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03Y1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Google Patents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203Y1 KR200475203Y1 KR2020130009859U KR20130009859U KR200475203Y1 KR 200475203 Y1 KR200475203 Y1 KR 200475203Y1 KR 2020130009859 U KR2020130009859 U KR 2020130009859U KR 20130009859 U KR20130009859 U KR 20130009859U KR 200475203 Y1 KR200475203 Y1 KR 2004752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ff
- overcap
- pedestal
- semi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9 rub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50 rub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내부에 퍼프받침대를 수용하는 퍼프받침대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퍼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별도로 퍼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퍼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오버캡 외주연과 퍼프받침대를 힌지로 결합하고,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퍼프받침대가 수용된 오버캡을 파우더,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등 여러 용기에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오버캡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이 형성되는 오버캡(20);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내에 위치되는 퍼프받침대(30);
상기 퍼프받침대(30)는 오버캡(20)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퍼프받침대(30)와 오버캡(20) 사이에는 토션스프링(36)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오버캡(20)은 측면에 걸림턱(23)을 구비한 누름버튼(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받침대(30)는 측벽(32)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3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ff pedest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uff pedestal in an overcap of a cosmetic container,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preventing the puff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the overcap outer periphery and the puff pedestal are hinged together and the torsion spring is installed to semi-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pedestal, the overcap accommodating the puff pedestal can be coupled to various containers such as a powder, a skin care, And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provided on an overcap so as to be used for a versatile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and an over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 overcap 20 in which a puff receiving space 21 is formed;
A puff pedestal 30 located in the puff receiving space 21;
The puff pedestal 30 is hinged to the overcap 20,
And a torsion spring (36) is formed between the puff support (30) and the overcap (20).
The overcap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ush button 22 having a latching jaw 23 i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puff pedestal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ide wall 32 and a locking projection 3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ide wall 32.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내부에 퍼프받침대를 수용하는 퍼프받침대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퍼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별도로 퍼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퍼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ff pedest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uff pedestal in an overcap of a cosmetic container,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preventing the puff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또한, 오버캡 외주연과 퍼프받침대를 힌지로 결합하고,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퍼프받침대가 수용된 오버캡을 파우더,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등 여러 용기에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vercap outer periphery and the puff pedestal are hinged together and the torsion spring is installed to semi-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pedestal, the overcap accommodating the puff pedestal can be coupled to various containers such as a powder, a skin care, And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provided on an overcap so as to be used for a versatile use.
일반적으로 화장품(化粧品)이란 자외선이나 먼지 등과 같은 외부 유해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외모를 좀더 아름답고, 보기 좋게 꾸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분장 수단으로써,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채을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cosmetics (cosmetics) is a kind of disposable means provided to stably protect the skin from external harmful factor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dust, and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user more beautiful and beautiful, Various kinds of cosmetics and cosmetic articles and tools having various colors are being developed.
통상적으로 화장품은 기초화장품과 색조(메이크업)화장품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 색조화장품은 기초화장이 끝난 후 얼굴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으로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Typically, cosmetics are classified into basic cosmetics and color (makeup) cosmetics. Among them, color cosmetics are cosmetics intended to decorate their faces beautifully after the basic cosmetics are finished, such as makeup bases, foundations, and powders.
이러한 색조화장품들은 얼굴 표면에 골고루 펴 발라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퍼프(puff)를 사용하게 된다.These color cosmetics will use a separate puff because they have to spread evenly across the surface of the face.
상기와 같은 화장용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50798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힌지부(130)에 의해 수납부(105)가 형성된 몸체(100)와 내측면에 거울(205)이 부착된 덮개(200)가 열고 닫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수납부(105)에는 화장분말(310) 및 퍼프(3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내주면(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주면(1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나사산(115)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rt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50798 discloses a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smetic puff. The
상기 종래기술은 별도의 퍼프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고, 외부 노출에 의한 퍼프의 오염이나 변질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have to carry a separate puff,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r deterioration of the puff due to external exposure.
하지만,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운반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외부충격으로 용기 내에 저장되어 있던 파우더가 넘쳐 퍼프에 과도하게 묻게 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피부 접촉면에 해당되는 퍼프의 저면부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손잡이에 해당되는 퍼프의 상부면 부위에 이르기까지 파우더가 묻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 the powder stored in the container due to vibration or external impact overflows excessively on the puff during transportation, and not only the bottom portion of the puff corresponding to the skin contact surface due to such a phenomen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der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puff corresponding to the puff.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1478호로 퍼프의 수납 및 사용구조를 개선시킨 메이크업 케이스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우더가 수용, 저장되는 용기본체(1)에 별도의 독립적 공간구성을 갖는 퍼프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퍼프수용부에 밀폐식 탈,착 구조를 이루는 퍼프유닛(2)을 수납되게 하여 파우더와 퍼프(3)를 상호 안정적인 격리형태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파우더에 의해 퍼프(3)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여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메이크업 케이스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31478 discloses a makeup case which improves the storage and use structure of puffs.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2, A puff receiving portion having a separate independent space configuration is formed in the puff receiving portion and a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을 하기 위해 용기본체(1) 하단의 퍼프유닛(2)을 수동으로 열고, 퍼프(3)를 꺼낸 후 커버를 개방한 다음 상기 용기본체(1) 내부의 내용물을 퍼프(3)에 찍어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또한, 용기본체(1) 하단에 별도의 연결 구조를 형성하여 퍼프유닛(2)을 결합함으로써, 퍼프수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에 결합할 수 없어 파우더나 스킨케어 또는 파운데이션 등 여러 용기에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uff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the separate connecting structure at the lower end of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내부에 퍼프받침대를 수용하는 퍼프받침대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퍼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별도로 퍼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퍼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ff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uff pedestal in an overcap of a cosmetic container to accommodate the puff,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preventing the puff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또한, 본 고안은 오버캡 외주연과 퍼프받침대를 힌지로 결합하고,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퍼프받침대가 수용된 오버캡을 파우더,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등 여러 용기에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by coupl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vercap with the puff pedestal by a hinge and providing a torsion spring to open and close semi-automatically, and the overcap accommodating the puff pedestal can be used as a powder, a skin ca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which can be used in a versatile manner by being coupled to a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오버캡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and an overcap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이 형성되는 오버캡(20); An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내에 위치되는 퍼프받침대(30);A
상기 퍼프받침대(30)는 오버캡(20)과 힌지 결합되며,The
상기 퍼프받침대(30)와 오버캡(20) 사이에는 토션스프링(36)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And a torsion spring (36) is formed between the puff support (30) and the overcap (20).
또한, 본 고안의 오버캡(20)은 측면에 걸림턱(23)을 구비한 누름버튼(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고안의 퍼프받침대(30)는 측벽(32)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3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고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내부에 퍼프받침대를 수용하는 퍼프받침대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퍼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별도로 퍼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퍼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emi-automatic puff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ff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uff pedestal in the overcap of the cosmetic container so that the puff can be receiv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uff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오버캡 외주연과 퍼프받침대를 힌지로 결합하고, 토션스프링을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퍼프받침대가 수용된 오버캡을 파우더,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등 여러 용기에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overcap and the puff pedestal by a hinge, and a torsion spring is installed to semi- The overcap accommodated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containers such as a powder, a skin care, and a foundation to be used in a versatile manner.
도 1은 종래 화장용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퍼프의 수납 및 사용구조를 개선 시킨 메이크업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퍼프받침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conventional cosmetic puff.
Fig. 2 is a state of use of a makeup case in which the structure for storing and using puffs is improv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puff pedestal is opened.
본 고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퍼프받침대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o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o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puff pedestal is opened.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와 결합되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이 형성되는 오버캡(20)과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에 결합되는 퍼프받침대(30)와 상기 퍼프받침대(30)에 장착되는 퍼프(40)로 구성된다.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an over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용기나사산(12)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나사산(12)은 오버캡(20)의 캡나사산(24)과 나사 결합된다.A
상기 용기본체(10)는 파우더, 스킨케어, 파운데이션 등의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The
본 고안에서는 용기본체(10)와 오버캡(20)이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지만, 언더컷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오버캡(20)은 아래쪽에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의 측면에는 걸림턱(23)을 구비한 누름버튼(22)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힌지돌기(25)가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오버캡(2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캡나사산(24)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용기나사산(12)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오버캡(20)은 내부에 퍼프받침대(30)를 수용하는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을 형성하여 퍼프(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때 별도로 퍼프(50)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용기본체(10)의 내용물에 의해 퍼프(4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의 측면에는 걸림턱(23)을 구비한 누름버튼(22)이 형성되어 퍼프받침대(30)의 측벽(32)에 형성된 걸림돌기(33)와 걸림 결합된다.A
상기 힌지돌기(25)는 오버캡(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오버캡(20)과 퍼프받침대(30)를 힌지 결합시킨다.The
상기 퍼프받침대(30)는 내부에 퍼프장착공간(31)이 형성되며, 상기 퍼프장착공간(31)의 일부분에는 측벽(32)이 형성된다.The
상기 측벽(32)의 일측에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3)의 반대편 측벽(32)에는 힌지블라켓(34)이 형성된다.A
상기 퍼프장착공간(31)에는 퍼프(40)가 장착되며, 이때 퍼프(40)가 퍼프장착공간(31)에 장착되어 오버캡(20)의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퍼프(4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퍼프받침대(30)의 측면에 측벽(30)이 형성된다.The
상기 측벽(32)은 퍼프장착공간(31)으로부터 퍼프(40)를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부분만 형성된다.The
상기 측벽(32)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3)는 누름버튼(22)에 연장 형성된 걸림턱(23)과 걸림 결합하여 퍼프받침대(30)가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걸림돌기(33)의 반대편에는 힌지블라켓(34)이 형성되어 힌지핀(35)에 의해서 오버캡(20)의 힌지돌기(25)와 힌지 결합된다.A
이때, 토션스프링(36)이 힌지핀(35)에 장착되어 퍼프받침대(30)가 오버캡(20)과 힌지 결합시에 항상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퍼프(40)는 내용물이 잘 묻어나며 피부와 접촉했을 때 사용자가 이질감을 갖지 않도록 면, 직물지, 발포NBR, 루비셀,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며, 신축성을 갖는 스펀지나 연질의 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the overca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22)에 연장 형성된 걸림턱(23)과 퍼프받침대(30)의 걸림돌기(33)가 걸림 결합으로 결합되어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emi-automatic puff pedestal in the over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누름버튼(22)을 누르면 걸림턱(23)과 걸림돌기(3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When th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when the
상기 걸림 결합이 해제될 때, 힌지핀(35)에 형성된 토션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퍼프받침대(30)가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을 자동으로 벗어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다.The
이후, 상기 퍼프받침대(30)에 장착된 퍼프(40)를 꺼내고, 용기본체(10)에서 오버캡(20)을 분리하여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퍼프(40)에 취한 후 화장을 한다.Thereafter, the
상기 오버캡(20)에 결합 형성되는 퍼프(40)가 장착된 퍼프받침대(30)로 인하여 별도로 퍼프(4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퍼프받침대(30)가 내용물과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퍼프(4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또한, 토션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서 퍼프받침대(30)가 자동으로 열리기 때문에 간편하게 퍼프(40)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matic puff pedestal on an overcap,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용기본체 11:개구부
12:용기나사산 20:오버캡
21:퍼프받침대수용공간 22:누름버튼
23:걸림턱 24:캡나사산
25:힌지돌기 30:퍼프받침대
31:퍼프장착공간 32:측벽
33:걸림돌기 34:힌지블라켓
35:힌지핀 36:토션스프링
40:퍼프10: container body 11: opening
12: container thread 20: overcap
21: Puff base accommodating space 22: Push button
23: hanging jaw 24: cap thread
25: hinge projection 30: puff bracket
31: puff mounting space 32: side wall
33: stopper 34: hinge bracket
35: hinge pin 36: torsion spring
40: Puff
Claims (4)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이 형성되는 오버캡(20);
상기 퍼프받침대수용공간(21)내에 위치되는 퍼프받침대(30);
상기 퍼프받침대(30)에 장착되는 퍼프(40)로 이루어지되,
상기 퍼프받침대(30)는 오버캡(20)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퍼프받침대(30)와 오버캡(20) 사이에는 토션스프링(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and an overcap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An overcap 20 in which a puff receiving space 21 is formed;
A puff pedestal 30 located in the puff receiving space 21;
And a puff 40 mounted on the puff pedestal 30,
The puff pedestal 30 is hinged to the overcap 20,
And a torsion spring (36) is formed between the puff support (30) and the overcap (20).
상기 오버캡(20)은 측면에 걸림턱(23)이 구비된 누름버튼(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cap (20) is formed with a push button (22) with a latching jaw (23) on its side.
상기 퍼프받침대(30)는 측벽(32)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uff pedestal (30)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32) and a locking projection (3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ide wall (32).
상기 퍼프받침대(30)의 측벽(32)은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de wall (32) of the puff pedestal (30) is formed in only a portion of the side wall (32) of the puff pedestal (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859U KR200475203Y1 (en) | 2013-11-29 | 2013-11-29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859U KR200475203Y1 (en) | 2013-11-29 | 2013-11-29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203Y1 true KR200475203Y1 (en) | 2014-11-13 |
Family
ID=5229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859U KR200475203Y1 (en) | 2013-11-29 | 2013-11-29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203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5949B1 (en) * | 2016-05-02 | 2017-09-08 | (주)아모레퍼시픽 | Compatct container for easily keeping the puff |
KR101816555B1 (en) * | 2016-11-01 | 2018-01-09 | (주)아모레퍼시픽 | Compact container having an its cover openable autimatically |
KR20190127031A (en) * | 2018-05-03 | 2019-11-13 | (주) 이니스프리 | Outer containe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
KR20210028973A (en) * | 2019-09-05 | 2021-03-15 | 코스맥스 주식회사 | Cosmetic cas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597Y1 (en) | 2004-10-06 | 2005-01-14 |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 Cosmetic vessel having rotation opening and shutting style tray |
KR200441748Y1 (en) | 2007-03-12 | 2008-09-05 |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with push-pull opening |
KR20080006124U (en) * | 2007-06-07 | 2008-12-11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with oil type paper storage part |
KR20090031478A (en) * | 2007-09-22 | 2009-03-26 | 주식회사 보브 | Makeup case which improved the storing and use structure of puff |
-
2013
- 2013-11-29 KR KR2020130009859U patent/KR200475203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597Y1 (en) | 2004-10-06 | 2005-01-14 |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 Cosmetic vessel having rotation opening and shutting style tray |
KR200441748Y1 (en) | 2007-03-12 | 2008-09-05 |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with push-pull opening |
KR20080006124U (en) * | 2007-06-07 | 2008-12-11 | (주)아모레퍼시픽 | Cosmetic container with oil type paper storage part |
KR20090031478A (en) * | 2007-09-22 | 2009-03-26 | 주식회사 보브 | Makeup case which improved the storing and use structure of puff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5949B1 (en) * | 2016-05-02 | 2017-09-08 | (주)아모레퍼시픽 | Compatct container for easily keeping the puff |
KR101816555B1 (en) * | 2016-11-01 | 2018-01-09 | (주)아모레퍼시픽 | Compact container having an its cover openable autimatically |
KR20190127031A (en) * | 2018-05-03 | 2019-11-13 | (주) 이니스프리 | Outer containe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
KR102045527B1 (en) * | 2018-05-03 | 2019-11-15 | (주)이니스프리 | Outer container and cosmetic case having the same |
KR20210028973A (en) * | 2019-09-05 | 2021-03-15 | 코스맥스 주식회사 | Cosmetic case |
KR102273236B1 (en) * | 2019-09-05 | 2021-07-06 | 코스맥스 주식회사 | Cosmetic ca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9134B1 (en) | Vessel of cosmetics with multistage refill case | |
KR101684243B1 (en) | Compact container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button on lid | |
US20050087475A1 (en) | Cosmetics case | |
KR200448626Y1 (en) | One Touch Cosmetic Container | |
KR200478937Y1 (en) | Cosmetic vessel | |
KR200475203Y1 (en)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
KR101253099B1 (en) | Compact containers | |
KR200460285Y1 (en) | Compact case for cosmetic | |
KR101848636B1 (en) | Cosmetics containers equipped with a puff | |
KR101877139B1 (en) | Cosmetic vessel | |
KR200450515Y1 (en) | Powder cosmetic containers | |
KR200474795Y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Combination typed lid with puff | |
KR200492587Y1 (en) | Cosmetic vessel | |
KR101922710B1 (en) | liquid vessel | |
KR20170091812A (en) | Compact container for preventing pollution | |
JP3209007U (en) | Cell phone case | |
KR20160123518A (en) | Compact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of dual seal of inner case | |
KR101794513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opening by cosmetic utensil | |
KR102383572B1 (en) | Compact container | |
KR200491400Y1 (en) | Retractable cosmetic material applying device | |
KR20080024806A (en) | Lipstick container with mirror | |
KR101743757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ealed elastic portion and anti-contamination portion on fixture | |
KR20150001416U (en) | Cosmeitic container havng refill container with handle | |
KR101725604B1 (en) | Cosmetic vessel | |
KR101886145B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cosmetic tool on butt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12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1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08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