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26Y1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526Y1 KR200488526Y1 KR2020180004769U KR20180004769U KR200488526Y1 KR 200488526 Y1 KR200488526 Y1 KR 200488526Y1 KR 2020180004769 U KR2020180004769 U KR 2020180004769U KR 20180004769 U KR20180004769 U KR 20180004769U KR 200488526 Y1 KR200488526 Y1 KR 2004885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speaker
- audio
- insert
-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밴드 타입의 마이크 본체; 상기 마이크 본체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홀 마이크; 상기 마이크 본체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이크 포트; 및 상기 마이크 포트에 나사산 결합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인서트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body of a neckband type; A hole microphon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phone body for receiving external audio; A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body, the terminal comprising: a microphone port having a threaded inner surface; And an insert microphone coupled to the microphone port by thread engagement to receive external audio.
Description
본 고안은 마이크 및 스피커 무선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 마이크 및 스피커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and speake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a microphone and speake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일반적으로 마이크라 하면, 실내와 야외의 연단이나 무대에 설치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이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 음향기기로 전달하여 증폭된 음성을 청중이 스피커를 통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Generally, a microphone is a device installed on a stage or stage of a room or outdoor, amplifies an input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acoustic device so that the audible person can hear the amplified voice through the speaker.
무선 마이크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각종 행사장, 학원 강의실 및 노래방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개의 방을 보유하고 있는 노래방에서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방마다 사용되는 무선 마이크가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로 미리 설정되어 운용된다.Wireless microphon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event venues, lecture rooms, and karaoke rooms due to the convenience that users can freely use while moving their positions. When a wireless microphone is used in a karaoke room having several rooms, the wireless microphones used for each room are set in advance with different frequency channels.
일반적으로, 무선 마이크는 사랑의 음성을 집진 장치로 모아 FM 신호의 형태로 변조하고, 이 신호를 RF 송신기를 통하여 송출한다. 무선 마이크 송신기를 통해 송출된 신호는 무선 마이크 수신기에서 같은 주파수인지를 인식하고 FM 신호에서 음성 신호로 다시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음성 신호는 앰프 등 증폭장치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RF 주파수 방식의 무선 마이크는 20MHz ~ 900MHz 대의 송신단인 무선 마이크와 무선 마이크 수신단의 주파수 채널을 1:1로 동일하게 맞추어 주어야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Generally, a wireless microphone collects the voice of love into a dust collector, modulates it in the form of an FM signal, and sends out this signal through an RF transmitter.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recognizes the same frequency i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nd re-detects it as a voice signal from the FM signal. At this time, the detected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a speaker through an amplifier such as an amplifier. RF frequency wireless microphones can be communicated by setting the frequency channels of the wireless microphones and the receiving microphones in the range of 20MHz ~ 900MHz to 1: 1.
따라서 기존의 무선 마이크의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의 주파수를 동기화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ireless microphone, it is inconvenient to synchronize the frequencies of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또한 팩타입의 무선 마이크의 경우 유선을 이용하여 귀에 착용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단선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착용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손에 들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pack type wireless microphone has a structure to be worn on the ear by using a wire. Therefore, a disconnection problem may occur and inconvenience may occur.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must be used by hand.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의 단선 문제와 착용 불편함과 마이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지향성 및 무지향성 마이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of a microphone, inconvenience of wearing, and inconvenience of using a microphone. The technical challe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to provide a means for securing a directional and omnidirectional microphone.
본 고안은 넥밴드 타입의 마이크 본체; 상기 마이크 본체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홀 마이크; 상기 마이크 본체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이크 포트; 및 상기 마이크 포트에 나사산 결합으로 넥 밴트형 타입으로 자바라 및 연결 마이크 무게로 마이크 사용 중에 마이크 위치가 변동이 생겨, 이를 방지코자 나사산 연결 잭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인서트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body of a neckband type; A hole microphon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phone body for receiving external audio; A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microphone body, the terminal comprising: a microphone port having a threaded inner surface; And an insert microphone having a neck-bent-type bellows and a connecting microphone, the microphone position of which varies due to the use of the microphon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anti-jam thread connecting jack to receive external audio, have.
상기 마이크 본체는, 인체 피부에 해롭지 않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icrophone body may be made of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which is not harmful to human skin.
홀 마이크를 통한 외부 오디오 입력 또는 인서트 마이크를 통한 외부 오디오 입력을 선택받는 마이크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A microphone select button for selecting an external audio input through the hole microphone or an external audio input through the insert microphone.
본 고안은, 넥밴드 타입의 마이크 본체와, 상기 마이크 본체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홀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본체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이크 포트와, 상기 마이크 포트에 나사산 결합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인서트 마이크와, 스피커 장치와 IR 통신을 수행하는 마이크 IR 통신부;를 포함하는 마이크 장치; 및 상기 마이크 IR 통신부와 IR 통신하는 스피커 IR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 IR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기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device comprising a microphone body of a neck band type, a hole microphon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icrophone body to receive external audio, a microphone terminal formed on one end of the microphone body, An insert microphone coupled to the microphone port by thread engagement to receive external audio, and a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speaker device; And a speaker device including a speaker IR communication unit for IR communication wit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udio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상기 마이크 IR 통신부와 마이크 IR 통신부는, 고유한 ID와 PW로서 양방향 통신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and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may be bi-directionally communicated as unique IDs and PWs.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외에서 인서트 마이크를 나사산 결합시킴으로써, 인서트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실내에서는 송신기 본체에 있는 무지향성 마이크를 사용 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 microphone can be threadedly coupled outdoors to orient the insert microphone towards the user ' s mouth.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in the transmitter body can be used indoor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마이크가 마이크 포트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마이크가 마이크 포트에 삽입되어 나사산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 선택 버튼을 통해 홀 마이크가 선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 선택 버튼을 통해 인서트 마이크가 선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및 스피커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phone device showing an insert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it is inserted into a microphone po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phone device in which an insert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microphone port and threaded.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udio input when a hall microphone is selected through a microphone sel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input when an insert microphone is selected through a microphone sel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icrophone and speaker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related art or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마이크가 마이크 포트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마이크가 마이크 포트에 삽입되어 나사산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 선택 버튼을 통해 홀 마이크가 선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 선택 버튼을 통해 인서트 마이크가 선택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insertion of the insert microphone into a microphone po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microphone port,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udio input when a microphone is selected through a microphone selection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ert microphone is se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selection button, the audio input is shown.
본 고안의 마이크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밴드 타입의 마이크 본체(110)와, 마이크 본체(110)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홀 마이크(120)와, 마이크 본체(110)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이크 포트(130)와,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인서트 마이크(14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마이크 본체(110)는, 넥밴드 타입으로 된 하우징이다. 마이크 본체(110)는 일체형 형태, 접이식 형태 등의 다양한 디자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마이크 본체(110)는, 인체 피부에 해롭지 않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제작된다.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은, 알려진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열가소성을 가진 우레탄 엘라스트머 소재로 사출형성기나 압출기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인체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사출에 의하여 빠른 시간에 다량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다.The microphone
홀 마이크(120)는, 마이크 본체(110)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다. 즉, 주변 환경이 조용한 곳이라면, 무지향성 마이크 역할을 하여 주변의 오디오를 모두 입력받는다.The
마이크 포트(130)는, 마이크 본체(110)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기존의 마이크 포트(130)는, 예컨대, 3.5Φ의 홀로 구현되어, 인서트 마이크(140)가 꽂히기만 하지 나사산 체결을 할 수 없는 반면에, 본 고안의 마이크 포트(130)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마이크 포트(130)로 삽입되는 인서트 마이크(140)가 나사산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인서트 마이크(140)는,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인서트 마이크(140)의 단자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인서트 마이크(140)를 마이크 포트(130)에 삽입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을 할 수 있다.The
기존과 같이 나사산 결합없이 인서트 마이크(140)를 마이크 포트(130)에 삽입할 경우, 마이크 단자를 고정시키기 어려운 것에 반하여, 본 고안과 같이 인서트 마이크(140)를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시킴으로써, 마이크 단자를 사용자의 입 근처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지향성 오디오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It is difficult to fix the microphone terminal when the
결국, 본 고안의 마이크 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용한 곳에서는 홀 마이크(120)를 통해 주변의 모든 오디오를 입력받는 무지향성 오디오 입력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끄러운 곳에서는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되어 사용자 입을 향하도록 고정된 마이크 단자를 통해 지향성 오디오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3, the
이에 본 고안은 추가적으로, 홀 마이크(120)를 통한 외부 오디오 입력 또는 인서트 마이크(140)를 통한 외부 오디오 입력을 선택받는 마이크 선택 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selection button (not shown) for selecting an external audio input through the
따라서 마이크 선택 버튼(미도시)을 홀 마이크(120)로 선택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 마이크(120)를 통한 무지향성 오디오 입력이 이루어지며, 반대로, 마이크 선택 버튼(미도시)을 인서트 마이크(140)로 선택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마이크(140)를 통한 지향성 오디오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icrophone selection button (not shown) is selected as the
이밖에 본 고안의 마이크 장치(100)는, 전원 버튼(152), 입력 오디오 조절 버튼(151), 액정 패널(153), 메모리 카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 버튼(152)은, 마이크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버튼이다.The
입력 오디오 조절 버튼(151)은,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이다.The input
액정 패널(153)은, 메뉴 화면 및 동작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참고로 이러한 액정 패널(153)은,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The
메모리 카드(미도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가 임시 저장되는 메모리로서,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A memory card (not shown) is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The memory card includes a flash memory, a CF card (Compact Flash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 SM card ), An MMC card (Multi-Media Card), a memory stick, and the like,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는 스피커를 통해 증폭 출력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무선 송수신되도록 구현한다. 이하 도 5와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is amplified and outputted through a speaker.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r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및 스피커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마이크 및 스피커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 장치(100)와 스피커 장치(200)를 구비한다.The microphone / speaker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마이크 장치(100)는, 넥밴드 타입의 마이크 본체(110)와, 상기 마이크 본체(110)에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홀 마이크(120)와, 마이크 본체(110)의 일끝단에 형성된 단자로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이크 포트(130)와, 마이크 포트(130)에 나사산 결합으로 체결되어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인서트 마이크(140)와, 스피커와 IR 통신(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마이크 IR 통신부를 구비한다.The
마이크 장치(10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오디오 코덱에서 디지털로 변환한 후 마이크 IR 통신부를 통해 디지털 송신한다.The
스피커 장치(200)는, 공간 에일 리어스 문제는 청취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청취자는 고주파의 빠른 변화로 변조효과를 경험하게 되어 음색면에서 문제를 이르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에일 리어스를 해결하기 위해서라우드 스피커 배열을 위한 유닛에 트위터를 추가하였다. 기존 기가폰의 단점인, 스피커통을 개발하여 스피커의 파형을 스피커통자체의 스폰지에서 음을 흡수하고, 소리의 명료도 및 소리의 공명성을 개선하였다.In the speaker device 200, the spatial aliasing problem is caused by a problem in the tone color because the listener moving in the listening space experiences a modulation effect with a rapid change of high frequency. Therefore, tweeter is added to the unit for loudspeaker array to solve this spatial alias. We developed a loudspeaker bar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gigaphones, absorbing the loudspeaker waveform from the sponge of the loudspeaker itself, and improving the clarity of the sound and the clarity of the sound.
스피커 장치(200)는, 마이크 IR 통신부와 IR 통신하는 스피커 IR 통신부와, 마이크 IR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기를 포함한다. 즉, 스피커 IR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를 오디오 코덱에서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기를 통해 증폭 출력한다.The speaker device 200 includes a speaker I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udio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That is, the digital audio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IR communication unit is converted from an audio codec to a voice analog signal, and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이러한 마이크 IR 통신부와 마이크 IR 통신부는, 고유한 ID와 PW로서 양방향 통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and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transmit and receive digital audio data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unique ID and a PW.
기존에는 900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통해 오디오 송수신이 이루어져 혼선이 발생하는 것에 반하여, 본 고안과 같이 고유한 ID와 PW(패스워드)로서 양방향 디지털 통신함으로써, 오디오 혼선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된다.In the past, audio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radio frequency of 900 MHz to generate a crosstalk, and bidirectional digit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unique ID and a PW (passwor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마이크 장치
110:마이크 본체
120:홀 마이크
130:마이크 포트
140:인서트 마이크
200;스피커 장치100: Microphone device
110: microphone body
120: Hall microphone
130: microphone port
140: Insert microphone
200; speaker device
Claims (5)
상기 마이크 IR 통신부와 IR 통신하는 스피커 IR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 IR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기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포트에 나사산 체결될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입 근처 방향에서 고정되어 지향성으로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간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A microphone port formed on a surface of the microphone body and having a non-directional external microphone for receiving external audio; a microphone terminal formed on one end of the microphone body, A microphone device including an insert microphone threadably coupled to the microphone port to receive external audio, and a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speaker device; And
A speaker IR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udio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R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insert microphone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microphone is fastened to the microphone port and is fixed in a direction near the mouth of the user so that external audio is received in a directional manner
Wireless transmit / receive system between microphone and speaker.
고유한 ID와 PW로서 양방향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간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5. The apparatus of claim 4,
Directional communication as a unique ID and a P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769U KR200488526Y1 (en) | 2018-10-19 | 2018-10-19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769U KR200488526Y1 (en) | 2018-10-19 | 2018-10-19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8526Y1 true KR200488526Y1 (en) | 2019-02-15 |
Family
ID=6536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47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526Y1 (en) | 2018-10-19 | 2018-10-19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8526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30517A (en) * | 2019-04-15 | 2019-11-08 | 美律电子(深圳)有限公司 | Hearing aid |
KR102282024B1 (en) * | 2021-04-27 | 2021-07-27 | (주)아이엠피 | microphone device of neck bend type |
KR20240014322A (en) | 2022-07-25 | 2024-02-01 | 김정규 |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9471A (en) * | 2002-02-20 | 2003-08-2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KR20090122602A (en) * | 2008-05-26 | 2009-12-01 | 에드뷰시스템 (주) | Wireless microphone system |
KR20100080253A (en) | 2008-12-31 | 2010-07-08 | 정동준 | Receiving equipment of wireless microphone |
KR101124459B1 (en) * | 2010-11-26 | 2012-03-21 | 유필종 | Headset for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removable mike |
KR101753726B1 (en) * | 2016-03-02 | 2017-07-04 | (주) 로임시스템 | Neck-band type wireless microphone |
-
2018
- 2018-10-19 KR KR2020180004769U patent/KR20048852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9471A (en) * | 2002-02-20 | 2003-08-2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KR20090122602A (en) * | 2008-05-26 | 2009-12-01 | 에드뷰시스템 (주) | Wireless microphone system |
KR20100080253A (en) | 2008-12-31 | 2010-07-08 | 정동준 | Receiving equipment of wireless microphone |
KR101124459B1 (en) * | 2010-11-26 | 2012-03-21 | 유필종 | Headset for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removable mike |
KR101753726B1 (en) * | 2016-03-02 | 2017-07-04 | (주) 로임시스템 | Neck-band type wireless microphon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30517A (en) * | 2019-04-15 | 2019-11-08 | 美律电子(深圳)有限公司 | Hearing aid |
CN110430517B (en) * | 2019-04-15 | 2021-09-10 | 美律电子(深圳)有限公司 | Hearing aid |
KR102282024B1 (en) * | 2021-04-27 | 2021-07-27 | (주)아이엠피 | microphone device of neck bend type |
KR20240014322A (en) | 2022-07-25 | 2024-02-01 | 김정규 |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and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same |
KR102654072B1 (en) * | 2022-07-25 | 2024-04-03 | 김정규 | Public address system using wireless neck microphon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76921B2 (en) | Active crossover and wireless interface for use with multi-driver headphones | |
KR200488526Y1 (en)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
US20040247139A1 (en) | Audio/video remote control with built-in earphone system | |
KR101071540B1 (en) | Classroom wireless microphone system automatically paired | |
CN101790125A (en) | Detecting the repositioning of an earphone using a microphone and associated action | |
US7864975B2 (en) | Active crossover for use with multi-driver in-ear monitors | |
US7876920B2 (en) | Active crossover for use with multi-driver headphones | |
US7869616B2 (en) | Active crossover and wireless interface for use with multi-driver in-ear monitors | |
US8391535B1 (en) | Active crossover for use with multi-driver headphones and in-ear monitors | |
US20140192994A1 (en) | Noise Cancelling Headphone | |
CN204316708U (en) | Headphone, detecting terminal and detection system | |
CN105187993A (en) | Three-dimensional stereo headphone device and recovery method | |
EP1716722B1 (en) | Vsr surround tube headphone | |
KR20130137903A (en) | Sound output apparatus, audio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outputting sound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 |
CN203708451U (en) | Microphone receiver with RCA balanced input and output | |
CN205092951U (en) | Mike's earplug device has been embedded | |
KR101171252B1 (en) | System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 for hearing aid | |
KR200357328Y1 (en) | 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 |
CN213783531U (en) | Music back cushion | |
KR200494436Y1 (en) | Portable wireless receiver including audio output plug and jack an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0195378Y1 (en) | Audio output uint through remote-controller for television | |
KR102452503B1 (en) | System having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built-in earphone jack | |
KR101070387B1 (en) | A remote controller with an IR speaker | |
KR200494601Y1 (en) |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including audio input plug an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997241A (en) | Nose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transfer and peripher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01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2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11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