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71Y1 - Cow house - Google Patents
Cow ho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071Y1 KR200472071Y1 KR2020130009053U KR20130009053U KR200472071Y1 KR 200472071 Y1 KR200472071 Y1 KR 200472071Y1 KR 2020130009053 U KR2020130009053 U KR 2020130009053U KR 20130009053 U KR20130009053 U KR 20130009053U KR 200472071 Y1 KR200472071 Y1 KR 2004720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ure
- tube
- valve
- barn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우사 관리비용도 절감되는 새로운 구성의 미래형 우사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면벽체(210,220) 및 좌,우측벽체(230,240)와, 지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소가 생활하는 사육실(A)이 마련된 우사에 있어서; 상기 사육실(A) 바닥(110)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소의 분뇨가 낙하되는 관통공(1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사육실(A) 바닥(110)의 하부에는 격벽(412)에 의해 구획되며, 바닥에는 배출구(414)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뇨실(410)이 구비되고; 상기 각 분뇨실(410)의 배출구(414)에는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기관(422)이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422)에는 배출측 단부가 분뇨처리장과 연결된 연결로(2)와 연통되는 메인관(426)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형 우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aged to create a sanitar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nd is for a future type barn of a new configuration that also reduces the barn management c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walls (210, 220)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240), including the roof 300, the cow house is provided in the breeding room (A) is provided; The bottom of the breeding room (A) 110 is penetrated up and down, through-holes 112 are formed to drop the manure of cows;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of the breeding room (A) 110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412,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nure chamber (410) having an outlet 414; A branch pipe 422 for discharging the manure stored in the manure chamber 41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14 of the manure chamber 410; The branch pipe 422 is provided with a future-type bar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end 42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2)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is connected to the waste treatment plant.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우사 관리비용도 절감되는 새로운 구성의 미래형 우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ture type barn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managed to create a hygienic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barn management costs are also reduced.
일반적으로 우사의 바닥에 톱밥을 두껍게 깔아서 소 분뇨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톱밥을 깔아 주면, 톱밥과 분뇨가 섞여서 진탕되는데, 적절한 시기에 분뇨를 처리하고 새로운 톱밥을 깔아주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하여 질병이 발병된다. In general, spread the sawdust thickly on the bottom of the barn so that the water in the cow manure is absorbed. When the sawdust is laid, the sawdust and manure are mixed and shaken. If the manure is not handled at the right time and the new sawdust is not applied, germs multiply and the disease develops.
따라서 우사 바닥의 분뇨를 제거하고 톱밥을 새로 깔아 주는 일을 주기적으로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를 발생시킨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move manure from the bottom of the barn and lay new sawdust. This operation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ime, resulting in a large labor cost.
뿐만 아니라 톱밥 구입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톱밥구입비와 인건비는 소를 사육하는 농가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되며, 소 사육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된다.In addition, a lot of costs are incurred in the purchase of sawdust, such as the cost of purchasing sawdust and labor costs a significant burden on the farmers raising cattle, causing a increase in cattle breeding costs.
한편, 소가 생활하기에 적당한 온도는 15~25℃이다. 따라서 우사의 내부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또, 이러한 온도 범위로 온도가 유지되면, 작업자가 우사에서 작업을 하기에도 좋다. 또한, 우사 내부의 구석구석 까지 원활하게 환기가 잘 이루어져야 세균 번식우려가 없고 소가 건강하게 잘 성장한다.On the other hand, suitable temperature for cattle to live is 15-25 degreeC. Therefo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rn must be manag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range. Moreover, if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such a temperature range, an operator may work in a barn. In addition, it must be well ventilated to every corner of the barn, so that there is no fear of bacterial growth and the cow grows well and healthy.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노동력이 절감되고, 톱밥구입비도 발생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소가 생육하기에 적당한 온도가 유지되고 환기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미래형 우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hygienic management is easy, labor is reduced, sawdust purchase cost does not occur, it is economical,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nd suitable for cattle growth and ventilation Is to provide a futuristic barn of a new configuration that works well.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후면벽체(210,220) 및 좌,우측벽체(230,240)와, 지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소가 생활하는 사육실(A)이 마련된 우사에 있어서; 상기 사육실(A) 바닥(110)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소의 분뇨가 낙하되는 관통공(1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사육실(A) 바닥(110)의 하부에는 격벽(412)에 의해 구획되며, 바닥에는 배출구(414)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뇨실(410)이 구비되고; 상기 각 분뇨실(410)의 배출구(414)에는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기관(422)이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422)에는 메인관(426)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426)은 배출측 단부가 분뇨처리장과 연결된 연결로(2)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형 우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walls (210, 220)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240), including the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기관(422)은 상기 배출구(414)와 연결되는 수직부(423)와, 수직부(42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426)에 연결되는 수평부(4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은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면벽체(210)에는 출입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벽체(220)에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다수개의 송풍팬(222)이 장착되며; 상기 좌측벽체(230) 및 우측벽체(240)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구(232,242)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벽체(230)와 우측벽체(240)의 전면벽체(210)와 근접되는 전단부에는 상기 제1공기유입구(232,242)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2공기유입구(234,244)가 형성되며; 상기 지붕(300)에는 환풍구(310)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로(2)에는 상부가 지상으로 개방되며, 개폐수단(500)에 의해 개폐되는 수직개방관(4)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426)은 배출측 단부가 상기 수직개방관(4)에 연통되며,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메인관(426)이 연통된 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수직개방관(4)에 힌지결합되어, 수직개방관(4)을 개폐시키는 밸브(510); 금속바아로 이루어져서, 하단부가 상기 밸브(510)의 타측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직개방관(4)을 통해 지상으로 노출되는 연결부재(5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개방관(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밸브(510)의 저면 둘레부가 지지되어 밸브(510)가 하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개방관(4)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고정돌기(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20)에는 상기 고정돌기(6)에 끼워지는 고정링(522)이 구비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th (2) is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the ground,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로(2)에는 상단부가 지상으로 개방되어 보호캡(540)에 의해 커버되며, 개폐수단(500)에 의해 개폐되는 수직개방관(4)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426)은 배출측 단부가 상기 수직개방관(4)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캡(540)은 상기 수직개방관(4)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끼움공(543)이 형성된 베이스부(542); 및 상기 베이스부(5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542)의 상부를 커버하는 회동캡(5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500)은 분뇨배출공(51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426)이 연통되는 부위 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개방관(4) 내부에 구비된 밸브시트(513); 상기 분뇨배출공(511)을 개폐시키는 볼형상의 밸브(510); 및 플렉시블한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져서, 하단부가 상기 밸브(510)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상기 끼움공(543)에 끼워져서 상기 베이스부(542) 상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재(52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542)의 상면에는 제1, 2고정핀(545,546)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핀(545)은 상기 끼움공(543)과 근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핀(546)은 상기 제1고정핀(545) 보다 상기 끼움공(543)에서 더 먼 거리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부재(5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고정핀(545) 또는 제2고정핀(546)에 끼워지는 링체(547)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th (2) is the upper end is open to the ground is covered by a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사육실(A)에서 소가 배설하는 분뇨가 사육실(A) 하부에 형성된 분뇨실(410)로 낙하되기 때문에 사육실(A) 바닥(110)에는 분뇨가 쌓이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육실(A) 바닥에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톱밥을 깔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톱밥구입비가 발생되지 않고, 노동력도 절감된다. 따라서 우사를 위생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manure excreted in the breeding room (A) falls to the
특히, 본 고안은 분뇨실(410)이 격벽(412)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 형성되어, 각 분뇨실(410) 별로 분뇨가 저장되기 때문에, 분뇨실(410)이 상대적으로 넓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분뇨가 분뇨실(410) 바닥의 배출구(414)를 통해 배출될 때, 상대적으로 높은 배출압이 발생되어 분뇨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각 분뇨실(410)과 연결된 분기관(422)의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이 수평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분뇨의 액상분만 먼저 배출되지 않고 액상분과 고형분이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분뇨실(410)이나 분기관(422), 메인관(426)에 고형분만 남아서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뿐만 아니라 메인관(426)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500)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개폐수단이 전기, 전자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비해 고장의 우려가 적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특히, 작업자가 밸브(510)를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밸브(510)에 연결된 연결부재(520)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밸브(5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뇨가 배출되는 동안 작업자가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hold the
또한, 본 고안은 좌, 우측벽체(230,240)에 형성된 제1, 2공기유입구(232,242,234,244) 및 송풍팬(222), 환풍구(310)에 의해 우사 구석구석까지 환기가 이루어져서, 우사 내부가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한다. 또, 동절기 및 하절기에도 소가 생활하기 적당한 15~25℃를 유지하기 때문에, 소의 빠른 성장과 빠른 증체가 도모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irst, second air inlet (232, 242, 234, 244) and th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사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사 바닥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수단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사의 동절기 환기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사의 하절기 환기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의 측단면 확대도
도 8은 도 7의 개폐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단면한 측단면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의 측단면 확대도.
1 is an external view of a ba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barn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of the barn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inter ventilation of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ummer ventilation of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FIG. 7 taken at different angles;
9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사의 외관도이고, 도 2와 도 3은 우사의 바닥 및 지하구조를 보인 평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사는 전,후면벽체(210,220), 좌,우측벽체(230,240) 및 지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n external view of a ba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a plan view and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ttom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barn. As shown, the righ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rear wall (210, 220), left, right wall (230, 240) and the
이러한 우사는 좌측벽체(230)와 우측벽체(240)가 전,후면벽체(210,2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후로 긴 형태를 가지며, 전면벽체(210)에는 출입구(212)가 형성되고, 후면벽체(220)에는 대형 송풍팬(222)들이 가로로 나란하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전,후면벽체(210,220)와 좌,우측벽체(230,240)는 우사의 단열을 위해 150mm이상의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판넬로 형성된다.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좌,우측벽체(230,240)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공기유입구(232,242)들이 다수개 형성되고, 좌,우측벽체(230,240)의 전면벽체(210)에 근접되는 전단부에는 상기 제1공기유입구(232,2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2공기유입구(234,244)가 제1공기유입구(232,242)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측벽체(230,240)에는 적절한 개수로 창문(236,246)이 더 형성된다.A plurality of
또, 상기 지붕(30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환풍구(31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러한 전,후면벽체(210,220) 및 좌,우측벽체(230,240)와 지붕(300)에 의해 형성되는 우사의 내부에는 소가 생활하는 사육실(A)이 좌우로 양측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좌우 사육실(A) 사이에는 통로(B)가 형성된다. 좌우 사육실(A)은 울타리에 의해 개별 사육실로 구획되며, 사육실(A) 전면에 급이조와 급수통이 구비되는 것은 일반적인 우사와 동일하다. Inside the barn formed by the front and rear walls (210 and 220) and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and 240) and the
상기 사육실(A)의 바닥(1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롯형태의 관통공(112)들이 전후좌우로 배열형성된다. 이러한 사육실(A)의 바닥(110)은 콘크리트로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The
한편, 사육실(A) 바닥(110)의 하부, 즉, 지하에는 상기 관통공(112)을 통해 낙하되는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실(410)이 격벽(412)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형성된다. 그리고 각 분뇨실(410)의 바닥에는 배출구(414)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110) of the breeding room (A), that is, the
각 분뇨실(410)의 배출구(414)에는 분뇨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기관(422)이 연결되고, 이들 분기관(422)들은 메인관(426)에 연결되어 메인관(426)을 통해 분뇨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분기관(422)은 상기 배출구(414)와 연결되는 수직부(423)와 이 수직부(42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수평부(424)로 이루어지며, 수평부(424)가 메인관(426)과 연결된다.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관(422)의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수평으로 시공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이 경사지게 시공되면, 분뇨배출시에 분뇨의 액상분만 먼저 배출되어 고형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을 수평으로 시공한다. Preferably, the
한편, 상기 메인관(426)의 배출측 단부는 분뇨처리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뇨처리장과 연결되는 경사진 연결로(2)가 형성되고, 연결로(2)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지상으로 개방되는 수직개방관(4)이 연결된다. 수직개방관(4)의 상단은 지상에서 대략 1m 정도 돌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메인관(426)은 배출측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개방관(4)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메인관(426)에서 배출되는 분뇨는 상기 수직개방관(4)을 통해 연결로(2)로 배출된다. And the
한편, 상기 수직개방관(4)에는 분뇨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수단(500)이 구비된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500)은 중앙에 분뇨배출공(511)이 형성된 밸브시트(513)와, 상기 분뇨배출공(511)을 개폐시키는 볼형상의 밸브(510)와, 밸브(510)에 연결된 연결수단(520)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상기 밸브시트(513)는 메인관(426)이 연통되는 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수직개방관(4)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510)는 상기 분뇨배출공(5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밸브(510)가 밸브시트(513)에 안착되면 분뇨배출공(511)이 폐쇄된다. The
상기 연결수단(520)은 와이어로 이루어져서 밸브(510)에 연결되는데, 연결수단(520)의 상단에는 수직개방관(4)의 직경보다 길이가 긴 바아형상의 조작손잡이(5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작손잡이(523)를 수직개방관(4)의 상단에 올려 놓을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520 is made of a wire is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연결조작손잡이(523)를 수직개방관(4)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밸브(510)가 연결수단(520)에 의해 당겨지지 않고 밸브시트(513)에 안착되어 분뇨배출공(511)이 폐쇄되도록 연결수단(520)의 길이가 조절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operation handle 523 is placed on the vertical open pipe (4), the
그리고 상기 조작손잡이(523)를 위로 당기면, 밸브(510)가 당겨져서 분뇨배출공(511)이 개방되고, 메인관(426)을 통해 연결로(2)로 분뇨가 배출된다. 수직개방관(4)의 상단이 지상에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구부리지 않고, 조작손잡이(523)를 잡고 당길 수 있어서 편리하다.
Then, when the operation handle 523 is pulled upward, the
이러한 바닥 및 지하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분뇨가 처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the man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loor and underground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사육실(A)에서 생활하는 소가 배설하는 분뇨는 사육실(A) 바닥(110)에 형성된 관통공(112)을 통해 분뇨실(410)로 낙하되어 저장되는데, 작업자는 2~3주 정도의 간격으로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를 분뇨처리장으로 배출시킨다. Manure excreted by the cattle living in the breeding room (A) is stored in the dropping room (410) through the through-
분뇨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손잡이(523)를 위로 잡아 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밸브(510)가 위로 당겨져서 분뇨배출공(511)이 개방되고, 각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가 분뇨처리장과 연결된 연결로(2)로 배출된다. When the manure is to be discharged, the operation handle 523 is pulled up. In this way, the
한편, 분기관(422)의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이 상기 연결로(2)에 근접될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분뇨 중의 액상분이 고형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어, 분뇨실(410)이나 분기관(422), 메인관(426)에 고형분만 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형분만 남게 되면, 고형분이 바닥에 달라붙어서 분기관(422)이나 메인관(426)이 막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관(422)의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이 수평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분뇨의 액상분만 먼저 배출되지 않고 액상분의 흐름에 의해 고형분이 액상분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분뇨실의 바닥이나 배관에 고형분만 남게 될 우려가 없다. 분뇨가 액상분과 고형분이 혼존하는 상태에서는 분뇨실(410)이나 분기관(422) 또는 메인관(426)에 잔존되어도 무방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또한, 분뇨실(410)이 다수개로 구획형성되기 때문에, 각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가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즉, 분뇨실(410)이 상대적으로 넓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분뇨가 분뇨실(410)의 바닥에 넓게 깔리게 되므로, 분뇨가 배출구(414)로 배출될 때, 큰 배출압이 발생되지 못하여 분뇨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분뇨실(410)이 다수개로 구획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분뇨실(410)에 분뇨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위를 이루도록 저장되기 때문에, 분뇨가 배출될 때 상대적으로 좀 더 강한 배출압이 작용되어 분뇨가 빠른 속도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the
이와 같이 사육실(A)에서 생활하는 소의 분뇨가 분뇨실(410)로 낙하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우사는 사육실(A) 바닥에 톱밥을 깔아줄 필요가 없다. Thus, because the manure of the cattle living in the breeding room (A)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manure room (410),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pread the sawdust on the bottom of the breeding room (A).
한편, 소의 빠른 성장과 증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우사의 온도를 15~25℃로 유지하고,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소의 몸에서는 상당히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동절기에 우사의 단열, 보온만 제대로 하면 별도의 난방을 하지 않고도 우사의 실내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mote rapid growth and increase in cattle, the temperature of the barn should be maintained at 15-25 ° C, and smooth ventilation should be achieved. The cow's body generates a significant amount of heat, so if you heat insulation and keep warm in winter, you can keep the barn's room temperature at a reasonable level without heating.
동절기에는 좌,우측벽체(230,240)에 형성된 제2공기유입구(234,244)를 닫고, 제1공기유입구(232,242)만 개방시키고, 송풍팬(222)은 가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면 동절기에는 우사 내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흐름이 형성된다. In winter, the
좌,우측벽체(230,240)에 형성된 제1공기유입구(223,242)로 유입되는 찬공기는 우사의 중앙부, 즉, 통로(B) 상부에서 부딪혀서, 하향으로 이동되어 좌우 사육실(A)로 흐르고, 소의 몸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상향으로 이동된다. Cold air flowing into the
상향으로 이동되는 더운 공기는 제1공기유입구(232,242)로 유입되는 찬공기의 흐름을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동되어, 크로스 형태의 순환이 발생되며, 우사 내부가 고르게 가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공기는 지붕(300)에 형성된 환풍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우사 내부의 악취나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된다. The hot air moved upwards is moved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along the flow of cold air flowing into the
그리고 하절기에는 제1공기유입구(232,242)와 더불어, 제2공기유입구(234,244)도 개방하고, 송풍팬(222)을 가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공기유입구(232,242,234,244)를 통해 우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팬(222)에 의해 우사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In the summer, the
특히, 제2공기유입구(234,244)가 좌,우측벽체(230,240)의 전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공기유입구(234,244)를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공기가 후면벽체(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우사 전체적으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큰 공기흐름(터널환기시스템)이 발생되어 우사 내부가 고르게 환기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기 흐름에 의한 바람에 의해 우사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필요에 따라 창문(236,246)을 개방하여 환기를 도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nd caused by the air flow lower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rn. If necessary, the
바람직하게는 제2공기유입구(234,244)에는 쿨링패드(235)가 설치된다. 쿨링패드(235)의 내부에는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우사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통풍구(237)가 소정패턴으로 배열형성된다. 이러한 쿨링패드(235)는 지하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제2공기유입구(234,244)에 설치된다. Preferably, cooling
따라서 하절기에 상기 쿨링패드(235)를 작동시키면, 쿨링패드(235)로 유입되는 차가운 지하수에 의해 우사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며, 이에 따라 우사 내부가 효과적으로 냉방된다.
Therefore,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7과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500)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개방관(4)이 사각관으로 이루어지며, 개폐수단(500)은 사각판상으로 되어 상하로 회동되도록 일측 단부가 수직개방관(4)에 힌지결합되는 밸브(510)와, 밸브(510)의 타측 단부 상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20)로 이루어지는데, 연결부재(520)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개방관(4)을 통해 지상으로 노출된다. 7 and 8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밸브(510)가 메인관(426)과 수직개방관(4)이 연통되는 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은 당연하며, 수직개방관(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밸브(510)의 저면이 지지되어 밸브(510)가 하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12)이 형성된다. Naturally,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520)가 금속바아로 이루어져서 그 하단이 상기 밸브(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연결부재(520)의 임의의 부위에는 고정링(522)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개방관(4)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링(522)이 끼워지는 고정돌기(6)가 돌출형성된다. 미 설명부호 524은 연결부재(520)의 상단에 구비된 고리형 손잡이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따라서 작업자가 연결부재(520)를 위로 당겨서 밸브(510)를 회동시킨 다음 연결부재(520)의 고정링(522)을 상기 고정돌기(6)에 걸면, 연결부재(520)가 상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밸브(510)가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lls up the connecting
따라서 작업자가 연결부재(520)를 계속하여 당기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분뇨가 배출되는 동안 작업자는 사육실(A) 바닥을 청소하는 등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작업자가 사육실(A)을 물청소하면, 청소하는 물도 분뇨실(410)을 통해 배출된다. Therefore, since the worker does not need to continue to pull the connect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개방관(4)의 상단이 지면과 거의 유사한 높이를 가져서, 보호캡(540)에 의해 커버되는데, 보호캡(540)은 지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부(542)와, 베이스부(5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캡(544)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500)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개방관(4)에 분뇨배출공(511)이 형성된 밸브시트(513)이 형성되고, 밸브(510)가 볼형상을 갖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520)가 플렉시블한 와이어나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캡(540)의 베이스부(542)는 수직개방관(4)을 완전히 커버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베이스부(542)의 일측 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끼움공(543)이 형성되며, 베이스부(542)의 상면에는 제1, 2고정핀(545,54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핀(545)은 끼움공(543)에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고정핀(546)은 제1고정핀(545)보다 끼움공(543)에서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된다. In addition,
한편, 상기 연결부재(520)는 상단부가 상기 끼움공(543)에 끼워져서 베이스부(542) 상부로 노출되는데, 연결부재(5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2고정핀(545,546)에 걸기 위한 링체(547)가 구비된다. 그리고 링체(547)가 제1고정핀(545)에 걸린 상태에서는 밸브(510)가 밸브시트(513)에 안착되어 분뇨배출공(511)이 폐쇄되도록 연결부재(520)의 길이가 조절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연결부재(520)의 링체(547)를 제2고정핀(546)에 걸면, 밸브(510)가 위로 당겨져서 분뇨배출공(511)기 개방되어 메인관(426)의 분뇨가 연결로(2)로 배출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operator hooks the
연결부재(520)의 링체(547)를 제2고정핀(546)에 걸어두면, 분뇨배출공(511)기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분뇨가 배출되는 동안 작업자가 분뇨실(410)을 청소하는 등 다른 일을 할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When the
분뇨가 어느 정도 배출되면, 작업자는 연결부재(520)의 링체(547)를 제1고정핀(545)에 걸어서 수직개방관(4)을 폐쇄시킨다.
When the manure is discharged to some extent, the worker closes the vertical
A. 사육실 B. 통로
2. 연결로 4. 수직개방관
6. 고정돌기 110. 바닥
112. 관통공 210. 전면벽체
212. 출입구 220. 후면벽체
222. 송풍팬 230. 좌측벽체
232, 242. 제1공기유입구 234, 244. 제2공기유입구
236, 246. 창문 240. 우측벽체
300. 지붕 310. 환풍구
410. 분뇨실 412. 격벽
414. 배출구 422. 분기관
423. 수직부 424. 수평부
426. 메인관 500. 개폐수단
511. 분뇨배출공 510. 밸브
512. 걸림턱 513. 밸브시트
520. 연결부재 522. 고정링
540. 보호캡 542. 베이스부
544. 회동캡 543. 끼움공
545. 제1고정핀 546, 제2고정핀
547. 링체 A. Nursery B. Aisle
2. With
6. Fixing
112. Through
212.Doors 220.Rear Wall
222. Blowing
232, 242.
236, 246.
300.
410.
414.
423.
426.
511.
512.
520. Connecting
540.
544.
545.
547. Ringze
Claims (5)
상기 제2공기유입구(234,244)에는 쿨링패드(235)가 설치되되, 상기 쿨링패드(235)의 내부에는 지하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지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사육실(A)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통풍구(237)가 소정패턴으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바닥(110)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소의 분뇨가 낙하되는 슬롯형태의 관통공(1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110)의 하부에는 격벽(412)에 의해 구획되되 바닥에는 배출구(414)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뇨실(4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분뇨실(410)의 배출구(414)에는 상기 분뇨실(410)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기관(422)이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422)은 배출측 단부가 분뇨처리장과 연결된 연결로(2)와 연통되는 메인관(426)과 연결되되, 상기 분기관(422)은 상기 배출구(414)와 연결되는 수직부(423)와, 수직부(423)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426)에 연결되는 수평부(4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424)와 메인관(426)은 수평을 이루며,
상기 연결로(2)에는 상부가 지상으로 개방되며, 개폐수단(500)에 의해 개폐되는 수직개방관(4)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관(426)은 배출측 단부가 상기 수직개방관(4)에 연통되고,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메인관(426)이 연통된 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일측이 상기 수직개방관(4)에 힌지결합되어 수직개방관(4)을 개폐시키는 판상의 밸브(510)와, 금속바아로 이루어져서 하단부가 상기 밸브(510)의 타측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직개방관(4)을 통해 지상으로 노출되는 연결부재(520)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개방관(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밸브(510)의 저면 둘레부가 지지되어 밸브(510)가 하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개방관(4)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고정돌기(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20)에는 상기 고정돌기(6)에 끼워지는 고정링(52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20)를 상향으로 당겨서 상기 고정링(522)을 상기 고정돌기(6)에 끼우면, 상기 밸브(510)가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메인관(426)을 통해 분뇨가 연결로(2)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형 우사.
Including a front and rear wall (210,220), left, right wall (230, 240), a roof 300 and the bottom 110, the rearing room (A), the front, rear wall (210, 220) and the left, right wall ( 230 and 240 are made of a sandwich panel for the insulation of the breeding room (A), the front wall 210 is formed with a doorway 212, the rear wall 220, the blowing fan 222 is side by side The plurality of first air inlets 232 and 242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and 240,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and 240. Second air inlets 234 and 244 ar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air inlets 232 and 242 and larger than the first air inlets 232 and 242, and a plurality of windows 236 and 246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walls 230 and 240, respectively. The roof 300 has a vent 310 is formed,
Cooling pads 235 are installed at the second air inlets 234 and 244, and a cooling channel 235 is formed in the cooling pad 235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water supply pip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groundwater flows in and out is formed. Vents 237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air flows smoothly,
The bottom 110 has a through-hole 112 in the form of a slot through which the manure of the cow falls up and down, and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412 in the bottom of the bottom 110, the outlet 414 in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nure chamber 410, the outlet 414 of each manure chamber 41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422 for discharging the manure stored in the manure chamber 410,
The branch pipe 422 is connected to the main pipe 426, the discharge sid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ng passage (2) connected to the manure treatment plant, the branch pipe 422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opening (414) ( 423 and a horizontal portion 424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423 and connected to the main tube 426, and the horizontal portion 424 and the main tube 426 are horizontal. ,
The connection path 2 is open to the grou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opening tube 4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the main tube 426 is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vertical opening tube (4)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0 is a plate-shaped valve 5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rtical opening tube 4 by one side hinged to the vertical opening tube 4 so that the main pipe 426 is located below the communication portion. And, consisting of a metal bar,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valve 510 and the upper e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520 exposed to the ground through the vertical opening tube 4, the vertical opening tube (4)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valve 510 is supported a locking jaw 512 is formed to prevent the valve 510 is rotated downward, the fixing projections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open pipe (4) (6) is protruded, the connection member 520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522 to be fitted to the fixing projection (6) to pull the connecting member 520 upwards to the fixing ring 522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6), the valve 510 is maintained in an upwardly rotated state, Through the main pipe 426, the manure is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ath (2),
Futuristic bar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로(2)에는 상단부가 지상으로 개방되어 보호캡(540)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보호캡(540)은 상기 수직개방관(4)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끼움공(543)이 형성된 베이스부(542)와, 상기 베이스부(5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542)의 상부를 커버하는 회동캡(5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형 우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th (2) is the upper end is opened to the ground and covered by a protective cap 540, the protective cap 54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cover the top of the vertical open tube (4), at one end And a base portion 542 having a fitting hole 543 formed therethrough, and a rotation cap 544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542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542. Futuristic bar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053U KR200472071Y1 (en) | 2013-11-04 | 2013-11-04 | Cow ho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053U KR200472071Y1 (en) | 2013-11-04 | 2013-11-04 | Cow ho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2071Y1 true KR200472071Y1 (en) | 2014-04-07 |
Family
ID=5148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0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2071Y1 (en) | 2013-11-04 | 2013-11-04 | Cow ho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071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72326A (en) * | 2015-08-25 | 2017-03-08 | 新疆农业科学院农业机械化研究所 | Mechanization management cowshed process facility raised scattered by single-column type mother-calf house |
KR200486097Y1 (en) * | 2017-05-29 | 2018-04-03 | 문효군 | sandwich panel for cattle shed |
KR20190050403A (en) * | 2017-11-03 | 2019-05-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Heat Stress Relief System Using Livestock House |
KR20190050410A (en)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Non-dilution ventilation system of pig house |
KR102433602B1 (en) * | 2022-02-25 | 2022-08-18 | 주식회사 신흥종합건설 | Pigpen Having Function of Reducing Od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293B1 (en) * | 1995-07-27 | 1998-10-01 | 박상은 | Pig breeding ventilation and manur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2013
- 2013-11-04 KR KR2020130009053U patent/KR20047207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293B1 (en) * | 1995-07-27 | 1998-10-01 | 박상은 | Pig breeding ventilation and manur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72326A (en) * | 2015-08-25 | 2017-03-08 | 新疆农业科学院农业机械化研究所 | Mechanization management cowshed process facility raised scattered by single-column type mother-calf house |
KR200486097Y1 (en) * | 2017-05-29 | 2018-04-03 | 문효군 | sandwich panel for cattle shed |
KR20190050403A (en) * | 2017-11-03 | 2019-05-1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Heat Stress Relief System Using Livestock House |
KR20190050410A (en)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Non-dilution ventilation system of pig house |
KR102002698B1 (en) * | 2017-11-03 | 2019-07-23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Heat Stress Relief System Using Livestock House |
KR102005553B1 (en) * | 2017-11-03 | 2019-07-30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Non-dilution ventilation system of pig house |
KR102433602B1 (en) * | 2022-02-25 | 2022-08-18 | 주식회사 신흥종합건설 | Pigpen Having Function of Reducing Od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2071Y1 (en) | Cow house | |
KR100388265B1 (en) |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 farm | |
US3601096A (en) | Ventilating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KR101677086B1 (en) | Weaning piglet house | |
KR100790345B1 (en) | Ventilator of Wuchang Pig | |
CN109874682B (en) | A sheep feeding and production system | |
CN109874691B (en) | An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sheep | |
KR100886447B1 (en) | Ventilation method and system of pig company | |
KR200441134Y1 (en) | Barn Exhaust and Ventilation | |
KR100980735B1 (en) | Pig ventilation system | |
Anderson | Biosecurity—a new term for an old concept: how to apply it | |
CN106234234A (en) | A kind of welfare animal house | |
KR200443163Y1 (en) | Exhaust and Ventilation of Container Houses | |
KR20090087271A (en) | Swine ventilation system | |
CN203968891U (en) | A kind of large-scale Continuous building type cowshed | |
Arcidiacono | Engineered solutions for animal heat stress abatement in livestock buildings. | |
KR20090002948U (en) | Calf breeding houses | |
CN209057758U (en) | A kind of novel nursery house | |
KR20020012085A (en) | Breeding cages for small animals | |
KR101075984B1 (en) | Livestock breeding houses | |
KR101001318B1 (en) | A clean piglet | |
RU174935U1 (en) | Small-sized reproducing pigsty | |
KR20200109078A (en) | A weaning room Weaned pig | |
Gooch | Role of Facility Design and Ventilation on Calf Health | |
RU123907U1 (en) | SYSTEM OF NATURAL VENTILATION OF SMALL SIZE PI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10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3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01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