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360B1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3360B1 KR101613360B1 KR1020140096375A KR20140096375A KR101613360B1 KR 101613360 B1 KR101613360 B1 KR 101613360B1 KR 1020140096375 A KR1020140096375 A KR 1020140096375A KR 20140096375 A KR20140096375 A KR 20140096375A KR 101613360 B1 KR101613360 B1 KR 101613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pipe
- vertical
- main body
-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sew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13 aquama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또한, 본원발명은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와, (b)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몸체의 일단 및 분기관에 결합되는 차수몸체와, 차수몸체의 제3관통공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 및, 분기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설치된 차수몸체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를 설치한 후 분기관의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부재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에서 마개플랜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c) 바이패스관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와, (d)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를 막고, 수직차단밸브를 몸체의 일단에 있는 차수몸체의 타단에 설치한 후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수직차단밸브가 몸체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분기관과 바이패스관의 통로만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와, (e)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제수변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f)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 또는 제수변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수직차단밸브를 분기관의 차수몸체에 설치하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바이패스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g) 분기관의 일단에 마개플랜지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가 공급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도2는 도1에서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원발명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수직차단밸브와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6a 내지 도6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제수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7a 내지 도7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유체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30 : 바이패스관
100 : 몸체 110 : 분기관
120 : 제1관통공 130 : 제2관통공
200 : 차수몸체 210 : 제3관통공
300 : 수평차단밸브 310 : 수평차단밸브하우징
320 : 제1회전몸체 330 : 수평차단몸체
400 : 수직차단밸브 410 : 수직차단밸브하우징
420 : 제2회전몸체 430 : 수직차단몸체
500 : 마개플랜지
600 : 패킹부재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
(b)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100)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 및 상기 분기관(110)에 결합되는 차수몸체(200)와, 상기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300) 및, 상기 분기관(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500)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상기 분기관(110)에 설치된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설치한 후 상기 분기관(110)의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고, 상기 분기관(110)에서 상기 마개플랜지(500)를 제거하는 단계;
(c) 바이패스관(30)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상기 분기관(110)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
(d)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고,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있는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한 후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상기 수직차단밸브(400)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상기 분기관(110)과 상기 바이패스관(30)으로 만 흐르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
(f)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상기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상기 분기관(110)의 상기 차수몸체(200)에 설치하여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상기 바이패스관(30)을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분기관(110)의 일단에 상기 마개플랜지(500)를 설치한 후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는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1결합공(3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상기 제3관통공(210)에 결합되는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상기 제1결합공(311)에 결합되는 제1회전몸체(320); 및,
상기 제1회전몸체(3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3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차단몸체(330)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평차단몸체(330)가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내부에서 상기 차수몸체(20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는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2결합공(4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상기 제2결합공(411)에 결합되는 제2회전몸체(420);
상기 제2회전몸체(4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4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차단몸체(430)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직차단몸체(430)가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내부에서 상기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또는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6375A KR101613360B1 (ko) | 2014-07-29 | 2014-07-29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6375A KR101613360B1 (ko) | 2014-07-29 | 2014-07-29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310A KR20160014310A (ko) | 2016-02-11 |
KR101613360B1 true KR101613360B1 (ko) | 2016-04-29 |
Family
ID=553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6375A Active KR101613360B1 (ko) | 2014-07-29 | 2014-07-29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33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21334B2 (ja) * | 2019-09-04 | 2024-01-24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接続管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1968B1 (ko) | 2006-08-28 | 2007-05-25 | (주) 엘앤티 | 활관 보수를 위한 바이패스방식 충전 장치 |
KR100799480B1 (ko) * | 2002-12-02 | 2008-01-31 | 조희남 |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
KR101026625B1 (ko) | 2010-08-30 | 2011-04-04 | 한국수자원공사 |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
KR101403700B1 (ko) | 2014-01-24 | 2014-06-05 | 이기완 |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
-
2014
- 2014-07-29 KR KR1020140096375A patent/KR10161336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480B1 (ko) * | 2002-12-02 | 2008-01-31 | 조희남 |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
KR100721968B1 (ko) | 2006-08-28 | 2007-05-25 | (주) 엘앤티 | 활관 보수를 위한 바이패스방식 충전 장치 |
KR101026625B1 (ko) | 2010-08-30 | 2011-04-04 | 한국수자원공사 |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
KR101403700B1 (ko) | 2014-01-24 | 2014-06-05 | 이기완 |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310A (ko) | 2016-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2079B1 (ko) | 밸브 접합관 | |
KR101764772B1 (ko) | 상하수도 관로 바이패스용 삼방밸브 | |
CN104278732A (zh) |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修复时的临时排水装置 | |
US20130156506A1 (en) | Method for Renewal or Rehabilitation of Water Supply Pipelines and Plug Arrangement for use in Said Method | |
JP4505836B2 (ja) |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 |
KR101613360B1 (ko)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
KR20160145977A (ko) | 형상기억합금이 삽입된 관거 보수보강용 튜브 | |
KR101360172B1 (ko) |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 |
KR101488830B1 (ko) |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 장치 | |
US7121293B2 (en) | Tri valve backflow preventer | |
KR100749550B1 (ko) |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 및 그 구조 | |
JP2004524460A (ja) | 管継手 | |
JP6588796B2 (ja) | 排水配管構造、該排水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新規取付部材、及び排水配管方法 | |
JP4454650B2 (ja) | 流体配管系の分岐管更新工法 | |
KR101524598B1 (ko) |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매니폴드 장치 | |
KR100995348B1 (ko) | 맨홀구조체 | |
JP4803519B2 (ja) | 筒状可変形導管 | |
KR101580044B1 (ko) |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 |
KR101729735B1 (ko) |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 |
CN112538893A (zh) | 一种现状水池侧壁开洞穿管的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419773B1 (ko) | 관로진단 및 보수를 위한 물막이 공법 | |
JP2015081671A (ja) | 更生管の分岐方法及び分岐部構造 | |
KR101729734B1 (ko) |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 | |
KR102140417B1 (ko) | 차집관로의 보수를 위한 하수 우회장치 | |
JP2016017608A (ja) | 管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