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8716Y1 - 접이식 선반 - Google Patents

접이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16Y1
KR200468716Y1 KR2020110006000U KR20110006000U KR200468716Y1 KR 200468716 Y1 KR200468716 Y1 KR 200468716Y1 KR 2020110006000 U KR2020110006000 U KR 2020110006000U KR 20110006000 U KR20110006000 U KR 20110006000U KR 200468716 Y1 KR200468716 Y1 KR 200468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shelf
pi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227U (ko
Inventor
이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씨
Priority to KR2020110006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1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 벽체에 붙임으로써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벽체(W) 상에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핀(1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3)의 하부에는 록킹핀(15)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1); 물품을 얹힐 수 있는 패널(P); 상기 패널(P)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브래킷(1)에 인접한 지점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핀(13)이 끼워지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17)이 타공되며 상기 록킹핀(15)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9)이 원호형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회동브래킷(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록킹핀(13)이 상기 걸림턱(19)에 걸릴 경우에 선반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선반{Foldable Shelf}
본 고안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위 또는 아래로 접어 벽체에 붙임으로써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각종 소품을 진열 또는 임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변에서 널리 사용된다.
선반은 보통 벽체에 설치되는데, 선반이 설치되면 벽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 구조물이 생기게 되며 불가피하게 해당 부분의 공간이 선반에 의해 점유되게 마련이다. 또한 선반을 가끔씩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상 선반을 설치하고 있어야 한다면 이는 분명 불편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을 설치하다가도 필요한 경우 선반을 해체할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목적은 선반을 편리하게 해체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더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접이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벽체(W) 상에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핀(1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3)의 하부에는 록킹핀(15)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1); 물품을 얹힐 수 있는 패널(P); 상기 패널(P)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브래킷(1)에 인접한 지점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핀(13)이 끼워지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17)이 타공되며 상기 록킹핀(15)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9)이 원호형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회동브래킷(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록킹핀(13)이 상기 걸림턱(19)에 걸릴 경우에 선반과 같은 받침판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널(P)이 고정브래킷(1)을 중심으로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17)의 원호각(a)은 160°~ 190°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래킷(1)은 고정프레임(5)을 매개로 상기 벽체(W)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기 벽체(W)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형강 구조로서, 상기 벽체(W)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7)와 상기 베이스부재(7)에 암수방식으로 결합되는 캡부재(9)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선반을 설치하다가도 필요한 경우 선반을 편리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해체된 선반을 분리해서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책받침대, 보면대 또는 인테리어 용품 등 다용도로 활용하거나 실내 인테리어를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위 또는 아래로 편리하게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선반(내지 받침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선반의 설치상태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선반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선반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선반의 일부 분해 저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의하면 선반의 본체를 이루는 패널(P)이 벽체(W)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있다. 선반은 영업소, 일반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선반은 하나의 사용예이며 다른 용도로도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선반'이라는 용어 보다는 범용 받침판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지 선반이라고 상정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선반은 벽체(W)와 패널(P) 간의 연결관계에 의해 형성된다.
한쌍으로 구성된 고정브래킷(1)이 벽체(W) 상에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한쌍으로 구성된 회동브래킷(3)이 패널(P)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브래킷(1)에 인접한 지점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된다. 고정브래킷(1)과 회동브래킷(3)은 서로 겹쳐질 정도로 인접해 있다.
고정브래킷(1)은 벽체(W)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된 것처럼 고정프레임(5)을 매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프레임(5)은 벽체(W)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형강 구조이다. 고정프레임(5)은 벽체(W)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7)와 베이스부재(7)에 암수방식으로 결합되는 캡부재(9)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S)을 구비한다. 이 내부공간(S)을 이용하여 전기 또는 통신시설을 위한 전선 또는 케이블 등이 매입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5)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단위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단위 고정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는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끼움홈(11)이 마련된다. 고정브래킷(1)은 이 브래킷끼움홈(11)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높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다란 고정프레임(5)에는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1)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곧 고정프레임(5)의 연장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선반을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브래킷의 본체부(1a)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서 상부에는 가이드핀(1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되고, 가이드핀(13)의 하부에는 록킹핀(15)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된다.
회동브래킷(3) 역시 판재 형태로 되어 있다. 회동브래킷(3)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17)이 타공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17)에는 위에서 언급된 가이드핀(13)이 끼워진다. 이로써 회동브래킷(3)과 고정브래킷(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나아가 벽체(W)와 패널(P)이 연결되는 것이다. 가이드핀(13)으로는 리벳이 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것처럼 조립의 편리를 위해 볼트 또는 나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가이드공(17)의 원호각(a)은 160°~ 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에 이른다. 이것은 패널(P)이 고정브래킷(1)을 중심으로 180°의 각도로 유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P)은 벽체(W)에 대하여 도 2와 같이 위로 젖혀져 접힐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아래로 젖혀져 접힐 수도 있다.
회동브래킷(3)은 반원 형태의 금속 판재로 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중간 지점에는 걸림턱(19)이 벽체(W)를 향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19)은 반원 형태의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를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때에 따라 걸림턱(19)은 금속판재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선반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걸림턱(19)에는 앞에서 설명한 록킹핀(15)이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으며 이렇게 록킹핀(15)에 걸린 상태가 도 1에 도시되며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반이 설치된 상태, 즉 패널이 벽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록킹핀(15)은 걸림턱(19)에 걸리게 된다. 록킹핀(15)의 전단강도에 비례하여 선반의 허용하중이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패널(P)을 들어 올리게 되면 도 3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지점까지 이르게 되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지점부터는 가이드공(17)과 록킹핀(15)의 상관관계 및 패널의 무게중심에 의해 패널(P)이 자유낙하하기 시작하는 지점에 해당한다. 패널(P)은 이 지점부터 자유낙하하여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낙하하여 패널(P)이 안정적으로 벽체(W)에 기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원상복귀하고자 할 때에는 패널(P)을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약간 들어올린 다음 앞으로 젖히면 도 1 내지 도 2의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1의 상태에서 패널(P)을 밑으로 젖혀서 접고 싶을 때에는 패널(P)을 약간 들어 올리면서 벽체(W)쪽으로 밀어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지점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패널(P)의 끝은 잡고 내리면 패널은 무게중심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도 4의 상태가 된다.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2의 설치 상태로 하고자 할 때에는 패널(P)을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 앞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동브래킷(3)과 일체로 지지브래킷(21)이 연결되어 있다. 지지브래킷(21)은 강도향상을 위해 단면이 기역(ㄱ)자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패널(P)의 저면에는 보조 수납수단(예를 들어 CD 또는 DVD 꽂이)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패널(P)의 상면에는 소정의 문양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패널(P)을 위 또는 아래로 접음으로써 다른 형태의 수납공간으로 이용하든가 아니면 인테리어 수단(예: 거울, 액자 또는 서화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패널(P)은 고정프레임(5)을 따라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간격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화분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화분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 선반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브래킷의 고정부(1b)는 판재를 나사결합식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23)와 브래킷끼움홈(1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나사에 나사결합되는 납작한 형태의 압착편(25)을 포함한다. 고정나사(23)를 조이면 고정나사의 헤드와 압착편(25)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고정프레임(5)을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패널(P)의 두께 내지 폭 등은 도시된 것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5)으로 하여금 벽체(W)에 매립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걸림턱(19)의 개수를 늘이거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패널(P)의 설치 각도를 사용자가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패널(P)의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면 선반이 아니라 책받침대 또는 보면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당업자는 본 고안자가 제시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다. 선반이 아닌 다른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음이 분명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비단 선반에만 제한되지는 아니할 것이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 자체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고정브래킷 3 : 회동브래킷
5 : 고정프레임 7 : 베이스부재
9 : 캡부재 11 : 브래킷끼움홈
13 : 가이드핀 15 : 록킹핀
17 : 가이드공 19 : 걸림턱
21 : 지지브래킷 23 : 고정나사
25 : 압착편 W : 벽체
P : 패널 S : 내부공간

Claims (3)

  1. 벽체(W) 상에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핀(1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핀(13)의 하부에는 록킹핀(15)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1);
    물품을 얹힐 수 있는 패널(P);
    상기 패널(P)의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브래킷(1)에 인접한 지점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핀(13)이 끼워지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17)이 타공되며 상기 록킹핀(15)이 걸림될 수 있는 걸림턱(19)이 원호형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회동브래킷(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록킹핀(13)이 상기 걸림턱(19)에 걸릴 경우에 받침판으로서 기능하게 되며;
    상기 패널(P)이 고정브래킷(1)을 중심으로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17)의 원호각(a)은 160°~ 1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1)은 고정프레임(5)을 매개로 상기 벽체(W)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프레임(5)은 상기 벽체(W)에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형강 구조로서, 상기 벽체(W)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7)와 상기 베이스부재(7)에 암수방식으로 결합되는 캡부재(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KR2020110006000U 2011-07-01 2011-07-01 접이식 선반 KR200468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00U KR200468716Y1 (ko) 2011-07-01 2011-07-01 접이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00U KR200468716Y1 (ko) 2011-07-01 2011-07-01 접이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27U KR20130000227U (ko) 2013-01-09
KR200468716Y1 true KR200468716Y1 (ko) 2013-09-02

Family

ID=5135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00U KR200468716Y1 (ko) 2011-07-01 2011-07-01 접이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639A (zh) * 2020-07-25 2020-10-27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智能多功能调节式长枪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8548B1 (en) * 2015-04-09 2018-08-29 Modul-System HH AB A storage system
KR102406040B1 (ko) * 2017-08-17 202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재함 프론트 가드 일체형 캐리어 장치
KR102689576B1 (ko) * 2023-11-09 2024-07-29 김성일 보면대가 구비된 방음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734U (ko) * 2008-03-24 2009-09-29 윤관용 선반 고정장치
JP2010183966A (ja) 2009-02-10 2010-08-26 Terada Kinzoku Seisakusho:Kk 折畳み式棚受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734U (ko) * 2008-03-24 2009-09-29 윤관용 선반 고정장치
JP2010183966A (ja) 2009-02-10 2010-08-26 Terada Kinzoku Seisakusho:Kk 折畳み式棚受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639A (zh) * 2020-07-25 2020-10-27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智能多功能调节式长枪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27U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975B1 (en) Curtain rod bracket assembly
CA2446823C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olding an item in storage
US8136775B2 (en) Rack assembly
KR200468716Y1 (ko) 접이식 선반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7185865B1 (en) Tissue paper supporting assembly
US6212810B1 (en) Pole system for displaying picture frames
KR20120115055A (ko) 자동 윈치 걸이대
US20130306583A1 (en) Rack System
US8469427B1 (en) Drop ceiling title installation tool
KR200476266Y1 (ko) 선반용 브래킷
WO2007018597A2 (en) Item hanger
JP2010004961A (ja) 家具システム
KR200475185Y1 (ko) 파티션용 수납 걸이대
KR101918977B1 (ko) 다용도 선반지지장치
KR200447188Y1 (ko) 접이식 시스템선반
US20120055897A1 (en) Rack Assembly that can be Folded Partially
US7294775B1 (en) Drum support assembly
KR101483558B1 (ko) 벽선반 받침대
JP6888756B2 (ja) 表示パネル取付セット
JP6292661B2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
JP3103028U (ja) 展示パネル用ウォールフック伸縮ハンガー
KR101337443B1 (ko) 다용도 선반
JP3194620U (ja) 扇風機用スタンド
CN218978345U (zh) 一种免组装可折叠的金属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7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1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8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