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9933Y1 -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33Y1
KR200469933Y1 KR2020130000613U KR20130000613U KR200469933Y1 KR 200469933 Y1 KR200469933 Y1 KR 200469933Y1 KR 2020130000613 U KR2020130000613 U KR 2020130000613U KR 20130000613 U KR20130000613 U KR 20130000613U KR 200469933 Y1 KR200469933 Y1 KR 200469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oking
heater
heat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미연
Original Assignee
소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미연 filed Critical 소미연
Priority to KR2020130000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3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1)는 조리물(P)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벽(11)과, 하부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도록 돌출된 열전달부(12)로 이루어진 팬본체(10)와; 상기 팬본체(10)가 안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팬수용부(21)와, 상기 팬수용부(21)의 저면에 상기 열전달부(12)와 접촉되어 상기 팬본체(10)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측으로 발열되는 하측히터부(22)로 이루어진 조리기구본체(20)와;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발열되는 상측히터부(3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의 일측에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일측으로 굴곡지며 연결된 상측히터연결부(32)로 이루어진 상측가열부(30)로 구성되어 다양한 팬본체를 손쉽게 교체하고, 팬본체의 하부에 조리기구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조리기구본체의 안착된 팬본체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측가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입되는 회전연결수단을 형성하여 상측가열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조리기구본체에 하측히터조정부와, 상측히터조정부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조리방법을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Easy replacement of the cooking pan heat transfer Cookware }
본 고안은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리용 팬이 용이하게 교체되도록 팬본체의 하면과 조리기구본체의 히터부가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팬본체가 안착된 후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팬본체의 하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측가열부가 회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입된 회전연결수단이 형성되고, 다양한 조리방법을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측히터부와 상측히터부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히터조정부가 구비된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 조리기구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품으로서 일례로 국내특허등록 제10-779225호가 개시되었고, 이를 살펴보면 외부가 석영관으로 구성된 적외선 램프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상단에 설치된 조리용기과, 상기 적외선 램프의 하단에 설치된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고기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적외선 고기구이기는 적외선 램프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이 조리용기가 고기의 하부만을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열효율도 떨어진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314608호에는 석쇠 상부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근적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상부에는 반사판을 설치한 육류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육류구이기는 석쇠 위에 올려진 고기에 직접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고기를 굽기 때문에 육질 내부까지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육류구이기 역시 램프에서 발사되는 근적외선이 고기의 상부만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를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경우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익히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함께,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치어 적외선램프를 점등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전기료의 증가에 의한 비용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열조리기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09-0006812호가 개시되었고, 이는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리용기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와, 상기 덮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향하여 복사열(R)을 방출하는 상부발열체와, 상기 조리용기의 하단면에 구성되어 조리용기에 직접적인 열을 전달하는 하부가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상부발열체로부터 조사되는 복사열과, 상기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에 의해 뜨겁게 가열되고, 음식물은 상기 상부발열체의 복사열과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동시에 익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발열체와 하부발열체에 의해 음식물의 상부와 내부를 익혀줌으로써, 종래의 일방향 조리기에 비하여 열효율이 우수하고, 특히 고기와 같은 구이용 음식물을 계속 뒤집어 주지 않아도 태우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연기나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가열 조리기의 경우 하부발열체의 상단에 올려진 조리용기를 세척하기 위해 분리하거나 또는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의 상단에 올려놓을 때, 상부발열체를 하부발열체와 연결되는 지지대로부터 분리하여야만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에 올려놓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리용기의 결합구조가 상기 조리용기의 내측 중앙에 통공된 관통홀을 상기 지지대의 상부측으로부터 인입하여 끼우는 끼움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조리용기를 하부발열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할 때 필수적으로 상부발열체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저하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발열체에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구조상의 유리한 점에도 불구하고 구이용이나 찌개용 또는 전골용과 같이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조리 용기를 교체하거나 혹은 조합된 용기들을 동시에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기구본체의 상부에 팬본체를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팬본체의 하부를 손쉽게 가열할 수 있어 다양한 팬본체를 손쉽게 교체하고, 팬본체의 하부에 조리기구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조리기구본체의 안착된 팬본체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측가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입되는 회전연결수단을 형성하여 상측가열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조리기구본체에 상기 하측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하측히터조정부와, 상기 상측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상측히터조정부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조리방법을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는 조리물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는 전열 조리기구로서 상기 조리물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벽과, 하부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도록 돌출된 열전달부로 이루어진 팬본체와; 상기 팬본체가 안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팬수용부와, 상기 열전달부와 접촉되어 상기 팬본체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팬수용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발열되는 하측히터부로 이루어진 조리기구본체와;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발열되는 상측히터부와, 상기 상측히터부의 일측에서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일측으로 굴곡지며 연결된 상측히터연결부로 이루어진 상측가열부와; 상기 하측히터부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하측히터조정부와, 상기 상측히터부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상측히터조정부와, 상기 전열 조리기구의 메인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부로 이루어진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상측히터연결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가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천공되는 회전연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연결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공에 요입된 상측히터연결부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공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관통되는 조절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중심면에는 상기 팬본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팬본체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팬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에 요입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의 중심면에는 구이조리시 생성된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기름제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제거공의 상부에는 상기 기름제거공을 밀폐시키는 기름공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본체의 상부에는 구이조리가 마무리된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그릴형상의 구이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팬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구이받침대가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받침대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으로 유입된 기름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기름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기름받이부가 안착되어 요입될 수 있도록 기름받이요입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리기구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하측히터부에 접촉되는 열전달부를 상기 팬본체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팬본체를 조리기구본체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팬본체의 하부를 손쉽게 가열할 수 있어 다양한 팬본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둘째, 조리기구본체에 형성된 팬본체고정공에 요입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팬본체의 하부에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조리기구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팬본체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셋째, 팬본체의 상부를 가열하는 상측가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조리기구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요입되는 회전연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팬본체에 조리물을 올려놓거나 팬본체를 교체할 경우 상기 상측가열부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회전연결수단에 형성된 연결공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절개부와 조절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측가열부가 상기 팬본체의 상부를 가열할 경우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조리기구본체에 상기 하측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하측히터조정부와, 상기 상측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상측히터조정부를 개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 알맞은 조리방법을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조리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조리기구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조리기구의 다른 각도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조리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 조리기구의 결합된 것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P)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는 전열 조리기구(1)로서, 상기 조리물(P)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벽(11)과, 하부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도록 돌출된 열전달부(12)로 이루어진 팬본체(10)와; 상기 팬본체(10)가 안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팬수용부(21)와, 상기 열전달부(12)와 접촉되어 상기 팬본체(10)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팬수용부(21)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발열되는 하측히터부(22)로 이루어진 조리기구본체(20)와;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발열되는 상측히터부(3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의 일측에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일측으로 굴곡지며 연결된 상측히터연결부(32)로 이루어진 상측가열부(30)와; 상기 하측히터부(22)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하측히터조정부(4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상측히터조정부(42)와, 상기 전열 조리기구(1)의 메인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부(43)로 이루어진 조절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측히터연결부(32)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가열부(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공(33a)이 천공되는 회전연결수단(3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측히터부(22)는 상기 팬본체(10)의 하부면에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다수회 만곡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팬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열전달부(12)는 상기 하측히터부(22)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측히터부(22)는 다수회 만곡되는 것이 용이하고 고온의 열이 발생되도록 스테인레스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수단(33)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공(33a)에 요입된 상측히터연결부(32)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된 절개부(33b)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3b)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공(33a)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관통되는 조절볼트(33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33b)는 상기 조절볼트(33c)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공(33a)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절볼트(33c)의 회전으로 상기 연결공(33a)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볼트(33c)가 관통되는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중심면에는 상기 팬본체(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팬본체고정공(23)이 형성되고, 상기 팬본체(10)의 하면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23)에 요입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팬본체고정공(23)은 상기 결합돌기(13)가 요입된 후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3)의 중심면에는 구이조리시 생성된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기름제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제거공(14)의 상부에는 상기 기름제거공(14)을 밀폐시키는 기름공마개(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기름공마개(15)는 합성수지재와 같은 탄성력이 구비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본체(10)의 상부에는 구이조리가 마무리된 조리물(P)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그릴형상의 구이받침대(16)가 구비되고, 상기 팬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구이받침대(16)가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받침대결합구(1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이받침대(16)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배열된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이조리가 마무리된 조리물(P)에서 생성된 기름을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23)으로 유입된 기름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기름받이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하면에는 상기 기름받이부(24)가 안착되어 요입될 수 있도록 기름받이요입턱(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름받이요입턱(25)은 상기 박스형의 기름받이부(24)가 용이하게 요입되도록 "∪"형상으로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 및 전골 등으로 조리된 조리물(P)이 가열되도록 상부와 하부에서 열이 발생되는 전열 조리기구(1)로서, 상기 조리물(P)이 수용된 팬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서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조리물(P)을 손수 뒤집는 작업이 불필요한 전열 조리기구이다.
즉, 상기 조리물(P)이 수용된 팬본체(10)의 하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면에 구비된 하측히터부(22)에 접촉되는 열전달부(12)를 상기 팬본체(10)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팬본체(10)를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에 형성된 팬본체고정공(23)에 요입되는 결합돌기(13)를 상기 팬본체(10)의 하부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팬본체(1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물(P)이 수용된 팬본체(10)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일측으로 굴곡진 상측히터연결부(32)에 연결된 상측가열부(30)로 인하여 상기 팬본체(10)에 수용된 조리물(P)의 상면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히터연결부(32)의 일측에 상기 상측가열부(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입되는 회전연결수단(3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팬본체(10)에 조리물(P)을 올려놓거나 상기 팬본체(10)를 교체할 경우 상기 상측가열부(30)가 걸리적거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팬본체(10)에 조리물(P)을 올려놓거나 상기 팬본체(10)를 교체할 경우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상기 상측가열부(30)에 피부가 접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수단(33)의 일측에 절개된 절개부(33b)와, 상기 연결공(33a)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조절볼트(33c)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공(33a)에 요입된 상측히터연결부(32)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에 상기 하측히터부(22)의 온도를 조절하는 하측히터조정부(4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의 온도를 조절하는 상측히터조정부(42)를 개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조리물(P)을 조리할 경우 알맞은 조리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3)의 중심면에 구이조리시 생성된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기름제거공(14)이 형성되어 구이조리에 맞는 조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름제거공(14)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기름제거공(14)에 요입되는 기름공마개(15)가 구비되어 전골과 같은 국물이 존재하는 조리방법에 맞도록 선택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와이어가 배열되는 그릴형상으로 형성된 구이받침대(16)로 인하여 구이조리시 마무리된 조리물(P)을 더 이상 가열되지 못하도록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조리물(P)에서 생성되는 기름을 하측으로 떨어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하부에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기름받이부(24)를 구비함으로써, 구이조리시 생성되는 기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열 조리기구 10 : 팬본체
11 : 수용벽 12 : 열전달부
13 : 결합돌기 14 : 기름제거공
15 : 기름공마개 16 : 구이받침대
17 : 받침대결합구 20 : 조리기구본체
21 : 팬수용부 22 : 하측히터부
23 : 팬본체고정공 24 : 기름받이부
25 : 기름받이요입턱 30 : 상측가열부
31 : 상측히터부 32 : 상측히터연결부
33 : 회전연결수단 33a : 연결공
33b : 절개부 33c : 조절볼트
40 : 조절부 41 : 하측히터조정부
42 : 상측히터조정부 43 : 메인전원부
P : 조리물

Claims (7)

  1. 조리물(P)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는 전열 조리기구(1)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P)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벽(11)과, 하부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도록 돌출된 열전달부(12)로 이루어진 팬본체(10)와;
    상기 팬본체(10)가 안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팬수용부(21)와, 상기 열전달부(12)와 접촉되어 상기 팬본체(10)에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팬수용부(21)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발열되는 하측히터부(22)로 이루어진 조리기구본체(20)와;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발열되는 상측히터부(3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의 일측과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일측에 굴곡지며 연결된 상측히터연결부(32)로 이루어진 상측가열부(30)와;
    상기 하측히터부(22)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하측히터조정부(41)와, 상기 상측히터부(31)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정하는 상측히터조정부(42)와, 상기 전열 조리기구(1)의 메인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부(43)로 이루어진 조절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측히터연결부(32)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가열부(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공(33a)이 천공되는 회전연결수단(3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연결수단(33)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공(33a)에 요입된 상측히터연결부(32)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된 절개부(33b)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33b)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공(33a)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관통되는 조절볼트(33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중심면에는 상기 팬본체(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팬본체고정공(23)이 형성되고, 상기 팬본체(10)의 하면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23)에 요입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3)의 중심면에는 구이조리시 생성된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천공된 기름제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제거공(14)의 상부에는 상기 기름제거공(14)을 밀폐시키는 기름공마개(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본체(10)의 상부에는 구이조리가 마무리된 조리물(P)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그릴형상의 구이받침대(16)가 구비되고, 상기 팬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구이받침대(16)가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받침대결합구(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팬본체고정공(23)으로 유입된 기름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기름받이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구본체(20)의 하면에는 상기 기름받이부(24)가 안착되어 요입될 수 있도록 기름받이요입턱(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2020130000613U 2013-01-24 2013-01-24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Expired - Lifetime KR200469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13U KR200469933Y1 (ko) 2013-01-24 2013-01-24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13U KR200469933Y1 (ko) 2013-01-24 2013-01-24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933Y1 true KR200469933Y1 (ko) 2013-11-14

Family

ID=5074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13U Expired - Lifetime KR200469933Y1 (ko) 2013-01-24 2013-01-24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3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687B1 (ko) 2014-03-12 2015-08-06 신영재 적외선 가열 조리기
WO2015137583A1 (ko) * 2014-03-12 2015-09-17 오다연 가열 조리기
WO2017023025A1 (ko) * 2015-07-31 2017-02-09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KR101712853B1 (ko)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KR101874333B1 (ko) * 2017-02-10 2018-07-04 자이글주식회사 양방향 가열조리기
KR101882166B1 (ko) *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553B1 (ko) * 1998-05-23 2000-12-15 설용석 다용도 피자구이팬
KR20020060884A (ko) * 2001-01-13 2002-07-19 이주엽 분리가능한 오븐겸용 프라이팬
KR20120004652U (ko) * 2012-06-08 2012-06-27 이진희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KR20120086907A (ko) * 2011-01-27 2012-08-06 김태수 구이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553B1 (ko) * 1998-05-23 2000-12-15 설용석 다용도 피자구이팬
KR20020060884A (ko) * 2001-01-13 2002-07-19 이주엽 분리가능한 오븐겸용 프라이팬
KR20120086907A (ko) * 2011-01-27 2012-08-06 김태수 구이판
KR20120004652U (ko) * 2012-06-08 2012-06-27 이진희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687B1 (ko) 2014-03-12 2015-08-06 신영재 적외선 가열 조리기
WO2015137583A1 (ko) * 2014-03-12 2015-09-17 오다연 가열 조리기
WO2017023025A1 (ko) * 2015-07-31 2017-02-09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KR101712853B1 (ko)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KR101874333B1 (ko) * 2017-02-10 2018-07-04 자이글주식회사 양방향 가열조리기
JP2018126513A (ja) * 2017-02-10 2018-08-16 ザイグ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両方向加熱調理器
WO2018147639A1 (ko) * 2017-02-10 2018-08-16 자이글주식회사 양방향 가열조리기
KR101882166B1 (ko) *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92B1 (ko)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JP5317143B2 (ja) 両方向加熱調理器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20120030119A (ko) 조리구이판이 이동되는 조리용기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50000697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WO2015160179A1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73713Y1 (ko) 휴대용 그릴
CN104274065B (zh) 多功能炊具
KR101541482B1 (ko)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KR100655907B1 (ko)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120017341A (ko) 전기 그릴
KR20110003992U (ko) 상하 조절이 가능한 반사판을 구비한 직화형 요리기기의 뚜껑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200494746Y1 (ko) 탈부착형 기름받이가 구비된 전기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1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1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