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2958Y1 -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 Google Patents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58Y1
KR200472958Y1 KR2020120007945U KR20120007945U KR200472958Y1 KR 200472958 Y1 KR200472958 Y1 KR 200472958Y1 KR 2020120007945 U KR2020120007945 U KR 2020120007945U KR 20120007945 U KR20120007945 U KR 20120007945U KR 200472958 Y1 KR200472958 Y1 KR 200472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gasket
cutout
cut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571U (ko
Inventor
장관
Original Assignee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5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1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2중으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수관의 신축으로 인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누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취부(111)를 구비하여 지수관(200)의 외경을 실링재(300)로 기밀하게 감싸는 결속링(110), 결속링(110)의 양단 절취부(111)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볼트공(121)을 구비하는 한쌍의 결속편(120), 볼트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131)체결로 고정되어 결속편(120)을 결속시키는 볼트(130), 결속링(110)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141)를 구비하는 플랜지(140)로 구성된 가스킷(10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절취부(141)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편(150); 상기 결속링(110)의 타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161)를 구비하는 보조플랜지(160), 상기 보조플랜지(16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절취부(161)의 틈새를 차단하는 보조차단편(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Index tube sealing gaskets of manhole}
본 고안은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2중으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수관의 신축으로 인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누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이나 오수관은 일정 길이마다 하수관이나 오수관 내를 통과하는 하수나 오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된 맨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맨홀에 오수관이나 하수관(이하, '하수관'이라 통칭함)을 누수 없이 설치하기 위하여 통상 합성수지재로 된 지수관이 맨홀의 벽 내부에 매입된 상태로 맨홀이 형성되며, 이 지수관에 하수관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수관이라는 것은 맨홀의 유입구 또는 방출구에 결합되는 하수관이나 배수관 등이 결합될 때 맨홀로부터는 맨홀 안에 채워진 물이 맨홀과 배관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고 밖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침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밀 처리를 하여 맨홀에 결합된 배관을 말한다.
한편, 지수관은 맨홀의 벽 콘크리트에 일체로 매입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지수관이 신축될 때, 콘크리트와 지수관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생기게 되어 이 부분을 통해 오염된 하수나 오수가 지중으로 누수되어 토양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맨홀(10)의 벽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관(20)의 외경을 실링재(30)와 실링용 가스킷(40)으로 기밀하게 감싸서 매입하였다.
종래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41a)를 구비하여 지수관(20)의 외경을 실링재(30)로 기밀하게 감싸는 결속링(41), 상기 결속링(41)의 양단 절취부(41a)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볼트공(42a)을 구비하는 한쌍의 결속편(42), 상기 볼트공(42a)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43a)체결로 고정되어 결속편(42)을 결속시키는 볼트(43), 상기 결속링(41)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44a)를 구비하는 플랜지(44)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킷(40)은 온도변화에 의해 지수관(20)이 신축될 때 맨홀(10)의 벽 콘크리트와 지수관(20)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생기게 되어 이 부분을 통해 맨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오염된 하수나 오수가 유입될 경우 지수관(20)의 외경과 콘크리트 사이 틈새를 실링재(30)가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였고, 한편 하수나 오수가 유입되어 실링재(30)를 타고 넘을 경우에는 가스킷(40)의 플랜지(44)가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킷(40)은 지수관(20)의 외경과 콘크리트 사이 틈새를 실링재(30)가 차단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지만, 내부 또는 외부에서 하수나 오수가 실링재(30)를 타고 넘을 경우 하나의 플랜지(44)로는 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고 또한 플랜지(44)의 절취부(44a) 틈새가 노출되기 때문에 이 절취부(44a)의 사이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누수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가스킷의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2중으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지수관의 신축으로 인한 하수나 오수의 누수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맨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하수나 오수의 누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절취부를 구비하여 지수관의 외경을 실링재로 기밀하게 감싸는 결속링, 상기 결속링의 양단 절취부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볼트공을 구비하는 한쌍의 결속편, 상기 볼트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체결로 고정되어 결속편을 결속시키는 볼트, 상기 결속링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를 구비하는 플랜지로 구성된 가스킷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단 외면에 타단으로 연장되는 차단편을 형성하여 이 차단편으로 플랜지의 절취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결속링의 타측 가장자리 외면에 절취부가 구비된 보조플랜지를 돌출시켜 이 보조플랜지를 통해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하며, 상기 보조플랜지의 일단 외면에 타단으로 연장되는 보조차단편을 형성하여 이 보조차단편으로 보조플랜지의 절취부 틈새를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에 따르면, 플랜지와 보조플랜지를 통해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하고 또한 차단편과 보조차단편을 통해 절취부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지수관의 신축으로 인한 하수나 오수의 누수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를 통해 맨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하수나 오수의 누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킷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스킷이 지수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가스킷이 지수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가스킷이 맨홀에 매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스킷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스킷이 지수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스킷이 지수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가스킷이 맨홀에 매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취부(111)를 구비하여 지수관(200)의 외경을 실링재(300)로 기밀하게 감싸는 결속링(110), 상기 결속링(110)의 양단 절취부(111)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볼트공(121)을 구비하는 한쌍의 결속편(120), 상기 볼트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131)체결로 고정되어 결속편(120)을 결속시키는 볼트(130), 상기 결속링(110)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141)를 구비하는 플랜지(140)로 구성된 가스킷(10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절취부(141)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편(150); 상기 결속링(110)의 타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161)를 구비하는 보조플랜지(160), 상기 보조플랜지(16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어 절취부(161)의 틈새를 차단하는 보조차단편(1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가스킷(100)은 도 8에서와 같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맨홀(400)의 벽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관(200)의 외경을 실링재(300)로 기밀하게 감싼 상태에서 일체로 매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킷(100)은 결속링(110),결속편(120),볼트(130),플랜지(140),차단편(150),보조플랜지(160) 및 보조차단편(1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스킷(100)은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이 좋은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링(110),결속편(120),플랜지(140),차단편(150),보조플랜지(160),보조차단편(170)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링(110)은 지수관(200)의 외경을 실링재(300)를 통해 기밀하게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결속링(110)에는 조립 시 지수관(20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고 또한 결속 시 기밀하게 조일 수 있도록 틈새를 가지는 절취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편(120)은 결속링(110)의 양단 절취부(111)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속편(120)에는 볼트(130)를 끼울 수 있도록 볼트공(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볼트(130)는 볼트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131)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볼트(130)를 볼트공(121)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131)를 체결하면 한쌍의 결속편(120)은 견고하게 조여지면서 결속되고, 이에 의해 결속링(110)은 실링재(300)가 지수관(200)의 외경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감싸게 된다.
상기 플랜지(140)는 결속링(110)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플랜지(140)에는 결속링(110)의 절취부(111)에 대응하는 절취부(1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140)는 하수나 오수가 유입되어 실링재(300)를 타고 넘을 경우 이를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차단편(150)은 플랜지(14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편(150)은 플랜지(140)의 절취부(141)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플랜지(160)는 결속링(110)의 타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플랜지(160)에는 결속링(110)의 절취부(111)에 대응하는 절취부(16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플랜지(160)는 하수나 오수가 유입되어 실링재(300)를 타고 넘을 경우 이를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차단편(170)은 보조플랜지(160)의 일단 외면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차단편(170)은 보조플랜지(160)의 절취부(161)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스킷(100)도 온도변화에 의해 지수관(200)이 신축될 때 맨홀(400)의 벽 콘크리트와 지수관(200)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생기게 되어 이 부분을 통해 맨홀(4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오염된 하수나 오수가 유입될 경우 지수관(200)의 외경과 콘크리트 사이 틈새를 실링재(300)가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한편 하수나 오수가 유입되어 실링재(300)를 타고 넘을 경우에는 가스킷(100)의 플랜지(140)가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하수나 오수가 실링재(300)를 타고 넘을 경우 플랜지(140)와 보조플랜지(160)를 통해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하고 또한 차단편(150)과 보조차단편(170)을 통해 절취부(141)(161)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수관(200)의 신축으로 인한 하수나 오수의 누수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이를 통해 맨홀(4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하수나 오수의 누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가스킷 110 : 결속링
111 : 절취부 120 : 결속편
121 : 볼트공 130 : 볼트
131 : 너트 140 : 플랜지
141 : 절취부 150 : 차단편
160 : 보조플랜지 161 : 절취부
170 : 보조차단편 200 : 지수관
300 : 실링재

Claims (1)

  1. 절취부(111)를 구비하여 지수관(200)의 외경을 실링재(300)로 기밀하게 감싸는 결속링(110), 상기 결속링(110)의 양단 절취부(111)를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볼트공(121)을 구비하는 한쌍의 결속편(120), 상기 볼트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131)체결로 고정되어 결속편(120)을 결속시키는 볼트(130), 상기 결속링(110)의 일측 가장자리 외면으로 돌출되어 절취부(141)를 구비하는 플랜지(140)로 구성된 가스킷(10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0)의 일단 외면에 타단으로 연장되는 차단편(150)을 형성하여 이 차단편(150)으로 플랜지(140)의 절취부(141)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결속링(110)의 타측 가장자리 외면에 절취부(161)가 구비된 보조플랜지(160)를 돌출시켜 이 보조플랜지(160)를 통해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하며, 상기 보조플랜지(160)의 일단 외면에 타단으로 연장되는 보조차단편(170)을 형성하여 이 보조차단편(170)으로 보조플랜지(160)의 절취부(161) 틈새를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KR2020120007945U 2012-09-06 2012-09-06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Expired - Lifetime KR200472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45U KR200472958Y1 (ko) 2012-09-06 2012-09-06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45U KR200472958Y1 (ko) 2012-09-06 2012-09-06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71U KR20140001571U (ko) 2014-03-17
KR200472958Y1 true KR200472958Y1 (ko) 2014-06-11

Family

ID=5148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45U Expired - Lifetime KR200472958Y1 (ko) 2012-09-06 2012-09-06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289B (en) 2015-10-13 2022-03-02 Snug Solutions Ltd A surrounding member for a pi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65U (ko) * 1999-06-05 1999-09-06 최용화 관로구용방수장치의결합구조
KR200191230Y1 (ko)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대경산업 합성수지 관체의 접속구
KR200307198Y1 (ko) * 2002-12-10 2003-03-12 임채영 관 연결구
KR20100116352A (ko) * 2009-04-22 2010-11-01 차세완 이중 벽체용 이중 신축 관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265U (ko) * 1999-06-05 1999-09-06 최용화 관로구용방수장치의결합구조
KR200191230Y1 (ko) 2000-03-07 2000-08-16 주식회사대경산업 합성수지 관체의 접속구
KR200307198Y1 (ko) * 2002-12-10 2003-03-12 임채영 관 연결구
KR20100116352A (ko) * 2009-04-22 2010-11-01 차세완 이중 벽체용 이중 신축 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71U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TW200413663A (en)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US20080277884A1 (en) Connector gasket for concrete structures
KR200472958Y1 (ko)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KR101031515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0133072Y1 (ko) 하수관의 실링장치
KR20170139377A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220161614A (ko) 매립형 흄관의 수밀 링
KR101825428B1 (ko)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101212712B1 (ko) 원통 터널식 밸브실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20090131361A (ko) 밀폐형 맨홀의 밀폐 차단구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0646447B1 (ko) 인서트 연결구를 갖는 맨홀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KR200261900Y1 (ko) 연약지반의 누수방지를 위한 오폐수 하수관로 설치구조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200172174Y1 (ko) 이중벽 상,하수관 조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9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0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5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