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7598Y1 -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98Y1
KR200477598Y1 KR2020150000819U KR20150000819U KR200477598Y1 KR 200477598 Y1 KR200477598 Y1 KR 200477598Y1 KR 2020150000819 U KR2020150000819 U KR 2020150000819U KR 20150000819 U KR20150000819 U KR 20150000819U KR 200477598 Y1 KR200477598 Y1 KR 200477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nnection tube
elastic cord
frame
detach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8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150000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98Y1/en
Priority to PCT/KR2015/001515 priority patent/WO2016125942A1/en
Priority to AU2015259988A priority patent/AU2015259988A1/en
Priority to JP2016573449A priority patent/JP6194549B2/en
Priority to CA2913300A priority patent/CA2913300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9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30Attachment of upholstery or fabric to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등 야외 활동시 의자시트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하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체를 포함하는 중앙 허브; 상기 하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하단에 형성된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하부 숏 프레임;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시트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숏 프레임; 및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고,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등받이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롱 프레임;을 포함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고,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중앙 허브의 지지를 받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chair seats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sports events, etc., and includes a plate-like support body, A central hub having a sieve and a lower body radi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tubes below the support; A plurality of lower sho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ube, an elastic cord provided inside the lower connection tube, and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upper shor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having an elastic cord therein, and inserted into corners of a seat portion of the seat, And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tube,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each having a bent portion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 elastic cord disposed therein,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inserted into a corner of a back portion of the seat seat And provides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compactly fold and store,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is simple in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is supported by a central hub, and has a strong bonding force,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durability strong enough to support sufficiently.

Description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0001]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0002]

본 고안은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등 야외 활동시 의자시트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which can be conveniently combined with a chair seat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s events.

간이 의자란 실내 의자를 사용할 수 없는 야외 활동시에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와 같은 대부분의 야외 활동에 있어서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A simple chair is designed to be easy to carry around and use conveniently when outdoors where indoor chairs are not available. Generally, chairs used at home are used for most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ing events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portable device.

이러한 야외 활동을 위한 간이 의자는 무게가 가볍고 콤팩트하여 휴대성이 있어야 함은 물론, 더불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These outdoor chairs need to be lightweight, compact and portable, as well as durable and durable enough to support the user's load.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다리와 등받이 프레임 기능을 동시에 하는 좌우 프레임 상간에 좌우 다리와 시트가 각운동하면서 전개 내지는 절첩될 수 있도록 한 야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레임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프레임 중간에는 좌우 다리의 중단 상부가 힌지볼트에 의해 후측으로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리의 상단은 시트의 저부 중앙부와 힌지볼트에 의해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의 후단 좌우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좌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전개 및 절첩 작동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hair for outdoor use in which left and right legs and a seat can be deployed or folded while being angled between right and left frames simultaneously functioning as a leg and a backrest frame, And an upp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legs can be angularly moved backward by a hinge bolt, and the upper end of the leg can be angularly moved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 bottom and the hinge bolt And a stopper is formed a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so that the slide can be guided along the slid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ight and left frames during the deployment and folding operation.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프레임과, 금속프레임에 설치되는 천 재질의 의자 커버로 이루어지고, 의자의 뒷다리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는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뒷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은 뒷다리에 설치되는 보조다리이며, 뒷다리에는 손으로 누르면 뒷다리 내측 방향으로 눌려지고 누르지 않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뒷다리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되는 한편 뒷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돌기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해 뒷다리에 고정되어 보조다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다리에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다리에 고정되어 뒷다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안내구의 표면에는 상기 뒷다리의 돌기수단이 끼워지는 돌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foldable chair for outdoor camping comprising a metal frame made of aluminum and a chair cover made of cloth made of metal and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ar leg of the chair, The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ind leg is a supplementary leg which is installed on the hind leg. The hind leg is protruded outward by the elastic mean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ind leg so as to be press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hind leg when it is pressed by h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mean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leg and a first guide hole fixed to the rear leg through the fixing mean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leg are provided, A second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ar leg is provided, Wherein a protruding hol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so that the protruding means of the rear leg is inserted.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야외용 의자는 캠핑이나 하이킹에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해서 갖고 다니기에는 크기가 큰 문제가 있다.However, the outdoor chai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large in size to carry around for use in camping or hiking.

또한, 특허문헌 2의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는 다수의 부재들이 소요되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뒷다리의 연결을 위해 힌지구멍, 돌기수단, 제1안내구, 고정수단 등과, 보조다리의 연결을 위해 힌지축, 돌기구멍, 제2안내구, 고정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해야 하므로 부재들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힌지수단에 의한 결합력이 약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foldable chair for outdoor camping of Patent Document 2 require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is not only complicated in construction, but also has a hinge hole, a projection means, a first guide member, a fixing means, The first hinge shaft, the second hinge shaft, the second guide hole, the fixing means, and the like,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members is not easy, and the coupling force by the hinge means is weak,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604호(2002.10.25. 공개)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2604 (published on October 25, 2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652호(2012.03.09. 공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1652 (Published on Mar. 9, 2012)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중앙 허브의 지지를 받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all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ct, easy to assemble and compactly foldable storage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simple in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that has a durability sufficient to support a load of a user by becoming a structure having a binding for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하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체를 포함하는 중앙 허브; 상기 하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하단에 형성된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하부 숏 프레임;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시트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숏 프레임; 및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고,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등받이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롱 프레임;을 포함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support body having a plate shape, an upp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tubes radially formed on the support body, and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tubes formed radially below the support body A central hub containing; A plurality of lower sho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ube, an elastic cord provided inside the lower connection tube, and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upper shor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having an elastic cord therein, and inserted into corners of a seat portion of the seat, And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tube,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each having a bent portion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 elastic cord disposed therein,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inserted into a corner of a back portion of the seat seat And provides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이때, 상기 상부 접속튜브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부 보강리브들이 중앙에서 서로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onnection tub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pper side, an upper reinforcing rib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upper reinforcing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게다가, 상기 하부 접속튜브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하부 보강리브들이 중앙에서 서로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on tub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ower side, a lower reinforcing rib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접속튜브 및 하부 접속튜브는 지지리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ng tube and the lower connecting tube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ing ribs.

또한, 상기 하부 숏 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에 바닥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The lower shot frame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a bottom cap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그리고, 상기 상부 숏 프레임 및 상부 롱 프레임은 상기 삽입부에 단부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 the upper shot frame and the upper long frame are also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cap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의자시트의 코너에 구비된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의자시트와 결합되되, 상기 의자시트는, 시트부가 상기 중앙허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Here,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pocket provided in a corner of the chair seat to be coupled with the chair seat, and the chair sea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central hub.

상기 삽입부는 의자시트의 코너에 구비된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The insertion portion is also inserted into the pocket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chair seat.

더불어, 상기 절곡부는 상기 상부 롱 프레임의 하부에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is also formed by being roun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ong frame.

아울러, 상기 하부 숏 프레임, 상부 숏 프레임 및 상부 롱 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lower shot frame, the upper shot frame, and the upper long frame has a plurality of sections.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고,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중앙 허브의 지지를 받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compactly fold and store,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is simple in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is supported by a central hub, and has a strong bonding force,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durability strong enough to support sufficientl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에 의자시트를 연결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내부의 탄성코드에 의하여 접이되는 구조를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스킨에 감싸 보관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가방에 넣어 보관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seat is connected to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photograph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ructure folded by an elastic cord inside.
FIG. 8 is a photograph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rapped in a skin. FIG.
9 is a photograph of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ag.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frame structure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1)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등 야외 활동시 의자시트(500)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중앙 허브(100)와,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파이프의 형상을 갖는 하부 숏 프레임(200),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이 각각 복수 개씩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외측을 향해 서로 벌어지게 배치 형성된다.The frame structure 1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ir seat 500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ing events. The frame structure 1 includes a central hub 100, A plurality of lower shot frames 200, an upper shot frame 300, and an upper long frame 400 each having a hollow shape and having a shape of a pipe are formed.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중앙 허브(100)는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판상의 지지체(110)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지지체(110)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5, the center hub 100 is a portion to which the lower shot frame 200,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are coupled. The center hub 100 includes a plate- And the support 110 may be formed of a disc.

또한, 상기 중앙 허브(100)는 상기 지지체(110)의 상부에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과 상부 롱 프레임(400)과 결합되는 상부체(1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하부체(130)가 형성된다.The center hub 100 is formed with an upper body 120 coupled to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10, A lower body 130 coupled to the lower shot frame 200 is formed.

여기서, 상기 상부체(120)는 복수 개의 상부 접속튜브(12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의 하단부와 접속 연결되고, 상기 하부체(130)는 복수 개의 하부 접속튜브(13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의 상단부와 접속 연결된다.The upper body 120 has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tubes 121 formed radially and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10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short frame 300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long frame 400 And the lower body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200 by forming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tubes 131 radiall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10.

더불어,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이 상측을 향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부 보강리브(122)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부 보강리브(122)들이 중앙에서 서로 만나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체(120)의 강도를 보강해 준다.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can be connected upward, and an upper reinforcing rib 122, And the plurality of upper reinforcing ribs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upper body 120.

이와 함께, 상기 하부 접속튜브(131)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이 하측을 향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보강리브(13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하부 보강리브(132)들이 중앙에서 서로 만나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부체(120)의 강도를 보강해 준다.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lower shot frame 20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a lower reinforcing rib 132 is provided below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And the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ribs 1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lower body 120.

그리고,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와 하부 접속튜브(131)는 지지리브(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부 접속튜브(121)와 하부 접속튜브(131)의 사이의 공간을 메워서, 상기 중앙 허브(100)는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고, 이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and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rib 140 to fill a space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and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The central hub 100 becomes a structure having a strong coupling force, thereby having durability enough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은 상기 하부 접속튜브(131)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연결되고, 예컨대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 접속튜브(131)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며, 도 7을 참고하면 내부에는 탄성코드(D)가 구비되어 쉽게 접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바닥캡(211)이 구비된 바닥부(210)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4개의 포인트 기반에서 지지체로 작용한다.The lower shot frame 2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lower shot frame 200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connection tube 131, A bottom part 210 having a bottom cap 2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1. Thus, Lt; / RTI >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은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연결되고, 예컨대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는 탄성코드(D)가 구비되어 쉽게 접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단부캡(311)이 구비된 삽입부(310)가 형성되어 의자시트(500)의 시트부(510)의 코너에 형성된 포켓(54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The upper shot frame 3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ot frame 300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An insertion portion 310 having an end cap 31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lastic cord D so as to be easily foldable and the pocket 310 formed at the corner of the seat portion 510 of the chair seat 500 (Not shown).

상기 상부 롱 프레임(400)은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연결되고, 예컨대 상기 상부 롱 프레임(400)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 접속튜브(121)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는 탄성코드(D)가 구비되어 쉽게 접이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단부캡(411)이 구비된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의자시트(500)의 시트부(510)의 코너에 형성된 포켓(54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The upper long frame 4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upper long frame 400 is fitted into the upper connection tube 121, An insertion portion 410 having an end cap 41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lastic cord D so that the elastic cord D can be easily folded and the pocket 510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seat portion 510 of the chair seat 500, (Not shown).

이때,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에 비하여 길이가 길게 구비된 상기 상부 롱 프레임(400)의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롱 프레임(400)의 하부에는 절곡부(420)가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보다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mpensat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upper long frame 400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shot frame 300, a bent portion 42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ong frame 400 so as to be rounded The load of the user can be more fully supported.

더불어,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은 내부에 탄성코드(D)가 설치되고, 각각이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섹션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어느 하나의 섹션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연결되고, 상기 탄성코드(D)는 탄성을 갖는 줄로 이루어져 각 섹션을 안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고 각 프레임의 중공 형성된 내부의 구멍 안을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부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연결한다.In addition, the lower shot frame 200,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cord D, each of which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The elastic cord (D) is made of elastic strands and pulls each section inward. The elastic cord (D) is formed into a hollow shape in each frame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portions constituted by the plurality of sections into one frame.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상기 의자시트(500)는 시트부(510), 등받이부(520) 및 측부(530)를 형성하는 바,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의 상단 양끝이 외측을 향해 서로 벌어지도록 배치 형성하고, 각 삽입부(310,410)에 구비된 단부캡(311,411)을 의자시트(500)의 코너에 형성된 포켓(540)의 내부로 삽입 연결하면, 상기 삽입부(310,410)에 연결된 의자시트(500)가 잡아당겨져 약간의 긴장 상태로 있게 되어 하측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부(51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부(520)가 구비되며, 양측에는 팔을 걸 수 있도록 측부(530)가 형성되게 된다.6A to 6D, the chair seat 500 includes a seat portion 510, a backrest portion 520 and a side portion 530. The upper and lower long frames 300 and 400 And the end caps 311 and 411 provided on the inserting portions 310 and 410 ar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ckets 540 formed in the corners of the chair seat 500, The chair seat 500 connected to the inserting portions 310 and 410 is pulled and is in a state of slight tension so that a seat portion 510 for seating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a back portion 5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side portions 530 are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hang arms.

또한, 착석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백(seat back)으로 불리는 의자시트(500)는 캔버스와 같은 직조된 직물의 바느질 조각으로 만들어지고, 4 모서리에는 각각 튜브 리셉터클(tube receptacle)과 같은 포켓(540)이 형성된다.A chair seat 500, also referred to as a seat back seat, is made of a sewn piece of woven fabric, such as a canvas, and a pocket 540, such as a tube receptacle, .

상기 포켓(540)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폴리우레탄의 단독 또는 합성으로 이루어진 원단이 웨빙 봉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310,410)가 내부 또는 외부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와 같이 상기 포켓(540)이 상기 삽입부(310,410)와 맞게 연결되어 의자시트(500)가 펼쳐지게 되고,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은 상기 삽입부(310,410)를 함께 잡아당기는 약간의 긴장 상태에 있게 되며, 이로써 시트부(510), 등받이부(520) 및 양측의 측부(530)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의자시트(500) 위에 착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ockets 540 may be made of polyester, nylon, acrylic, or polyurethane,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ckets 540, The upper and lower long frames 400 and 400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s 310 and 410 so that the chair seat 500 is unfolded. The seat portion 510, the back portion 520 and the side portions 530 on both sides ar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seat 500 will be.

이때, 상기 삽입부(310,410)의 끝단에 형성된 단부캡(311,411)이 상기 포켓(540)의 안으로 슬라이드되어 들어간 후 밀착되어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의 긴장된 상태로 인하여 포켓(540)의 내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삽입부(310,410)가 상기 포켓(54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caps 311 and 411 formed at the ends of the inserting portions 310 and 410 are slid into the pockets 540 and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o cause the tension of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The inserting portions 310 and 410 do not come off from the pockets 540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ockets 540.

더불어, 상기 상부 숏 프레임(300)은 의자시트(500)의 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510)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상부 롱 프레임(400)은 의자시트(500)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받치는 등받이부(520)를 지지하게 되며, 동시에 양측에는 측부(53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측 팔을 걸어서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upper shot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hair seat 500 to support a seat part 510 on which a user is seated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chair seat 500 And supports the backrest 520 supported by the user. At the same time, the side portions 530 ar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sit on both arms of the user.

이와 함께, 상기 의자시트(500)는 시트부(510)가 상기 중앙 허브(100)와 접촉되지 않도록 팽행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중앙 허브(100)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프레임 구조체(1)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The chair seat 500 maintains a tension state in which the seat portion 5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enter hub 100 so that the load of the user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center hub 100,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1 can be prevented.

이로써, 사용자의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후방으로 쏠리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하고,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As a result,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vertical load of the user is reinforced,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user leaning to the rear is increased, and the rigid coupling is maintained, so that the durability is strong enough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상기 하부 숏 프레임(200), 상부 숏 프레임(300) 및 상부 롱 프레임(400)의 각 섹션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탄성코드(D)에 의해 접이되어 컴팩트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도 8과 같은 스킨(S)으로 감싸거나 도 9와 같은 작은 가방(B)에 넣어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When releasing and releasing the respective sections of the lower shot frame 200, the upper shot frame 300 and the upper long frame 400, they are folded by the elastic cord D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wrapped with the skin S as shown in Fig. 8 or put in a small bag B as shown in Fig. 9 to facilitate storage and carrying.

결국,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1)는 조립이 용이하고,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중앙 허브의 지지를 받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rame structure 1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can be folded compactly, and is thus excellent in portability, simple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It has a durability sufficient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의 여러 특징부의 다양한 수정, 적용, 그리고 조합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adapt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 various features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 프레임 구조체 100. 중앙 허브
110. 지지체 120. 상부체
121. 상부 접속튜브 122. 상부 보강리브
130. 하부체 131. 하부 접속튜브
132. 하부 보강리브 140. 지지리브
200. 하부 숏 프레임 210. 바닥부
211. 바닥캡 300. 상부 숏 프레임
310. 삽입부 311. 단부캡
400. 상부 롱 프레임 410. 삽입부
411. 단부캡 420. 절곡부
500. 의자시트 510. 시트부
520. 등받이부 530. 측부
540. 포켓 B. 가방
D. 탄성코드 S. 스킨
1. Frame structure 100. Central hub
110. Support 120. Upper body
121. Upper connection tube 122. Upper reinforcement rib
130. Lower body 131. Lower connection tube
132. Lower reinforcement rib 140. Support rib
200. Lower shot frame 210. Floor
211. bottom cap 300. upper short frame
310. Insertion part 311. End cap
400. Top long frame 410. Insert
411. End cap 420. Bend
500. Chair seat 510. Seat seat
520. Backrest 530. Side
540. Pocket B. Bag
D. Elastic cord S. Skin

Claims (9)

삭제delete 판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하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체를 포함하는 중앙 허브;
상기 하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하단에 형성된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하부 숏 프레임;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시트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숏 프레임; 및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고,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등받이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롱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접속튜브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부 보강리브들이 중앙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A center hub including a plate-shaped support body, an upp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tubes radially on the support body, and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tubes formed radially below the support body;
A plurality of lower sho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ube, an elastic cord provided inside the lower connection tube, and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upper shor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having an elastic cord therein, and inserted into corners of a seat portion of the seat, And
And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tube, having a bent portion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 elastic cord disposed therein, and an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inserted into a corner of a back portion of the seat seat,
Wherein the upper connection tub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pper side, an upper reinforcing rib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upper reinforcing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center.
판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지지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하부 접속튜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하부체를 포함하는 중앙 허브;
상기 하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하단에 형성된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하부 숏 프레임;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며,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시트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숏 프레임; 및
상기 상부 접속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고, 중간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코드가 구비되고, 상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의자시트의 등받이부의 코너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상부 롱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접속튜브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하부 보강리브들이 중앙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A center hub including a plate-shaped support body, an upp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connection tubes radially on the support body, and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ower connection tubes formed radially below the support body;
A plurality of lower sho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ube, an elastic cord provided inside the lower connection tube, and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upper short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ube, having an elastic cord therein, and inserted into corners of a seat portion of the seat, And
And a plurality of upper long fram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tube, having a bent portion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 elastic cord disposed therein, and an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inserted into a corner of a back portion of the seat seat,
Wherein the lower connection tub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ower side, a lower reinforcing ri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cent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속튜브 및 하부 접속튜브는 지지리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upper connecting tube and the lower connecting tub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pporting rib.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숏 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에 바닥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bottom cap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shot fram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숏 프레임 및 상부 롱 프레임은 상기 삽입부에 단부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upper shot frame and the upper long frame have end cap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의자시트의 코너에 구비된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의자시트와 결합되되,
상기 의자시트는 시트부가 상기 중앙허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pocket provided at a corner of the chair seat to be coupled to the chair seat,
Wherein the seat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central hub.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상부 롱 프레임의 하부에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bent portion is roundly bent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long fram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숏 프레임, 상부 숏 프레임 및 상부 롱 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ower shot frame, the upper shot frame, and the upper long frame comprises a plurality of sections.

KR2020150000819U 2015-02-04 2015-02-04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5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19U KR200477598Y1 (en) 2015-02-04 2015-02-04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PCT/KR2015/001515 WO2016125942A1 (en) 2015-02-04 2015-02-16 Frame structure of portable chair
AU2015259988A AU2015259988A1 (en) 2015-02-04 2015-02-16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JP2016573449A JP6194549B2 (en) 2015-02-04 2015-02-16 Simple chair frame structure
CA2913300A CA2913300C (en) 2015-02-04 2015-02-16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19U KR200477598Y1 (en) 2015-02-04 2015-02-04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598Y1 true KR200477598Y1 (en) 2015-06-30

Family

ID=5351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81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598Y1 (en) 2015-02-04 2015-02-04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4549B2 (en)
KR (1) KR200477598Y1 (en)
AU (1) AU2015259988A1 (en)
WO (1) WO2016125942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23B1 (en) 2015-10-20 2017-01-16 김성권 Foldable bed
WO2017217699A1 (en)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카라신 Foldable one-legged chair
WO2017217712A1 (en)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카라신 Folding chair
KR20190115039A (en) * 2017-02-03 2019-10-10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Folding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3570A (en) * 2020-05-27 2020-08-07 宁海兴达旅游用品有限公司 Folding s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99U (en) * 1992-03-16 1994-03-15 有限会社ワイティ−ビジネス Portable chair
KR101287868B1 (en) * 2013-06-19 2013-07-19 오성듀랄루민(주) Collapsable a chair for leisure sports
KR101397958B1 (en) *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A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867A (en) * 2004-09-24 2006-04-06 Shigemasa Kobayashi Portable stool
KR101176740B1 (en) * 2010-10-28 2012-08-23 라제건 Portable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99U (en) * 1992-03-16 1994-03-15 有限会社ワイティ−ビジネス Portable chair
KR101287868B1 (en) * 2013-06-19 2013-07-19 오성듀랄루민(주) Collapsable a chair for leisure sports
KR101397958B1 (en) *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A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23B1 (en) 2015-10-20 2017-01-16 김성권 Foldable bed
WO2017069477A1 (en) * 2015-10-20 2017-04-27 김성권 Folding bed
WO2017217699A1 (en)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카라신 Foldable one-legged chair
WO2017217712A1 (en)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카라신 Folding chair
KR20190115039A (en) * 2017-02-03 2019-10-10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Folding chair
KR102561815B1 (en) 2017-02-03 2023-07-31 로버트 스티븐 그레이빌 folding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7767A (en) 2017-03-23
WO2016125942A1 (en) 2016-08-11
JP6194549B2 (en) 2017-09-13
AU2015259988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50266E1 (en) Collapsible chair
KR200477598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US9066597B2 (en)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CN106793875B (en) Folding chair
KR101176740B1 (en) Portable chair
US20160113402A1 (en) Sturdy, Compact, Collapsible Camping Chair
KR101397958B1 (en) A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US9936811B2 (en) Portable seat awning
US20160113403A1 (en) Sturdy, Compact, Collapsible Camping Chair with a Central Tube Connector
US8141944B2 (en) Collapsible chair having reduced linkages
KR101791925B1 (en) Foldable type bed
KR102353006B1 (en)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frame
KR101493888B1 (en) Outdoor chair with member supporting ground
KR200476869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KR200476870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CA2913300C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US20230092646A1 (en) Folding Swing Chair Support and Swing Chair
WO2021067766A1 (en) Compact furniture
KR20170003840A (en) Self-assembly Portable Chair
CN216627971U (en) Folding chair
JP2019013274A (en) Assembled seat chair
CA2913301A1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AU2014394398A1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KR20230009719A (en) The seating place for lei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2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6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4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