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52Y1 -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052Y1 KR200476052Y1 KR2020130010419U KR20130010419U KR200476052Y1 KR 200476052 Y1 KR200476052 Y1 KR 200476052Y1 KR 2020130010419 U KR2020130010419 U KR 2020130010419U KR 20130010419 U KR20130010419 U KR 20130010419U KR 200476052 Y1 KR200476052 Y1 KR 2004760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 lower base
- plate
- base portion
- chair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603 frozen shoul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37 moulding (plasti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76 pectoralis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와 상체의 근육을 동시에 단력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부;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제 1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레버; 및 일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제 3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레버에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strength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flexing the lower and upper body musc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base portion constituting a bottom plate; A vertical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e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through a first rotary part; And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lower base through a third rotar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rough a second rotary part to provide a load up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provide.
Description
본 고안은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하체와 상체의 근육을 동시에 단력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에 대한 것이다. This design is about muscle strength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power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cauterizing the muscles of the lower body and upper body.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과 의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어 신체의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다. 그에 따라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이 발생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실정이며, 이는 현대인들의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In general, modern people have a shortage of walking and moving time due to the time spent moving through a vehicle and the time they spend in their chairs, resulting in an insufficient amount of exercise. As a result, the aging of the muscles and stiffness occur and feel fatigue easily, which is a major cause of the adult diseases of modern people.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며, 특히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하여 신진 대사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to live a healthy life, it is necessary to exercise constantly,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activate the metabolism by continuing the strength exercise.
종래 다양한 형태의 운동 기구가 사용되어져 왔다. 헬스클럽에서 사용되는 운동 기구의 경우에는 신체 부위별로 특화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가정이나 협소한 장소에서 종합적인 신체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구를 통합한 형태의 종합 운동 기구도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exercise apparatuses have been used. In the case of exercise equipment used in health clubs, it is common to specialize in body parts. In this regard, a comprehensive fitness device is also used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integrated to enable a comprehensive physical exercise at home or in a narrow place.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519호는 사이클과 척추 스트레칭 등을 함께 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834호는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이 가능한 종합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As an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34519 discloses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cycle and spinal stretching.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83834 discloses an overall exercise device capable of exercising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그런데, 종래의 운동 기구는 신체 부위별로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짧은 시간 내에 전신의 종합적 근력 운동이 곤란하였다. 또한, 중량을 이용한 운동의 경우, 과도한 부하를 신체에 줌으로써 신체에 무리를 가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xercise apparatus is generally adapted to perform exercises for each part of the body, it is difficult to perform comprehensive strength exercise of the whole body in a short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ercise using weight, there is a case where the body is overloaded by applying an excessive load to the bod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체와 상체의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고, 상체의 팔 근력운동과 복부 및 가슴 운동도 함께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cle force exercise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exercises of a lower body and an upper body and exercising an arm muscle force and an abdomen and a chest exercise of the upper bod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또한, 본 고안은, 신체의 종합적인 근력 운동과 더불어 골반 및 허리 스트레칭 운동도 가능한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uscle force exercise apparatus capable of exercis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body as well as pelvis and waist stretching exercises.
본 고안은, 바닥판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부;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제 1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레버; 및 일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부에 제 3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레버에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시 부하를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근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base portion constituting a bottom plate; A vertical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e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through a first rotary part; And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lower base through a third rotar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rough a second rotary part to provide a load up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provi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는 발판이 구비된다. In one embodiment, a foot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부와 연결되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타측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에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operating lever includes a main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urn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r, and is rotated by the first turning portion, .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바는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bar may be bent downward.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는 부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ydraulic cylinder may further include a working rod connected to the main bar and the second turning part. In addition, the hydraulic cylinder may be formed to be load-adjust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rotating plat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base portion, and a rotatable rotary plate is provided at the rotation plate supporting portion, thereby enabling a user to stretch the waist or the corrugated plate.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의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는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 고정되는 의자 고정다리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착좌부를 포함하는 회전 의자가 결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ase includes a rotary chair fixing part, and the rotary chair fixing part includes a chair fixing leg fixed to the rotary chair fixing part, A rotating chair including a seat portion as far as possible can be combined.
본 고안에 따르면, 하체 운동과 상체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최대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중량을 신체에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동시 발생될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maximum exercise effect can be obtained within a short time because the lower body exercise and the upper body exercise can be performed togeth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excessive weight is not applied to the body,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of injury that may occur during exercis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체의 팔, 어깨, 가슴, 복부 근육을 함께 사용하도록 하여 상체의 종합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rm, the shoulder, the chest, and the abdominal muscles are used together to enable a comprehensive exercise of the upper body.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남녀 노소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중년 이후의 사용자의 경우에는 하체의 단련과 더불어 어깨와 팔 근육 등을 함께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건강 유지 및 오십견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middle-aged users, in particular, the lower extremity exercises together with the exercise of the shoulders and the arm muscles can be used to maintain the body's health and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frozen shoulders .
또한, 허리 및 골반의 스트레칭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운동 전후의 스트레칭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stretching of the waist and pelvis, it is possible to assist stretching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or modify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10)는, 하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부(12)와, 상기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에 세워지는 기둥 형태의 수직 지지부(16a, 16b)와, 상기 수직 지지부(16a, 16b)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와, 상기 작동 레버(20a, 20b)와 연결되어 작동 레버(20a, 20b)의 작동에 부하를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30)를 포함한다. 1 and 3, a muscle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10)는, 상기 하부 베이스부(12)의 일측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판(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scle
하부 베이스부(12)는 근력 운동 기구(10)를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부 베이스부(12)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부(12)는 강도와 근력 운동 기구(10)의 설치 안정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부 베이스부(12)는 고강도 플라스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면에는 발판(14)이 구비될 수 있다. 발판(14)은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판(14)의 상부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처리(예컨대, 미끄럼 방지 재질 부착, 돌기 형성 등)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판(14)의 상부면에는 발바닥 지압을 위한 복수의 돌기나 봉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벗고 운동하는 경우 발바닥 지압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
수직 지지부(16a, 16b)는 하부 베이스부(12)의 상부면 일측에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지지부(16a, 16b)는 제 1 수직 지지부(16a)와 제 2 수직 지지부(16b)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수직 지지부(16a)와 제 2 수직 지지부(16b)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연결봉(18a, 18b)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연결봉(18a, 18b)에는 손잡이부(1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판(40)을 이용하여 허리 또는 골반 운동을 하는 경우 손잡이부(19)를 잡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는 수직 지지부(16a, 16b)의 소정 높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작동 레버(20a, 20b)는 동일하게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는바, 이하에는 제 1 작동 레버(2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The pair of
작동 레버(20a)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동 레버(20a)와 수직 지지부(16a)의 연결부에는 제 1 회동부(28)가 구비된다. 작동 레버(20a)의 일단에는 핸들부(24)가 절곡되어 구비된다. 핸들부(2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되며, 합성수지, 우레탄 스폰지, 또는 천연이나 인조 가죽 등으로 마감 처리된 그립부(26)가 핸들부(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작동 레버(20a)는 하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사용 전 상태에서 핸들부(24)가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작동 레버(20a)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부하를 주기 위하여 제 1 회동부(28)에 근접한 위치)에는 유압 실린더(30)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는 작동 레버(20a)의 동작시 부하를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압 실린더(30)는 제 3 회동부(36)를 통해 하부 베이스부(12)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는 인입 및 인출되는 작동 로드(32)를 포함한다. 작동 로드(32)의 단부는 제 2 회동부(34)를 통해 작동 레버(20a)와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30)의 작동 로드(32)의 작동 압력은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압 실린더(30) 내에 구비되는 피스톤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의 열린 정도를 조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하부 베이스부(12)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42)가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 지지부(42)는 수직 지지부(16a, 16b)를 기준으로 작동 레버(20a, 20b)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회전판 지지부(42)에는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판(40)이 설치된다. 회전판(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및 골판 스트레칭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회전판(40) 위에 올라서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At one side of the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와 동일하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근력 운동 기구(10)는, 상기 회전판 지지부(42)에 연결 형성된 복수의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를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는 중공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muscle force exercise apparatus shown in Fig. 2 is the same as that of the muscle force exercise apparatus shown in Fig. 2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에는 회전 의자(50)가 고정된다. 회전 의자(50)는 의자 고정다리(52a, 52b, 52c)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52a, 52b, 52c)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 연결부(54)와, 상기 회전 연결부(54)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축(56)과, 상기 회전축(56)에 의해 지지되는 착좌부(58)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의자(50)를 회전의자 고정부(44a, 44b, 44c)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착좌부(58)에 앉은 상태로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A)는 작동 레버(20a, 20b)를 이용하여 상체 및 하체 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4 and 5, the user A can simultaneously perform upper body and lower body movements using the operating levers 20a and 20b.
시작 단계에서, 사용자(A)는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 상태 또는 발을 전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판(14)에 올라선다. 하체를 굽혀 좌우 작동 레버(20a, 20b)의 핸들부(24)를 양 손으로 각각 잡는다. In the starting phase, the user A climbs to the
스쿼드 운동과 같은 방식으로 일어서면서, 작동 레버(20a, 20b)를 가슴쪽으로 잡아당기듯이 하면서 들어 올린다. 이 때, 작동 레버(20a, 20b)를 들어 올리면서 상체를 세우는 방식으로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체를 숙이더라도 허리의 척추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While standing up in the same manner as the squad movement, pull up the
이와 같은 운동을 하면, 스쿼드 운동과 같이 하체 근육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작동 레버(20a, 20b)를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팔과 어깨 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지고, 작동 레버(20a, 20b)를 잡아당기는 듯한 운동에 의해 가슴 근육의 운동이 이루어지며, 허리와 복근 운동 효과도 이루어진다. This exercise enables the lower body muscles to move like the squad exercises. At the same time, the
즉, 본 고안에 따른 근력 운동 기구는 사용자(A)의 전신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스쿼드와 같이 사용자(A)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과 더불어,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A)의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muscle for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hole body motion of the user A. As a result of exercise using the load applied by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B)는 회전판(40)에 올라간 상태에서 가로 연결봉(18a, 18b)을 잡고 허리 및 골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의자(5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 및 골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 B is allowed to stretch the waist and pelvis while hold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근력 운동 기구 12 : 하부 베이스부
14 : 발판 16a, 16b : 수직 지지부
18a, 18b : 가로 연결봉 20a, 20b : 작동 레버
22 : 메인 바 24 : 핸들부
26 : 그립부 28 : 제 1 회동부
30 : 유압 실린더 32 : 작동 로드
34 : 제 2 회동부 36 : 제 3 회동부
40 : 회전판 42 : 회전판 지지부
50 : 회전 의자10: Muscular force exercise device 12: Lower base part
14:
18a, 18b: horizontal connecting
22: main bar 24: handle portion
26: grip part 28: first east part
30: Hydraulic cylinder 32: Operation rod
34: 2nd East 36: 3rd East
40: rotary plate 42: rotary plate support
50: Swivel chair
Claims (9)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판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판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A lower base portion constituting a bottom plate; A vertical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e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through a first rotary part; And a hydraulic cylin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base through a third rotary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through a second rotary part to provide a load up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rotatable rotating plate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supporting part to enable the user to stretch the waist or the corrugated plate.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상부면에는 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ot plat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portion.
상기 작동 레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회동부와 연결되는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의 타측에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에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lever includes a main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urning part and a handle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r and is rotatable at the first turning part to enable the handle part to move up and down Muscle strength mechanism.
상기 메인 바는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bar is bent downward.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제 2 회동부를 통해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further comprises a working rod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turning part.
상기 유압 실린더는 부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is load-adjustable.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회전의자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는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에 고정되는 의자 고정다리와, 상기 의자 고정다리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착좌부를 포함하는 회전 의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tary chair fix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base part, a chair fixing leg fixed to the rotary chair fixing part on the rotary chair fixing part, and a rotation chair including a seat part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ir fixing le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상기 회전의자 고정부는 상기 하부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연장된 회전판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지지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tary chair fixing portion is provided on a rotary plate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base portion, and the rotary plat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rotary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419U KR200476052Y1 (en) | 2013-12-13 | 2013-12-13 |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419U KR200476052Y1 (en) | 2013-12-13 | 2013-12-13 |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202U KR20140001202U (en) | 2014-02-27 |
KR200476052Y1 true KR200476052Y1 (en) | 2015-01-22 |
Family
ID=5244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419U Expired - Lifetime KR200476052Y1 (en) | 2013-12-13 | 2013-12-13 |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052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9138A (en) * | 2021-03-15 | 2022-09-23 | 주식회사 에스유엔 | Train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elderly to enter park gol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90630B1 (en) * | 1999-04-26 | 2001-09-18 | Boland Kevin O'brien | Upper body exercise machine |
KR20100001876U (en) * | 2009-03-13 | 2010-02-22 | (주)맥디자인 | Outdoor skirting equipment |
JP3163572U (en) * | 2010-02-12 | 2010-10-21 | 明根股▲分▼有限公司 | Exercise equipment |
KR20120007338U (en) * | 2011-04-15 | 2012-10-24 | 최주형 | Rotation Type Exercise Equipment |
-
2013
- 2013-12-13 KR KR2020130010419U patent/KR200476052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90630B1 (en) * | 1999-04-26 | 2001-09-18 | Boland Kevin O'brien | Upper body exercise machine |
KR20100001876U (en) * | 2009-03-13 | 2010-02-22 | (주)맥디자인 | Outdoor skirting equipment |
JP3163572U (en) * | 2010-02-12 | 2010-10-21 | 明根股▲分▼有限公司 | Exercise equipment |
KR20120007338U (en) * | 2011-04-15 | 2012-10-24 | 최주형 | Rotation Type Exercise Equip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9138A (en) * | 2021-03-15 | 2022-09-23 | 주식회사 에스유엔 | Train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elderly to enter park golf |
KR102618260B1 (en) * | 2021-03-15 | 2024-01-03 | 박정호 | Trainer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old to enter the park gol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202U (en) | 2014-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0822B1 (en) | App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 |
EP2946815A1 (en) | Muscular exercise equipment | |
KR101031455B1 (en) | 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 |
JP2010530272A (en) | Lower body movement mechanism | |
KR101728615B1 (en) | Skate slid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 |
US20150375033A1 (en) | Polyvalent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 |
US7172541B2 (en) | Abdominal exercise machine | |
KR101665054B1 (en) | Lower body and abdominal exercise equipment | |
KR200436589Y1 (en) | Leg stretching apparatus | |
KR20130049488A (en) | The multipurpose weight machine kit using bed and rubbber belt | |
KR200476052Y1 (en) | Device for Muscular Excercise | |
KR20130134802A (en) | Abdomen sporting goods that combine leg exercise | |
TWI632936B (en) | Squat fitness machine | |
KR101698885B1 (en) | Multifunctional Exercise Tool for the Lower Part of Body | |
KR20190005612A (en) | Multi capacity sporting equipment | |
KR200466305Y1 (en) | Rotation Type Exercise Equipment | |
KR101974454B1 (en) | Multi-purposed exercise apparatus | |
KR200450114Y1 (en) | Lower part of the body and upper body sportign goods | |
CN106075823B (en) | A kind of body-building equipment that can freely regulate and control | |
CN205412070U (en) | Upright fitness equipment of squatting | |
JP3182914U (en) | Massage and muscle training equipment | |
JP6150160B2 (en) | Strength training seat chair | |
KR102040664B1 (en) | Stretching Machine for Enforcing Upper body including Multiple Stretching Function | |
JP3180186U (en) | Self-powered exercise equipment | |
KR102261771B1 (en) | Exercise equipment for improving hamstring flexi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21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1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01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