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471A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69471A KR20030069471A KR1020020009113A KR20020009113A KR20030069471A KR 20030069471 A KR20030069471 A KR 20030069471A KR 1020020009113 A KR1020020009113 A KR 1020020009113A KR 20020009113 A KR20020009113 A KR 20020009113A KR 20030069471 A KR20030069471 A KR 20030069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sound
- speaker
- electrical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하나의 몸체 내부에 내장한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은 사람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몸체 내에 내장형마이크 및 스피커가 내장되며, 그 몸체 외측으로 지향성인 외장형마이크가 더 부가된다. 그리고 내장형마이크 및 외장형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입력단자에 연결시키는 모드전환스위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어폰은 외부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모드전환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내장형마이크 또는 외장형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소음이 많은 지역에서는 모드전환스위치를 소음모드로 위치시켜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음성이 내장형마이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하며, 소음이 적은 지역에서는 사용자의 입에서 출력된 음성이 외장형마이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소음에 의한 통화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장형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장형마이크와 스피커의 근접설치에 따른 통화 간섭을 줄이기 위해 이용되는 회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입에서 발생된 음성 입력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sound input / output device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inside a body, and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using the same.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microphone and a speaker in an earphone body inserted into a human ear, and an external microphone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is further added. In addition, a mode switching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an internal microphone and an external microphone to an input terminal is provided. Such an earphone may be input by a user using a built-in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selectively through a mode change switch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in a noisy area, the mode change switch is placed in the noisy mode so that the voice generated from the user's ear is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By transmitting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noise can reduce the interference of the call.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n external microphon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of a circuit used to reduce call interference due to the proximity of the internal microphone and the speaker, and more clearly through the voice input generated from the mouth. You can pass a mess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폰(Microphone:이하, '마이크'라 한다) 및 스피커(Speaker)를 하나의 몸체 내부에 내장한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input /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having a micro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phone) and a speaker (Speaker) inside a body, and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어폰(헤드폰)과 같은 장치는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나 휴대형 라디오와 같은 메인출력장치의 보조출력수단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형 데이터송수신장치 및 자신의 음성을 녹음한 후,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된 휴대형 언어학습기 등이 등장하면서, 이어폰(헤드폰)은 단순한 보조출력수단에 그치지 않고, 마이크를 부가하여 보조입력장치로서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devices such as earphones (headphones) have been used as auxiliary output means of main output devices such as portable audio players and portable radios. Recently, however, portable data transmitters and receiver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ortable language learners implemented to record and reproduce their own voices have emerged. Earphones (headphones) are not merely auxiliary output means, but have a microphone. It is being developed to perform a function as an auxiliary input device.
도 1은 마이크가 부가된 일반적인 이어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이어폰은 핸드폰과 같은 메인장치의 입/출력단자에 결합되는 커넥터(10)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스피커(20)와, 커넥터(10)와 스피커(20)를 연결하는 신호선(15)과, 일반적인 사람의 구강부에 위치하도록 신호선 상에 설치된 마이크(30), 그리고 마이크(30)와 커넥터 사이의 신호선 사이에 연결되며, 핸드폰의 호출음에 응답할 수 있도록 호출응답버튼(42)을 갖는 제어기(40)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earphone with a microphone added. In the drawing, the earphone connects the connector 10 coupled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mai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speaker 20 having an external appearance to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the connector 10 and the speaker 20. Is connected between the signal line 15, the microphone 30 installed on the signal line to be loc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general person, and the signal line between the microphone 30 and the connector, the call answer button to respond to the ring tone of the mobile phone And a controller 40 with 42.
위와 같은 마이크 부가형 이어폰은 핸드폰이 호출된 경우, 사용자가 제어기에 형성된 호출응답버튼(42)을 누르는 것으로, 핸드폰의 직접적인 조작없이 마이크(30)와 스피커(20)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The microphone-type earphon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phone is called, the user presses the call answer button 42 formed on the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icrophone 30 and the speaker 20 without direct manipulation of the mobile phone.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이크 부가형 이어폰은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중인 경우에는 마이크(30)가 사용자의 구강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이크(30)가 외부 소음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소음이 많은 지역인 경우, 주변 소음까지 상대방에게 함께 전달되어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icrophone-type earphon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user moves or moves the body, the microphone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ser's mouth so that the message cannot be effectively delivered. In addition, since the microphone 30 is exposed to external noise, when there is a lot of noise, the microphone 30 is also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to the surrounding noise so that the user's message cannot be properly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인체의 구강부와 귀가 서로 연통되어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의 외부소음 인입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 중에도 효과적으로 메시지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을 제안한 바 있다(출원번호 10-2001-0061260). 또한, 상기와 같은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에서 마이크 및 스피커가 근접 설치됨에 따라 발생하는 하울링 및 에코를 저감시키도록 개선한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을 제안한 바 있다(출원번호 10-2001-0088886).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can reduce the external noise intake of the micro by using the feature that the oral cavity and the ear of the human bod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ound input / which can effectively transmit the message even during the user's operation. There has been proposed an output device and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 number 10-2001-0061260). In addition, there has been proposed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and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applying the same to reduce the howling and echo generated when the microphone and speaker are installed in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as described above (Application No. 10-2001-). 0088886).
제안한 종래의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은 신호처리부를 구비하며, 신호처리부는 송수신모드에 따라 마이크 입력레벨과 스피커 출력레벨을 조정한다. 즉, 신호처리부는 수화음이 검출되면, 마이크의 입력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며, 마이크 입력이 검출되면, 스피커 출력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함으로서 마이크와 스피커의 근접설치에 따른 통화 간섭을 최소화시키며, 하울링 및 에코의 발생을 저감시키도록 하였다.The conventional sound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using the same include a signal processor, and the signal processor adjusts the microphone input level and the speaker output leve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at is, the signal processor controls the input level of the microphone to be lowered when a sign language is detected, and minimizes the interference of calls caused by the proximity of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by controlling the speaker output level to be lowered when the microphone input is detected. And the occurrence of echoes.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어폰은, 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양방향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은 있지만 비소음지역에서도 반드시 신호처리가 수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소음지역에서도 사람의 구강부를 통한 명확한 음성이 전달되지 못하고, 귀에서 발생된비교적 부정확한 음성이 전달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ound input and output devices and earphones as described above have the advantage of performing two-way communication using a signal processing unit, but there is a problem of genera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ecause signal processing is necessarily performed in a non-noise area. In addition, even in a non-noisy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lear voice cannot be transmitted through the oral cavity of a person, and a comparatively incorrect voice generated from the ear can not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소음지역인 경우, 전력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 구강부에서 발생된 명확한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input and output device and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applying the same to a non-noisy area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being a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transmit a message with a clear voice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There is.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 부가형 이어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microphone-type ear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용 이어폰의 사시도, 그리고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도 2에 보인 핸드폰용 이어폰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10: 커넥터20, 210: 이어폰스피커10, 110: connector 20, 210: earphone speaker
30, 220, 230: 마이크40, 130: 제어기30, 220, 230: microphone 40, 130: controller
42, 134: 호출응답버튼120: 이어폰42, 134: call answer button 120: earphone
122: 삽입부124: 돌출부122: insertion portion 124: protrusion
132, 262: 모드전환조작스위치200: 핸드폰132, 262: mode switch operation switch 200: mobile phone
240: 신호검출부250: 스위칭소자240: signal detector 250: switching element
260: 모드전환스위치264: 모드전환스위칭부260: mode changeover switch 264: mode changeover switc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향 입출력장치는, 전달된 전기적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와 일체로 설치되며,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마이크로폰;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선택적으로 내부입력단에 연결하는 모드전환스위치;를 포함한다.A sound input and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peaker for converting the output electrical signal to the sound output; A first microphone which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generated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A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the generated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ound; And a mode change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to an internal input terminal.
또한, 음향 입출력장치는, 상기 스피커에 전달되는 전기적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적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검출부; 및 상기 신호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단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적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한다.The acoustic input /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output an intermittent signal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when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peaker is detected; And a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according to the intermitten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그리고 상기 모드전환스위치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향을 입력받도록 조작된 경우, 상기 신호검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The mode switching switch is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detector when the sound is inputt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입출력장치를 적용한 마이크 및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은, 메인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사용자의 귀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메인장치로부터 전달된 전기적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메인장치에 출력하는 제1 마이크로폰; 상기 몸체 외부에 설치되며,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장치에 출력하는 제2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의 음성출력단에 연결하는 모드전환스위치;를 포함한다.Microphone and speaker integrated earphone to which the sound input a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pplied,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main device; is installed in the body is formed so that a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to sound; A first microphone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converting a sound generated from the user's ea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sound to the main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A second microphone installed outside the body and converting the generated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output to the main device; And a mode change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to a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connector by a user's manipulation.
또한,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은,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스피커에 전달되는 전기적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에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검출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검출부로부터 출력된 단속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스위치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향을 입력받도록 조작된 경우, 상기 신호검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The microphone and speaker integrated earphon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output an intermittent signal for intercept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connector when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nector is detected; 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connector, the switching element being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n intermitten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Here, when the mode switch is operated to receive soun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it is implemen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detector.
또한,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은 상기 본체 외부에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즉, 종래와 같이 신호선 상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로부터 사용자의 구강부측으로 돌출시킨 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귀 삽입부에 대향하여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며, 이때, 사용자의 입에서 발성되는 소리를 집음하기 위한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icrophone may be variously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hat is, the second microphone may be installed on a signal line as in the prior art, or may take the form of a bar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user's mouth. Preferably,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opposite the ear inser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t this time, a directional microphone for collecting sound uttered in the user's mouth is us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및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에 의하면, 사용자는 외부환경에 따라, 즉, 주변에 소음이 많고 적음에 따라 상기 모드전환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마이크로폰 이용시는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뿐만아니라 구강부에서 발생된 음성으로 메시지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coustic input /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crophone and speaker-integrated earphon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the user may change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first through the mode switching switch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noise and the surroundings are much less. 2 microphones can be used selectively, and the use of the second microphone can not only reduce power consumption, but also deliver messages more accurately with voice generated from the oral cavit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핸드폰용 이어폰의 사시도이다. 핸드폰용 이어폰은 커넥터(110),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120), 그리고 제어기(130)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type mobile phon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includes a connector 110, a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120, and a controller 130.
커넥터(110)는 핸드폰(200)의 입출력단자와 연결된다.The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200.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120)은 단일의 몸통을 가지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삽입부(122)와 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4)를 갖는다. 삽입부(122)측에는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용자의 귀에 밀착 또는 밀폐시키기 위하여 인체적합형 고무(또는 스폰지)가 덮어 씌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어폰 내부에는 몸체 내에 스피커와 내장형마이크가 사용자의 귀 내부를 향하여 설치되며, 돌출부측으로 스피커 및 내장형마이크와는 차폐물을 통해 분리된 외장형마이크가 내장된다. 편의상 몸통 내부에 내장된 마이크들에 대하여 삽입부(120)측으로 형성된 마이크는 내장형마이크로, 돌출부(124)측으로 형성된 마이크는 외장형마이크로 명명한다.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120 has a single body,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122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a protrusion 124 protruding out of the ear. The insertion part 122 is covered with a human body rubber (or sponge) to protect the user's ear and to close or seal the user's ear. Although not shown, the earphone and the built-in microphone are installed in the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user's ear, and the external microphone is separated from the speaker and the built-in microphone by a shield to the protrusion. For convenience, the microphone formed toward the insertion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s built into the body is called a built-in micro, and a microphone formed toward the protrusion 124 is called an external microphone.
제어기(130)는 커넥터(110)와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120)을 연결하는 신호선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소음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조작할 수 있는 모드전환조작스위치(132) 및 호출응답 겸용 재다이얼링버튼(134)을 갖는다. 소음모드는 내장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메시지를 핸드폰(200)에 출력한다. 일반모드는 외장형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메시지를 핸드폰(200)에 출력한다.The controlle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signal line connecting the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120,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switch 132 and the call answering material that can be operated in a noise mode or a normal mode by the user. It has a dialing button 134. The noise mode outputs the user's message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to the mobile phone 200. The normal mode outputs the user's mess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to the mobile phone 200.
도 3은 도 2에 보인 핸드폰용 이어폰의 블록도이다. 이어폰은 스피커(210), 내장형마이크(220), 외장형마이크(230), 신호검출부(240), 스위칭소자(250), 그리고 모드전환스위치(260)를 구비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shown in FIG. The earphone includes a speaker 210, a built-in microphone 220, an external microphone 230, a signal detector 240, a switching device 250, and a mode switching switch 260.
스피커(210)는 사용자의 귀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관이 형성된 몸통(120) 내부에 설치되며, 커넥터(110)를 통해 핸드폰(200)으로부터 전달된 전기적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귀에 출력한다.Speaker 21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20 is formed so that a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200 to the sound through the connector 110 to the user's ear do.
내장형마이크(220)는 몸통 내부에 스피커와 함께 내장 설치되며,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110)를 통해 핸드폰(200)에 출력한다.The built-in microphone 220 is installed with a speaker inside the body, and convert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user's ea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mobile phone 200 through the connector 110.
외장형마이크(230)는 몸통(120)의 삽입부(122)에 대향하여 돌출부(124)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구강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110)를 통해 핸드폰(200)에 출력한다. 이때, 외장형마이크(230)는 사용자의 구강부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집음할 수 있도록 지향성 마이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xternal microphone 230 is installed on the protrusion 124 side opposite to the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body 120, converts the sound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connector 110 To 200). At this time, the external microphone 230 is preferably a directional microphone to be used to pick up the voice generat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user.
신호검출부(240)는 스피커(210)로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검출하고, 내장형마이크(220)로부터 핸드폰(200)의 입력단에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신호를 출력한다.The signal detector 240 detect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210 and outputs an intermittent signal for controlling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uilt-in microphone 220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200.
스위칭소자(250)는 내장형마이크(220)와 마이크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신호검출부(240)로부터 출력된 단속신호에 따라 개폐된다. 스위칭소자(250)는 내장형마이크(220)와 마이크 출력단자 사이를 신호검출부(240)의 차단/연결신호에 응답하여 차단/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릴레이와 같은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switching device 250 is connected between the built-in microphone 220 and the microphone output terminal, and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mitten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tector 240. The switching device 250 may use various devices capable of blocking / connecting between the built-in microphone 220 and the microphone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blocking / connection signal of the signal detector 240. For example,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transistor may be used, or a device such as a relay may be used.
모드전환스위치(260)는 사용자의 모드전환조작스위치(262)의 조작에 의해 내장형마이크 연결단자 및 외장형마이크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마이크 출력단자에 연결하는 스위칭부(264)를 구비한다. 모드전환조작스위치(260)는 슬라이드 형태로 내장형마이크(220) 및 외장형마이크(230)를 선택할 수 있으며, 푸쉬버튼 형식으로 어느 한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 mode switching switch 260 includes a switching unit 264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built-in microphon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microphone connection terminal to the microphone output terminal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switch 262. The mode change operation switch 260 may select the built-in microphone 220 and the external microphone 230 in a slide form, and may select any one microphone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위와 같은 핸드폰용 이어폰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기(130) 하단에 핸드폰고리를 형성하고, 핸드폰을 그 고리에 걸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줄을 목에 걸어 핸드폰(200)을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Earphones for the mobile phone as shown above can form a mobile phone ring 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ure 2, the mobile phone can be hooked to the ring, the user walks the line around the cell phone 200 to the user's body Can be fixed at
한편, 커넥터(110)가 핸드폰(200)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몸체(120) 일부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핸드폰(200)이 호출된 경우, 사용자는 제어기(130)의 호출응답버튼(134)을 눌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방식의 모드전환조작스위치(262)의 위치가 소음모드측으로 위치한 경우, 즉, 내장형마이크(220)를 연결시킨 경우, 신호검출부(240)는 핸드폰(200)으로부터 스피커(210)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가 검출되면,내장형마이크(220)를 통한 입력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신호를 스위칭소자(25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250)는 개방된다. 그러면 내장형마이크(220)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핸드폰(20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반면, 신호검출부(240)는 스피커(210)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동안은 연결신호를 스위칭소자(25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250)는 단락상태가 되며, 내장형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핸드폰(200)에 출력된다. 이는 두 통화자가 동시에 송화를 하는 경우, 서로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받을 수 없어 어느 한 측에서 송화를 중단하는 점을 감안하여 양방향 통신이 아닌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별도의 신호처리로직을 이용하지 않고도 스피커(210) 및 내장형마이크(220)의 근접설치에 따른 하울링 및 에코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mobile phone 200, the mobile phone 200 is called with a portion of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he user of the controller 130 By pressing the call answer button 134 it is possible to talk to the other party. 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slide mode switching operation switch 262 is located to the noise mode side, that is, when the built-in microphone 220 is connected, the signal detector 240 is transferred from the mobile phone 200 to the speaker 210.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a blocking signal for blocking an input signal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220 is output to the switching element 250. Accordingly, the switching device 250 is opened. Then, the user's voice signal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220 is not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200).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detector 240 outputs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switching element 250 while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peaker 210 is not detected. Accordingly, the switching device 250 is short-circuited, and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220 is output to the mobile phone 200. This means that when two callers make a call at the same time, they cannot receive the message correctly, so that one side stops the call and thus performs one-way communication rather than two-way communic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howling and echo due to proximity installation of the speaker 210 and the built-in microphone 220 without using a separate signal processing logic.
또한, 핸드폰용 이어폰은 외부환경에 따라 내장형마이크(220) 및 외장형마이크(23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주변에 소음이 많은 지역인 경우, 사용자는 모드전환조작스위치(262)를 소음모드로 위치시켜 이어폰에 내장된 내장형마이크(220)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주변에 소음이 적은 지역인 경우에는 모드전환조작스위치(262)를 일반모드로 전환하고,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120)의 돌출부(124)에 설치된 외장형마이크(230)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스위치(260)는 일반모드로 조작된 경우, 신호검출부(2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사용자의 음성을 외장형마이크를 통해 전달하는 경우, 내장형마이크(220)에 의한 하울링 및 에코를 고려하지않아도 되므로 신호검출부(240)의 동작에 따른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may use the built-in microphone 220 and the external microphone 230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when there is a lot of noise in the surroundings, the user places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switch 262 in the noise mode and transmits his / her voic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220 built in the earphone. And in the case of an area with less nois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switch 262 is switched to the normal mode, and the voice of the person via the external microphone 230 installed on the protrusion 124 of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120 to the other party. I can deliver it. In addition, the mode changeover switch 260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detector 240 when operated in the normal mode. This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or 240, since the user's voice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because the howling and the echo by the internal microphone 220 are not considered.
위와 같은 핸드폰용 마이크 및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은 사용자가 모드전환스위치 조작을 통해 소음이 많은 지역에서는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되는 소리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주변 소음이 비교적 적은 지역에서는 사용자의 입으로 출력되는 정확한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Cell phone microphone and speaker integrated earphones as described above can be delivered to the user's mouth in the area where the noise is relatively low in the area where the noise is generated from the user's ear in the noisy area by operating the mode switching switch. The message can be delivered with the correct voi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향입출력장치 및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은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회로의 구현이 간단하며,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하여 내장형마이크 및 외장형마이크를 선택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황에 따라 상대방에게 보다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ound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microphone integrated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a one-way communication, so the circuit is simple to implement. Not only can you do this, but you can also send a clearer message to the other par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a variety of variations will be possibl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9113A KR20030069471A (en) | 2002-02-20 | 2002-02-20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9113A KR20030069471A (en) | 2002-02-20 | 2002-02-20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9471A true KR20030069471A (en) | 2003-08-27 |
Family
ID=3222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9113A KR20030069471A (en) | 2002-02-20 | 2002-02-20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69471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7665B1 (en) * | 2004-11-08 | 2006-09-25 | 이은승 | Speaker integrated earphone |
KR101022312B1 (en) * | 2010-05-24 | 2011-03-21 | 신두식 | Ear microphone |
WO2011132845A2 (en) * | 2010-04-19 | 2011-10-27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KR101109748B1 (en) * | 2010-11-05 | 2012-02-24 | 신두식 | microphone |
KR200488526Y1 (en) * | 2018-10-19 | 2019-02-15 | 김정규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US12183341B2 (en) | 2008-09-22 | 2024-12-31 | St Casestech, Llc | Personalized sound management and method |
US12249326B2 (en) | 2007-04-13 | 2025-03-11 | St Case1Tech, Llc |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
-
2002
- 2002-02-20 KR KR1020020009113A patent/KR2003006947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7665B1 (en) * | 2004-11-08 | 2006-09-25 | 이은승 | Speaker integrated earphone |
US12249326B2 (en) | 2007-04-13 | 2025-03-11 | St Case1Tech, Llc |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
US12183341B2 (en) | 2008-09-22 | 2024-12-31 | St Casestech, Llc | Personalized sound management and method |
WO2011132845A2 (en) * | 2010-04-19 | 2011-10-27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WO2011132845A3 (en) * | 2010-04-19 | 2011-12-15 | Shin Do Sik | Ear microphone |
KR101022312B1 (en) * | 2010-05-24 | 2011-03-21 | 신두식 | Ear microphone |
KR101109748B1 (en) * | 2010-11-05 | 2012-02-24 | 신두식 | microphone |
KR200488526Y1 (en) * | 2018-10-19 | 2019-02-15 | 김정규 |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icrophone and sp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36833B2 (en) | External ear canal voice detection | |
US5475872A (en) | Portable telephone with external transmitter-receiver connections | |
KR101899005B1 (en)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and external microphone adaptive to external noise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381289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
CN211047222U (en) | Hearing aid system switching control circuit for Bluetooth headset and PCBA circuit board | |
JPH11146483A (en) | Mobile telephone set having amplified sound | |
JP2003111175A (en) | Speech transmission and receiving system | |
KR20030069471A (en)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
KR20020079199A (en) | A cellulra phone having function of a hearing aid | |
JPH10126466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KR20030080634A (en) | Earphone with shielding structure of external noise | |
JPH0448040Y2 (en) | ||
KR200293071Y1 (en) | Hand phone case for moving character | |
JPH0951369A (en) | Telephony set with earphone/microphone set | |
KR200216321Y1 (en) | Earphone with microphone | |
JPS6236400Y2 (en) | ||
JP3095040B2 (en) | Mobile phone | |
KR200412381Y1 (en) | Hands free pillow | |
KR200191769Y1 (en) | Hands free | |
KR10049697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speaker of mobile phone | |
JPH01128647A (en) | Hand-free telephone system | |
KR200303889Y1 (en) | Headphone set for the Personal Computer with mobile phone hands-free function | |
KR830002168B1 (en) |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or recording and transmission | |
KR200277284Y1 (en) | Headset type wireless telephone having radio receiver | |
JPS6327484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304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4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