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0528Y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28Y1
KR200480528Y1 KR2020140007338U KR20140007338U KR200480528Y1 KR 200480528 Y1 KR200480528 Y1 KR 200480528Y1 KR 2020140007338 U KR2020140007338 U KR 2020140007338U KR 20140007338 U KR20140007338 U KR 20140007338U KR 200480528 Y1 KR200480528 Y1 KR 200480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cale
packaging box
cover portion
pro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272U (ko
Inventor
심홍철
Original Assignee
심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홍철 filed Critical 심홍철
Priority to KR2020140007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2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2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포장박스를 활용하여 박스에 수용된 제품의 조립 및 설치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포장박스가 제공된다. 포장박스는 복수 개의 평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제품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 도면 및 설명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명부가 형성되고,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부에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aging box}
본 고안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를 활용하여 박스에 수용된 제품의 조립 및 설치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새 제품이나 그 밖의 각종 물품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포장용 박스가 사용된다. 박스는 포장비닐 등과는 달리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적당한 경도를 가져 옮기거나 쌓는 등 취급에 유리하다. 포장박스는 내용물의 종류, 크기나 무게 등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포장박스는 내부 공간에 하나 이상의 물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본체, 부속품 등으로 나누어진 조립제품이나 설치를 위한 나사못 등이 구비된 제품을 포장하는 데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5457호 등에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포장박스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박스로부터 제품을 꺼내고 나면 박스는 쓸모 없이 취급되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부속품을 결합하거나, 제품을 조립하거나, 제품을 설치하는 등의 후속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박스는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신속히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후속작업을 진행할 때, 박스에 동봉된 설명서 등을 별도로 펼쳐놓거나 고정하기가 쉽지 않아 불편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작업자는 설치위치를 정확히 선정하거나 부속품을 조립하기 위해 위치나 거리 측정을 위한 장비를 별도로 소지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들을 원활하게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15457호, (1998.06.25), 도면 1
본 고안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에 수용된 제품의 조립 및 설치 작업 등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포장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박스는, 복수 개의 평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제품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 도면 및 설명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부에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부는 바닥부와, 일 측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부 및 상기 눈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상기 커버부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일 측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부에 상기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상기 설명부 및 상기 눈금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눈금 및 상기 설명부는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상기 수용공간의 반대편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설명부는 상기 눈금이 형성된 커버부를 제외한 커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상기 설명부 및 상기 눈금이 은폐될 수 있다.
상기 설명부는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실측으로 도시된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금을 따라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눈금에 대응하여 기재되는 숫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박스에 제품을 수용하여 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스로부터 꺼낸 제품을 조립하거나, 제품을 설치하는 등의 후속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포장박스를 활용하여 제품의 조립 및 설치 작업 등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박스 자체의 활용도가 크게 향상되고,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며,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박스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가 열려 제품이 꺼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장박스가 일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포장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포장박스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제품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평면부'는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바닥부', '측면부', 및 '커버부'를 통칭하는 의미이고,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를 구성하는 '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또한, '부속품'은 '제품'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제품의 일부로서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제품에 대한 사항은 부속품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박스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가 열려 제품이 꺼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포장박스가 일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박스(1)는 복수 개의 평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측에는 제품(도 1 및 도 2의 A참조)의 수용공간(도 1 및 도 2의 40참조)이 형성된다. 수용공간(40)에는 제품(A)과 함께 제품(A)의 부속품(도 1 및 도 2의 B참조)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평면부는 바닥부(도 2의 30참조), 측면부(도 1 내지 도 3의 20참조), 및 커버부(도 1의 10참조)를 포함한다.
평면부(즉, 바닥부, 측면부, 및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포장박스(1)에 수용되는 제품(A)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 도면, 및 설명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설명부(도 2 및 도 3의 100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부에는 눈금(도 2 및 도 3의 200참조)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박스(1)는 박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통해 제품(A)의 도면이나 제품(A)에 대한 설명과, 거리나 길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눈금)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장박스(1)를 개봉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A) 및 부속품(B) 등을 꺼낸 후에도, 포장박스(1)를 활용하여 포장박스(1)에 형성된 설명부(100)의 설명과, 거리나 길이 측정이 가능한 눈금(200)을 함께 이용하여 제품(A)을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등의 후속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설명부(100)와 눈금(200)은 포장박스(1)가 닫혔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갈무리되어 보호되고, 포장박스(1)가 개봉되었을 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상호 유기적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설명부(100)의 설명 또는 도면을 주시하면서, 눈금(200)을 활용하여 조립위치나 설치지점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설치 및 조립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들을 갖는 포장박스(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포장박스(1)는 복수 개의 평면부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부는 바닥부(도 2의 30참조), 측면부(도 1 내지 도 3의 20참조), 및 커버부(도 1의 10참조)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를 닫아 포장박스(1) 내측의 수용공간(40)을 밀폐할 수 있고, 측면부(20)에 형성된 커버고정부(21)를 제1커버부(11)의 삽입홈(도 2 및 도 3의 11b참조)에 삽입하여 커버부(1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포장박스(1)는 제품(A) 및 제품(A)의 부속품(B)들을 내측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도 1의 10참조)를 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가 개방되고, 수용되었던 제품(A) 및 부속품(B) 등을 꺼낼 수 있다. 평면부는 바닥부(30)와, 일 측이 바닥부(30)에 연결되어 수용공간(40)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측면부(20), 및 측면부(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10)를 포함한다. 커버부(10)는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를 포함한다. 커버부(10)는 접철이 가능하여 수용공간(40)을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철 가능한 특징을 이용하여 설명부(100) 및 눈금(200) 등을 노출시키거나 또는 은폐하여 갈무리할 수 있다. 즉, 커버부(10)가 닫힐 때 설명부(100) 및 눈금(200)이 은폐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부(100) 및 눈금(200)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부(10)에 형성된다.
그러나, 설명부(100) 및 눈금(200)은 평면부 중 어디에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부(100)및 눈금(200)을 측면부(20) 또는 바닥부(30)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도 1의 10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를 포함한다. 커버부(10)는 이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버부(11)가 닫힐 때,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적어도 일부가 제1커버부(11)와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견고한 밀폐구조가 형성된다.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는 서로 넓이가 다를 수 있으며, 제1커버부(11)에는 삽입홈(11b)이 형성되어 측면부(20)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고정부(21)가 상기 삽입홈(1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커버부(10)는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설명부(100) 및 눈금(200)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설명부(100)와 눈금(200)의 위치를 유기적으로 조정하여,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가 닫힌 상태에서 제1커버부(11)가 열려 설명부(100) 및 눈금(20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포장박스(1)를 활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눈금(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 특히, 제1커버부(11)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부(11)는 일 측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유단부(11a)를 포함하고, 이러한 자유단부(11a)에 눈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커버부(11)의 말단은 측면부(20)와 연결되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측면부(20) 반대편에 위치한 끝부분을 말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부(11a)가 형성된 일 측이 상기 말단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유단부(11a)가 제1커버부(11)의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에 눈금(100)이 형성되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눈금(200)은 복수 개의 커버부(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 중 어느 곳의 말단에라도 형성될 수 있고, 자유단부(11a)는 상기 말단을 포함하지 않는 위치에서 또 다른 눈금(200)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자유단부(11a)는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자유롭게 굴절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이와 같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단부(11a)에 눈금(200)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눈금(200)의 배치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눈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부(11a)의 내면(닫힐 때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부(11a)의 외면(닫힐 때 수용공간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을 모두 활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눈금(200)을 자유단부(11a)의 양면에 형성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눈금(200)의 일 측에는 눈금(200)을 따라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눈금(200)에 대응하여 기재되는 숫자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숫자부(210)는 제품(A)의 전체 길이 등을 감안하여 예를 들어, 센티미터 등의 표준 단위를 표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숫자부(210)는 눈금(200)이 사용자의 시야에 수평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도 4참조)에서 눈금(200)을 따라서 눈금(200)의 좌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값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역으로 눈금(200)의 우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좌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숫자부(210)를 눈금(200)을 따라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기재하여 눈금(200)의 시작점이 좌측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우측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숫자부(210)를 형성하면 설치지점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지점의 형상, 위치 등의 변화에 대응하여 보다 편리하게 설치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숫자부(210)는, 눈금(200)이 사용자의 시야에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도 4참조) 눈금(20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값이 증가하도록 도시되었다.
설명부(100)는 제품(A)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 도면, 및 설명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명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기호, 문자 등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A)과 부속품(B)의 조립방법, 제품(A)의 설치방법, 제품(A)을 사용하는 사용방법 등 제품(A)에 관련한 다양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설명부(100)는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커버부의 내면(닫힐 때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 및 외면(닫힐 때 수용공간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눈금(200)이 제1커버부(11)의 양면에 형성되고, 설명부(100)가 제1커버부(11)의 내면 및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의 외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한정되지 않고, 눈금(200)은 제1커버부(11)의 외면에 형성되고, 설명부(100)가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예, 또는 눈금(200)과 설명부(100)가 제1커버부(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예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설명부(100)는 제품(A)의 적어도 일부가 실측으로 도시된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 등에 실측으로 도시된 도면이 있는 설명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제품(A)의 형상이나 결합방법 등을 설명하고, 조립이나 설치 작업에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눈금(200) 및 설명부(100)는 커버부(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수용공간(40)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1)의 내면(즉, 닫힐 때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을 이용하여 설명부(100) 및 눈금(200)이 하나의 커버부에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눈금(200)은 커버부(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수용공간(40)의 반대편을 향하여 형성되고, 설명부(100)는 눈금(200)이 형성된 커버부를 제외한 커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눈금(200)이 제1커버부(11)의 외면(즉, 닫힐 때 수용공간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설명부(200)는 이와 분리하여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눈금(200) 및 설명부(100)의 위치를 상호 유기적으로 조정하여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설명부(100)를 주시하면서, 눈금(200)을 활용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 등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포장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포장박스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눈금(200) 및 설명부(100)가 모두 하나의 커버부 예를 들어, 제1커버부(11)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눈금(200) 및 설명부(100)는 제1커버부(11)가 닫힐 때 수용공간(도 2의 40참조)을 향하도록 제1커버부(11)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커버부(11)가 닫히면 완전히 은폐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커버부(11)가 열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부(100)와 눈금(200)이 함께 노출되고, 사용자나 작업자는 설명부(100)와 눈금(200)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200)은 자유단부(11a)에 형성되고, 설명부(100)는 자유단부(11a)가 아닌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설명부(100)를 주시하면서, 눈금(200)에 형성된 숫자부(210) 등을 읽어 제품(도 1 및 도 2의 A참조)의 조립위치나 설치위치 등을 명확히 파악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포장박스(1a)는 눈금(200)이 제1커버부(11)가 닫힐 때 수용공간(도 2의 40참조)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제1커버부(11)의 외면에 형성되고, 설명부(100)는 나머지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에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눈금(200)은 제1커버부(11)의 자유단부(11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포장박스(1a)의 외측으로부터 눈금(200)과 설명부(100)를 역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에 형성된 설명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외면(닫혔을 때 수용공간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내면(닫혔을 때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등 눈금(200)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부의 양 면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커버부(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눈금(200) 및 설명부(100)를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변형되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부(100)의 정렬방향을 반전시켜 눈금(200)의 숫자부(210)가 정렬된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도 3의 1참조)의 전면(커버고정부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도면을 파악하거나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설명부(100)를 정렬하는 대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a)의 후면(전술한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으로부터 도면을 파악하거나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설명부(100)의 정렬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숫자부(210)의 정렬 방향과 설명부(100)의 정렬방향을 일치시키고 제1커버부(11)의 외면에 형성된 눈금(200)과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에 형성된 설명부(100)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러한 포장박스의 사용례와 이를 통한 제품의 설치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2의 제품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포장박스(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1)를 열고 자유단부(11a)를 설치면(C)에 접촉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눈금(200)과 설명부(100)가 모두 제1커버부(11)의 내면에 형성되어 설명부(100)를 보면서 눈금(200)을 통해 설치위치 등을 파악하고 지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의 측면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면(C)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0) 가 설치면(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정하여 눈금(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요한 지점에 눈금(200)을 위치시켜 설치 장소를 정확히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 등에도 설명부(1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커버부(11), 제2커버부(12), 제3커버부(13)에 형성된 설명부(100)들은 각각 서로 다른 도면이나 설명의 기재를 포함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자에게 파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부(100)를 파악하면서 눈금(200)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공(D)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면(C)은 예를 들어, 덕트의 일부일 수 있고, 설치공(D)은 눈금(200)을 참조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설정된 위치에 상기 덕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된 포장박스(1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1)에 형성된 눈금(200)과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에 형성된 설명부(100)를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하여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제1커버부(11)의 외면에 형성된 눈금(200)으로 설치면(C)에 접촉하여 설치지점을 확정하고, 제1커버부(11)가 아닌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에 형성된 설명부(100)를 이용하여 설치방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설명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의 내면이 드러나도록 펼쳐진 상태로 파악될 수도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와 제3커버부(13)의 외면이 드러나도록 접힌 상태로 파악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설명부(100)가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부(100)가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내면에 형성되는 예, 또는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예 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제1커버부(11) 외면에 눈금(200)을 형성하고,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에 설명부(100)를 형성하되, 설명부(100)의 위치를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의 외면과 내면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제1커버부(11)의 상방으로 제2커버부(12), 및 제3커버부(13)를 중첩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설명부(100)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역시 설치면(C) 일 측에 설치공(D)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공(D) 등을 형성하고 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도 7 내지 도 10의 D참조)을 통해 제품(A)을 설치면(C)에 결합한다. 제품(A)은 예를 들어, 덕트 내부의 온도나 습도 등을 검출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설치공(D)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설치면(C)이 덕트가 아니거나, 제품(A)이 온습도 검출 기기가 아닌 다른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장소의 설치면(C)에 다양한 제품(A)을 매우 편리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포장박스 10: 커버부
11: 제1커버부 11a: 자유단부
11b: 삽입홈 12: 제2커버부
13: 제3커버부 20: 측면부
21: 커버고정부 30: 바닥부
40: 수용공간 100: 설명부
200: 눈금 210: 숫자부
A: 제품 B: 부속품
C: 설치면 D: 설치공

Claims (10)

  1. 복수 개의 평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제품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 도면 및 설명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부에 눈금이 형성되되,
    상기 평면부는 바닥부와, 일 측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제1커버부, 제2커버부, 및 제3커버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상기 설명부 및 상기 눈금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되고,
    상기 제1커버부는 일 측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부에 상기 눈금이 형성되되 상기 눈금을 상기 자유단부의 양면에 형성하고,
    상기 눈금의 일 측에는 상기 눈금을 따라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눈금에 대응하여 기재되는 숫자부를 포함하여, 상기 눈금의 시작점이 좌측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우측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설명부는 상기 눈금이 형성된 커버부를 제외한 커버부에 형성되며,
    상기 설명부는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가 실측으로 도시된 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닫힐 때 상기 설명부 및 상기 눈금이 은폐되는 포장박스.
  9. 삭제
  10. 삭제
KR2020140007338U 2014-10-08 2014-10-08 포장박스 Expired - Lifetime KR200480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38U KR200480528Y1 (ko) 2014-10-08 2014-10-08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38U KR200480528Y1 (ko) 2014-10-08 2014-10-08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72U KR20160001272U (ko) 2016-04-18
KR200480528Y1 true KR200480528Y1 (ko) 2016-06-03

Family

ID=5591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38U Expired - Lifetime KR200480528Y1 (ko) 2014-10-08 2014-10-08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2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756A (ja) * 2000-05-08 2001-11-13 Daikin Ind Ltd 包装箱および屋根置台の設置方法
JP2008273608A (ja) * 2007-05-07 2008-11-13 Nitomuzu:Kk 商品梱包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756A (ja) * 2000-05-08 2001-11-13 Daikin Ind Ltd 包装箱および屋根置台の設置方法
JP2008273608A (ja) * 2007-05-07 2008-11-13 Nitomuzu:Kk 商品梱包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72U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84549S1 (en) Laboratory analysis device housing
TWI625283B (zh) 包裝盒
USD818380S1 (en) Measuring tool
WO2016063284A3 (en) Accessories for handheld spectrometer
BRPI0821834A2 (pt) recipiente dotado em múltiplos pacotes conectados
KR200480528Y1 (ko) 포장박스
WO2015076329A1 (ja) 精密機器用梱包箱
US8631943B2 (en) Packaging component
KR200470902Y1 (ko) 포장용 종이박스
MX2017001127A (es) Envase.
KR20170018632A (ko) 포장용 종이박스
CN107600703B (zh) 一种包装结构及包装方法
CN101456460B (zh) 包装盒
KR101757152B1 (ko) 전시 기능을 갖는 포장용 상자
JP2016505462A (ja) 卵形の装置の包装箱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CN203682054U (zh) 包装盒
DE602008003932D1 (de) Verpackung mit zwei packungen und verbindungsstück
KR101718430B1 (ko) 포장 박스
JP5161666B2 (ja) 包装装置
KR101525221B1 (ko) 포장용 상자
WO2018050296A1 (en) Packaging for tool
JP2007069912A (ja) 締結部品のパック体
ITFI20070261A1 (it) Scatola di cartone per il contenimento di sacche portaliquidi dotate di rubinetto erogatore
CN104071427A (zh) 物品容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0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5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