은 제1결합편(13a)에 형성이 되고, 결합돌기(13d)는 제2결합편(13b)에 구비되어,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을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였을 때 결합돌기(13d)가 제1로킹홀(13c)에 끼워져 결합이 된다. 결합돌기(13d)의 첨두부는 제1로킹홀(13c)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있지만, 결합돌기(13d)의 첨두부가 제1로킹홀(13c)을 탄성적으로 팽창시키면서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13)은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3d)는 지주 위에 구체가 있는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화살촉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것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로킹홀(13c)과 결합돌기(13d)는 화장품 용기(20)의 토출부(22)가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 사이를 지나서 관통공(12)으로 삽입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관통공(12)의 전후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의 좌우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이 견고하게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로킹홀(13c) 및 결합돌기(13d)은 좌우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 본체(21)의 토출부(22) 측방에는 결합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홀(21a)은 제1로킹홀(13c) 및 결합돌기(13d)의 위치 및 개수와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이 된다. 따라서, 결합수단(13)이 용기 본체(21) 측에 결합이 될 때, 결합홀(21a)이 제1로킹홀(13c)과 결합돌기(13d) 사이에 위치하면서 결합돌기(13d)가 결합홀(21a)을 관통한 다음 제1로킹홀(13c)에 끼워짐으로써 결합수단(13)이 용기 본체(21) 측에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패츌러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20)에서 용기 본체(21)의 선단부위에 구비된 절취부(23)를 절취선(23a)을 따라 절취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도 5의 모습과 같이 절취부(23)가 제거된 화장품 용기(20)의 선단부위에 본 고안의 스패츌러(10)를 결합하는데, 이때 스패츌러(10)의 결합수단(13) 중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 사이로 화장품 용기(20)의 토출부(22)가 통과하여 관통공(1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토출부(22)의 선단부가 화장료 저류부(11) 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아울러 토출부(22)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21a)은 제1결합편(13a)의 제1로킹홀(13c)과 제2결합편(13b)의 결합돌기(13d)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스패츌러(10)의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을 강한 힘으로 위아래로 눌러서 서로 밀착시키면, 제2결합편(13b)의 결합돌기(13d)가 결합홀(21a)과 제1로킹홀(13c)에 차례로 끼워짐으로써, 스패츌러(10)가 화장품 용기(20)에 견고하게 결합이 된다.
이렇게 스패츌러(10)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20)의 용기 본체(21)에 담긴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1)를 가압하면 되는데, 용기 본체(21) 내부의 화장료는 토출부(22)를 통해 스패츌러(10)의 화장료 저류부(11) 상으로 토출이 된다. 이때 토출부(22)의 선단부가 화장료 저류부(11) 상으로 돌출이 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부(22)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는 화장료 저류부(11) 밖으로 유실되지 않고 안전하게 화장료 저류부(11)의 면적만큼 일정량만 담기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의 화장료를 스패츌러(10)의 화장료 저류부(11)로 안전하게 덜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화장료를 용기로부터 손에 덜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화장료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 속의 화장료를 손가락 등으로 직접 찍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용기 안으로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들어가서 화장료를 오염시키거나 변질시킬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의 스패츌러(10)를 적용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를 스패츌러(10)로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화장료의 오염이나 변질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다.
한편, 스패츌러(10)를 화장품 용기(20)로부터 분리/제거할 경우에는, 결합돌 기(13d)를 누름과 동시에 제1결합편(13a)을 위로 들어올리거나,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을 서로 벌리는 등의 조작을 통해, 결합돌기(13d)를 제1로킹홀(13c)과 결합홀(21a)로부터 빠지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패츌러(10)는 화장품 용기(20)의 용기 본체(21)를 상대로 쉽게 결합시킬 수도 있고 쉽게 분리/제거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스패츌러(10)에 구비된 결합수단(13)은 화장품 용기(20)의 용기 본체(21) 측에 결합과 제거가 용이한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하나의 화장품 용기(20)에 담긴 화장료를 다 사용한 후에는 스패츌러(10)를 화장품 용기(20)로부터 분리하여, 화장료가 충전되어 있는 새로운 화장품 용기(20)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패츌러(10)를 매번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여러 화장품 용기(20)에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자원절약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스패츌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결합편(13a)과 제2결합편(13b)을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였을 때 결합돌기(13d')가 제1로킹홀(13c)에 끼워져 결합이 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결합돌기(13d')가 제2결합편(13b)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구성물로 이루어져 제2결합편(13b)에 끼워진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즉, 제1결합편(13a)에 형성된 제1로킹홀(13c)과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제2로킹홀(13ba)이 제2결합편(13b)에 형성이 되고, 결합돌기(13d')는 제2결합편(13b)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2결합편(13b)의 저면 측으로부터 제2로킹홀(13ba)과 제1로킹홀(13c)에 차례로 끼워져 결합이 된다.
결합돌기(13d')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지주(13d'b)와, 이 지주(13d'b)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2로킹홀(13ba)과 제1로킹홀(13c)을 통과한 후 제1결합편(13a)의 상면부에 고정이 되는 머리(13d'a)와, 지주(13d'b)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돌기(13d')가 제2로킹홀(13ba)과 제1로킹홀(13c)에 끼워진 후 빠지지 않도록 제2로킹홀(13ba)보다 큰 넓이로 이루어져 제2결합편(13b)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멈치(13d'c)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돌기(13d')의 머리(13d'a)는 반구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형이나 화살촉 형상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결합돌기(13d')의 멈치(13d'c) 역시 원통형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일자형 또는 십자형 손잡이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스패츌러 11 : 화장료 저류부
12 : 관통공 13 : 결합수단
13a : 제1결합편 13b : 제2결합편
13c : 제1로킹홀 13d : 결합돌기
20 : 화장품 용기 21 : 용기 본체
21a : 결합홀 22 : 토출부
23 : 절취부 23a : 절취선

Claims (4)

  1.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화장료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가 돌출된 구조로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화장료가 일정량 담기도록 형성된 화장료 저류부;
    상기 토출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화장료 저류부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화장료 저류부를 향해 형성된 관통공;
    상기 용기 본체 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스패츌러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 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일정 각도로 벌어졌다가 맞붙을 수 있게 되는 제1결합편 및 제2결합편;
    상기 제1결합편에 형성되는 제1로킹홀;
    상기 제1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이 서로 밀착될 때 상기 제2결합편 측에서 상기 제1로킹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편에 상기 제1로킹홀과 대응하는 제2로킹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편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편의 저면 측으로부터 상기 제2로킹홀과 상기 제1로킹홀에 차례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토출부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 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로킹홀과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KR2020180004866U 2018-10-26 2018-10-26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Active KR200488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66U KR200488736Y1 (ko) 2018-10-26 2018-10-26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66U KR200488736Y1 (ko) 2018-10-26 2018-10-26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36Y1 true KR200488736Y1 (ko) 2019-03-12

Family

ID=6572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866U Active KR200488736Y1 (ko) 2018-10-26 2018-10-26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551A (zh) * 2023-05-06 2023-08-22 中山德尚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搅拌功能的化妆品容器
KR102815780B1 (ko) 2024-06-20 2025-06-04 아이준 주식회사 코스메틱 신상품 개발 협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641B2 (ja) 1990-09-21 1997-04-09 株式会社アペックス 飲料抽出用パック
JP2003081347A (ja) 2001-09-07 2003-03-19 Katsumi Osato 充てん容器と補助容器を組み合わせた簡易容器
KR101237448B1 (ko) 2012-07-16 2013-02-28 변문성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391237B1 (ko) * 2012-08-14 2014-05-02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55654B1 (ko) 2017-03-16 2017-07-10 (주)연우 와이드 노즐이 구비된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641B2 (ja) 1990-09-21 1997-04-09 株式会社アペックス 飲料抽出用パック
JP2003081347A (ja) 2001-09-07 2003-03-19 Katsumi Osato 充てん容器と補助容器を組み合わせた簡易容器
KR101237448B1 (ko) 2012-07-16 2013-02-28 변문성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391237B1 (ko) * 2012-08-14 2014-05-02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55654B1 (ko) 2017-03-16 2017-07-10 (주)연우 와이드 노즐이 구비된 튜브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6551A (zh) * 2023-05-06 2023-08-22 中山德尚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搅拌功能的化妆品容器
CN116616551B (zh) * 2023-05-06 2025-06-06 中山德尚伟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搅拌功能的化妆品容器
KR102815780B1 (ko) 2024-06-20 2025-06-04 아이준 주식회사 코스메틱 신상품 개발 협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70B2 (en) Device for the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separately packaged products
KR200488736Y1 (ko)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스패츌러
KR20070005664A (ko) 분배장치
PL1675710T3 (pl) Maszynka do golenia z dozownikiem środka wspomagającego golenie
CA2310470C (en) Fluid applicators
US6186971B1 (en) Swab dispenser with integral fluid reservoir
EP2962955B1 (en) A disposable fluid dispensing reservoir
JP6970677B2 (ja) 接着剤および/またはシーリング剤を塗布するための装置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US6155270A (en) Nail polish remover bottle/applicator with manicure devices and kit
US11337504B2 (en) Substance dispensing handle and container assemblies, substance dispensing handles, and personal care devices
KR20170115904A (ko)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00266329A1 (en) Device for Applying Substances Contained In An Aerosol
KR200494524Y1 (ko) 이중 화장품 용기
KR920004546B1 (ko) 접착제 적출용 포장용기(Adhesive Container)
JP5448978B2 (ja) 詰替え容器
JP2003310646A (ja) 流体のための一回用量包装体
JP2009292786A (ja) 皮膚外用剤及び該皮膚外用剤を収納した使い切り容器
KR102579065B1 (ko) 화장품 용기
US12128202B1 (en) Disposable topical application system
JP2002332069A (ja) 調味料等用容器
JP6632305B2 (ja) 二剤吐出装置の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二剤吐出装置
KR200494572Y1 (ko) 화장품용 앰플용기
JP3239464U (ja) 化粧品容器
JP5887579B2 (ja) 化粧料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0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11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3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