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381B1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8381B1 KR101178381B1 KR1020120036177A KR20120036177A KR101178381B1 KR 101178381 B1 KR101178381 B1 KR 101178381B1 KR 1020120036177 A KR1020120036177 A KR 1020120036177A KR 20120036177 A KR20120036177 A KR 20120036177A KR 101178381 B1 KR101178381 B1 KR 1011783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quare steel
- concrete
- coupled
- panel z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절곡강판이 결합되어 단면이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스터드커넥터가 구성되는 각형강관;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의 결합구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각형강관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와 각형강관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로 구성되며, 내부보강부의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보강부는 직각모서리에 절취면이 형성되며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이 구성되는 보강판; 상기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로 구성되어, 각형강관의 중공부를 제외한 외곽부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중공부는 공장타설에 비하여 현저히 저렴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제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보강판을 구성하여 각형강관을 보강함으로써, 각형강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합성기둥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주근과 띠철근의 배근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two bent steel plate is combin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hollow cross-section, each corner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stant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Square steel pipe is composed of a stud connector; The longest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and is radially coupled, and consists of an internal reinforcement part located inside the center steel pipe and an external reinforcement part located outside the center steel pip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rt,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tting surface on the right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formed in the outer groove; The outer concrete is made of precast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consisting of, only the outer portion except the hollow portion of the square steel can be cast concret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of the precast concrete pillar, the hollow portion compared to the factory casting Significantly inexpensive cast-in-place concrete has a very useful effect with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Also, by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plate to reinforce the square steel pipe, the thickness of the square steel pipe can be minimized, and the weight of the composite pillar can be further reduced, It is very useful for easy reinforcement of the band and the b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2개의 절곡강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형성하여 공장제작하고, 각형강관의 중공부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형강관에 일정간격으로 보강판을 구성하여 각형강관을 보강함으로써, 각형강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합성기둥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주근과 띠철근의 배근이 용이한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precast concret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wo thin bent steel sheets with a hollow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square steel pipe is made by pouring concrete in the field,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weight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reinforce the square steel pipe by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plat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quare steel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a square steel pipe which can minimize the thickness and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osite column, while easily reinforcing the main rod and the strip reinforcing bar.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구조시스템은 수직하중은 물론 바람, 지진 등의 수평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은 단면의 증가율에 비해서 내력의 증가율이 높은 기둥부재를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합성기둥을 사용하면 단면의 증가없이도 내력과 변형능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은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에서 H형강이 매입된 합성기둥이 많이 사용되며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구조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초고층 구조물에서 기둥 부재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철골 기둥이나 철골 부재를 고강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합성기둥(Hybrid Column)이 건물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계획될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As buildings become higher, structural systems must be able to support vertical loads as well as horizontal loads such as wind and earthquakes more efficiently. This requires a pillar member with a higher rate of strength increase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cross section. In this regard, the use of composite columns can greatly increase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cross-section, resulting in highly efficient structures. In this factor, H-steel embedded composite pillars are widely used, and concrete filled steel pipe structure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and in designing column members in high-rise structures, composite columns in which steel columns or steel members are reinforc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 Is often used because it can be sized appropriately to effectively use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또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이하 PC)는 제작 후 현장설치로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공기단축과 시공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공장제작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운반 및 양중에 대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며, 현장에 반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위한 야적공간 계획과 타워크레인 또는 하이드로 크레인 운용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수적이며, 또한 PC 부재의 단가는 중량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과도한 중량은 원가와 직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PC부재의 중량을 절감시키는 것이 경제성과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하다. In addition, precast concre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pre-fabricated at the factory has advantages such as easy site management by on-site installation after manufacturing, and shortening of air and improvement of workabilit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actory-made precast concrete members on sit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preliminary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lifting, and to plan the yard space for the precast concrete members brought into the site and the operation of tower crane or hydro crane. In addition, since the unit cost of the PC member is calculated by weight, the excessive weight is directly linked to the cost, and therefore, reducing the weight of the PC member is the most important for securing economic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666703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합성교각"(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강관; 상기 강관의 외면에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보강재; 및 상기 강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착보강재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보강재는 결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착판과, 상기 결착판의 중앙지점에서 상기 결착판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공을 가지는 복부와, 상기 복부의 상부 끝단을 절단하고, 절단된 끝단을 방향을 번갈아가며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666703 "concrete composite pillar and synthetic piers"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the steel pipe as shown in Figure 6; At least one attachment reinforcing materia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concrete poured into a space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the attachment reinforcement material, wherein the attachment reinforcement material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binding plate at a central point of the binding plate, and a binding plate having a binding portion formed thereon. It proposes a concrete composite pillar comprising an abdomen having the above-described attachment hole, and an attachment protrusion formed b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abdomen and bending the cut end alternately in the direction.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매입형 합성기둥으로 강관의 외부에 단순하게 콘크리트와 강관의 부착을 견고히 하는 역할만 할 뿐이며, 합성기둥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강관자체의 하중을 줄이기 힘들고 합성기둥의 주근 및 띠철근의 배근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is a buried composite pillar, which merely serves to solidify the attachment of concrete and steel pipe to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and does not appea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osite pillar, and to reduce the load of the steel pipe itself. It was difficul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main column and the band reinforcement of the synthetic colum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2개의 절곡강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형성하여 공장제작하고, 각형강관의 중공부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여 완성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형강관에 일정간격으로 보강판을 구성하여 각형강관을 보강함으로써, 비틀림등의 형태변형 없이도 각형강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합성기둥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주근과 띠철근의 배근이 용이한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thin bent steel sheet to form a factory made of precast concret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with a hollow formed there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quare steel pipe concrete in the field By casting to finish, the weight of the precast concrete columns can be greatly reduced, and by reinforcing the square steel pipes by constructing reinforcement plat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quare steel pipes, the thickness of the square steel pipes can be minimized without torsional deform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tha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osite pillar and can easily reinforce the main rod and the strip reinforcement.
본 발명은 2개의 절곡강판이 결합되어 단면이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스터드커넥터가 구성되는 각형강관;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의 결합구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각형강관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와 각형강관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로 구성되며, 내부보강부의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며, 외부보강부는 직각모서리에 절취면이 형성되며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이 구성되는 보강판; 상기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two bent steel plate is combin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hollow cross-section, each corner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stant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Square steel pipe is composed of a stud connector; The longest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and is radially coupled, and consists of an internal reinforcement part located inside the center steel pipe and an external reinforcement part located outside the center steel pip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rt,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tting surface on the right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formed in the outer groove; It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uter concrete is made of precast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또한,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구성되며, 직각모서리에 절취면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이 구성되며, 각형강관의 중공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는 결합강판;을 추가로 구성하거나, 부가하여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앵글을 추가구성하여,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 등의 모든 구조에서도 보와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re radially couple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corner, the cutting edge is formed on the right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are formed with an arc-shaped groove on the outer side, hollow of the square steel pipe A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The outer side of the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coupling steel plate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protruding line and the extension line; or further configured or in addition to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the L shape, the vertic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The angl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ne is coupled to close the end of the outer concrete, it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with the beam in all structure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또한, 2개의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강판을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을 형성하도록 결합하여 각형강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형강관의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사면의 모서리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하여 결합구를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스터드커넥터를 결합하는 단계; 보강판을 상기 각형강관의 결합구에 끼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각형강관의 외부에 주근 및 띠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combining the two bent right angled bending steel sheet to form a hollow cross section to form a rectangular steel pipe; Cutting the corners of the slope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quare steel pipe to form a coupler, and coupling the stud connectors to the out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Fitting a reinforcement plate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quare steel pipe; Assembling the formwork and reinforcing the cast bar and the strip reinforcement to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Form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form an external concrete to be manufactured by precast;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comprising a.
또한, 합성기둥 제작방법은 각형강관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 앵글을 구성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콘크리트를 형성하고, 패널존 보강플레이트를 상기 각형강관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단계; 및 단면이 사각형인 결합강판을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는 단계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is to form an ang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and then cast concrete in the form to form an external concrete, and the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is radially on the fou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respectively. Combining; And combining the steel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extension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2개의 절곡강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각형강관의 외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형성하여 공장제작하고, 각형강관의 중공부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장타설에 비하여 현저히 저렴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경제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wo thin bent steel sheet formed by forming a precast concrete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with a hollow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square steel pipe to cast concrete in the field, precast concrete The weight of the column can be greatly reduced, an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oncrete that is significantly inexpensive on-site casting compared to factory casting, there is a very useful effect with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또한, 각형강관에 일정간격으로 보강판을 구성하여 각형강관을 보강함으로써, 각형강관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두께가 얇은 절곡강판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등의 취약성을 보강판을 통하여 보강할 수 있어 합성기둥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주근과 띠철근의 배근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plat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quare steel pipe and reinforcing the square steel pip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quare steel pipe while reinforcing vulnerabilities such as torsion that may occur when using a thin bent steel sheet through the reinforcement plate. While it can further reduce the weight of the main bar and strip reinforcement is easy to have a very useful effec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일 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2a는 상기 도 1a의 측단면도,
도 2b는 상기 도 1b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보강판(200)이 구성된 부분의 평단면도,,
도 4a는 상기 도 1의 패널존 부분의 평단면도,
도 4b는 상기 도 4a의 외부콘크리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의 제작순서도,
도 6은 종래의 콘크리트 합성기둥을 도시한 단면도.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Figure 1a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A;
2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B;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4A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panel zone portion of FIG. 1;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rnal concrete of Figure 4a,
5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crete composite colum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a는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일 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공장에서 기성 강관보다 두께가 얇은 철판을 절곡시킨 절곡강판(100a)(100b)으로 각형강관(100)을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외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한 외부콘크리트(500)를 구성한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을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동한 후 내부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중량을 최대한 절감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킨 합성기둥이다. As shown in Figure 1a, the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using the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are steel pipe (100) as a bent steel plate (100a) (100b) bending a steel plate thinner than a conventional steel pipe in the factory To form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1) using a square steel pipe consisting of the
각형강관(100)은 얇은 강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절곡강판을 만들고, 2개의 절곡강판(100a)(100b)을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용접하여 결합한다. The
일반적으로 합성기둥은 H형강을 콘크리트기둥속에 매립하고 보강근과 띠철근을 사용한 피복형, 원형 또는 사각형의 강관속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만든 콘크리트 충전형, 피복형과 콘크리트 충전형을 결합한 충전피복형이 있다.In general, synthetic columns include H-shaped steel embedded in concrete columns, coated with reinforcing bars and band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filled types made by filling concrete in round or square steel pipes, and filled-coated types combined with coated and concrete filled types.
본 발명은 합성기둥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외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외부콘크리트(500)와 중공(110) 내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내부콘크리트를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원형강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매입형 합성기둥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주근(20)과 주근을 고정하는 띠철근(30)을 배근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각형강관(100)을 사용한다. 또한, 기성 각형기둥이나 원형기둥의 경우에는 두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합성기둥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각형기둥이나 원형기둥의 무게를 줄이기 어렵지만, 본 발명은 단면이 사각형이 형성되도록 기성강관보다 두께가 얇은 강판을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강판(100a)(100b)을 결합하여 형성된 각형강관(100)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성 강관보다 얇은 다양한 두께의 강판을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강판(100a)(100b)의 두께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각형강관(100)의 무게를 줄여 합성기둥(1) 자체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터드커넥터(130) 설치를 위한 최소 강판두께인 6mm(ø16 적용시)이므로, 절곡강판(100a)(100b)을 16mm 이상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절곡강판(100a)(100b)의 두께를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ollow inside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synthetic column and the outside is formed of precast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istinguish between the
중공(110)은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강판(10)을 결합하여 각형강관(100)을 제작하기 때문에, 각형강관(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110)이 형성된다. 중공(110)은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500)를 타설하여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중공(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콘크리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의 중공(110)과 외부가 명확히 구분된다.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500)는 공장에서 타설하여 미리 제작하고,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타설되는 내부콘크리트는 현장으로 이동후 타설한다. 내부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타설하기 때문에 고강도콘크리트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50MPa를 초과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별도의 폭열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하나, 본 발명은 외부콘크리트(500)가 일반 콘크리트에 해당하기 때문에 별도의 폭열방지대책을 수립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hollow 110 combines the bent steel plate 10 bent at right angles to produce a
결합구(120)는 각형강관(100)의 각 사면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형강관(100)의 각 사면의 모서리를 칼로 자른 듯한 형상으로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다. 각형강관(100)의 4개의 모서리의 결합구(120)에는 보강판(200)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The
스터드커넥터(130)는 각형강관(10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용접하여 결합한다. 스터드커넥터(130)에 의해서 경화된 외부콘크리트(500)와 각형강관(100)과의 부착을 견고히 함으로서 외부콘크리트(500)와 각형강관(100)이 일체로 거동하여 합성기둥으로서의 합성작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둥의 전체강성을 증가시키므로 부재의 크기를 줄여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유리하다.The
도 2a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a의 보강판(200)이 구성된 부분의 평단면도이다. FIG.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and FIG.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200)은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4개의 결합구(120)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각형강관(100)의 모서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판(200)을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각형강관(100)의 모서리를 보강을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해서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각형강관(100)은 2개의 절곡강판(100a)(100b)으로 이루어지며, 절곡강판(100a)(100b)은 합성기둥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얇은두께의 절곡강판(100a)(100b)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절곡강판(100a)(100b)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등의 취약성을 보강판(200)을 통하여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절곡강판(100a)(100b)의 두께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각형강관(100)의 무게를 줄여 합성기둥(1) 자체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강판(200)을 사용하여 보강하는 것이다.
보강판(2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보강판(200)은 각형강관(100)과 결합된 후,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210)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220)로 나뉘어진다. 이는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인입되어 고정결합시에 보강판(200)의 최장변은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내부보강부(210)가 형성되어 4개의 보강판(200)의 최장변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중앙부에 공간부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내부보강부(210)는 최장변이 각형강관(100)의 모서리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4개의 보강판(200)의 내부보강부(210)의 최장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최대한 넓게 구성되도록 하여,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이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도록 하며, 내부보강부(210)는 통공(211)을 형성하여 각형강관(100)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콘크리트의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외부보강부(220)는 각형강관(100)의 모서리의 양측면에 지지되어 더이상 각형강관(10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각형강관(100)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외부보강부(220)는 예각모서리부분은 절취되어 인접하는 다른 보강판(200)의 외부보강부(220)의 예각모서리부분과 각형강관(100)의 일측면의 중앙부에서 서로 맞닿도록 한다. The external reinforcing
또한, 상기 보강판(200)의 외부보강부(220)는 직각모서리에 절취면(221)이 형성되며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222)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reinforcing
이는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외부콘크리트(500)를 제작할 때, 외부콘크리트(500)는 현행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KBC 2009)의 매입형 합성기둥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주근(20)과 주근을 고정하는 띠철근(30)을 배근해야 하기 때문에, 각형강관(100)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주근(20)이 보강판(20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절취면(221)과 호형홈(222)은 주근(20)이 관통하는 부분에 보강판(200)을 절취 또는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절취면(221)은 보강판(200)의 직각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하고, 절취된 부분으로 주근이 관통하도록 한다. 또한, 호형홈(222)은 보강판(200)의 예각모서리부분의 외측면을 호형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서로다른 보강판(200)의 예각모서리가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호형홈(222)의 크기는 두개의 호형홈(222)이 합쳐져 하나의 주근(20)의 관통시 필요한 크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when the
상기와 같이,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외부콘크리트(500)를 프리캐스트로 제작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공장에서 타설하는 외부콘크리트(500)의 두께는 대략 100~120mm이다. 프리캐스트 합성기둥의 최소사이즈를 600X600mm 으로 하고 외부콘크리트(500) 두께를 100mm로 적용하면, 전체 단면에 대한 내부 중공(110)의 면적비는 약 45%가 된다. 합성기둥 사이즈를 1,000X1,000mm으로 하고 외부콘크리트(500) 두께를 100mm로 적용하면, 전체 단면에 대한 내부 중공(110)의 면적비는 약 64%가 된다. 그러므로 중공비는 전체 기둥 면적대비 약 45~65% 정도가 되어 중량이 가벼워 지기 때문에 경제성확보가 가능하다. The thickness of the
도 4a는 도 4a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보강판(200)이 구성된 부분의 평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외부콘크리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콘크리트(500)는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각형기둥 또는 원형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형 또는 원형의 외부콘크리트(500)의 형상과는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각형강관(100)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과 보의 접합부 즉 패널존에서의 보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추가로 상기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의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구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구성하고,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100)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강판(400)을 구성할 수 있다.2 and 4a, the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구성되며, 직각모서리에 절취면(310)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320)이 구성되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330)이 형성된다.Panel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최장변이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어 4개의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방사형을 이루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4개의 서로 다른 장변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이 단절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내부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게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용이해진다.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최장변이 구성된 면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의 위치에 위치하고,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등변인 측면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통공(330)이 형성되어 각형강관(100)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콘크리트의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longest side of the panel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예각모서리부분은 절취되어 인접하는 다른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예각모서리부분과 각형강관(100)의 일측면의 중앙부에서 서로 맞닿도록 한다. An acute corner portion of the panel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외부콘크리트(500)를 제작할 때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주근(20)이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주근(20)이 관통하는 부분에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절취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절취면(310)과 호형홈(320)을 구성하는 것이다. 절취면(310)은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직각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하고, 절취된 부분으로 주근이 관통하도록 한다. 또한, 호형홈(320)은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예각모서리부분의 외측면을 호형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서로 다른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예각모서리가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호형홈(320)의 크기는 두개의 호형홈(320)이 합쳐져 하나의 주근(20)의 관통시 필요한 크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be able to be arranged continuous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panel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철골보의 플랜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철골보의 플랜지와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철골보의 플랜지 두께가 각형강관(100)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보와 맞닿는 강관 표면에 두께 방향으로 과도한 인장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철골보의 플랜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꺼운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nel
보강판(200)과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지만, 직각을 이루는 변의 형상 및 사선을 이루는 변의 형상을 외부로 돌출되거나 요입될 수 있으며,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결합강판(400)은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에 결합구성되며, 상기 각형강관(100)과 동일한 사각형의 단면으로 각형강판(100)의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된다. 결합강판(400)은 상기 각형강관(100)과 대응되는 연장선에 구성되어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데, 이는 사면의 어느 방향에서도 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Coupling
도 1b는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Figure 1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에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와 결합강판(400)을 구성할 수 있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형강관(100)의 양단부를 연장하여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단부와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120a)가 형성시켜,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안정적으로 결합구(120a)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각형강관(100)이 연장된 패널존부(140)에 결합강판(4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결합강판(400)을 형성하면, 결합구(120a)를 형성할 수 있어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강판(400)의 결합이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 뿐만 아니라 패널존부(140)에도 결합되어 위치선정 및 결합이 더욱 견고해 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anel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보의 플랜지와 결합되고, 결합강판(400)은 보의 웨브와 결합되도록하여, 일반적으로 PC기둥에 접합하는 보가 동일한 구조형식의 PC보 또는 철근콘크리트보에 한정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와 결합강판(400)을 이용하여 철골보를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 등의 모든 구조에서 적용할 수 있다. Panel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40)을 각형강관(100)의 단부 외측둘레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앵글(40)은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100)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결합된다. 앵글(40)은 철골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보호의 기능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때, 하단부에 구성되는 앵글(40)은 각형강관(100)의 하단부에서 슬래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도록하여, 추후 슬래브 타설시에 슬래브 콘크리트가 각형강관(10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앵글(40)의 하부까지 타설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도 5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의 제작순서도이다. 5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square steel pipe.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described in detai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 using a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절곡강판(100a)(100b)으로 각형강관(100)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A, first, a
강판을 절곡하여 2개의 절곡강판(100a)(100b)을 만들고, 2개의 절곡강판(100a)(100b)을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110)이 형성되도록 맞대어 위치시킨 후 측면의 양단부를 용접시킨다. 절곡강판(100a)(100b)의 결합시에는 서로 다른 두개의 절곡강판(100a)(100b)을 다소 어긋나게 위치시켜 측면의 단부가 완전히 맞물리지 않고 돌출되도록 위치시켜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Bending the steel sheet to make two bent steel plate (100a) (100b), and the two bent steel plate (100a) (100b) are plac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form a rectangular hollow 110 therein and weld both ends of the side. When the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120)를 형성하고 스터드커넥터(130)를 결합한다. Then, as shown in Figure 5b, to form a
결합구(120)는 상기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사면의 모서리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즉, 결합구(120)는 각형강관(100)의 사면의 모서리의 꼭짓점에서 양측면이 절단된 형태이나 사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 결합구(120)의 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아 각형강관(100)이 완전히 절단되지는 않고, 각형강관(100)의 4면의 중앙부만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다.Coupling
스터드커넥터(130)는 각형강관(100)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결합한다. The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120)에 보강판(200)을 끼워 결합한다. 보강판(200)은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4개의 결합구(120)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지며, 보강판(2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보강판(200)은 각형강관(100)과 결합된 후,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210)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220)로 나뉘어진다. 각형강관(100)의 보강홈(120)이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4개의 서로 다른 보강판(200)의 외부보강부(220)가 ㄱ자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단부가 서로 맞닿아 각형강관(100)의 보강홈(120)이 형성된 외측둘레서 돌출된 형상을 하게 된다. 4개의 서로다른 보강판(200)의 내부보강부(210)는 각형강관(100)의 중공부(110)에 위치하여 최장변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C, the reinforcing
상기와 같이 보강판(200)을 각형강판(100)의 결합구(120)에 끼운 후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각형강관(100)과 완전히 결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강관(100)에 보강판(200)을 결합한 후에는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주근(20) 및 띠철근(30)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한다. 주근(20)은 각형강관(100)의 외부의 길이방향으로 배근하고, 보강판(200)의 절취면(221)의 외측부와 호형홈(222)을 관통하여 구성된다. 주근(20)의 배근과 동시에 주근(20)의 둘레로 일정한 간격으로 띠철근(30)을 배근한다.As shown in FIG. 5D, after the reinforcing
이후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여 완성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E, the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한다.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form an
또한, 외부콘크리트(500)의 형성시에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에서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100)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앵글(40)을 구성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에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상기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하고, 단면이 사각형인 결합강판(400)을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100)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보의 플랜지와 결합되고, 결합강판(400)은 보의 웨브와 결합되도록하여, 일반적으로 PC기둥에 접합하는 보가 동일한 구조형식의 PC보 또는 철근콘크리트보에 한정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와 결합강판(400)을 이용하여 철골보를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 등의 모든 구조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formwork at the time of forming the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결합구성되며, 외측단부가 보강판(200)의 외부보강부(220)의 단부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에 결합시에는 보강판(200)과 동일하게 4개의 서로 다른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각형강관(100)의 사면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방사형으로 용접하여 결합한다. 서로 다른 4개의 보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최장변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이 형성된다. Panel
또한, 도 5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형강관(10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각형강관(100)의 양단부가 연장되어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단부와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120a)가 형성하도록 하고, 보강판(200)을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끼워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결합구(120a)에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결합하고, 상기 패널존부(140)의 외측면에 결합강판(400)이 결합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b (b), in the step of forming the
결합구(120a)는 상기 각형강관(100)과 각형강관(100)이 연장되어 형성된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사면의 모서리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즉, 결합구(120a)는 사면의 모서리의 꼭짓점에서 양측면이 절단된 형태이나 사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 결합구(120)의 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아 각형강관(100)이 완전히 절단되지는 않고, 각형강관(100)의 4면의 중앙부만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다.Coupling sphere (120a) is formed by cutting the corners of the slope between the
즉,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에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와 결합강판(400)을 구성할 수 있지만, 상기 각형강관(100)의 양단부를 연장하여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단부와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120a)가 형성시켜,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안정적으로 결합구(120a)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각형강관(100)이 연장된 패널존부(140)에 결합강판(4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That is, although the panel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각형강관(100)을 경계로 내부와 외부가 명확히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50MPa를 초과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별도의 폭열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하나, 본 발명은 외부콘크리트(500)가 일반 콘크리트에 해당하기 때문에 별도의 폭열방지대책을 수립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1) using the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n the boundary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n general, high-strength concrete exceeding 50MPa should establish a separate anti-thermal protection measure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establish a separate anti-thermal protection measures becaus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1)은 공장에서 각형강관(100)의 외부를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한 외부콘크리트(500)를 구성한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내부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할 수 있으므로 고강도콘크리트를 적용할 수도 있다.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1) using the squar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the outside of the
내부콘크리트는 상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부에 현장타설되어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최소두께의 외부콘크리트(500)를 타설하여 공장 제작하고, 중공(110)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콘크리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단가는 PC부재의 경우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비하여 10배 정도의 가격차가 나기 때문에, 공장제작하는 외부콘크리트(500)를 최소로하고 현장타설하는 내부콘크리트의 양을 늘리면 경제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The internal concrete is manufactured by field casting in the hollow 110 of th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20 : 주근
30 : 띠철근
40 : 앵글
100 : 각형강관
100a, 100b : 절곡강판
110 : 중공
120 : 결합구
130 : 스터드커넥터
200 : 보강판
210 : 내부보강부
220 : 외부보강부
300 : 패널존 보강플레이트
400 : 결합강판
500 : 외부콘크리트1: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square steel pipe
20: freckles
30: strip rebar
40: angle
100: square steel pipe
100a, 100b: bending steel sheet
110: hollow
120: coupling sphere
130: stud connector
200: reinforcement plate
210: internal reinforcement unit
220: external reinforcement unit
300: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400: bonded steel sheet
500: External concrete
Claims (7)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210)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220)로 구성되며, 내부보강부(210)의 중앙부에 통공(211)이 형성되며, 외부보강부(220)는 직각모서리에 절취면(221)이 형성되며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222)이 구성되는 보강판(200);
상기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Two bent steel plates (100a) (100b) are combined to have a cross-section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 hollow 110, each corner at a regular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ut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member 120 Is formed, the outer surface is a square steel pipe 100 is configured with a stud connector 1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ongitudinal sides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sphere 12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and are radi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square steel pipe 100 positioned inside the square steel pipe 100. Consists of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220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center, the through-hole 2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ortion 210,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220 is a cut-out surface 221 at a right corner. It is formed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 200 is configured with an arc-shaped groove 222 on the outer side;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 the outer concrete 500 is made of precast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의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외측단부가 각형강관(1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내측단부는 각형강관(100)의 중공부(110)에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며, 직각모서리에 절취면(310)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320)이 구성되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330)이 형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와;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100)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는 결합강판(400);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the oute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re radially protru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respectively, and the inner end hollow portion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utting edge 310 is formed on the right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is formed with an arc-shaped groove 320 on the outer side, through the hole located in the hollow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300 is formed;
Precast concrete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coupled steel plate 400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extension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300 Composite column.
상기 각형강관(100)의 양단부가 연장되어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단부와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120a)가 형성되고,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a)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외측단부가 각형강관(1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내측단부는 각형강관(100)의 중공부(110)에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며, 직각모서리에 절취면(310)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320)이 구성되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330)이 형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가 결합되며,
상기 패널존부(140)의 외측면에 결합강판(400)이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The method of claim 1,
Both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s extended to form a panel zone portion 140, each corner between the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panel zone portion 140 is cut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120a) ) Is formed,
The longest side is fitted into the coupling sphere 120a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and is radially coupled so that the outer end protrudes to the outer 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inner end hollow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Combination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part 110, the cutting surface 310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are formed in the outer side arc-shaped groove 320, the hollow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Panel zone reinforcement plate 30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30 is coupled to,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teel plate 4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portion 140.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앵글(40)이 추가로 구성되되, 하단부에 구성되는 앵글(40)은 각형강관(100)의 하단부에서 슬래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L shape, the vertical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h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horizontal surface is furthe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close the end of the outer concrete 500, the bottom portion is configured Angle 40 is a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b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상기 각형강관(100)의 길이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사면의 모서리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하여 결합구(120)를 형성하고,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스터드커넥터(130)를 결합하는 단계;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보강부(210)와 각형강관(100)을 중심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보강부(220)로 구성되며, 내부보강부(210)의 중앙부에 통공(211)이 형성되며, 외부보강부(220)는 직각모서리에 절취면(221)이 형성되며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222)이 구성되는 보강판(200)을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끼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각형강관(100)의 외부에 주근(20) 및 띠철근(30)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Combining two orthogonally bent steel plates (100a) (100b) to form a hollow (11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o form a square steel pipe (100);
Combining the stud connector 130 at regular intervals by cutting the corners of the slope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on the out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Longitudinal sides are fitted into the coupling sphere 12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and are radi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square steel pipe 100 positioned inside the square steel pipe 100. Consists of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220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center, the through-hole 2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ortion 210,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220 is a cut-out surface 221 at a right corner. Formed and acute angled corners of both sides by fitting the reinforcing plate 200, the arc-shaped groove 22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fitting to the coupling hole 12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rranging the main rod 20 and the band reinforcing bar 30 on the outside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assembling formwork;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ming the concrete in the formwork to form the outer concrete (500) made of precast.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앵글(40)이 추가로 구성되되, 하단부에 구성되는 앵글(40)은 각형강관(100)의 하단부에서 슬래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합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고,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직각모서리에 절취면(310)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320)이 구성되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330)이 형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를 상기 각형강관(100)의 상하단부에 4면 모서리에 각각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단계; 단면이 사각형인 결합강판(400)을 상기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상기 각형강관(100)과 연장선에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form,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L shape, the angle 40 is coupled to the vertical plan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horizontal plane is closed to close the end of the outer concrete 500 Consisting of the angle 40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n poured concrete into the formwork to form the external concrete 500, right angle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The cut zone 310 is formed at the corner, and the acute corners on both sides are formed with the arc-shaped groove 320 on the outer side, and the panel zone in which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at the portion located in the hollow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Radially coupling the reinforcing plate 300 to four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respectively; Coupling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extension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300, the cross section i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Method of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lumns using
상기 각형강관(10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각형강관(100)의 양단부가 연장되어 패널존부(140)를 형성하고, 각형강관(100)의 단부와 패널존부(140)의 사이의 각 모서리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잘린 결합구(120a)가 형성되며,
거푸집을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면이 각형강관(100)의 양단부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수평면이 외부콘크리트(500)의 단부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앵글(40)이 추가로 구성되되, 하단부에 구성되는 앵글(40)은 각형강관(100)의 하단부에서 슬래브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합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콘크리트(500)를 형성하고,
보강판(200)을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에 끼워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각형강관(100)의 결합구(120a)에 최장변이 각각 끼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외측단부가 각형강관(10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내측단부는 각형강관(100)의 중공부(110)에 위치하도록 결합구성되며, 직각모서리에 절취면(310)이 형성되고 양측의 예각모서리는 외측부에 호형홈(320)이 구성되며, 각형강관(100)의 중공(110)에 위치하는 부분에 통공(330)이 형성되는 패널존 보강플레이트(300)가 결합하고, 상기 패널존부(140)의 외측면에 결합강판(400)이 결합구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제작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orming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both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extend to form the panel zone 140, and each corner between the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panel zone 140 is long. Coupling sphere (120a) is cut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is formed,
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form,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L shape, the angle 40 is coupled to the vertical surfac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horizontal surface to close the end of the outer concrete 500 It is composed, but the angle 40 is configured at the bottom portion is bonded by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slab at the lower end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n cast concrete in the formwork to form an external concrete 500,
In the step of coupling the reinforcing plate 200 to the coupling hole 12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the longest side is fitted into the coupling sphere 120a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respectively, coupled radially. The outer end portion is protru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and the inner end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the cut surface 310 is formed at a right corner and acute angles of both sides The corner is formed with an arc-shaped groove 320 on the outer side, the panel zone reinforcing plate 30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in the portion located in the hollow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100, the panel zone portion ( Step of combining the coupling steel plate 4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140; Precast concrete composite pillar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square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6177A KR101178381B1 (en) | 2012-04-06 | 2012-04-06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6177A KR101178381B1 (en) | 2012-04-06 | 2012-04-06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8381B1 true KR101178381B1 (en) | 2012-08-29 |
Family
ID=4688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6177A Active KR101178381B1 (en) | 2012-04-06 | 2012-04-06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8381B1 (en)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7077B1 (en) | 2013-09-17 | 2014-10-3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KR101469145B1 (en) * | 2013-07-09 | 2014-12-04 | 이승우 |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anel zone |
KR101826915B1 (en) * | 2017-05-23 | 2018-02-07 | 김영태 | Steel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9024251A (en) * | 2018-10-10 | 2018-12-18 | 南京林业大学 | A kind of prefabrication and assembly construction folded type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 structure |
KR20190027626A (en) * | 2017-09-07 | 2019-03-15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
KR20190066382A (en) * | 2017-12-05 | 2019-06-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alance adjustable supporting pad structure on slab |
CN109898658A (en) * | 2019-03-01 | 2019-06-18 | 洛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 BIM technology assists different formed steel construction and building |
KR102232106B1 (en) | 2020-05-14 | 2021-03-25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The intergration structure between hollow column and double wel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323269A (en) * | 2021-05-24 | 2021-08-31 | 福州大学 | Concrete combination post |
KR102480861B1 (en) * | 2021-10-08 | 2022-12-23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pa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seismic hollow column preventing slip at interface between cast-in-place concrete and precast concrete |
CN116575644A (en) * | 2023-05-26 | 2023-08-11 | 湖北工程学院 | A FRP profile pipe-square steel pipe dislocation arrangement double pipe column structure |
KR102595104B1 (en) | 2022-08-02 | 2023-10-27 | 텔루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hollow column using the same |
IT202300001974A1 (en) * | 2023-02-07 | 2024-08-07 | Info Mtr Srl | COLUMN WITH CONNECTION SYSTEM FOR THE TRANSFER OF STRESSES BETWEEN CONCRETE AND STEEL |
CN118639814A (en) * | 2024-08-14 | 2024-09-13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Standardized load-bearing and protection integrated steel structure components, buildings and design methods |
KR20250060044A (en) | 2023-10-25 | 2025-05-07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Precast concrete column |
CN120012243A (en) * | 2025-04-17 | 2025-05-16 | 福建理工大学 |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shear bearing capacity of composite beam nod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4119U (en) | 1980-02-23 | 1981-09-21 | ||
KR101089561B1 (en) | 2011-04-18 | 2011-12-05 | (주)새미르 종합건설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quare steel pipe and beam |
-
2012
- 2012-04-06 KR KR1020120036177A patent/KR1011783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4119U (en) | 1980-02-23 | 1981-09-21 | ||
KR101089561B1 (en) | 2011-04-18 | 2011-12-05 | (주)새미르 종합건설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quare steel pipe and beam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9145B1 (en) * | 2013-07-09 | 2014-12-04 | 이승우 |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anel zone |
KR101457077B1 (en) | 2013-09-17 | 2014-10-3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KR101826915B1 (en) * | 2017-05-23 | 2018-02-07 | 김영태 | Steel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90027626A (en) * | 2017-09-07 | 2019-03-15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
KR102069419B1 (en) * | 2017-09-07 | 2020-01-22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
KR20190066382A (en) * | 2017-12-05 | 2019-06-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alance adjustable supporting pad structure on slab |
KR102002976B1 (en) * | 2017-12-05 | 2019-07-2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Balance adjustable supporting pad structure on slab |
CN109024251A (en) * | 2018-10-10 | 2018-12-18 | 南京林业大学 | A kind of prefabrication and assembly construction folded type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 structure |
CN109898658A (en) * | 2019-03-01 | 2019-06-18 | 洛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 BIM technology assists different formed steel construction and building |
KR102232106B1 (en) | 2020-05-14 | 2021-03-25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The intergration structure between hollow column and double wel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323269A (en) * | 2021-05-24 | 2021-08-31 | 福州大学 | Concrete combination post |
KR102480861B1 (en) * | 2021-10-08 | 2022-12-23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pa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seismic hollow column preventing slip at interface between cast-in-place concrete and precast concrete |
KR102595104B1 (en) | 2022-08-02 | 2023-10-27 | 텔루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hollow column using the same |
IT202300001974A1 (en) * | 2023-02-07 | 2024-08-07 | Info Mtr Srl | COLUMN WITH CONNECTION SYSTEM FOR THE TRANSFER OF STRESSES BETWEEN CONCRETE AND STEEL |
EP4414514A1 (en) * | 2023-02-07 | 2024-08-14 | Info.Mtr. S.r.l. | Column with connection system for transferring stresses between concrete and steel |
CN116575644A (en) * | 2023-05-26 | 2023-08-11 | 湖北工程学院 | A FRP profile pipe-square steel pipe dislocation arrangement double pipe column structure |
KR20250060044A (en) | 2023-10-25 | 2025-05-07 | 주식회사 동천이엔지 | Precast concrete column |
CN118639814A (en) * | 2024-08-14 | 2024-09-13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Standardized load-bearing and protection integrated steel structure components, buildings and design methods |
CN118639814B (en) * | 2024-08-14 | 2025-01-21 |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 Standardized load-bearing and protection integrated steel structure components, buildings and design methods |
CN120012243A (en) * | 2025-04-17 | 2025-05-16 | 福建理工大学 |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shear bearing capacity of composite beam nod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38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84931B1 (en) | Prefabricated closed steel member using bending steel plate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180575B1 (en) | structure of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beam connection | |
KR101432260B1 (en) |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 |
CN108118783B (en) | Connecting node of steel pipe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 |
KR102079008B1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174548B1 (en) | Column system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 |
CN104032854B (en) | Assembled T-shaped mixing couple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8678220B (en) | Concrete shear wall with integrally installed reinforcing steel bar templates | |
CN110184896B (en) | Shear connector of UHPC waffle slab combined beam bridge, moun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WO2016004887A1 (en) | Lightweight steel structure residential framework system | |
JP2008223225A (en) | Column member, UFC precast formwork,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column member using the UFC precast formwork | |
CN201351313Y (en) | Concrete special-shaped column equipped with lattice type channel steel framework-reinforced concrete beam frame joint | |
CN106760036A (en) | A kind of prefabricated steel combined concrete shear wall | |
CN106088334B (en) | Assembled giant steel pipe column special-shaped combined node and installation method | |
CN108571169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factory prefabricated steel concrete superposed shear wall assembly type building | |
CN103397700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building composite floor slab and steel tube shear wall | |
CN108104263A (en) | A kind of novel fabricated steel-regeneration concrete combination frame structural system | |
CN104032855B (en) | Assembled cross mixing couple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2201182B1 (en) | Steel built-up beam for composite transfer girder | |
JP4577004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frames consisting of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and SRC columns | |
KR101738244B1 (en) | Built-up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 |
JP5869717B1 (en) |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1921834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Deck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