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3558B1 - 벽선반 받침대 - Google Patents

벽선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58B1
KR101483558B1 KR1020130135712A KR20130135712A KR101483558B1 KR 101483558 B1 KR101483558 B1 KR 101483558B1 KR 1020130135712 A KR1020130135712 A KR 1020130135712A KR 20130135712 A KR20130135712 A KR 20130135712A KR 101483558 B1 KR101483558 B1 KR 10148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l
horizontal
horizontal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102013013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47B57/4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선반 받침대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지지축부(12)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16)이 마련되며 지지축부(12) 서로 간에는 연결부(14)로 일체 연결되어 구성되는 지지홀더(10)를 구비하고,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가 각각 리벳(20)을 통해 축결합하여 접힘이 이루어지게 하되,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홀더(10)의 연결부(14)에 갖는 양단부 걸림단(14a)에 각각 걸림되게 하면서 지지홀더(10) 양측 지지축부(12)의 상면을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평지지대(30)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결합되게 하고,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에는 마구리편(50)이 각각 끼움결합되게 구성하여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웬만한 하중에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게 하고, 평소 보관이나 운반 및 적재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선반 받침대{BRACKET FOR WALL SHELF}
본 발명은 벽선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사이즈의 벽선반 받침대를 제작하는데 수월하고 제작경비도 저렴하며 견고하고 간편하며 운반성도 좋은 조립형 벽선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에 선반을 간단하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주로 “ㄱ”자형으로된 한 쌍의 브라켓으로 된 받침대를 이용한다. 한 쌍의 브라켓이 서로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벽면에 못이나 앵커 볼트 등으로 고정한 후 전방 돌출된 브라켓 상부면에 받침판재를 얹어 체결 고정함으로써 선반의 설치가 완료된다.
“ㄱ”자형 벽선반 받침대의 일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82900호 “절첩되는 벽선반 받침대”가 있는데, 상기의 벽선반 받침대는 크고 작은 한 쌍의 지지대를 리벳으로 힌지 결합하여서 접고 펼 수 있도록 하여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시 벽선반 받침대에서의 변형 발생이 적도록 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절첩되는 벽선반 받침대는 사이즈별로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며, 리벳을 힌지 체결해야 하는 등과 같은 작업이 번거롭고 수반되며 또 지지대가 금속판재를 프레스 작업으로 성형제작함으로써 다소 고급스럽지 못한 외관을 갖는 단점도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67670호“조립형 벽선반 받침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벽선반 받침대를 제작하는데 수월하고 제작경비도 저렴하며, 견고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설치나 사용이 간편하며 운반성도 좋은 절곡형 벽선반 받침대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선반 받침대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지지축부(12)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16)이 마련되며 지지축부(12) 서로 간에는 연결부(14)로 일체 연결되어 구성되는 지지홀더(10)를 구비하고,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가 각각 리벳(20)을 통해 축결합하여 접힘이 이루어지게 하되,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홀더(10)의 연결부(14)에 갖는 양단부 걸림단(14a)에 각각 걸림되게 하면서 지지홀더(10) 양측 지지축부(12)의 상면을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평지지대(30)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결합되게 하고,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에는 마구리편(50)이 각각 끼움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선반 받침대를 제작함에 있어 다양한 사이즈를 수월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경비도 아주 저렴하다. 또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는 벽체에 고정 체결 후 틀어짐이 없고 웬만한 하중에도 견디는 등과 같은 견고성이 있으면서도 아주 간편하고 운반성도 좋고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벽선반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지지홀더에 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선반 받침대(2)는 지지홀더(10)를 매개로 선반을 안착할 수 있는 수평지지대(30)와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40)가 서로 “ㄱ”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벽선반 받침대(2)를 구성하는 지지홀더(10)는 상호 이격되어 대면하는 한 쌍의 지지축부(12)와 지지축부(12) 서로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14)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지지홀더(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좌우 한 쌍의 지지축부(12)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16)이 마련되며, 수용홈(16)에는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축부(12)에는 두 개의 조립축공(18)(19)이 형성되는바 그 중 하나의 조립축공(18)에는 수평지지대(30)가 축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조립축공(19)에는 수직지지대(40)가 리벳(20) 등으로 축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측에는 지지축부(12)의 조립축공(18)(19)에 대응하는 조립축공(32)(42)이 각각 형성된다.
지지홀더(10)의 연결부(14) 양 단부에는 걸림단(14a)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2)가 벽체(54)에 설치될 때 축결합된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내측면이 상기 걸림단(14a) 걸림되어 서로 간에 “ㄱ”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는 압출 방식에 의해 길게 형성되는 금속제 사각 파이프를 이용한다.
금속제 사각 파이프는 단면 “
Figure 112013102052974-pat00001
”형상이나 “
Figure 112013102052974-pat00002
”형상의 지지대에 비하여 그 구조상 선반의 하중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를 구성함에 있어 사각 파이프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어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금속제의 사각 파이프는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별로 벽선반 받침대를 얻을 수 있다.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에는 마구리편(50)이 끼움체결하여 미관을 보다 보기 좋게 마감처리 할 수 있다. 마구리편(50)은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 벽선반 받침대(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40)를 통하여 벽체(54)에 고정되고, 수평지지대(30)의 상부에는 물건들을 놓을 수 있는 선반(56)이 결합고정된다.
즉 벽선반 받침대(2)는 수직지지대(40)에 형성된 체결공(44)을 통해 앵커볼트나 체결못, 체결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52)로 체결함으로써 벽체(54)에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지지대(30)의 상부에는 체결공(34)을 통하여 선반(56)이 체결못, 체결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52)로 결합고정된다.
이때 지지홀더(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축부(12)에는 벽체(54)와 닿는 부분에 체결공(22a)을 갖는 날개편(22)을 일체로 직교 연장형성하여 체결공(22a)을 통해 체결부재(52)로 체결하면 벽선반 받침대(2)가 보다 견고하게 벽체(5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지지홀더(10)에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리벳(20)으로 축결합된 상태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는 지지홀더(10)의 조립축공(18)(19)에 각각 리벳(20)을 통하여 축결합되어 도면에 표기된 화살표와 같이 축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이 리벳(20)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포개져 부피가 적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보관이나 적재 및 운반성을 좋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지지홀더(10)에 축결합되어 리벳(20)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선회될 수 있도록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선회시 내측 모서리가 연결부(14)의 내측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한다.
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의 선회시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각 리벳(20)을 기준으로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의 내측 모서리까지의 거리(L1)를 연결부(14)의 걸림단(14a)까지의 거리(L2)보다 짧은 거리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별도로 깎아낼 필요없이 선회시에 연결부(14)에 걸림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포개져 부피가 적어지게 하기 위해 수평지지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시키고 수직지지대(40)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켰으나, 이와 반대로 수평지지대(30)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키고 수직지지대(40)를 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원하는 바대로 부피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2)를 구성함에 있어 수평지지대(30)는 수평을 이루도록 되어야 하여야 하지만, 수평지지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선반(56)에 여러 가지 무거운 물건을 얹으면 그 무게로 인하여 선반(56) 받침면이 전방으로 약간 낮아지는 경향과 작업 오차가 발생할 수가 있기에 제작 완성된 벽선반에 올려둔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 내에 리벳(20)으로 축결합되는 수평지지대(30)의 전방 선단부가 약간 상방으로 향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벽선반 받침대(2)가 벽체(54)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홀더(10)의 지지축부(12) 상부면이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축부(12) 상부면이 벽체(54)와 서로 이루는 각(θ)을 80∼89°가 되도록 형성하며, 이와 더불어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30)의 상부면도 이에 준하는 각도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수평지지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선반(56)의 선단부가 약간 상방으로 향하게 되면서 선반(56) 위에 올려진 물건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선반 받침대(2)는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를 구성함에 있어 사각 파이프로 구성함에 따라 물건의 하중에 더욱 강하게 버틸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사각 파이프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어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금속제의 사각 파이프는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별로 벽선반 받침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선반 받침대(2)는 리벳(20)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포개어 부피를 줄여 적재나 운반성이 좋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벽선반 받침대 (10)--지지홀더
(12)--지지축부 (14)--연결부
(14a)--걸림단 (16)--수용홈
(18)(19)--조립축공 (20)--리벳
(22)--날개편 (22a)--체결공
(30)--수평지지대 (32)--조립축공
(34)--체결공 (40)--수직지지대
(42)--조립축공 (44)--체결공
(50)--마구리편 (52)--체결부재
(54)--벽체 (56)--선반

Claims (4)

  1. 벽선반 받침대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지지축부(12)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용홈(16)이 마련되며 지지축부(12) 서로 간에는 연결부(14)로 일체 연결되어 구성되는 지지홀더(10)를 구비하고,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가 각각 리벳(20)을 통해 축결합하여 접힘이 이루어지게 하되, 각 리벳(20)을 기준으로 수평지지대(30) 및 수직지지대(40)의 내측 모서리까지의 거리(L1)가 연결부(14)의 걸림단(14a)까지의 거리(L2)보다 짧은 거리가 되도록 구성하여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를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포개도록 할 때 원활한 선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홀더(10)의 연결부(14)에 갖는 양단부 걸림단(14a)에 각각 걸림되게 하면서 지지홀더(10) 양측 지지축부(12)의 상면을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평지지대(30)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결합되게 하고, 수평지지대(30)와 수직지지대(40)의 단부에는 마구리편(50)이 각각 끼움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선반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홀더(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축부(12)에는 벽체(54)와 닿는 부분에 체결공(22a)을 갖는 날개편(22)을 일체로 직교 연장형성하여 체결공(22a)을 통해 벽체(54)에 체결부재(52)로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선반 받침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벽선반 받침대가 벽체(54)에 고정설치시 지지홀더(10)의 지지축부(12) 상부면이 벽체(54)와 서로 이루는 각(θ)을 80∼89°가 되도록 형성하며, 지지홀더(10)의 수용홈(16)에 축결합되는 수평지지대(30)의 상부면도 이에 준하는 각도로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선반 받침대.
KR1020130135712A 2013-11-08 2013-11-08 벽선반 받침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712A KR101483558B1 (ko) 2013-11-08 2013-11-08 벽선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712A KR101483558B1 (ko) 2013-11-08 2013-11-08 벽선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558B1 true KR101483558B1 (ko) 2015-01-16

Family

ID=525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7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558B1 (ko) 2013-11-08 2013-11-08 벽선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684B1 (ko) 2022-02-22 2022-06-17 주식회사 오스카 원터치 방식으로 선반 등의 판체를 설치할 수 있는 판체 지지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70A (ko) * 2010-12-16 2012-06-26 이대훈 조립형 벽선반 받침대
KR20130068289A (ko) * 2011-12-15 2013-06-26 권재열 보강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갖는 벽선반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70A (ko) * 2010-12-16 2012-06-26 이대훈 조립형 벽선반 받침대
KR20130068289A (ko) * 2011-12-15 2013-06-26 권재열 보강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갖는 벽선반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684B1 (ko) 2022-02-22 2022-06-17 주식회사 오스카 원터치 방식으로 선반 등의 판체를 설치할 수 있는 판체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245B2 (en) Storage shelf and transverse beam thereof
US20200337452A1 (en) Hollow panel furniture
US20140055018A1 (en) Sheet metal structure
US9226588B2 (en) Knockdown bed
US20080223799A1 (en) Storage Rack
US10302115B2 (en) Spring clip upright connection for rack shelving
US20170208947A1 (en) Shelf Supporting Beam Configuration for Shelving Apparatus
JP4117329B2 (ja) 天井板吊持用長尺材
US20140306079A1 (en) Fixing Plate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1483558B1 (ko) 벽선반 받침대
US20170051771A1 (en) Furniture and Shelving System
KR200484346Y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US9683374B2 (en) Floor panel
JP6915998B2 (ja) 壁材の取付具、壁構造、及び取付具の製造方法
US8910428B2 (en) Storage building and a roof panel system for use with storage buildings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EP2669207B1 (en) A system for creating a container and corresponding container
US9748891B2 (en)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solar panel
KR20130000227U (ko) 접이식 선반
KR101569402B1 (ko) 벽선반 받침대
JP3159142U (ja) 留付け金具
US10085555B2 (en) Table assembly
JP3166770U (ja) ロングスターター
CN106638979B (zh) 上墙挂件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