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6870Y1 -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70Y1
KR200476870Y1 KR20140008447U KR20140008447U KR200476870Y1 KR 200476870 Y1 KR200476870 Y1 KR 200476870Y1 KR 20140008447 U KR20140008447 U KR 20140008447U KR 20140008447 U KR20140008447 U KR 20140008447U KR 200476870 Y1 KR200476870 Y1 KR 200476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ece
frames
coupling
pie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4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140008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70Y1/en
Priority to PCT/KR2014/011773 priority patent/WO20160805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70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30Attachment of upholstery or fabric to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42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47C9/105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having several foldable or detachable legs converging in one point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 한쌍의 상부 결합공과 한쌍의 하부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재; 상기 하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레그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 양끝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상부편 및 상기 상부편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단 양끝에 구비되어 의자시트와 연결되는 삽입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한쌍의 상부편, 한쌍의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과 상부편 중 적어도 한 곳은 서로 용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A pair of coupl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air of upper coupling holes and a pair of lower coupling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A lower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lower coupl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and a leg piec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iece, A pair of lower frames arranged such that support portion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extend outwardly from each other; And an upper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upper coupl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and a supporting piece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iece, And a pair of upper pieces, a pair of lower pieces, and at least one of the lower piece and the upper piece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is provided.

Description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0001]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0002]

본 고안은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등 야외 활동시 의자시트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which can be conveniently combined with a chair seat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s events.

간이 의자란 실내 의자를 사용할 수 없는 야외 활동시에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와 같은 대부분의 야외 활동에 있어서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A simple chair is designed to be easy to carry around and use conveniently when outdoors where indoor chairs are not available. Generally, chairs used at home are used for most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ing events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portable device.

이러한 야외 활동을 위한 간이 의자는 무게가 가볍고 콤팩트하여 휴대성이 있어야 함은 물론, 더불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These outdoor chairs need to be lightweight, compact and portable, as well as durable and durable enough to support the user's load.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다리와 등받이 프레임 기능을 동시에 하는 좌우 프레임 상간에 좌우 다리와 시트가 각운동하면서 전개 내지는 절첩될 수 있도록 한 야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레임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프레임 중간에는 좌우 다리의 중단 상부가 힌지볼트에 의해 후측으로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리의 상단은 시트의 저부 중앙부와 힌지볼트에 의해 각운동 전개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시트의 후단 좌우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좌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전개 및 절첩 작동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hair for outdoor use in which left and right legs and a seat can be deployed or folded while being angled between right and left frames simultaneously functioning as a leg and a backrest frame, And an upp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legs can be angularly moved backward by a hinge bolt, and the upper end of the leg can be angularly moved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t bottom and the hinge bolt And a stopper is formed a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so that the slide can be guided along the slid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ight and left frames during the deployment and folding operation.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프레임과, 금속프레임에 설치되는 천 재질의 의자 커버로 이루어지고, 의자의 뒷다리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는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에 있어서, 의자의 뒷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은 뒷다리에 설치되는 보조다리이며, 뒷다리에는 손으로 누르면 뒷다리 내측 방향으로 눌려지고 누르지 않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뒷다리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되는 한편 뒷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돌기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해 뒷다리에 고정되어 보조다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다리에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다리에 고정되어 뒷다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안내구의 표면에는 상기 뒷다리의 돌기수단이 끼워지는 돌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foldable chair for outdoor camping comprising a metal frame made of aluminum and a chair cover made of cloth made of metal and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ar leg of the chair, The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ind leg is a supplementary leg which is installed on the hind leg. The hind leg is protruded outward by the elastic mean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ind leg so as to be press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hind leg when it is pressed by h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mean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leg and a first guide hole fixed to the rear leg through the fixing mean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leg are provided, A second guide hol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ar leg is provided, Wherein a protruding hol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so that the protruding means of the rear leg is inserted.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야외용 의자는 캠핑이나 하이킹에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해서 갖고 다니기에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outdoor chair of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large in size and heavy in weight to carry around for carrying out camping or hiking.

또한, 특허문헌 2의 야외 캠핑용 접철식 의자는 다수의 부재들이 소요되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뒷다리의 연결을 위해 힌지구멍, 돌기수단, 제1안내구, 고정수단 등과, 보조다리의 연결을 위해 힌지축, 돌기구멍, 제2안내구, 고정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해야 하므로 부재들간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힌지수단에 의한 결합력이 약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foldable chair for outdoor camping of Patent Document 2 require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is not only complicated in construction, but also has a hinge hole, a projection means, a first guide member, a fixing means, The first hinge shaft, the second hinge shaft, the second guide hole, the fixing means, and the like,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members is not easy, and the coupling force by the hinge means is weak,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604호(2002.10.25. 공개)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2604 (published on October 25, 2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652호(2012.03.09. 공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1652 (Published on Mar. 9, 2012)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프레임들을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 배치하여 용접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all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compactly folded and stored, thus being excellent in portability, simple in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structure of a simple chair having a welded portion that is durable enough to support a load of a user as a structure having a strong bonding for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 한쌍의 상부 결합공과 한쌍의 하부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재; 상기 하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레그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 양끝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상부편 및 상기 상부편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단 양끝에 구비되어 의자시트와 연결되는 삽입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한쌍의 상부편, 한쌍의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과 상부편은 서로 용접 결합되어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과 한쌍의 하부 프레임은, 내부에 탄성줄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upl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coupl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air of upper coupling holes and a pair of lower coupling holes formed inside; A lower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lower coupl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and a leg piec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iece, A pair of lower frames arranged such that support portion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extend outwardly from each other; And an upper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upper coupl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and a supporting piece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iece, A pair of upper pieces, a pair of lower pieces, and a lower piece and an upper piece welded to each other to form a welded portion, , The pair of upper frames and the pair of lower frames are provided with elastic ropes in the interior thereof and provided with a welded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ions.

게다가,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바닥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lower frames are also characterized in that a bottom cap is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뿐만 아니라,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은, 하나는 상기 지지편의 길이가 짧은 쇼트 상부 프레임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편의 길이가 긴 롱 상부 프레임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upper frames ar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m is a short upper frame having a short length of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other is a long upper frame having a long length of the supporting piece.

이때, 상기 롱 상부 프레임은 상기 지지편의 중간 부분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the long upper frame further includes a bent portion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ing piece.

또한,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은 상기 삽입부에 단부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 the pair of upper frames are also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cap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더불어, 상기 삽입부는 의자시트의 코너에 구비된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also inserted into the pocket provided in the corner of the chair seat.

아울러, 상기 레그편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leg pieces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ing pieces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본 고안에 의하면,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프레임들을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 배치하여 용접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ld and store compactly,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The frame is welded and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o that it can be supported sufficiently.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에 의자시트를 연결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a는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탄성줄에 의하여 접이되는 구조를 나타낸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가 접이되어 스킨 위에 놓여진 사진이다.
도 7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가 가방 안에 보관된 사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seat is connected to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hotograph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tions are folded by an inner elastic string.
7B is a photograph of th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and placed on the skin.
7C is a photograph of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a bag.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frame structure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1)는 캠핑, 하이킹, 낚시, 야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등 야외 활동시 의자시트(400)에 결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쌍의 결합부재(100), 한쌍의 하부 프레임(200) 및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이 서로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frame structure 1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ir seat 400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fishing, outdoor concerts and sporting events. A pair of lower frames 200, and a pair of upper frames 30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도 1a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100)는 일정 거리 만큼 서로 떨어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결합부재(100)의 내측에는 하부에 한쌍의 하부 결합공(110)과, 상부에 한쌍의 상부 결합공(120)이 각각 형성된다.1A and 2 to 5,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 the inner side of each coupling member 100, A hole 110 and a pair of upper coupling holes 120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100)의 일실시예로서 원판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a disc shape is shown as one embodiment of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00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plate having various shapes.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200)은 한쌍의 결합부재(100)에 형성된 하부 결합공(110)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된다.The pair of lower frames 200 are fixedly coupled through a lower coupling hole 110 formed in a pair of coupling members 100.

이때,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200)은 하부편(210)이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10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100)를 관통한 상기 하부편(210)의 양측에서 레그편(220)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lower frame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100, and the lower piece 210, which passes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00, The leg pieces 220 are bent downward.

또한, 상기 레그편(220)마다 하단에 지지부(230)가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되어 4개의 포인트 기반에서 지지체로 작용한다.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2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leg piece 220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serve as a support on a four point basis.

더불어,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200)은 각각의 레그편(220)의 하단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230)가 상기 결합부재(10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lower frames 200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respective leg pieces 220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s 23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are inclin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coupling member 100, As shown in Fig.

이와 함께, 상기 레그편(220)의 하단 마다 구비된 상기 지지부(230)는 야외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230)에 바닥캡(23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2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piece 22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doors, and a bottom cap 231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230 for this purpose.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한쌍의 결합부재(100)에 형성된 상부 결합공(120)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된다.The pair of upper frames 300 are fixedly coupled through an upper coupling hole 120 formed in a pair of coupling members 100.

이때,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상부편(310)이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10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100)를 관통한 상기 상부편(310)의 양측에서 지지편(320)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320)의 상단에 의자시트(400)와 연결되는 삽입부(330)가 형성된다.The pair of upper frames 300 includes a pair of upper pieces 31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the coupling members 100 and are connected to the upper piece 310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00, The supporting piece 320 is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iece 320 and an insertion part 330 connected to the chair seat 40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iece 320.

더불어,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각각의 지지편(320)의 상단에 구비된 삽입부(330)가 상기 결합부재(100)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330)에 연결되는 의자시트(400)가 잡아당겨져 약간의 긴장 상태로 있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시트(400) 위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upper frames 300 are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portions 330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pieces 320 are inclin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coupling member 100, The chair seat 400 connected to the chair seat 400 is pulled to be in a slight tension state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chair seat 400.

이와 함께,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지지편(320)의 하단 마다 구비된 상기 삽입부(330)가 의자시트(400)와 연결되되, 상기 삽입부(330)는 의자시트(400)의 각 코너에 구비된 포켓(410)의 내부로 삽입 연결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부(330)에 단부캡(331)이 형성될 수 있다.5, the pair of upper frames 300 are connected to the chair seat 400 by inserting the inserting portion 3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iece 320, And the end caps 331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s 330 to insert the pockets 410 into the pockets 410 provided at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chair seat 400.

예컨대, 착석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백(seat back)으로 불리는 의자시트(400)는 캔버스와 같은 직조된 직물의 바느질 조각으로 만들어지고, 4 모서리에는 각각 튜브 리셉터클(tube receptacle)과 같은 포켓(410)이 형성된다.For example, a chair seat 400, which is a seat back seat, is made of a sewn piece of woven fabric, such as a canvas, and at each of its four corners a pocket 410, such as a tube receptacle, .

상기 포켓(410)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폴리우레탄의 단독 또는 합성으로 이루어진 원단이 웨빙 봉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330)가 내부 또는 외부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와 같이 상기 포켓(410)이 상기 삽입부(330)와 맞게 연결되어 의자시트(400)가 펼쳐지게 되고,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상기 삽입부(330)를 함께 잡아당기는 약간의 긴장 상태에 있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의자시트(400) 위에 착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ocket 410 may be made of polyester, nylon, acrylic, or polyurethane,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330, In this way, the pockets 410 are fitted to the insertion part 330 to unfold the seat 400. In this state, the pair of upper frames 300 are pulled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art 330 So that the user is able to sit on the chair seat 400.

이때, 상기 삽입부(330)의 끝단에 형성된 단부캡(331)이 상기 포켓(410)의 안으로 슬라이드되어 들어간 후 밀착되어 상부 프레임(300)의 긴장된 상태로 인하여 포켓(410)의 내부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삽입부(330)가 상기 포켓(41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cap 331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330 slides into the pocket 410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side of the pocket 410 due to the tight state of the upper frame 30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30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pocket 410 at random.

그리고,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300)은, 간이 의자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하나는 상기 지지편(320)의 길이가 짧은 쇼트 상부 프레임(300a)이고, 간이 의자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편(320)의 길이가 긴 롱 상부 프레임(300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롱 상부 프레임(300b)은 상기 지지편(320)의 중간 부분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321)를 더 포함함으로써, 의자시트(400)의 등받이 프레임의 기능을 하여 상기 롱 상부 프레임(300b)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후방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해 준다.One of the pair of upper frames 30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mple chair is a short upper frame 300a having a short length of the supporting piece 320, The long upper frame 300b may be formed of a long upper frame 300b having a longer length of the support pieces 320. At this time, By further including the bent portion 321, it functions as a backrest frame of the chair seat 400 to support the rear load of the user applied to the long upper frame 300b.

나아가, 상기 결합부재(100)에 의해 지탱되는 한쌍의 하부편(210)과, 한쌍의 상부편(310), 그리고 상기 하부편(210)과 상부편(310)이 서로 용접 결합됨으로써, 용접 결합시 상기 하부편(210)이나 상부편(310)의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서 용접되는 부위가 많아지게 되므로 용접 면적이 넓은 용접부(W)를 형성할 수 있어 견고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구조체를 통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게 됨은 물론, 한쌍의 하부편(210)과, 한쌍의 상부편(310), 그리고 상기 하부편(210)과 상부편(310)의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후방으로 쏠리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도 증가하게 된다.Further, a pair of lower pieces 210 supported by the coupling member 100, a pair of upper pieces 310, and the lower piece 210 and the upper piece 310 are welded to each other, The welded portion W having a large welding area can be formed because the welded portions are wel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iece 210 and the upper piece 310 at the time of welding, A pair of upper pieces 310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pieces 210 and 210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pieces 210 and 210. In addition, 310, thereby enhan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user leaning to the rear side.

아울러,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100)과 한쌍의 상부 프레임(200)은 내부에 탄성줄(500)이 설치되고, 각각이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pair of upper frames 200 and the pair of lower frames 100 may be provided with elastic ribs 500, each of which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상기 복수 개의 섹션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어느 하나의 섹션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연결되며, 상기 탄성줄(500)은 탄성을 갖는 줄로 이루어져 각 섹션을 안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고 각 프레임의 중공 형성된 내부의 구멍 안을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부분들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연결한다.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one of the sections is inserted into the other one of the sections, and the elastic string 500 is formed of elastic lines to pull each section inward And th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connected in one fram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hollow interior of each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반면에,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100)과 한쌍의 상부 프레임(200)의 각 섹션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탄성줄(500)에 의해 접이되어 컴팩트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도 7b와 같은 스킨(S)으로 감싸거나 도 7c와 같은 작은 가방(B)에 넣어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lower frames 100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olded and deformed compactly by the elastic strips 500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wrapped with the skin S as shown in FIG. 7B or put into a small bag B as shown in FIG.

결국,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1)는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우수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프레임들을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 배치하여 용접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체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rame structure 1 of the simp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actly folded and stored, thus being excellent in portability, simple in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It is a structure having a strong bonding force and has durability enough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sufficiently.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의 여러 특징부의 다양한 수정, 적용, 그리고 조합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adapt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 various features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 프레임 구조체 100. 결합부재
110. 하부 결합공 120. 상부 결합공
200. 하부 프레임 210. 하부편
220. 레그편 230. 지지부
231. 바닥캡 300. 상부 프레임
300a. 쇼트 상부 프레임 300b. 롱 상부 프레임
310. 상부편 320. 지지편
321. 절곡부 330. 삽입부
331. 단부캡 400. 의자시트
410. 포켓 500. 탄성줄
B. 가방. S. 스킨
W. 용접부
1. Frame structure 100. Coupling member
110. Lower coupling hole 120. Upper coupling hole
200. Lower frame 210. Lower section
220. Legs 230. Supports
231. Floor cap 300. Upper frame
300a. Shot upper frame 300b. Long upper frame
310. Top piece 320. Support piece
321. Bending section 330. Insertion part
331. End cap 400. Chair seat
410. Pocket 500. Elastic strap
B. Bag. S. SKIN
W. Welding

Claims (8)

서로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 한쌍의 상부 결합공과 한쌍의 하부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재;
상기 하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레그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 양끝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결합공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배치된 상부편 및 상기 상부편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단 양끝에 구비되어 의자시트와 연결되는 삽입부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된 한쌍의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한쌍의 상부편, 한쌍의 하부편, 및 상기 하부편과 상부편은 서로 용접 결합되어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과 한쌍의 하부 프레임은, 내부에 탄성줄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진,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A pair of coupl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air of upper coupling holes and a pair of lower coupling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A lower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lower coupl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and a leg piece bent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iece, A pair of lower frames arranged such that support portion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extend outwardly from each other; And
A top piece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upper fitting hole and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fitting members and a supporting piece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iece, And a pair of upper frames arranged so that insertion portions connected to the chair seat are opened outwardly from each other,
A pair of upper pieces, a pair of lower pieces, and the lower piece and the upper piece are welded to each other to form a weld,
Wherein the pair of upper frames and the pair of lower frames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string therein, and the welded portion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하부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에 바닥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lower frames are formed with a bottom cap on the suppor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은, 하나는 상기 지지편의 길이가 짧은 쇼트 상부 프레임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편의 길이가 긴 롱 상부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upper frames is a short upper frame having a shorter length of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other is a long upper frame having a longer length of the supporting pie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롱 상부 프레임은 상기 지지편의 중간 부분에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ng upper frame further comprises a bent portion bent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ing pie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상부 프레임은 상기 삽입부에 단부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upper frames are formed with an end cap on the insertio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의자시트의 코너에 구비된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pocket provided at a corner of the chair se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편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piec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ing pie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삭제delete
KR20140008447U 2014-11-18 2014-11-18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8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447U KR200476870Y1 (en) 2014-11-18 2014-11-18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PCT/KR2014/011773 WO2016080576A1 (en) 2014-11-18 2014-12-03 Frame structure for utility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447U KR200476870Y1 (en) 2014-11-18 2014-11-18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70Y1 true KR200476870Y1 (en) 2015-04-09

Family

ID=5303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44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870Y1 (en) 2014-11-18 2014-11-18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870Y1 (en)
WO (1) WO201608057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549A (en) * 2014-08-05 2016-02-15 라제건 Portable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14U (en) * 1989-09-02 1991-03-28
KR0111000Y1 (en) * 1994-03-31 1997-12-22 Lee Hae Sub A foldable chair
KR20120044577A (en) * 2010-10-28 2012-05-08 라제건 Portable chair
KR101287868B1 (en) * 2013-06-19 2013-07-19 오성듀랄루민(주) Collapsable a chair for leisure spor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910A (en) * 1990-06-18 1992-02-20 Isao Oishi Frame of knockdown chair
JP3032014U (en) * 1996-06-03 1996-12-13 弘誠 本名 Metal ring folding chair with adjustable height
KR101397958B1 (en) * 2013-09-28 2014-05-27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A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014U (en) * 1989-09-02 1991-03-28
KR0111000Y1 (en) * 1994-03-31 1997-12-22 Lee Hae Sub A foldable chair
KR20120044577A (en) * 2010-10-28 2012-05-08 라제건 Portable chair
KR101287868B1 (en) * 2013-06-19 2013-07-19 오성듀랄루민(주) Collapsable a chair for leisure spor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549A (en) * 2014-08-05 2016-02-15 라제건 Portable Chair
KR101678446B1 (en) 2014-08-05 2016-11-23 라제건 Portable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576A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196B2 (en) Collapsible bench or seating with canopy
US9930966B2 (en) Compact collapsible chair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US20160113402A1 (en) Sturdy, Compact, Collapsible Camping Chair
US9456684B1 (en) Integrated folding table and chairs set
KR200477598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CN210643293U (en) Stool
US9936811B2 (en) Portable seat awning
US20160113403A1 (en) Sturdy, Compact, Collapsible Camping Chair with a Central Tube Connector
KR20090092554A (en) Portable fishing poles
KR101791925B1 (en) Foldable type bed
KR200483429Y1 (en) Camping table
KR102353006B1 (en)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suspending shortened hammock on frame
KR200476869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KR200476870Y1 (en)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KR100819420B1 (en) Folding flat floor with tent
KR101493888B1 (en) Outdoor chair with member supporting ground
KR20200000913U (en) Folding hammock bed
US20080093895A1 (en) Collapsible adjustable pool chair
US6708630B2 (en) Foldable side support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CA2913300C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US9414687B2 (en) Collapsible seat and storage apparatus
EP0056361A1 (en) Rucksack with a rigid supporting frame
KR20170003840A (en) Self-assembly Portable Chair
KR102588646B1 (en) portable mini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1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4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501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