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4655Y1 -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55Y1
KR200474655Y1 KR2020140002257U KR20140002257U KR200474655Y1 KR 200474655 Y1 KR200474655 Y1 KR 200474655Y1 KR 2020140002257 U KR2020140002257 U KR 2020140002257U KR 20140002257 U KR20140002257 U KR 20140002257U KR 200474655 Y1 KR200474655 Y1 KR 200474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cylinder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란
Original Assignee
조춘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란 filed Critical 조춘란
Priority to KR2020140002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도어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고정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실린더봉을 구비한 실린더부; 상기 바디부와 실린더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공과 조절홈이 형성되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바디부의 선단측의 상·하부에 각각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된 연결부; 및 도어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은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정부에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공과 조절홈은 조절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의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결합된 고정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여 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경첩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The detachable hydraulic hinge}
본 고안은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본체와 도어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가 힌지 회동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이나 가구 및 싱크대 등은 본체에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경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첩은 도어가 본체로부터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가구 및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경첩은 문짝에 설치되는 경첩과는 달리 단순히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방시 도어가 본체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하고 도어의 폐쇄시 본체와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싱크대에 설치되는 경첩은 싱크대의 본체에 부착되는 고정편과, 도어에 부착되는 가동편과, 상기 고정편과 가동편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동편이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벌어지고 접혀지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가 싱크대의 본체의 전방으로 열리고 닫혀지도록 하여 싱크대의 내부를 개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244호에는 하부측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싱크대 몸체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측에 제1,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후단측이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결합돌기가 후단외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후단부가 장입되고 선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선단부 끝단에 연결구멍이 통공된 실린더봉과, 상기 실린더봉의 후단 내측에 고정되는 내부와셔와, 상기 실린더봉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와셔와, 상기 외부와셔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패킹과, 상기 실린더봉의 후단 내측과 내부와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봉을 밀어주는 스프링과,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로 구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끝단이 장입되어 제3힌지핀과 제4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결합부가 중앙 내측에 요입형성되고 양측에 싱크대의 도어에 체결되는 체결편이 연장형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싱크대 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싱크대의 몸체에 결합된 고정편에 바디가 고정 결합되어 싱크대 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하기 어렵고, 운반이 불편하여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도어의 싱크대 몸체에 대한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에 결합된 고정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여 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경첩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발생 및 도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도어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고정하는 경첩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실린더봉을 구비한 실린더부; 상기 바디부와 실린더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공과 조절홈이 형성되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바디부의 선단측의 상·하부에 각각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된 연결부; 및 도어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은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정부에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공과 조절홈은 조절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의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유압실린더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실린더봉에 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편과 축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되, 중간에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편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축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동부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횡 방향으로 관통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각각 힌지 결합된 U자핀과, 상기 가동체의 양편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도어에 고정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고정부의 조절홈에 연결되어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돌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결합된 고정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여 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경첩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발생 및 도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측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사용 상태도.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의 사용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1)은 본체(B)와 도어(D)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D)가 개폐되도록 고정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100), 실린더부(200), 고정부(300), 연결부(400) 및 가동부(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0)는 내부가 중공되고 하측이 개방 형성되며, 상부에 결합홈(110)과 조절공(120)이 형성되되, 후단에 결합홈(110)이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0)의 전방에 조절공(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연결되되 상기 바디부(10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10), 실린더봉(220), 실린더 브라켓(230), 고정 브라켓(240) 및 회동 브라켓(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10)는 실린더로드에 해당하는 실린더봉(220)이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10)의 유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봉(220)이 진퇴 작동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브라켓(230)은 전방과 후방의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브라켓(230) 상에 상기 유압실린더(210)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40)은 상기 유압실린더(210)의 후단에 연결되고, 고정축(241)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 브라켓(230)의 후단부 상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회동 브라켓(250)은 일단이 상기 실린더봉(220)에 제1회동축(251)에 의하여 축 연결되고, 타단은 제2연결편(420)과 제2회동축(252)에 의하여 축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바디부(100)와 실린더 브라켓(23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지지축(150)에 축 연결되어, 유압실린더(210)의 유압에 의한 상기 실린더봉(220)의 진퇴에 따라 회동되는 상기 회동 브라켓(250)을 매개로 가동부(500)가 고정부(300)로부터 벌어지고 접혀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도어(D)가 본체(B)의 전방으로 열리고 닫혀지도록 하여 본체(B) 내부를 개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바디부(100)와 실린더부(2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100)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홈(110) 및 조절공(120)과 각각 연통되도록 결합공(310)과 조절홈(320)이 형성되며, 본체(B)에 고정볼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의 상부 전단에는 조절홈(320)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홈(320)의 전단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조절홈(320)의 후방에 결합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 형성된 고정체(33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체(330)는 양측의 중간에 지지턱(3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340)에 상기 바디부(100)의 하단이 안착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고정체(330)의 양측으로 고정편(35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350)에는 고정공(360)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360)에 고정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300)를 본체(B)에 고정 결합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바디부(100)와 실린더부(200)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연결되고, 이때 상기 바디부(100)의 결합홈(110)과 상기 고정부(300)의 결합공(310)에 고정나사(130)를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100)와 고정부(300)를 간단하게 고정 결합하거나 반대로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나사(13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고정부(300)에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본체(B)와 도어(D)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하여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바디부(100)의 조절공(120)과 상기 고정부(300)의 조절홈(320)에는 조절나사(140)를 결합하여 상기 조절나사(140)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디부(100)와 고정부(30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어(D)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상기 조절나사(140)를 다시 조임으로써 유격을 제거하여 경첩이 본체(B)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계속하여 도어(D)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140)는 헤드(141), 걸림홈(142) 및 하부돌기(1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14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2)은 상기 헤드(141)의 하부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의 조절홈(320)이 걸림 연결되고, 상기 하부돌기(143)는 상기 걸림홈(142)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바디부(100)의 조절공(120)에 조절나사(140)를 관통시켜 연결한 후, 상기 바디부(100)와 실린더부(200)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300)를 삽입시켜서 상기 바디부(10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300)의 지지턱(340)에 안착되게 하고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300)의 조절홈(320)이 상기 걸림홈(142)에 걸림 연결되가 한 다음, 상기 조절나사(140)의 상면의 공구홈에 공구를 연결하여 회전시켜 상기 조절나사(140)를 조여 상기 하부돌기(143)가 상기 바디부(100)와 고정부(300)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유격 발생시 상기 조절나사(140)의 재조임을 통해 유격을 제거하여 경첩이 본체(B)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계속하여 도어(D)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선단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연결축(430) 및 제2연결축(440)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편(410) 및 제2연결편(420)를 포함하여, 가동부(500)가 상기 회동 브라켓(250)을 매개로 상기 고정부(300)로부터 벌어지고 접혀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도어(D)가 개폐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연결편(410)은 상기 바디부(100)와 제1연결축(430)에 의해 축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500)의 회동시 함께 회동되되, 상기 제1연결축(430)에 코일스프링(450)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부(5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제2연결편(420)은 상기 회동 브라켓(250)에 제2회동축(252)을 통하여 축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편(420)의 중간부가 상기 바디부(100)의 전방 하단부에 관통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축(440)을 통하여 축 연결되며, 이로써 상기 가동부(5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연결편(420)과 이와 연결된 회동 브라켓(250)이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봉(220)이 진퇴 작동하게 되며,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210)의 유압이 작용하여 도어(D)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되어 도어(D)가 본체(B)에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소음 발생 및 도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부(500)는 도어(D)에 고정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연결편(410)과 제2연결편(420)이 힌지 결합되어 도어(D)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가동체(510), 결합편(520), 체결편(530), U자핀(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체(510)는 상기 가동부(5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고, 상기 결합편(520)은 상기 가동체(510)의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520)의 양측에는 U자핀(550)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U자핀(550)에는 상기 제1연결편(410) 및 제2연결편(420)의 선단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체결편(530)은 상기 가동체(510)의 양편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530)에는 체결공(54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540)에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500)가 도어(D)에 고정 체결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1)은 본체에 결합된 고정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여 본체와 도어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운반 효율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반복 사용에 따라 경첩에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되는 경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경첩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지며, 더불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본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발생 및 도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100. 바디부
110. 결합홈 120. 조절공
130. 고정나사 140. 조절나사
141. 헤드 142. 걸림홈
143. 하부돌기 150. 지지축
200. 실린더부 210. 유압실린더
220. 실린더봉 230. 실린더 브라켓
240. 고정 브라켓 241. 고정축
250. 회동 브라켓 251. 제1회동축
252. 제2회동축 300. 고정부
310. 결합공 320. 조절홈
330. 고정체 340. 지지턱
350. 고정편 360. 고정공
400. 연결부 410. 제1연결편
420. 제2연결편 430. 제1연결축
440. 제2연결축 450. 코일스프링
500. 가동부 510. 가동체
520. 결합편 530. 체결편
540. 체결공 550. U자핀
B. 본체 D. 도어

Claims (6)

  1. 본체와 도어를 서로 연결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고정하는 경첩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홈과 조절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실린더봉을 구비한 실린더부;
    상기 바디부와 실린더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결합홈과 조절공과 각각 연통되게 결합공과 조절홈이 형성되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바디부의 선단측의 상·하부에 각각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된 연결부; 및
    도어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힌지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은 고정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고정부에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공과 조절홈은 조절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의 사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유압실린더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실린더봉에 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편과 축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측이 중공 형성되되, 중간에 지지턱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편이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축에 코일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횡 방향으로 관통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각각 힌지 결합된 U자핀과, 상기 가동체의 양편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도어에 고정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고정부의 조절홈에 연결되어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돌기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KR2020140002257U 2014-03-21 2014-03-21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57U KR200474655Y1 (ko) 2014-03-21 2014-03-21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57U KR200474655Y1 (ko) 2014-03-21 2014-03-21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55Y1 true KR200474655Y1 (ko) 2014-10-07

Family

ID=5200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5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655Y1 (ko) 2014-03-21 2014-03-21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1005A (zh) * 2017-11-20 2018-02-16 清远市星徽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控制缓冲功能的铰链
KR200490969Y1 (ko) * 2019-03-13 2020-03-02 조영란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
CN115066532A (zh) * 2020-02-27 2022-09-16 沙美卡尺和矿业灯具有限公司 铰链
WO2025086553A1 (zh) * 2023-10-26 2025-05-01 梁佩玲 缓冲可调式铰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17Y1 (ko) 2004-04-22 2004-07-06 (주)문주하드웨어 가구용 경첩
JP3103578U (ja) * 2004-02-24 2004-08-19 明 正 林 自動閉扉式スライド蝶番
KR20050007370A (ko) * 2002-05-03 2005-01-17 메플라-베르케라우텐슐레거게엠베하엔드캄파니카게 멀티 링크 힌지
KR20110010084U (ko) * 2010-04-20 2011-10-26 왕미순 씽크대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370A (ko) * 2002-05-03 2005-01-17 메플라-베르케라우텐슐레거게엠베하엔드캄파니카게 멀티 링크 힌지
JP3103578U (ja) * 2004-02-24 2004-08-19 明 正 林 自動閉扉式スライド蝶番
KR200355417Y1 (ko) 2004-04-22 2004-07-06 (주)문주하드웨어 가구용 경첩
KR20110010084U (ko) * 2010-04-20 2011-10-26 왕미순 씽크대용 경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1005A (zh) * 2017-11-20 2018-02-16 清远市星徽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控制缓冲功能的铰链
KR200490969Y1 (ko) * 2019-03-13 2020-03-02 조영란 도어 개폐용 유압식 경첩 연결장치
CN115066532A (zh) * 2020-02-27 2022-09-16 沙美卡尺和矿业灯具有限公司 铰链
CN115066532B (zh) * 2020-02-27 2024-04-19 沙美卡尺和矿业灯具有限公司 铰链
US12139948B2 (en) 2020-02-27 2024-11-12 Samet Kalip Ve Madeni Esya San. Ve Tic. A.S. Hinge
WO2025086553A1 (zh) * 2023-10-26 2025-05-01 梁佩玲 缓冲可调式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655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유압식 경첩
CN101166881B (zh) 柜形家具
ES2747987T3 (es) Dispositivo para ensamblar/unir piezas de muebles modulares y accesorios de mobiliario
CN104937200B (zh) 具有可调节枢轴的铰接组件
US20130067647A1 (en) Toilet seat hinge
JP6197142B1 (ja) 家具扉のジャンプ距離を増大させる家具蝶番
KR200446700Y1 (ko) 조립용 앵커
KR101993874B1 (ko) 가구용 경첩
WO2013168615A1 (ja) グローブボックス
US9650806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1349072B1 (ko) 드릴링 라이저의 플랜지 체결장치
JP6553013B2 (ja) 開閉扉の取付構造
RU2011146122A (ru) Серьга, крепеж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серьги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серьги
JP2009185575A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シャッター扉の施錠装置
JP2010516542A (ja) 自動車操向ハンドルの補助ハンドル及びそのクランプ
KR200454244Y1 (ko)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싱크대 경첩
KR101488113B1 (ko) 몸체패널의 회전식 조립치구 및 이를 구비한 시험용 위성체
WO2020103348A1 (zh) 一种无工具连接器
BR112020009768B1 (pt) Conjunto de maçaneta de porta para um veículo motorizado e método para montar e desmontar dito conjunto de maçaneta de porta
JP2019006221A (ja) 車両の前部構造及び前部組付方法
KR101726287B1 (ko) 도어 힌지장치
KR101439447B1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힌지타입 록킹장치
FR2817136A1 (fr) Charniere pour abattant de cuvette de water-closet
JP2004076395A (ja) ドア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H07133687A (ja) 連動折り戸用の走行体とヒンジの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3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6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9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007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