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61Y1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Google Patents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761Y1 KR200486761Y1 KR2020170006222U KR20170006222U KR200486761Y1 KR 200486761 Y1 KR200486761 Y1 KR 200486761Y1 KR 2020170006222 U KR2020170006222 U KR 2020170006222U KR 20170006222 U KR20170006222 U KR 20170006222U KR 200486761 Y1 KR200486761 Y1 KR 2004867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rner angle
- connecting member
- coupling member
- cor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직각을 이루는 두 면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차부 사이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직각을 이루는 두 판부재를 포함하며, 두 판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두 판부재 중 하나의 판부재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단차진 높이는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강부에 의해 코너앵글의 구조적 강성이 보완되는 효과가 있다.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form panel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is formed on two surfaces at right angles, a joining member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by forming a reinforcing portion between each of the stepped portions, and two plate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And an end portion of one plate member of the two plate members is connected to the step portion,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to abu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stepped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rner angle is complemented by the reinforcement por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코너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두 개의 거푸집 패널을 90°의 각도로 연결하는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ang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formwork panel which is installed at a corner portion of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and connects two formwork panels at an angle of 90 °.
주거 또는 오피스 건물 등과 같이 동일평면 공사가 많은 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치수의 크기로 제작된 거푸집 패널을 바닥에 세워 벽체 두께만큼의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조립한 후에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코너 앵글은 벽체 모서리 부분에 세워져 양측의 벽면용 거푸집 패널을 90°의 각도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In order to be able to be reused repeatedly on the same site such as a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 it is assembled by spacing the form panel made with a certain size to a certain distance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 the corner angles are erected on the corner of the wall and used to connect the form panels for the wall panels on both sides at an angle of 90 °.
거푸집 패널로는 주로 금속(철재 또는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무게가 가볍고 콘크리트의 마감 품질이 우수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 a form panel, metal (steel or aluminum) is mainly used, and its production cost is low and it is easy to assemble. In particular, aluminum is light in weight and high in finish quality of concrete, so demand is increasing.
인코너 앵글의 경우에는 양측의 벽면용 거푸집 패널 안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을 동시에 견뎌야 하므로 충분한 구조적 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철재 대신에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하게 되는 경우 용접 부위 증가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용접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하기도 하며, 용접 대신 압연 또는 압출 가공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코너 앵글 규격에 따라 형틀을 준비해야 하므로 생산 가격이 비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inconner angle, sufficient structural rigidity is required because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placed in the mold panels for the wall panels on both sides must be sustain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when aluminum is used instead of steel, the working time is delayed due to an increase in the welding area, and the welding may cause twisting. Instead of welding, it may be manufactured by rolling or extrusion. In this case, Since the mold must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angle standard, the production price is unrealistic.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form panel including a reinforcing portion to compensate for the structural rigidity.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은 직각을 이루는 두 면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차부 사이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직각을 이루는 두 판부재를 포함하며, 두 판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두 판부재 중 하나의 판부재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단차진 높이는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The corner angle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angle is formed by forming a step portion on each of two orthogonal surfaces and forming a reinforcing portion between the step portions to form a triangular prism shape, Wherein the two plate members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late member of one of the two plate members has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tep portion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to abu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end plat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stepped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the end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앵글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하단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 내면에 접합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rner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nd plate and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and joined to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상기 결합부재, 연결부재, 엔드 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the end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may all be made of aluminum.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은 결합부재에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코너 앵글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The corner angle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in the joining member, which has an effect of complement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rner angle.
또한, 단차부의 단차진 높이와 단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두께를 대응하도록 제작하여 결합부재와 연결부재를 돌출되는 부분 없이 평탄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step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p portion are mad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connected smoothly without protruding portions.
또한, 단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길이만을 변경하여 다양한 규격의 코너 앵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orner angles of various sizes by changing only the length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또한, 단차부에 연결되지 않은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방향을 달리하여 인·아웃 코너 겸용으로 코너 앵글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is different, and the corner angle can be used also as the in-out corner.
도 1은 종래 코너 앵글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사시도
도 4(a)(b)는 결합부재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상부 평면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corner ang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formwork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formwork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 and (b) are top plan views of corner angles for connecting formwork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코너 앵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사시도이고, 도 4(a)(b)는 결합부재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의 상부 평면도 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corner ang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angle for connection to a form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panel for connecting a form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 and (b) are top plan views of corner angles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joining members.
도 1과 같이 종래 코너 앵글은 단차부(25)를 포함하는 결합부재(20)와 리벳수단에 의해 상기 단차부(25)에 수용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리벳수단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용접부와, 비틀림에 저항할 수 있는 중간 플레이트를 코너 앵글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만큼 구비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부품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1, the conventional corner angle is composed of a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은 결합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엔드 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결합부재(100)는 단차부(110) 외에 상기 단차부(110)를 연결하는 보강부(1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 코너 앵글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였다. The corner angles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결합부재(100)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이격 형성된 단차부(110)와, 상기 각 단차부를 연결하는 보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joining
연결부재(200)는 직각을 이루는 두 판부재를 포함하며, 두 판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두 판부재 중 하나의 판부재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를 이루는 두 판부재의 수평방향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어느 한 판부재의 수평방향 길이가 다른 한 판부재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으며, 판부재의 수평방향 길이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양의 코너 앵글을 제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200)는 직결피스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100)의 단차부(1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connecting
상기 단차부(110)에 수용되는 연결부재(200)의 판부재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 (110)의 단차진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작되어, 결합부재(100)와 연결부재(200)를 돌출되는 부분 없이 평탄하게 연결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상기 단차부(110)에 수용되지 않는 연결부재(200)의 판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거푸집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not shown) for coupling the form pan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member of the
엔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결합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코너 앵글의 상·하단에 용접으로 접합된다. The
엔드 플레이트(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310)은 코너 앵글을 필요에 따라 상하로 복수 개 연결할 때, 볼트나 고정핀 등의 연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하 정렬을 위해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through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은 엔드 플레이트(300) 외에 엔드 플레이트(3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하단의 엔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중간 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rner angle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중간 플레이트(400)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앵글이 거푸집 패널 안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부수적인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만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은 인 코너, 아웃 코너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2 and 3, the corner angles for connecting the form pa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oth as in-corner and out-corner.
상기 단차부(110)에 결합되지 않는 연결부재(200)의 판부재는 인 코너에 사용되는 경우 안쪽을 향하며, 아웃 코너에 사용되는 경우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 또한, 인 코너, 아웃 코너 여부에 따라 엔드 플레이트(300) 및 중간 플레이트(400)의 형상은 상이해질 수 있다.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결합부재(100)의 보강부(120)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Finally, referring to FIG. 4,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보강부(120)는 단차부(110)의 말단을 연결한 경사면의 형태로서, 코너 앵글의 체결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inforcing
보강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틈 없이 내부가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체결력, 지지력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도 4(b)와 같이 상기 단차부(110)와 상기 보강부(120)의 중앙 부분이 중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reinforcing
상기 결합부재(100)에 보강부(120)가 형성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앵글은 길이방향에 중간 플레이트(400)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어, 부품 낭비 없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코너 앵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Since the reinforcing
이상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 및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는 본 고안의 영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100: 결합부재
110: 단차부 120: 보강부
200: 연결부재
300: 엔드 플레이트 310: 관통공
400: 중간 플레이트100:
110: step portion 120: reinforcing portion
200: connecting member
300: end plate 310: through-hole
400: intermediate plate
Claims (6)
직각을 이루는 두 판부재를 포함하며, 두 판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두 판부재 중 하나의 판부재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의 단차진 높이는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판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An engaging member having a stepped portion formed on each of two orthogonal planes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to form a triangular prism shape;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two plate members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two plate members being integrally formed and the end of one of the plate members being connected to the step; And
And an end plate formed to abu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and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Wherein the stepped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상기 결합부재는 중앙부가 중공된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a corner angle for connecting a mold panel having a hollow central portion.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orner angle for connection to a form panel in which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end plate.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하단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 내면에 접합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The method of claim 3,
And an intermediate plat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end plate a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and joined to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 plates.
상기 결합부재, 연결부재, 엔드 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the end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are both made of aluminu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222U KR200486761Y1 (en) | 2017-12-04 | 2017-12-04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6222U KR200486761Y1 (en) | 2017-12-04 | 2017-12-04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761Y1 true KR200486761Y1 (en) | 2018-06-27 |
Family
ID=6274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622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761Y1 (en) | 2017-12-04 | 2017-12-04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761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054B1 (en) * | 2018-10-25 | 2019-07-22 | 주식회사 명성기술 | Crossbeam support for corner portion of form panel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2871Y1 (en) * | 2000-11-28 | 2001-05-15 |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 Incorner one's figure assembly apparatus of a bulding |
KR200347515Y1 (en) | 2004-01-30 | 2004-04-17 | 안종식 | Coner mold for concrete working |
KR200386934Y1 (en) * | 2005-04-01 | 2005-06-16 | 전승남 | A width-adjustable form for coner department |
KR200412294Y1 (en) * | 2006-01-13 | 2006-03-27 | 김민기 | Edge member of inner mold for forming inclined surface |
KR200452830Y1 (en) * | 2008-05-23 | 2011-03-25 | (주) 에스에프 | Out corner angle fixing device for formwork |
-
2017
- 2017-12-04 KR KR2020170006222U patent/KR20048676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2871Y1 (en) * | 2000-11-28 | 2001-05-15 |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 Incorner one's figure assembly apparatus of a bulding |
KR200347515Y1 (en) | 2004-01-30 | 2004-04-17 | 안종식 | Coner mold for concrete working |
KR200386934Y1 (en) * | 2005-04-01 | 2005-06-16 | 전승남 | A width-adjustable form for coner department |
KR200412294Y1 (en) * | 2006-01-13 | 2006-03-27 | 김민기 | Edge member of inner mold for forming inclined surface |
KR200452830Y1 (en) * | 2008-05-23 | 2011-03-25 | (주) 에스에프 | Out corner angle fixing device for formwor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054B1 (en) * | 2018-10-25 | 2019-07-22 | 주식회사 명성기술 | Crossbeam support for corner portion of form panel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2260B1 (en) |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 |
KR10117838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823790B2 (en) | Column unit and method of building building using column unit | |
KR101030419B1 (en) | Combined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KR101523532B1 (en) |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 |
KR101544803B1 (en) |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079008B1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880494B1 (en) | Cor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456391B1 (en) | Formed steel beam with holes and structure of composite floor | |
KR101834006B1 (en) |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 |
KR20130043324A (en) |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 |
KR20220030200A (en) | Intergrated Deck Plate with Truss Girder | |
KR101547540B1 (en) |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 |
KR101050167B1 (en) | Prefabricated slab module and knock-down modular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962788B1 (en) |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girder and composite deck-plate and temporary bridge therewith | |
KR20180047905A (en) | Device for fixing concrete form f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afacturing thereof | |
KR101429527B1 (en) |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 |
KR20230025521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G beam form | |
KR200486761Y1 (en)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
KR101904115B1 (en) |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1747002B1 (en) | 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and composite beam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122889B1 (en) | Pre-fabricated column with angle-type reinforcing bar | |
KR102700251B1 (en) | In-corner formwork panel | |
KR20180001212A (en) | Permanent assemble form structure having stiffnes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assemble form for column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20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6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32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04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