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2209Y1 -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09Y1
KR200472209Y1 KR2020120008932U KR20120008932U KR200472209Y1 KR 200472209 Y1 KR200472209 Y1 KR 200472209Y1 KR 2020120008932 U KR2020120008932 U KR 2020120008932U KR 20120008932 U KR20120008932 U KR 20120008932U KR 200472209 Y1 KR200472209 Y1 KR 200472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screw portion
conductor
holders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우
고진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보수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도체 송전선로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각의 송전선들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부재들; 및 상기 클램핑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들은 송전선들을 클램핑하는 2개의 홀더들과, 이 홀더들을 조이고 풀기 위한 암나사부, 숫나사부, 및 탄성부재를 갖는다.

Description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Removable apparatus of fixing position of bundle conductor-transmission line}
본 고안은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보수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도체 송전선로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 송전선들(8)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고 댐핑효과를 제공하여 다도체 송전선로를 더욱 안전한 설치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다도체 송전선로에는 소정 간격마다 스페이서 댐퍼(2, Spacer Damper)가 설치된다.
도 1은 다도체 송전선로에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페이서 댐퍼(2)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송전선들(8)에 결합되는 클램프들(6)과, 이 클램프들(6)이 결합되는 프레임(4)을 구비하며, 클램프들(6)은 프레임(4)에 다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의하여 송전선들(8)이 받는 힘을 댐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전선들(8)이 프레임(4)으로부터 소정 정도 이상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송전선들(8)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 댐퍼(2)의 점검, 다도체 송전선로 자체의 점검, 보수 슬리브 설치, 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작업자가 다도체 송전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로프를 다도체 송전선로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작업자는 통상적으로 안전을 위하여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각의 송전선(8)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프(9)를 감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송전선로에 로프(9)를 감아 놓았다고 하더라도, 다도체 송전선로는 지상에서 약 20m가량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풍 및 전선이 진동하는 경우에는 전선 비틀림(twisting), 전선 꼬임(kissing), 및 송전선들(8) 간 벌어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다도체 송전선로에서 이탈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상시 존재한다.
특히, 스페이서 댐퍼(2)가 띄엄띄엄 설치되어 있는 구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거나, 복수의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는 각각의 송전선들(8) 사이의 간격이 더 많이 벌어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설치된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각의 송전선들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부재들; 및 상기 클램핑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들은, 힌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송전선들을 클램핑하는 2개의 홀더들;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일측 홀더에 형성된 암나사부;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타측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며 회전용 손잡이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2개의 홀더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2개의 홀더들을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송전선의 내측을 감싸는 홀더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 결합부에 얹혀진 채로 상기 돌출 결합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힌지는 상기 송전선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송전선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상기 송전선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연장부는 서로 간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설치된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다도체 송전선로에 설치된 스페이서 댐퍼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로프를 다도체 송전선로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이하, '위치고정 장치'라 한다)는,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각의 송전선들(8)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부재들(10)과, 상기 클램핑 부재들(10)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20)을 구비한다.
여기서, 클램핑 부재들(10)은, 힌지(1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송전선들(8)을 클램핑하는 2개의 홀더들(11, 12)과,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내측 홀더(11)에 형성된 암나사부(14)와, 상기 2개의 홀더들(11, 12) 중 외측 홀더(12)에 형성된 숫나사부(16)와, 상기 암나사부(14)와 상기 숫나사부(16)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17)를 갖는다.
2개의 홀더들(11, 12)은 송전선(8)의 외주면을 감싸며, 힌지(1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송전선(8)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2개의 홀더들(11, 12)의 안쪽면은 실린더 내측면의 일부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숫나사부(16)는 외측 홀더(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숫나사부(16)의 일단은 암나사부(14)에 체결되고 타단에는 회전용 손잡이가 형성된다. 탄성 부재(17)는 외측 홀더(12)와 내측 홀더(1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들을 탄성 바이어스 한 상태에서 숫나사부(16)와 암나사부(14)의 사이에 개재되며, 예컨대, 압축 스프링이 탄성 부재(17)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숫나사부(16)를 조이면 내측 홀더(11)와 외측 홀더(12)가 송전선(8)을 타이트하게 조이고, 숫나사부(16)를 풀면 탄성 부재(17)에 의하여 내측 홀더(11)와 외측 홀더(12)가 서로 멀어지면서 송전선(8)을 헐겁게 풀게 된다. 숫나사부(16)의 타단에는 회전용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숫나사부(16)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는 반대로, 숫나사부(16)가 내측 홀더(11)에 결합되고, 암나사부(14)가 외측 홀더(12)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3에는 다도체 송전선로의 예시로 4개의 송전선들(8)을 갖는 4도체 송전선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2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이나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20)은 클램핑 부재(10) 상호 간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프레임(20) 중 클램핑 부재들(1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프레임 연장부들(22)이 형성되며, 프레임 연장부들(22)과 클램핑 부재들(10)과의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내측 홀더(11)에는 프레임(20)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출 형성된 돌출 결합부(19)가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내측 홀더들(11)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들(19)는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프레임(20)의 프레임 연장부(22)는 상기 돌출 결합부(19)에 얹혀진 채로 돌출 결합부(19)에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100)는 경량화를 위하여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ACSR(Aluminum Cable Steel Reinforced)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 댐퍼(2)의 경우 댐핑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클램프(6)가 프레임(4)에 다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의 위치고정 장치(100)는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송전선들(8) 사이의 간격이 변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 결합부(19)와 프레임 연장부(22)는 서로 간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 결합부(19)와 프레임 연장부(22)는 볼트 체결될 수 있고, 이외에도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다도체 송전선로에 로프(9)를 감았다고 하더라도 로프(9)가 송전선들(8) 상호간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작업중에 많이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100)는 각 송전선들(8) 상호간의 상대위치를 완벽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 장치(100)를 다도체 송전선로에 설치할 때에는, 내측 홀더(11)의 하단부와 외측 홀더(12)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송전선(8)의 직경보다 커질 때까지 숫나사부(16)를 푼 상태에서 클램핑 부재(10)를 송전선(8)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끼워 넣는다. 그리고, 위치고정 장치(100)를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위치시키고자 하는 곳까지 이동시킨 후에 숫나사부(16)를 잠그어 클램핑 부재(10)로 송전선(8)을 단단하게 클램핑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클램핑 부재(10)의 힌지(18)는 송전선(8)의 상측에 배치된다.
만약, 위치고정 장치(100)를 송전선로에 설치하기 전에 숫나사부(16)를 지나치게 많이 풀었다고 하더라도, 클램핑 부재(10)의 힌지(18)는 송전선(8)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전선(8)이 탄성 부재(17) 또는 숫나사부(16)에 접촉할 뿐 송전선(8)이 클램핑 부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나사부(16)를 지나치게 많이 풀었더라도 위치고정 장치(100)가 다도체 송전선로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 연장부(22)는 돌출 결합부(19)에 얹혀 있기 때문에, 만약 프레임 연장부(22)와 돌출 결합부(19)의 결합 상태가 헐거워지더라도 돌출 결합부(19)가 프레임 연장부(2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20)이 클램핑 부재(10)로부터 일시에 이탈되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고정 장치(100)는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종래의 스페이서 댐퍼(2)와는 달리 클램핑 부재(10)의 내측 홀더(11)와 프레임(20)이 마치 강체와 같이 고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 송전선들(8) 사이의 요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단지 숫나사부(16)를 푼 후에 다도체 송전선로 상에서 위치고정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숫나사부(16)를 잠그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재설치가 끝나며, 특별한 도구도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속도까지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스페이서 댐퍼 8 : 송전선
9 : 로프 10 : 클램핑 부재
11 : 내측 홀더 12 : 외측 홀더
14 : 암나사부 16 : 숫나사부
17 : 탄성부재 18 : 힌지
19 : 돌출 결합부 20 : 프레임
22 : 프레임 연장부 100 : 위치고정 장치

Claims (5)

  1. 다도체 송전선로를 이루는 각각의 송전선들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클램핑 부재들; 및
    상기 클램핑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들은,
    힌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송전선들을 클램핑하는 2개의 홀더들;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일측 홀더에 형성된 암나사부;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타측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며, 회전용 손잡이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부;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2개의 홀더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2개의 홀더들을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2개의 홀더들 중 송전선의 내측을 감싸는 홀더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 결합부에 얹혀진 채로 상기 돌출 결합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힌지는 상기 송전선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 부재는 상기 송전선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상기 송전선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연장부는 서로 간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KR2020120008932U 2012-10-05 2012-10-05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72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32U KR200472209Y1 (ko) 2012-10-05 2012-10-05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932U KR200472209Y1 (ko) 2012-10-05 2012-10-05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09Y1 true KR200472209Y1 (ko) 2014-04-09

Family

ID=5148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932U Expired - Lifetime KR200472209Y1 (ko) 2012-10-05 2012-10-05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9505A (zh) * 2015-11-30 2017-06-09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中子温度测量通道的固定支架
CN111668789A (zh) * 2020-06-12 2020-09-1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建设公司 一种四分裂导线间隔棒安装辅助器
CN112332302A (zh) * 2020-10-21 2021-0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5224638A (zh) * 2022-06-24 2022-10-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梁山县供电公司 一种远距离输电用电缆固定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720A (ja) * 1995-03-24 1996-12-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クランプの取付け方法
KR200269696Y1 (ko) 2001-12-29 2002-03-22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송전선 설비용 스페이서 댐퍼의 송전선 클램핑장치
US20040194990A1 (en) 2003-01-30 2004-10-07 Brittain Carl C. Clamp for a vibration damp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720A (ja) * 1995-03-24 1996-12-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クランプの取付け方法
KR200269696Y1 (ko) 2001-12-29 2002-03-22 일진전기공업 주식회사 송전선 설비용 스페이서 댐퍼의 송전선 클램핑장치
US20040194990A1 (en) 2003-01-30 2004-10-07 Brittain Carl C. Clamp for a vibration damp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9505A (zh) * 2015-11-30 2017-06-09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中子温度测量通道的固定支架
CN111668789A (zh) * 2020-06-12 2020-09-1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建设公司 一种四分裂导线间隔棒安装辅助器
CN112332302A (zh) * 2020-10-21 2021-02-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汶上县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5224638A (zh) * 2022-06-24 2022-10-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梁山县供电公司 一种远距离输电用电缆固定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KR200472209Y1 (ko) 탈착식 다도체 송전선로 위치고정 장치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EP2824786A2 (en) Vibration damper for an aerial cable or conductor
KR102333249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CN102832577A (zh) 电缆固定装置
KR102713832B1 (ko) 송전선로용 장력 유지장치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2143172B1 (ko) 장선기를 이용한 전주 교체 방법
CN109936105B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配接器
CN201766333U (zh) 一种防松装置和防振锤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CN205829023U (zh) 放线滑轮
CN204213119U (zh) 带式紧固装置
KR200460891Y1 (ko)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CN219937867U (zh) 一种电缆光纤通信施工悬垂塔用紧固装置
CN203672711U (zh) 螺栓机械性能试验夹具
CN206140412U (zh) 电缆固定头的紧固工具
CN222750006U (zh) 一种风力发电塔电缆固定装置
KR20190018219A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CN204503570U (zh) 卷轴卡瓦锁紧装置
KR20240034021A (ko) 간접활선용 전선홀딩클램프 및 전선홀딩클램프 시스템
CN103753198A (zh) 一种两用拧紧枪防转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4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