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6256Y1 -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 Google Patents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56Y1
KR200476256Y1 KR2020130008244U KR20130008244U KR200476256Y1 KR 200476256 Y1 KR200476256 Y1 KR 200476256Y1 KR 2020130008244 U KR2020130008244 U KR 2020130008244U KR 20130008244 U KR20130008244 U KR 20130008244U KR 200476256 Y1 KR200476256 Y1 KR 200476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support
container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5265U (en
Inventor
카츠히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56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체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의 내면에 판상체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판상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장착되는 보텀 패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판상체의 코너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판상체의 하단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이 형성되고, 제2 지지용 홈이 보텀 패드가 장착됨으로써 분단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의 바닥부에 있어서 제1 지지용 홈과 교차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판상체의 코너부가 맞닿지 않도록 바닥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의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는 제2 지지용 홈에 대응하여 제2 지지용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nd conveying a plate-like member, which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plate-shaped member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of the mutually opposing side walls, A bottom pad mounted on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to support the plate body and a lid bod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A plurality of transversal members extending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supporting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plate- 2 supporting grooves are formed, and the second supporting grooves are divided by mounting the bottom pads.
The bottom recesses are formed on all or a part of a region of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grooves that intersects the first support grooves so th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plate-like member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support cent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판상체 반송 용기{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sel for transporting containers,

본 고안은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사용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유리 외에,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터치 패널용 유리 기판, 그 밖의 주로 얇은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사용하는 반송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shaped article carrying container for use in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a plate-lik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shaped article carrying container for liquid-crystal display, glass plate for plasma display, glass plate for touch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ontainer used for storage.

종래부터,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의 비교적 대형 유리 기판을 복수장 병렬로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 용기로서, 완충성을 갖는 합성 수지 발포체제의 용기 본체와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로, 용기 본체의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내면에 등간격으로 세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형성해 두고, 당해 지지용 홈에 유리 기판의 측단부를 삽입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a container made of a container body of a synthetic resin foam system having buffering properties and a lid body is used as a transport container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a plurality of relatively large glass substrates for liquid crystal display or plasma display in parallel, It is known that support grooves each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one inner side wall of each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glass substrate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s so as to be support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

또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바닥판 상에 유리 기판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가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보텀 패드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용기 본체의 상방에 돌출되는 유리 기판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가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탑 패드를 형성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In addition to forming a bottom pad having a support groove formed of a lateral groove for protec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lass substrate on the bottom plate in the container body, It is also proposed to form a top pad having a supporting groove made of a groov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그러나, 최근 유리 기판 등 판상체의 박육화가 진행되어,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 패널은 약 0.7㎜의 유리 기판, 터치 패널은 약 0.3㎜의 매우 얇은 유리 기판을 사용하고 있고, 유리 기판 등 판상체는 얇은 것일수록 휘기 쉬우며, 또한 홈 안에서는 판상체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작아, 판상체에 따라서는 3∼10㎜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for example, a plate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has been thinned.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7 mm is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very thin glas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3 mm is used for a touch panel. Thinner is more likely to be bent, an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late in the groove is very small, and depending on the plate, it is 3 to 10 mm.

따라서, 판상체는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크게 휘기 때문에,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삽입되기 어렵다는 사정이 있다. 그 밖에, 홈을 갖고 또한 보텀 패드나 탑 패드를 구비한 반송 용기를 사용할 때도 반송 용기가 충격을 받으면, 홈 안에서는 판상체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작기 때문에, 판상체가 홈 이탈을 일으키기 쉬워, 인접하는 홈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반송 용기가 각 충격을 받았을 때, 판상체가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plate-shaped body is bulged as it gets closer to the center, it is difficult to insert it into the support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conveying container having a groove and a bottom pad or a top pad, if the conveying container is impacte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late can be very small in the groove, , There is a case where they move to adjacent grooves.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transport container is subjected to an impact, the plate body is liable to be damag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113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5113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9935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199351

본 고안은 상기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삽입되기 어렵고, 판상체가 홈 이탈하기 쉬우며, 각 충격시에 판상체는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 및 선행 기술에 있는 용기 본체에 덮개체가 감합하여 피착되면,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 내의 판상체의 유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he plate-shaped body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ove, the plate body is liable to be broken at each impact,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late in the container body from outside is solved.

본 고안은 판상체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의 내면에 판상체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판상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장착되는 보텀 패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nd conveying a plate-like member, which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plate-shaped member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of the mutually opposing side walls, A bottom pad mounted on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to support the plate body; and a lid bod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판상체의 코너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판상체의 하단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이 형성된다. 이로써, 판상체 삽입시의 가이드가 되어, 판상체를 제2 지지용 홈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판상체의 지지 부분이 많아져, 반송 용기가 진동 또는 낙하시의 판상체의 홈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은 보텀 패드가 장착됨으로써 분단된다.And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late-like body extending from the corn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body toward the center is formed in the plate-like body conveying container so as to extend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b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grooves. As a result, the plate becomes a guid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plate, and the plate can easil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groove. Further,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late-shaped body is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te-shaped body from deviating from the groove when the transport container is vibrated or dropped.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is divided by mounting the bottom pad.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용 홈의 바닥부에 있어서 제1 지지용 홈과 교차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판상체의 코너부가 맞닿지 않도록 바닥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각 오목부는 각 충격시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파손 방지용 공간이 된다.In the plate-shaped object carrier container, a bottom recess is formed in all or a part of a region of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support groove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plate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rner. This bottom concave portion serves as a space for preventing breakage of the plateau at the time of each impact.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는 제2 지지용 홈에 대응하여 제2 지지용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된 보텀 패드의 상면은 상기 제2 지지용 홈 및 상기 제2 지지용 중앙홈의 가로 방향의 홈 바닥면보다 상위 위치에 배치된다.In the plate-shaped transport container, a second support central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support groov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orizontal groov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center groove.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 상기 제2 지지용 홈 및 상기 제2 지지용 중앙홈은 각각의 홈의 홈벽이 홈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한다.In the plate-like object transport container, the first support grooves, the second support grooves, and the second support center grooves are formed such that the groove walls of the respective grooves are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from the groove bottom surface A straight portion and a tapered portion that widens the groove width toward the opening of the groove are formed.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각 홈은 테이퍼부만을 형성하고,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직선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홈의 내측면에 급격히 절곡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홈에 끼워 넣어져 지지되고 있는 판상체가 휨 변형되어도, 판상체와 홈 사이가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 판상체의 단부가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없다.In the plate-shaped object transport container, each of the grooves may have only a tapered portion, and may not have a straight portion that support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ate-shaped body in the straight portion. As a result, there is no portion that is abruptly bent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even if the plate body held by the groove is bent, there is no region where the plate body and the groove are strong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locally. There is no fear of being damaged.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용기 본체 내의 판상체의 유무를 확인하는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plate-shaped object transport container, a hole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late in the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본 고안에 의한 판상체 반송 용기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더욱 용이하게 판상체 하단부를 상기 제2 지지용 홈에 삽입할 수 있다. 동시에, 판상체의 지지 부분이 많아져, 판상체의 홈 이탈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바닥각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바닥각 오목부를 각 충격시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파손 방지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구멍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덮개체가 감합하여 피착되는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The plate convey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ert the lower end of the plate member into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more easily than in the prior art. At the same time,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plate body is increased, which helps prevent the plate-like body from deviating from the groove. In addition, by forming the bottom concave portions, the bottom concave portions can be used as a space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plate bodies at the time of each impa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late in the container main body can be confirmed by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fitted and attach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도 1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에 판상체를 삽입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보텀 패드를 감합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보텀 패드를 포함하지 않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C2-C2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보텀 패드(2)를 포함함)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3-C3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P1 영역에 판상체를 삽입한 제1 지지용 홈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P2 영역에 보텀 패드와 판상체를 삽입한 제2 지지용 홈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제1 지지용 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제2 지지용 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조합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덮개체(탑 패드를 끼워 넣음)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보텀 패드 및 탑 패드가 맞춰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보텀 패드 및 탑 패드가 맞춰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 body transpor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ate body is inserted into a container body.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ody (with a bottom pad engaged) of a plate-shaped object transpor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body (not including the bottom pad) of the plate-shaped object transport contain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bottom pad 2) taken along line C2-C2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3-C3 in Fig. 3.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groove in which the plate member is inserted in the P1 region in Fig. 3;
7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econd support groove in which a bottom pad and a plate-like member are inserted in a P2 region in Fig.
Fig. 8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groove of the plate convey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of the plate-shaped transpor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container body and a cover body of a plate-shaped transpor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body (the top pad is fitted) of the plate-shaped object transport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convey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ad and the top pad are align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te convey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ad and the top pad are not aligned.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에 판상체(B)를 끼워 넣은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반송 용기(A)는 판상체(B)를 수용하고, 상기 반송 용기(A)는 용기 본체(1)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사면의 측벽(측벽(1s))을 포함함) 및 바닥부를 갖고, 상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판상체(B)를 삽입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ody 1 of a transport contain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ate member B is fitted. In Fig. 1, the transport container A houses a plate B, and the transport container A includes a container body 1. As shown in Fig. The container body 1 has a slope side wall (sidewall 1s)) and a bottom portion,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o insert the plate body B.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용기 본체(1) 내에 판상체(B)의 유무를 확인하는 구멍(1h)이 형성된다(특히, 용기 본체(1)에 후술하는 덮개체(3)가 감합하여 피착될 때).A hole 1h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late B is form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1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main body 1 ) Are deposited and deposited).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의 반송 용기(A)의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modes of the transport container A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에 보텀 패드(2)를 삽입한 사시도이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적당히 강성이 있으며 보형성이 있는 합성 수지 발포체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사방의 각 측벽 중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s)의 내면(11)에 상기 용기 본체(1)의 세로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도 1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양측 단부를 지지한다. 바닥부 내면(14)은 상기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의 하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바닥부 내면(14)에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d)이 제1 지지용 홈(1a)과 같은 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은 상기 용기 본체(1)의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바닥부 내면(14)의 내측 방향으로 연신하여, 판상체(B)의 코너부로부터 중앙을 향한 판상체(B)의 하단부의 일부를 지지한다. 그 밖에, 보텀 패드(2)는 상기 바닥부 내면(14)의 오목부(14h)(도 3을 참조, 상기 오목부(14h)는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을 복수단으로 구분한다)에 감합되고, 판상체(B)의 하단부를 받아 지지한다. 상기 용기 본체(1)의 타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구멍(1h)이 형성된다. 구멍(1h)에 의해, 용기 본체(1) 내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유무를 확인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bottom pad 2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 of the transport contain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foam having moderately rigid rigidity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wall 1s of one of the four sidewall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1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1 and 11 to support both end portions of the plate material B in Fig. The bottom inner surface 14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11 of the side walls 1s of the container body 1. [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ing grooves 1d are formed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in correspondence with the same row as the first supporting grooves 1a.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1 and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inner surface 14 And supports a part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late-like member B from the corner portion of the plate-shaped member B toward the center. 3) of the bottom inner surface 14, and the recess 14h divides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receives and support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late B as shown in Fig. Holes 1h are formed in the upper edges of the opposite side walls of the container body 1 on the other si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late B in the container body 1 is confirmed by the hole 1h.

도 3은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의 평면도이다(보텀 패드(2)를 포함하지 않음). 도 3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복수의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내면(14)은 양측벽(1s)의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 11) 사이에, 바닥부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에는 바닥부 내면(14)이 형성되고, 이 바닥부 내면(14)에 복수의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지지용 홈(1d)과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같은 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 내면(14)에는 오목부(14h)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이 복수단으로 분단되어, 제2 지지용 중앙홈(1e)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4h)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보텀 패드(2)가 감합된다. 상기 보텀 패드(2)는 용기 본체(1)에 비하여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합성 수지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에는 구멍(1h)이 용기 본체(1)의 타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3 is a plan view (not including the bottom pad 2) of the container body 1 of the transport contain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 of both side walls 1s of the container body 1. As shown in Fig. The bottom inner surface 14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s 11, 11 of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walls 1s facing each other. A bottom inner surface 14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1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hat is,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and the first support groove 1a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ame row. A concave portion 14h is formed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to form a second support central groove 1e. The bottom pad 2 shown in Fig. 2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4h. The bottom pad 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foam or the like which is flexible and elastic as compared with the container body 1. In the left upper end and the right upper end of Fig. 3, a hole 1h is formed in the opposite upper and lower sid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1 on the other side.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C2-C2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보텀 패드(2)를 포함함)이다.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닥부 내면(14)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이면측은 내면(11)이고, 바닥부 내면(14)은 양측벽(1s)의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11, 11) 사이에, 바닥부 상면에 위치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보텀 패드(2)가 상기 바닥부 내면(14)에 있는 오목부(14h)에 감합된다. 보텀 패드(2)는 상기 오목부(14h)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상면이 바닥부 내면(14)의 제2 지지용 홈(1d)의 홈 깊이 범위 내에서 홈의 바닥으로부터 다소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바닥부 내면(14)에 있어서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연속하는 양측 하단에(즉, 좌우 바닥각부), 바닥각 오목부(1u)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각 오목부(1u)는 제2 지지용 홈(1d)에 연속하여, 반송 용기(A)가 각 충격을 받았을 때 판상체의 파손 방지용 공간으로서 기능한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bottom pad 2) taken along line C2-C2 in Fig. Sectional structure of the bottom inner surface 14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tional view of FIG. 4,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side walls 1s of the container body 1 is the inner surface 11 and the bottom inner surface 14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11 and 11 of the opposite side walls 1s, , And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he bottom pad 2 shown in Fig. 2 is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4h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2 is located slightly above the bottom of the groove within the groove depth range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of the bottom inner surface 14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ad 2 is mounted on the recess 14h have. 4, bottom concave portions 1u are formed at both lower ends (that is, left and right bottom corner portions) continuous to the inner surface 11 of both side walls 1s of the bottom portion inner surface 14. The bottom concave portion 1u is continuous with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and functions as a space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plate member when the transport container A receives an impact.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판상체(B)에 휨이 생겨, 그 변위량이 판상체(B)를 제1 지지용 홈(1a) 및 제2 지지용 중앙홈(1e)에 삽입하기 어렵게 한다. 제2 지지용 홈(1d)에 삽입됨으로써, 판상체(B)는 가이드되어, 제1 지지용 홈(1a) 및 제2 지지용 중앙홈(1e)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밖에, 판상체(B)의 지지 부분이 많아지므로, 균등하게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균열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판상체(B)가 제2 지지용 홈(1d)으로부터 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제2 지지용 홈(1d)에 연속하는 바닥각 오목부(1u)에 추가하여, 상기 판상체(B)의 하단 코너부를 제2 지지용 홈(1d)의 바닥부와 접촉시키지 않음으로써, 용기 본체(1)의 네 모서리의 각 혹은 바닥부 가장자리가 낙하 등의 충격을 받았을 때 판상체(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ate member B is warped in the above-described Figs. 2 to 4,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plate member B makes it difficult to insert the plate member B into the first support groove 1a and the second support central groove 1e do.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the plate B can be guided and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groove 1a and the second support center groove 1e.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plate B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te B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because the load is uniformly applied,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bottom concave portion 1u continuing to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in Fig. 4, the lower corner of the plate B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te body B from being damaged when an edge or an edge of the four corners of the container body 1 receives an impact such as dropping.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3-C3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보텀 패드(2)는 미삽입)로서, 도 5에 있어서 복수의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이 용기 본체(1)의 내면(11)에 형성되고, 복수의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1d)이 바닥부 내면(14)에 형성되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3-C3 in Fig. 3 (the bottom pad 2 is not inserted), and in Fig. 5,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upport grooves 1a ar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1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he second support grooves 1d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11 of the bottom portion 14,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각 홈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홈은 테이퍼부(t)와 직선부(s)를 포함한다.Next, the first embodiment of each gro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In the first embodiment, each groove includes a taper portion t and a straight portion s.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P1 영역에 판상체(B)를 삽입한 제1 지지용 홈(1a)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지지용 홈(1a)의 제1 실시형태의 홈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측벽(1s)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직선부(s)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t)가 형성되어 있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in which the plate material B is inserted in the P1 area in Fig. The groove shape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1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 of both side walls 1s of the container main body 1. As shown in Fig. The first supporting groove 1a is formed such that the groove wall constituting the groove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erpendicularly to the side wall 1s of the container body 1, A tapered portion t is formed.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P2 영역에 보텀 패드(2)와 판상체(B)를 삽입한 제2 지지용 홈(1d)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 지지용 홈(1d)의 제1 실시형태의 홈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바닥부 내면(14)에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직선부(s)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 내면(14)에는 보텀 패드(2)가 감합되어, 상기 판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보텀 패드(2)는 반송 용기(A)의 바닥면이 낙하했을 때 판상체(B)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판상체(B)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한 마찰 및 분진 등을 방지할 수 있다.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n which the bottom pad 2 and the plate-like member B are inserted into the P2 area in Fig. The groove shap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7,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1d are formed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roove wall constituting the groove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o a straight section s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 A tapered portion t is formed. The bottom pad 2 is fitted to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late B. The bottom pad 2 absorbs the impact applied to the plate B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ort container A falls and prevents breakage of the plate B, Friction and dust can be prevented.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각 홈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홈은 직선부(s)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each gro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In the second embodiment, each groove has no portion that support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ate B in the straight section s.

도 8은 도 3에 있어서의 P1 영역에 판상체(B)를 삽입한 제1 지지용 홈(1a)의 제2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 지지용 홈(1a)의 제2 실시형태의 홈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홈의 개구단으로부터 홈 바닥까지 연속하여 개구단을 향해 보다 넓어지는 테이퍼부(t)를 형성한다.8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in which the plate member B is inserted in the P1 region in Fig. The groove shap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8,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grooves 1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 of both side walls 1s of the container body 1. As shown in Fig. The first support groove (1a) forms a tapered portion (t) that extends from the open end of the groove to the bottom of the groove and widen toward the open end.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P2 영역에 보텀 패드(2)와 판상체(B)를 삽입한 제2 지지용 홈(1d)의 제2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지지용 홈(1d)의 제2 실시형태의 홈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바닥부 내면(14)에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은 홈의 개구단으로부터 보텀 패드(2)의 상면(삽입된 판상체(B)의 하단부 바닥면)에 상기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부(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 내면(14)에는 보텀 패드(2)가 감합되어, 상기 판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보텀 패드(2)는 반송 용기(A)의 바닥면이 낙하했을 때 판상체(B)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판상체(B)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한 마찰 및 분진 등을 방지할 수 있다.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n which the bottom pad 2 and the plate-like member B are inserted into the P2 area in Fig. The groove shap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9,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1d are formed in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t extending in the groove width toward the opening of the groove from the opening end of the groo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d 2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inserted plate- Is formed. The bottom pad 2 is fitted to the bottom inner surface 14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late B. The bottom pad 2 absorbs the impact applied to the plate B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ort container A falls and prevents breakage of the plate B, Friction and dust can be prevented.

전술한 도 6과 도 7에 있어서의 각 홈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홈은 직선부(s)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기 때문에, 판상체(B)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도 8과 도 9에 있어서의 각 홈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홈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의 내측에 갑자기 절곡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끼워 넣어져 홈에 지지된 판상체(B)가 휨 변형을 일으켜도, 판상체(B)와 홈 사이에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 판상체(B)의 단부가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없다.6 and 7, each groove ha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ate B in the straight portion s, and therefore, the plate member B)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grooves shown in Figs. 8 and 9, since there is no part that suddenly bends in the inside of the por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late bodies in the respective grooves, Even if the plate-like object B supported on the groove is bent, there is no region where the plate-like body B and the groove are strong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end of the plate-like body B is not damaged.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용기(A)는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의 상부에 감합되는 덮개체(3)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3)의 내측에 감합되어 판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탑 패드(4)를 구비해도 된다. 이 때, 탑 패드(4)도 용기 본체(1)의 바닥부와 동일하게 홈을 복수단으로 분단하여 덮개체(3)에 감합된다. 또한, 홈의 형상도 용기 본체(1)의 바닥부에 형성된 제2 지지용 홈(1d)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탑 패드(4)와 보텀 패드(2) 양자는 상하로 맞추어도 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가 맞춰지지 않아도 되며, 필요에 따라서 판상체(B)의 상하 양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10, the transport container A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a lid body 3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 and a lid body 3 fitted to the lid body 3, And a top pad 4 fitted to the inside of the plate body B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plate body B. At this time, the top pad 4 is also fitted to the lid body 3 by dividing the grooves into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same manner as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 [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groove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 [ As shown in Fig. 12, both the top pad 4 and the bottom pad 2 may be vertically aligned, or may not be vertically aligned as shown in Fig. 13, .

또한, 상기 용기 본체(1) 및 덮개체(3)는 임의의 발포 수지 성형체에 의해 제작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복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발포 배율은 3∼50배가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body 1 and the cover body 3 can be made of any foamed resin molded articl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ed body is a foamed thermoplastic resi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styrene resins, polyolefin resins (e.g., polypropylene resins and polyethylene resins), polyester resin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s, Phthalate type resin, polylactic acid type resin), polycarbonate type resin and the lik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posite resin containing polystyrene and polyethylene. The expansion ratio of the foam is preferably 3 to 50 times.

또한, 상기 보텀 패드(2)나 탑 패드(4)로는, 상기 동일한 합성 수지의 비즈 성형 발포체로, 주로 상기 용기 본체(1)나 덮개체(3)에 비하여 다소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사용된다. 또한, 보텀 패드(2), 탑 패드(4)의 위치나 크기,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bottom pad 2 and the top pad 4 are formed of beads of the same synthetic resin and have a relatively flexible shape and elasticity as compared with the container body 1 or the cover 3, A resin foam is used. The position, size, and number of the bottom pad 2 and the top pad 4 are not limited.

본 고안의 반송 용기는 기판 유리, 액정 표시 또는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및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 기판, 그 밖의 충격에 약한 각종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바람직하다.The transpor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substrate glass, a thin glass substrate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plasma display glass substrate and a touch panel, and various plate materials susceptible to other impacts.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any design change or the lik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반송 용기
B: 판상체
C2, C3: 단면선
P1, P2: 확대 영역
s: 직선부
t: 테이퍼부
1: 용기 본체
1a: 제1 지지용 홈
1d: 제2 지지용 홈
1e: 제2 지지용 중앙홈
1h: 구멍
1u: 바닥각 오목부
1s: 용기 본체와 대응하는 일방의 두 개의 측벽
11: 용기 본체와 대응하는 일방의 두 개의 측벽의 내면
14: 바닥부 상면
14h: 바닥부 상면의 오목부
2: 보텀 패드
3: 덮개체
4: 탑 패드
A: Return container
B: Plate
C2, C3: Section line
P1, P2: enlarged area
s: straight line part
t: taper portion
1:
1a: first supporting groove
1d: second supporting groove
1e: central groove for second support
1h: hole
1u: bottom recess
1s: two side walls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body
11: inner surface of one of the two side walls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main body
14: bottom part top surface
14h: a concav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 Bottom pad
3:
4: Top pad

Claims (7)

판상체(B)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s)의 내면에 판상체(B)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된 용기 본체(1)와, 판상체(B)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장착되는 보텀 패드(2)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장착되는 덮개체(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체 반송 용기(A)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판상체(B)의 코너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판상체(B)의 하단부의 일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d)이 형성되고,
제2 지지용 홈(1d)이 보텀 패드(2)가 장착됨으로써 분단되고,
상기 제2 지지용 홈(1d)의 바닥부에 있어서 제1 지지용 홈(1a)과 교차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판상체(B)의 코너부가 맞닿지 않도록 바닥각 오목부(1u)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A container for receiving and conveying the plate 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plate B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walls 1s facing each other, A bottom pad 2 mounted on a part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 for supporting the plate body B; And a lid body (3) fit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plate body (1)
A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lateau body B extending from the corner portion of the plateau body B toward the center and extending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groove 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grooves 1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is divided by the mounting of the bottom pad 2,
The bottom concave portion 1u is formed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plate B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all or a part of the region of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supporting groove 1a Wherein the plate-shaped body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는 제2 지지용 홈(1d)에 대응하여 제2 지지용 중앙홈(1e)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체 반송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support central groove (1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of the contain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support groove (1d).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된 보텀 패드(2)의 상면은 상기 제2 지지용 홈(1d) 및 상기 제2 지지용 중앙홈(1e)의 가로 방향의 홈의 홈 바닥면보다 상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ed bottom pad (2)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oove bottom of the lateral grooves of the second supporting groove (1d) and the second supporting central groove (1e) Upper body transport container.
삭제delete 제 1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용기 본체 내의 판상체(B)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구멍(1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5,
And a hole (1h)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late-like member (B) in the container main body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main body (1).
KR2020130008244U 2013-03-28 2013-10-07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Expired - Lifetime KR200476256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11229A TWI580614B (en) 2013-03-28 2013-03-28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TW102111229 201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65U KR20140005265U (en) 2014-10-08
KR200476256Y1 true KR200476256Y1 (en) 2015-02-12

Family

ID=5211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44U Expired - Lifetime KR200476256Y1 (en) 2013-03-28 2013-10-07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256Y1 (en)
TW (1) TWI580614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1045A (en) * 2018-08-03 2018-11-30 龚平 The method for avoiding water purification diaphragm impaired
CN108911044A (en) * 2018-08-03 2018-11-30 龚平 Fixed equipment for water purification membrane module
CN108945739A (en) * 2018-08-03 2018-12-07 龚平 Water purification diaphragm group part bogey
KR102831499B1 (en) 2023-05-04 2025-07-07 구뎅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otection device for substrate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0297A (en) * 2018-08-03 2018-11-30 龚平 Water purification diaphragm part fixing mea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993A (en) 2001-09-27 2003-06-17 Nissho Iwai Plastic Corp Box for carrying glass base sheet
KR100635184B1 (en) 2002-07-29 2006-10-16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Box for carrying glass substrate
KR20110134279A (en) * 2010-06-07 2011-12-14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late-shaped conveying container
KR101212118B1 (en) * 2012-02-21 2012-12-13 이춘우 Delivering box storing lcd glass substrate by no-vib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993A (en) 2001-09-27 2003-06-17 Nissho Iwai Plastic Corp Box for carrying glass base sheet
KR100635184B1 (en) 2002-07-29 2006-10-16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Box for carrying glass substrate
KR20110134279A (en) * 2010-06-07 2011-12-14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late-shaped conveying container
KR101212118B1 (en) * 2012-02-21 2012-12-13 이춘우 Delivering box storing lcd glass substrate by no-vib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1045A (en) * 2018-08-03 2018-11-30 龚平 The method for avoiding water purification diaphragm impaired
CN108911044A (en) * 2018-08-03 2018-11-30 龚平 Fixed equipment for water purification membrane module
CN108945739A (en) * 2018-08-03 2018-12-07 龚平 Water purification diaphragm group part bogey
KR102831499B1 (en) 2023-05-04 2025-07-07 구뎅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otection device for substrat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7100A (en) 2014-10-01
TWI580614B (en) 2017-05-01
KR20140005265U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44B2 (en) Container
TWI476134B (en) Container for glass substrate
KR200476256Y1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KR101776962B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like members
US20220277977A1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20140005270U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anel
JP5649923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body
JP3198009U (en) Packing material and package
JP2011246170A (en) Container for conveying plate-like body
JP2010215262A (en) Carrying container for glass substrate
KR200476562Y1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KR101934963B1 (en) A Tray for Planar Parts
JP4964065B2 (en) Plate-shaped container
JP2011162235A (en) Box for conveying plate-like product
JP5406120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body
KR200476563Y1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KR200477851Y1 (en) Reinforcing member and panel transportation vessel
KR20150003698U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CN203473546U (en) Conveying container for tabular body
JP5649924B2 (en) Plate-shaped container
TWM526999U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JP2011255912A (en) Carrier container for glass substrate
TWM524334U (en) 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JP5615595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body
JP4439303B2 (en) Plate-like body transport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80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2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