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4270Y1 - 북엔드 - Google Patents

북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70Y1
KR200484270Y1 KR2020160001108U KR20160001108U KR200484270Y1 KR 200484270 Y1 KR200484270 Y1 KR 200484270Y1 KR 2020160001108 U KR2020160001108 U KR 2020160001108U KR 20160001108 U KR20160001108 U KR 20160001108U KR 200484270 Y1 KR200484270 Y1 KR 200484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ngth adjusting
present
support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선
Original Assignee
김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선 filed Critical 김민선
Priority to KR2020160001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70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47B65/15Partitions, e.g.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고정판의 상부에서 고정판과 연결부를 결합하는 길이조절판; 지지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받침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의 저면과 받침판의 외측단부의 상면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추를 구비한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길이조절판과 결합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추고정부; 및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추고정부를 연결하는 수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는 상기 수직판부와 대면되는 대향면의 반대면에 마련되는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과 상기 수직판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판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길이조절슬릿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거운 책들을 진열하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추에 의한 자체 중량에 의해 안정적으로 책들을 지지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열된 복수개의 책들 중 일부를 빼내는 경우라도 추와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격공간을 메워 책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열되는 책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책의 크기에 맞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북엔드{Bookend}
본 고안은 북엔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이나 서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북엔드에 관한 것이다.
진열한 책들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북엔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북엔드는 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선반 또는 책상에 밀착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벽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북엔드는 책의 수가 적은 경우 그리고 북엔드 자체의 중량이 적은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는 책이 한쪽으로 기울게 되고 결국 북엔드와 함께 쓰러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696호에는 측단면이 L자 형으로 굽어 바닥판(10)과 측판(20)으로 구성되는 개별 파트(100) 두 개를 한조로 구성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상기 개별 파트(100)의 측판(20)에는, 책과 접하는 일면에 자석(110)과 상기 자석(110)을 덮도록 구성되는 고무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120)가 구비되며, 상기 북엔드에는, 금속 재질의 직립 가능한 다수의 보조판(200)이 더 구성되어, 세우는 책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파트(100)와 보조판(200)과의 자력으로 책을 더 견고하게 잡아두며, 상기 보조판(200)은, 측단면이 'ㅗ'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직부(215)가 구비되는 바닥판(210)과, 상기 바닥판(210)의 수직부(215)에 그 하부가 착탈 가능한 측판(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696호의 북엔드에 의하면, 책이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자석이 구비된 측판(20)과 보조판(200)이 반드시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10-0580330호에는 책이 쓰러지지 않게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측에 상기 책이 얹히는 수평판(12)으로 구성된 북엔드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의 끝에는 상기 수평판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길이연장판(31, 32)이 힌지(20)에 의해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580330호에 의하면, 수평판(12) 및 길이연장판(31, 32)에 진열해 둔 복수개의 책들 중 일부를 빼내는 경우, 빼낸 책의 두께만큼 책들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격공간을 없애기 위해서는, 더이상 책이 진열되지 않는 길이조절판(31, 32)은 포개어 접고 이웃한 책들이 밀착되도록 수직판(11)을 밀어 책과 수직판(11)을 밀착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거운 책들을 고정하거나 복수개의 책을 중 일부를 빼내는 경우에도 책들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고정판의 상부에서 고정판과 연결부를 결합하는 길이조절판; 지지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받침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의 저면과 받침판의 외측단부의 상면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추를 구비한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길이조절판과 결합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추고정부; 및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추고정부를 연결하는 수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는 상기 수직판부와 대면되는 대향면의 반대면에 마련되는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과 상기 수직판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판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길이조절슬릿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북엔드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거운 책들을 진열하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추에 의한 자체 중량에 의해 안정적으로 책들을 지지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열된 복수개의 책들 중 일부를 빼내는 경우라도 추와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격공간을 메워 책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열되는 책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책의 크기에 맞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북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에 있어서, 길이조절판, 연결부 및 추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좌측은 복수개의 책이 진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우측은 진열된 책의 일부를 빼내어 고정판이 기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696호에 개시된 북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580330호에 개시된 북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에 있어서, 길이조절판, 연결부 및 추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북엔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좌측은 복수개의 책이 진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우측은 진열된 책의 일부를 빼내어 고정판이 기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외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고정판(20)을 구비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의 상부에는 길이조절판(30)이 마련되고, 상기 길이조절판(30)은 상기 고정판(20)을 연결부(40)와 결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길이조절판(30)과 결합되는 수직판부(41)와 상기 수직판부(41)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추고정부(43)와 상기 수직판부(41)와 상기 추고정부(43)를 연결하는 수평판부(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부(41)는 체결부재(70)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판(30)과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70)로는 상기 수직판부(41)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3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슬릿(31)이 마련되는데, 상기 체결부재(70)는 상기 길이조절슬릿(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0)에 삽입되는 책의 크기에 따라 연결부(4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길이조절슬릿(31)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체결부재(7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판(20), 길이조절판(30), 및 수직판부(41)의 전체길이가 책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부(41)와 대면되는 대향면(432)의 반대면(431)에는 추(60)가 마련된다. 상기 추(60)는 북엔드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60)가 삼각기둥형상으로 구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공지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10)의 저면에는 받침판(90)이 마련되는데, 상기 받침판(90)은 회동부재(80)에 의해 상기 지지판(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부재(80)가 지지판(10)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지지판(10)과 받침판(9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의 외측단부의 저면과 받침판(90)의 외측단부의 상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0)이 수직방향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책들이 빽빽하게 진열되어 추(6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도 3의 좌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와 연결된 고정판(20) 및 상기 고정판(20)과 연결된 지지판(10)이 가압되면서 받침판(90)에 대해 고정판(20)이 수직방향으로 기립한 상태로 코일스프링(50)을 가압하게 된다.
이후, 빽빽하게 진열된 책들 중 일부를 빼내어 추(6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게 되면, 도 3의 우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판(20)이 기울어지게 되고, 고정판(20)과 연결된 연결부(40)의 추(60)가 진열되어 있는 책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남아있는 책들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진열된 책들 중 일부를 빼내더라도 남아있는 책들을 정돈하여 북엔드를 다시 조정하는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10 : 지지판 20 : 고정판
30 : 길이조절판 31 : 길이조절슬릿
40 : 연결부 41 : 수직판부
42 : 수평판부 43 : 추고정부
50 : 코일스프링 60 : 추
70 : 체결부재 780 : 회동부재
90 : 받침판

Claims (3)

  1.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는 북엔드에 있어서,
    고정판의 상부에서 고정판과 연결부를 결합하는 길이조절판;
    지지판의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받침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측단부의 저면과 받침판의 외측단부의 상면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추를 구비한 북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길이조절판과 결합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추고정부; 및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추고정부를 연결하는 수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는 상기 수직판부와 대면되는 대향면의 반대면에 마련되는 북엔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과 상기 수직판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판은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길이조절슬릿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북엔드.
KR2020160001108U 2016-02-26 2016-02-26 북엔드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08U KR200484270Y1 (ko) 2016-02-26 2016-02-26 북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08U KR200484270Y1 (ko) 2016-02-26 2016-02-26 북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70Y1 true KR200484270Y1 (ko) 2017-08-21

Family

ID=6062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0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270Y1 (ko) 2016-02-26 2016-02-26 북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7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912A (ja) * 2004-07-09 2006-01-26 Miyabi Kogei:Kk 商品陳列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912A (ja) * 2004-07-09 2006-01-26 Miyabi Kogei:Kk 商品陳列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393B1 (ko)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US9104372B2 (en) Multiple footprint stand for a tablet computer
US786199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and
CN1992093B (zh) 显示装置的支架
US5860535A (en) Shelf restraint
FI77967C (fi) Adb-bord.
US20250161828A1 (en) Mount for holding a handheld device
KR200484270Y1 (ko) 북엔드
KR20090016932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KR20200000821A (ko) 독서대
US11234539B2 (en) Adjustable picture hanging and hook system
US10674818B2 (en) Automobile door hanger apparatus
KR101811177B1 (ko) 각도 가변형 서가
KR200463696Y1 (ko) 북엔드
JP2014004145A (ja) 仕切板取付装置
JP6931221B2 (ja) 表示板ユニット
JP2008054903A (ja) 多目的スタンド
CN209912224U (zh) 一种创新创业示教装置
KR102810925B1 (ko) 자석내장형 작업선반
KR101370590B1 (ko) 접철식 데스크
KR101791659B1 (ko) 4개의 지지점을 구비한 가구
CN210073039U (zh) 一种用于高校思想政治课的教学装置
KR200419238Y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KR20200001091A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JP3206368U (ja) 組み立て式スチール製ブック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8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5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