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6052Y1 - 근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52Y1
KR200476052Y1 KR2020130010419U KR20130010419U KR200476052Y1 KR 200476052 Y1 KR200476052 Y1 KR 200476052Y1 KR 2020130010419 U KR2020130010419 U KR 2020130010419U KR 20130010419 U KR20130010419 U KR 20130010419U KR 200476052 Y1 KR200476052 Y1 KR 200476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lower base
plate
base portion
chair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202U (ko
Inventor
정용대
정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코
Priority to KR2020130010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5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5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와 상체의 근육을 동시에 단력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부;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제 1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레버; 및 일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제 3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레버에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력 운동 기구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본 고안은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하체와 상체의 근육을 동시에 단력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과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어 신체의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다. 그에 따라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이 발생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실정이며, 이는 현대인들의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며, 특히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하여 신진 대사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다양한 형태의 운동 기구가 사용되어져 왔다. 헬스클럽에서 사용되는 운동 기구의 경우에는 신체 부위별로 특화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가정이나 협소한 장소에서 종합적인 신체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구를 통합한 형태의 종합 운동 기구도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519호는 사이클과 척추 스트레칭 등을 함께 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834호는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이 가능한 종합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운동 기구는 신체 부위별로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짧은 시간 내에 전신의 종합적 근력 운동이 곤란하였다. 또한, 중량을 이용한 운동의 경우, 과도한 부하를 신체에 줌으로써 신체에 무리를 가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체와 상체의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고, 상체의 팔 근력운동과 복부 및 가슴 운동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신체의 종합적인 근력 운동과 더불어 골반 및 허리 스트레칭 운동도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부;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제 1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레버; 및 일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제 3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레버에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는 발판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부와 연결되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타측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에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바는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는 부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의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는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 고정되는 의자 고정다리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착좌부를 포함하는 회전 의자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체 운동과 상체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최대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중량을 신체에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체의 팔, 어깨, 가슴, 복부 근육을 함께 사용하도록 하여 상체의 종합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남녀 노소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중년 이후의 사용자의 경우에는 하체의 단련과 더불어 어깨와 팔 근육 등을 함께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건강 유지 및 오십견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및 골반의 스트레칭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운동 전후의 스트레칭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10)는, 하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부(12)와, 상기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에 세워지는 기둥 형태의 수직 지지부(16a, 16b)와, 상기 수직 지지부(16a, 16b)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와, 상기 작동 레버(20a, 20b)와 연결되어 작동 레버(20a, 20b)의 작동에 부하를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10)는, 상기 하부 베이스부(12)의 일측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판(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12)는 근력 운동 기구(10)를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부 베이스부(12)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12)는 강도와 근력 운동 기구(10)의 설치 안정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부 베이스부(12)는 고강도 플라스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면에는 발판(14)이 구비될 수 있다. 발판(14)은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판(14)의 상부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처리(예컨대, 미끄럼 방지 재질 부착, 돌기 형성 등)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판(14)의 상부면에는 발바닥 지압을 위한 복수의 돌기나 봉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벗고 운동하는 경우 발바닥 지압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6a, 16b)는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면 일측에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지지부(16a, 16b)는 제 1 수직 지지부(16a)와 제 2 수직 지지부(16b)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수직 지지부(16a)와 제 2 수직 지지부(16b)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연결봉(18a, 18b)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연결봉(18a, 18b)에는 손잡이부(1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판(40)을 이용하여 허리 또는 골반 운동을 하는 경우 손잡이부(19)를 잡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는 수직 지지부(16a, 16b)의 소정 높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는 동일하게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는바, 이하에는 제 1 작동 레버(2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작동 레버(20a)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동 레버(20a)와 수직 지지부(16a)의 연결부에는 제 1 회동부(28)가 구비된다. 작동 레버(20a)의 일단에는 핸들부(24)가 절곡되어 구비된다. 핸들부(2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되며, 합성수지, 우레탄 스폰지, 또는 천연이나 인조 가죽 등으로 마감 처리된 그립부(26)가 핸들부(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작동 레버(20a)는 하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전 상태에서 핸들부(24)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작동 레버(20a)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부하를 주기 위하여 제 1 회동부(28)에 근접한 위치)에는 유압 실린더(30)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는 작동 레버(20a)의 동작시 부하를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압 실린더(30)는 제 3 회동부(36)를 통해 하부 베이스부(12)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는 인입 및 인출되는 작동 로드(32)를 포함한다. 작동 로드(32)의 단부는 제 2 회동부(34)를 통해 작동 레버(20a)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의 작동 로드(32)의 작동 압력은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압 실린더(30) 내에 구비되는 피스톤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의 열린 정도를 조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12)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42)가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 지지부(42)는 수직 지지부(16a, 16b)를 기준으로 작동 레버(20a, 20b)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회전판 지지부(42)에는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판(40)이 설치된다. 회전판(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및 골판 스트레칭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회전판(40) 위에 올라서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와 동일하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10)는, 상기 회전판 지지부(42)에 연결 형성된 복수의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를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는 중공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에는 회전 의자(50)가 고정된다. 회전 의자(50)는 의자 고정다리(52a, 52b, 52c)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52a, 52b, 52c)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연결부(54)와, 상기 회전 연결부(54)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축(56)과, 상기 회전축(56)에 의해 지지되는 착좌부(58)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의자(50)를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착좌부(58)에 앉은 상태로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A)는 작동 레버(20a, 20b)를 이용하여 상체 및 하체 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작 단계에서, 사용자(A)는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 상태 또는 발을 전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판(14)에 올라선다. 하체를 굽혀 좌우 작동 레버(20a, 20b)의 핸들부(24)를 양 손으로 각각 잡는다.
스쿼드 운동과 같은 방식으로 일어서면서, 작동 레버(20a, 20b)를 가슴쪽으로 잡아당기듯이 하면서 들어 올린다. 이 때, 작동 레버(20a, 20b)를 들어 올리면서 상체를 세우는 방식으로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체를 숙이더라도 허리의 척추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을 하면, 스쿼드 운동과 같이 하체 근육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작동 레버(20a, 20b)를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팔과 어깨 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지고, 작동 레버(20a, 20b)를 잡아당기는 듯한 운동에 의해 가슴 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지며, 허리와 복근 운동 효과도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사용자(A)의 전신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쿼드와 같이 사용자(A)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과 더불어,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A)의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B)는 회전판(40)에 올라간 상태에서 가로 연결봉(18a, 18b)을 잡고 허리 및 골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의자(5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 및 골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근력 운동 기구 12 : 하부 베이스부
14 : 발판 16a, 16b : 수직 지지부
18a, 18b : 가로 연결봉 20a, 20b : 작동 레버
22 : 메인 바 24 : 핸들부
26 : 그립부 28 : 제 1 회동부
30 : 유압 실린더 32 : 작동 로드
34 : 제 2 회동부 36 : 제 3 회동부
40 : 회전판 42 : 회전판 지지부
50 : 회전 의자

Claims (9)

  1.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부;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제 1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레버; 및 일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제 3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레버에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되되,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는 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부와 연결되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타측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에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는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부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의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는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 고정되는 의자 고정다리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착좌부를 포함하는 회전 의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는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된 회전판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KR2020130010419U 2013-12-13 2013-12-13 근력 운동 기구 Expired - Lifetime KR200476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19U KR200476052Y1 (ko) 2013-12-13 2013-12-13 근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19U KR200476052Y1 (ko) 2013-12-13 2013-12-13 근력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02U KR20140001202U (ko) 2014-02-27
KR200476052Y1 true KR200476052Y1 (ko) 2015-01-22

Family

ID=5244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19U Expired - Lifetime KR200476052Y1 (ko) 2013-12-13 2013-12-13 근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630B1 (en) * 1999-04-26 2001-09-18 Boland Kevin O'brien Upper body exercise machine
KR20100001876U (ko) * 2009-03-13 2010-02-22 (주)맥디자인 실외용 스커트 기구
JP3163572U (ja) * 2010-02-12 2010-10-21 明根股▲分▼有限公司 運動器材
KR20120007338U (ko) * 2011-04-15 2012-10-24 최주형 회전형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630B1 (en) * 1999-04-26 2001-09-18 Boland Kevin O'brien Upper body exercise machine
KR20100001876U (ko) * 2009-03-13 2010-02-22 (주)맥디자인 실외용 스커트 기구
JP3163572U (ja) * 2010-02-12 2010-10-21 明根股▲分▼有限公司 運動器材
KR20120007338U (ko) * 2011-04-15 2012-10-24 최주형 회전형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138A (ko) * 2021-03-15 2022-09-23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102618260B1 (ko) * 2021-03-15 2024-01-03 박정호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02U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22B1 (ko) 복근운동 보조기구
EP2946815A1 (en) Muscular exercise equipment
KR101031455B1 (ko) 다목적 운동기구
JP2010530272A (ja) 下半身運動機構
KR101728615B1 (ko)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US20150375033A1 (en) Polyvalent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US717254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101665054B1 (ko)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130049488A (ko) 베드와 고무벨트를 이용한 다목적 헬스기구키트
KR200476052Y1 (ko) 근력 운동 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KR101698885B1 (ko)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KR20190005612A (ko) 복합 운동기구
KR200466305Y1 (ko) 회전형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CN106075823B (zh) 一种可自由调控的健身设备
CN205412070U (zh) 蹲立健身器
JP3182914U (ja) マッサージ兼筋肉トレーニング器具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KR102040664B1 (ko) 상체 근력 강화를 위한 다중 스트레칭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JP3180186U (ja) 自力式運動器具
KR102261771B1 (ko) 햄스트링 유연성 개선을 위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21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1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0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