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604B1 - Cosmetic vessel - Google Patents
Cosmetic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604B1 KR101725604B1 KR1020140175995A KR20140175995A KR101725604B1 KR 101725604 B1 KR101725604 B1 KR 101725604B1 KR 1020140175995 A KR1020140175995 A KR 1020140175995A KR 20140175995 A KR20140175995 A KR 20140175995A KR 101725604 B1 KR101725604 B1 KR 1017256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 lid
- cosmetic
- cosmetics
- rece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2 brigh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수용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a cosmetic; A lid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And a finger hook portion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and moves to move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연결된 손가락 걸이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건 상태로 화장을 하도록 하여 용기의 낙하가 방지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Liquid cosmetics such as solid cosmetics such as foundations and sun blocks,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are used for protecting skin, brightening the skin, improving wrinkle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user can apply the cosmetic to the puff and apply it to the skin.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uff, it can be sold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cosmetic container. In general, the puff and the like may be housed inside a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the lid to draw out the puff to use cosmetics, and bring the puff into contact with the cosmetic with the elastic cord or the like provided on the puff fitted on the fingers,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cosmetics can be attached to the puff.
이때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퍼프가 끼워진 다른 손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퍼프를 화장품에 두드리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또는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손에서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At this time, the user grasps the cosmetic container with one hand and makes the makeup using the other hand with the puff. When the user drops the cosmetic container from the hand due to an impact generated by tapping the puff on the cosmetic or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have.
특히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화장을 한꺼번에 수행할 경우에는, 한 손에 둘 이상의 화장품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를 손에서 놓쳐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In particular, when a user performs multiple types of makeup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hold more than one cosmetic container in one hand, and the user may risk dropping the container from the hand.
화장품 용기가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면, 내부의 화장품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고형 화장품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화장품이 용기의 외부로 쏟아져 나올 수 있으며, 화장품 용기 자체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cosmetic container falls down to the ground, a shock may be transmitted to the cosmetic inside, so that cracks may occur in the solid cosmetic, or the cosmetic may pour out of the container, and the cosmetic container itself may be damaged.
따라서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화장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a 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 is used, the user has to pay attention to prevent the cosmetic container from dropp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keup is not simple and eas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링 등의 형태를 갖는 손가락 걸이부를 마련하여, 손가락 걸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려서 용기 본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ger hanger having a ring shape or the like on a container body, To be separated from the hand of the cosmetic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건 상태로 화장을 하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를 파지하는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도록 하여 화장에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용기 본체의 추락에 의한 화장품 파손 또는 낭비를 완벽히 방지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which allows a user to concentrate on make-up by making his / her finger on the finger hanger with makeup,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cosmetic damage or waste caused by cosmetics, thereby maximizing us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수용부와 뚜껑부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에서, 손가락 걸이부가 뚜껑부에 마련되거나 화장품 수용부의 하면 등에 마련되도록 하되, 뚜껑부의 회전 또는 버튼부의 가압 등에 의해 간편히 손가락 걸이부의 회전이 구현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body comprising a cosmetic container portion and a lid portion so that the finger hang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lid portion o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smetic container portion, and rotation of the lid portion or rotation of the finger hanger por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걸이부가 용기 본체의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외면에 돌출되는 부분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which can improve aesthetic appearance by omitting or minimizing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by placing the finger hanger in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수용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a cosmetic; A lid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And a finger hook portion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and moves to move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part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osmetic receiving part and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smetic receiv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에 위치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뚜껑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holding part is located at a depressed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part,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depressed part by rotation and can be moved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힌지에 마련되어 상기 손가락 걸이부가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holding portion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hing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holding portion separates from the depressed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품 수용부 또는 상기 뚜껑부는, 상기 손가락 걸이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the lid portion may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nger latching portion, and the finger latching portion may include a latching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latch.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뚜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홈이 서로 이탈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atching protrusion and the latching reces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lid portion, the finger holding por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recessed portion by the elastic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에 위치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holding portion is located at a depress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depressed portion by rotation and can be moved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smetic.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시 상기 걸림돌기를 밀어내도록 마련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뚜껑부의 회전 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밀리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holding part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one side, and the lid part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which is adapted to push the locking protrusion when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cosmetic receiving part,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is push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during the negative rotation, it can be detached from the depression.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일측에 마련되는 리세스부; 및 상기 리세스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holding portion includes: a recess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cessed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품 수용부는, 상기 함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밀착하여 상기 손가락 걸이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끼움돌기; 및 상기 함몰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함몰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손가락 걸이부를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from the depressed portion and closely contacting the recessed portion to prevent the finger hitch portion from coming off; And a button portion provided at the depressed portion and pushing the locking protrusion outward from the depressed portion to detach the finger holding portion from the depressed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함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일면에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경사돌기; 및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밀어내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 slant projection projecting outward from the depression and having an inclined shape on one surface; And a button that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anting projection to push out the locking projection.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손가락 걸이부를 마련하고, 필요 시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건 상태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본체가 손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fingertip portion to which a user's fingers can be caught and allows a user to make-up the fingertip with his or her finger on the fingertip por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 걸이부에 걸려있는 한 용기 본체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기 본체를 파지하는데 신경쓸 필요 없이 화장에 집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ntainer body from falling down as long as the user's fingers are hooked on the finger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oncentrate on the makeup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gripping the container bod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손가락 걸이부가 용기 본체의 뚜껑부에서 회전되어 돌출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화장품 수용부의 하면에서 회전되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손가락 걸이부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nger hanger portion is rotated or protruded from the lid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or is rotated and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smetic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finger hanger portion can be easily rotated,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손가락 걸이부가 뚜껑부에서 함몰된 부분 또는 화장품 수용부에서 함몰된 부분에 마련되도록 하여, 손가락 걸이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체적인 외면에서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하거나 최소가 되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 hanger portion is provided in a depressed portion in the lid portion or a depressed portion in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so that when the finger hanger portion is not used, Thereby enhancing the beau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C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D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in Fig.
4 is a rear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B i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C i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D in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B의 부분 확대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is a rear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B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수용부(10), 뚜껑부(20), 손가락 걸이부(30)를 포함한다. 이때 화장품 수용부(10)와 뚜껑부(20)는 용기 본체(10, 20)를 구성할 수 있다.
1 to 5, a
화장품 수용부(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화장품 수용부(10)에는 고형 또는 액상형의 화장품이 직접 수용될 수 있고, 또는 화장품이 담긴 별도의 내부 용기가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내부 용기는 화장품 수용부(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화장품이 소진되었을 때 내부 용기만 교체하면 되도록 하여 화장품 수용부(10)를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파운데이션이나 파우더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직접 이용하여 화장품을 피부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이거나, 또는 퍼프나 브러시 등의 화장도루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피부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등일 수 있다.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즉 화장품 수용부(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종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장품 수용부(10)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구조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품 수용부(10)는 화장품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용하는 모든 구성을 포괄한다.That is, the kind of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다만 화장품 수용부(1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화장품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화장도구 등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However, the cosmetic
화장품 수용부(10)에서 개방된 일측에는 후술할 뚜껑부(20)가 마련될 수 있고, 뚜껑부(20)가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커버하게 되면 화장품 수용부(10)의 내부는 밀폐됨에 따라 화장품이 보호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화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e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개폐한다.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개폐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에 힌지(21)로 결합될 수 있다.The
즉 뚜껑부(20)는, 힌지(21)를 통해서 화장품 수용부(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21)로 화장품 수용부(10)에 연결되는 뚜껑부(20)의 일측이 회전하면, 뚜껑부(20)의 타측이 화장품 수용부(10)로부터 멀어져서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That is, the
반대로 뚜껑부(20)의 일측이 힌지(21)의 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뚜껑부(20)의 타측은 화장품 수용부(10)에 밀착되어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밀폐할 수 있다. 즉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Conversely, when one side of the
이때 뚜껑부(20)의 내측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며, 사용자는 뚜껑부(20)를 열어서 화장을 할 때 뚜껑부(20)에 마련된 거울을 통해 화장이 잘 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irr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또한 뚜껑부(20)에는 결합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화장품 수용부(10)에는 결합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뚜껑부(20)를 닫을 때 결합돌기가 결합구에 끼워짐으로써 뚜껑부(20)가 화장품 수용부(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Not shown) is provided on the
결합돌기와 결합구의 결합/해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와 방식 등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upling /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can be variously carried out through a generally known structure and method, so that the explan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손가락 걸이부(30)는, 용기 본체(10, 2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진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손가락 걸이부(30)에는 관통구(31)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구(31)는 손가락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손가락 걸이부(3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용기 본체(10, 2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손가락 걸이부(30)는 용기 본체(10, 20)를 구성하는 화장품 수용부(10) 또는 뚜껑부(20)에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30)에 손가락을 끼우게 되면 사용자가 용기 본체(10, 20)를 파지하지 않더라도 용기 본체(10, 20)는 손가락 걸이부(30)로부터 손가락이 빠지지 않는 한 사용자의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 걸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건 상태로 용기 본체(10, 20)를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0, 20)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이때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뚜껑부(2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된다. 즉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상면에 마련되며, 뚜껑부(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 경우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 걸이부(30)를 뚜껑부(20)의 상면에 위치시키면, 뚜껑부(20)의 상면에 손가락 걸이부(30)가 돌출됨에 따라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 위치하여 뚜껑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부(20)의 함몰부(22)는 손가락 걸이부(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함몰 깊이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손가락 걸이부(30)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22)에서 이탈하여 뚜껑부(2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회전축을 갖거나 또는 뚜껑부(20)와 화장품 수용부(10)를 연결하는 힌지(21)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The
손가락 걸이부(30)의 일측이 힌지(21)에 연결되면, 손가락 걸이부(30)의 일측이 회전할 경우 손가락 걸이부(30)의 타측은 함몰부(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 걸이부(30)의 관통구(31)가 뚜껑부(20)의 상면과 경사지게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관통구(31)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가락 걸이부(30)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다.When one side of the
손가락 걸이부(30)는,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 걸이부(30)를 함몰부(22)로부터 들어올릴 때 함몰부(22)에서 이탈될 수 있고, 또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함몰부(22)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가락 걸이부(30)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The
탄성부재(32)는, 힌지(21)에 마련되어 손가락 걸이부(30)가 함몰부(22)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축이 힌지(21)의 축이라 할 때, 탄성부재(32)는 힌지(21)에 마련되는 스프링으로서, 손가락 걸이부(30)가 뚜껑부(2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함몰부(22)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The
다만 탄성부재(32)만 구비한다면 손가락 걸이부(30)는 함몰부(22)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고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화장품 수용부(10) 또는 뚜껑부(20)와 고정될 수 있다.However, if only the
구체적으로, 화장품 수용부(10) 또는 뚜껑부(20)는 손가락 걸이부(30)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2)를 포함하며, 손가락 걸이부(30)는, 걸림돌기(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33)을 마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smetic receiving
즉 손가락 걸이부(30)가 함몰부(22)에 위치한 상태일 경우,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홈(33)에 걸림돌기(12)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걸림돌기(12)와 걸림홈(33)의 결합력이 탄성부재(32)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손가락 걸이부(30)가 함몰부(22)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engaging
이때 걸림돌기(12)가 뚜껑부(20)에 마련될 경우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가 화장품 수용부(10)를 기준으로 회전하더라도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반면 걸림돌기(12)가 화장품 수용부(10)에 마련될 경우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가 화장품 수용부(10)를 기준으로 회전하면 걸림돌기(12)와 걸림홈(33)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32)에 의해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서 이탈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cking
다만 걸림돌기(12)가 뚜껑부(20)에 마련되면 사용자는 걸림돌기(12)가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홈(33)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외력을 가해야 하나, 걸림돌기(12)가 화장품 수용부(10)에 마련되면 사용자는 뚜껑부(20)를 여는 작업만으로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홈(33)으로부터 걸림돌기(12)가 이탈되도록 하여 손가락 걸이부(30)를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서 꺼낼 수 있다.When the locking
즉 걸림돌기(12)가 화장품 수용부(10)에 마련될 경우, 손가락 걸이부(30)는 뚜껑부(20)의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12)와 걸림홈(33)이 서로 이탈되며, 이때 탄성부재(32)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져서 함몰부(22)에서 이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cking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부(20)를 열고, 뚜껑부(20)의 회전에 의해 함몰부(22)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이탈된 손가락 걸이부(30)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용기 본체(10, 20)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open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장품 수용부(10)에 연결된 뚜껑부(20)를 열었을 때 뚜껑부(20)의 함몰부(22)에 마련되는 손가락 걸이부(30)가 함몰부(22)에서 이탈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30)의 관통구(31)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용기 본체(10, 20)를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10, 20)가 사용자의 손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C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6 is a bottom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7 .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손가락 걸이부(30)가 화장품 수용부(10)에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중복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6 to 10,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수용부(10), 뚜껑부(20), 손가락 걸이부(30)를 포함한다.
A cosmetic container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smetic container (10), a lid portion (20), and a finger holding portion (30).
화장품 수용부(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장품 수용부(10)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함몰부(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손가락 걸이부(30)가 뚜껑부(20)에 위치하는 대신 화장품 수용부(1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손가락 걸이부(30)가 안착되는 함몰부(11)는 화장품 수용부(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 외의 화장품 수용부(1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The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의 뚜껑부(20)는 함몰부(22)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내용은 제1 실시예에서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The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화장품 수용부(1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진다.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11)에 위치하며, 회전에 의해 함몰부(11)에서 이탈하여 화장품 수용부(10)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The
이때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에 별도의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화장품 수용부(10)와 뚜껑을 연결하는 힌지(21)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안착된 상태에서, 화장품 수용부(10)의 외면에서 돌출되지 않거나 최소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함몰부(11)의 함몰 깊이는 손가락 걸이부(3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The
손가락 걸이부(30)는,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34)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32)에 의한 탄성력을 통해 손가락 걸이부(30)가 함몰부(22)에서 이탈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손가락 걸이부(30)에 걸림돌기(34)를 마련하고, 걸림돌기(34)를 밀어냄으로써 손가락 걸이부(3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서 뚜껑부(20)에는 화장품 수용부(10)를 기준으로 뚜껑부(20)가 회전할 시 걸림돌기(34)를 밀어내도록 가압돌기(23)가 마련되며, 가압돌기(23)는 힌지(21)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돌기(23)에 의한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에 대해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즉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7 and 8, when the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0)가 회전하면, 가압돌기(23)는 회전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4)를 밀어낼 수 있고, 걸림돌기(34)가 밀림에 따라 손가락 걸이부(30)는 힌지(21)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함몰부(11)로부터 이탈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when the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뚜껑부(20)를 열 경우, 뚜껑부(20)의 회전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30)가 회전하도록 하여, 손가락 걸이부(30)에 편리하게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opens the
다만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하면에 마련된 함몰부(11)에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손가락 걸이부(30)의 자중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30)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함몰부(11)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손가락 걸이부(30)에서 힌지(21)로부터 먼 타측에 화장품 수용부(10)와의 돌기 걸림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돌기 걸림 구조는 가압돌기(23)가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4)를 밀어낼 때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강도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두 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서로 맞물려서 손가락 걸이부(30)의 하강이 방지되는 구조 등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부(20)를 열 때 뚜껑부(20)에 마련된 가압돌기(23)가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4)를 밀어냄에 따라 손가락 걸이부(30)가 화장품 수용부(10)의 저면에서 튀어나올 수 있게 하며, 반면 화장품 사용을 완료하여 뚜껑부(20)를 닫을 때 손가락 걸이부(30)가 돌기 걸림 구조 등에 의해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부(20)의 회전 시 뚜껑부(20)의 회전과 함께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손가락 걸이부(30)가 자연스럽게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D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1, and 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손가락 걸이부(30)가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안착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며, 다만 뚜껑부(20)의 회전이 아닌, 버튼부(14)의 가압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구성과 중복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11 to 13,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수용부(10), 뚜껑부(20), 손가락 걸이부(30), 버튼부(14)를 포함한다.
A
화장품 수용부(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수용부(10)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함몰부(11)를 구비하며, 함몰부(11)에 수용되는 손가락 걸이부(30)는 회전에 의해 함몰부(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하 화장품 수용부(1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언급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화장품 수용부(10)는 손가락 걸이부(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돌기(13)를 구비할 수 있고, 끼움돌기(13)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뚜껑부(2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측을 개폐한다. 뚜껑부(20)는 제2 실시예에서의 뚜껑부(20)와 동일/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뚜껑부(20)는 가압돌기(23)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The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화장품 수용부(1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진다.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저면에 마련된 함몰부(11)에 위치하며, 후술할 버튼부(14)에 의해 회전하여 함몰부(11)에서 이탈할 수 있다.The
손가락 걸이부(30)는, 리세스부(35)와 걸림돌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부(35)는 일측에 마련되어 외측에서 관통구(31) 방향으로 함몰된 구성이며, 후술할 화장품 수용부(10)의 끼움돌기(13)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The
끼움돌기(13)는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리세스부(35)에 밀착 또는 결합하여 손가락 걸이부(30)의 이탈을 방지한다. 끼움돌기(13)는 함몰부(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손가락 걸이부(30)의 리세스부(35)와 접하여 마찰을 이용하거나 구조적인 맞물림을 이용해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The
따라서 손가락 걸이부(3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리세스부(35)와 끼움돌기(13)의 맞물림으로 인해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6)는, 리세스부(35)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걸림돌기(36)는 버튼부(14)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이며, 버튼부(14)가 걸림돌기(36)를 밀어내면 손가락 걸이부(30)는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서 회전되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36)에 의한 손가락 걸이부(30)의 회전은 이하 버튼부(14)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언급하도록 한다.
The engaging
버튼부(14)는, 함몰부(11)에 마련되며 걸림돌기(36)를 함몰부(11)에서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손가락 걸이부(30)를 함몰부(11)로부터 이탈시킨다. 구체적으로 버튼부(14)는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6)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돌기(36)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걸림돌기(36)가 마련된 손가락 걸이부(30)의 타측이 힌지(21)의 축을 기준으로 하방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버튼부(14)는, 경사돌기(141)와 버튼(14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돌기(141)는 함몰부(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일면에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경사돌기(141)는 끼움돌기(13)와 인접하게 마련되되 끼움돌기(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끼움돌기(13)를 기준으로 관통구(31)에서 더 멀어진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버튼(142)은, 경사돌기(14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버튼(142)은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에 위치하며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는, 제2 실시예에서와 달리 손가락 걸이부(30)와 함께 버튼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또한 버튼(142)은 외력이 없을 때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하로 움직이되 함몰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화장품 수용부(10)는 버튼(142)의 저면 중 일부분을 지지하는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버튼(142)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함몰부(11) 내에서 승강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버튼(142)이 경사돌기(141)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 버튼(142)의 일단은 우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버튼(142)의 일단은 손가락 걸이부(30)의 걸림돌기(36)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는데, 걸림돌기(36)에서 버튼(142)의 일단이 밀착되는 일면 역시 경사면을 가짐에 따라, 버튼(142)의 일단이 걸림돌기(36)를 따라 이동하면 걸림돌기(36)는 버튼(142)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리는 힘을 받게 된다. When the
이때 걸림돌기(36)의 경사면의 경사각은 경사돌기(141)의 경사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버튼(142)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돌기(36) 경사면의 경사각이 경사돌기(141)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하여, 버튼(142)에 의한 걸림돌기(36)의 가압력이 버튼(142)의 움직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따라서 버튼(142)의 상방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36)는 버튼(142)의 일단을 통해 하방으로 가압되며, 이로 인해 손가락 걸이부(30)는 힌지(21)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리세스부(35)가 끼움돌기(13)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손가락 걸이부(30)가 화장품 수용부(10)의 함몰부(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lock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가락 걸이부(30)가 버튼부(14)의 조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함몰부(11)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가락 걸이부(30)에 손가락을 건 상태로 용기 본체(10, 20)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의 실시예를 조합한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뚜껑부(20)와 화장품 수용부(10)에 손가락 걸이부(30)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손가락 걸이부(30)는 회전이 아닌 슬라이딩 등의 움직임을 통해서 함몰부(11, 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embodiments in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ombined.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화장품 용기 10: 화장품 수용부
11: 함몰부 12: 걸림돌기
13: 끼움돌기 14: 버튼부
141: 경사돌기 142: 버튼
20: 뚜껑부 21: 힌지
22: 함몰부 23: 가압돌기
30: 손가락 걸이부 31: 관통구
32: 탄성부재 33: 걸림홈
34: 걸림돌기 35: 리세스부
36: 걸림돌기1: cosmetic container 10: cosmetic container
11: depression portion 12:
13: insertion projection 14: button portion
141: oblique projection 142: button
20: lid part 21: hinge
22: depression 23: pressing projection
30: finger hook portion 31: through hole
32: elastic member 33:
34: stopper 35: recessed portion
36:
Claims (11)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뚜껑부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에 위치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뚜껑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힌지에 마련되어 상기 손가락 걸이부가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수용부는, 상기 손가락 걸이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홈이 서로 이탈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s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cosmetics;
A lid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And a finger hook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and is moved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The lid part
A hing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and rotatable relative to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The finger hanger
The hinge being located at a depress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depression by rotation and moving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and being provided with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Member,
Wherein the cosmetics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ooking protrusion protruded toward the finger hook portion,
The finger holding portion includes a latching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protrusion. The latching protrusion and the latching groov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lid portion, and are separated from the recessed portion by the elastic member .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에 밀착되었다가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일면 또는 상기 뚜껑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외면에 마련된 함몰부에 위치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화장품 수용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화장품 수용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시 상기 걸림돌기를 밀어내도록 마련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뚜껑부의 회전 시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밀리면, 상기 함몰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s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cosmetics;
A lid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cosmetics receiving part;
And a finger hook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and is moved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or one surface of the lid portion,
The finger hanger
Wherein the cosmetic container is located at a depressed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smetic container and is separated from the depressed portion by rotation and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finger hold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projecting to one side,
Wherein the lid portion includes a pushing protrusion which is adapted to push the locking protrusion when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cosmetic receiving portion,
The finger hanger
Wherein when the lid part is push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when the lid part is rotated, the lid part is separated from the depressed par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995A KR101725604B1 (en) | 2014-12-09 | 2014-12-09 | Cosmetic vessel |
CN201520906476.1U CN205233775U (en) | 2014-12-09 | 2015-11-12 | Cosmetic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995A KR101725604B1 (en) | 2014-12-09 | 2014-12-09 | Cosmetic vess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0273A KR20160070273A (en) | 2016-06-20 |
KR101725604B1 true KR101725604B1 (en) | 2017-04-11 |
Family
ID=5593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5995A Active KR101725604B1 (en) | 2014-12-09 | 2014-12-09 | Cosmetic vesse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604B1 (en) |
CN (1) | CN205233775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5920B1 (en) * | 2019-09-04 | 2021-05-25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8722A (en) * | 2004-03-26 | 2005-10-13 | Yoshino Kogyosho Co Ltd | Compact with hand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6930A (en) * | 2003-06-05 | 2004-12-20 | 임병택 | cosmetic compact enabling to open and close semi-automatically |
-
2014
- 2014-12-09 KR KR1020140175995A patent/KR101725604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11-12 CN CN201520906476.1U patent/CN205233775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8722A (en) * | 2004-03-26 | 2005-10-13 | Yoshino Kogyosho Co Ltd | Compact with hand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5233775U (en) | 2016-05-18 |
KR20160070273A (en) | 201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0028Y1 (en) | Compact containers | |
KR101253099B1 (en) | Compact containers | |
KR200448626Y1 (en) | One Touch Cosmetic Container | |
KR200352880Y1 (en) | Cosmetics keeping case | |
KR200478937Y1 (en) | Cosmetic vessel | |
JP2019522518A (en) | Compact container with integrated tension part | |
KR101848636B1 (en) | Cosmetics containers equipped with a puff | |
KR101725604B1 (en) | Cosmetic vessel | |
KR101918481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automatic | |
KR200475203Y1 (en) | A cometic container having a semi-auto supporter on over cap | |
KR101222088B1 (en) | Automatic slide open and close type cosmetic vessel | |
KR200456039Y1 (en) | A cosmetic case | |
KR101590402B1 (en) | Rotatable opening and shutting type cosmetic vessel | |
KR20190046299A (en) | Cosmetic case that can be easily take out of a make up tool | |
KR101560343B1 (en) | Compact with puff handle projecting out over case | |
KR200425540Y1 (en) | Eyeshadow Cosmetic Containers | |
KR200382428Y1 (en) | A porttable puff cosmetic utensils | |
KR200253674Y1 (en) | face powder compact | |
KR101784337B1 (en) | Cushion compact container | |
KR101743759B1 (en) | Compact container with lipstick of one touch type withdrawn out | |
KR101794513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opening by cosmetic utensil | |
JP2008272240A (en) | Airtight compact | |
KR200448748Y1 (en) | Compact case | |
JP6898278B2 (en) | Cosmetic container | |
JP6234677B2 (en) | Cosmetic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