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1812B1 - 조립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12B1
KR101531812B1 KR1020150035202A KR20150035202A KR101531812B1 KR 101531812 B1 KR101531812 B1 KR 101531812B1 KR 1020150035202 A KR1020150035202 A KR 1020150035202A KR 20150035202 A KR20150035202 A KR 20150035202A KR 101531812 B1 KR101531812 B1 KR 10153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s
fastening
fixing
le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15003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받침하도록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로록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으로써, 테이블의 프레임을 완전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판을 고정시켜 사용되는 조립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복수의 다리(110)들; 상기 복수의 다리(110)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20); 및 상기 다리(110)와 상기 다리(110)에 인접되어 밀착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20)들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브라켓(1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체결공(133)이 형성된 제2평면부(132)와, 상기 제2평면부(13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절곡되어 일정길이를 형성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는 다리(110)의 일측이 밀착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밀착홈(137) 및 양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제2결합공(124)에 삽입되는 삽입편(1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테이블{Assembly type table}
본 발명은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받침하도록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으로써, 테이블의 프레임을 완전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읽거나 다양한 사무를 보기 위한 사무용 가구 중의 하나로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면서 옆면과 앞쪽을 막아주는 양쪽 측판 및 전면판이 결합된 기초적인 형태에서부터 서랍장이나 파일박스 등이 결합된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사무용 책상에는 여러 가지 사무용 기기들, 예컨대, 컴퓨터, 전화기, 팩스밀리, 복사기, 스탠드 등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사무용 기기들을 사용하기 위한 전선이나 전화선 등 다수의 전선들이 배선된다.
이와 같은 사무용 책상의 각각의 판은 보통 하나의 재질로 된 원판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게 되며, 최근에는 이동과 물류 보관 및 관리를 위하여 판을 부분별로 제작하여 조립 사용하고 있다.
이때, 조립하여 사용되는 책상은 크게 나무재질을 이용한 목재가구와 금속재질을 이용한 철재가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사무용 책상은 다수의 판이 서로 조립되면서 하나의 완성된 책상을 형성하게 되며, 조립하는데 있어서도 다수 판의 한쪽 단부에 길이방향의 레일을 구비하여 레일 간의 결합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크류 등과 체결부품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책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책상 또는 테이블 등은 단순히 각각의 구성품들을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는 단순함에 의해 견고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6921호(2003.06.18.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379283호(2014.03.28.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452452호(2014.10.2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받침하도록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으로써, 테이블의 프레임을 완전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판을 고정시켜 사용되는 조립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 상기 복수의 다리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다리와 상기 다리에 인접되어 밀착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들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단에 상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 및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제2결합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절곡되어 일정길이를 형성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는 다리의 일측이 밀착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밀착홈 및 양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삽입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리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소켓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형성된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다리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측면날개; 및 상기 평면부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상단 및 하단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의 삽입편은, 다리에 밀착되는 연결프레임을 잡아당기는 형식으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제2결합공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받침하도록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으로써, 테이블의 프레임을 완전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소켓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소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립형 테이블(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10) 상에 고정되는 상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어 물건을 받침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상판(20)은 사용목적 등에 따라 목재나 철재 또는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상판(20)을 받침하는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10)은 복수의 다리(110)와, 대응하는 상기 다리(110)들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프레임(120), 및 상기 다리(110)와 연결프레임(120) 사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110)는 상판(20)을 지면에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다리(110)의 상단 내측에는 고정브라켓(130)이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소켓(1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110)의 하단에는 바닥의 손상 또는 소음방지를 위한 고무와 같은 마감부재 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캐스터 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부재 등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마감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110)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각형의 테이블일 경우 4개소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테이블(1)의 형상에 따라 개수를 달리한다.
또한, 상기 다리(110)는 속이 빈 사각파이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프레임(120) 및 고정브라켓(130)과의 연결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목적 또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110)에는 고정브라켓(130)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수단인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소켓(140)은 상기 다리(110)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고정소켓(1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42)와, 상기 평면부(142)의 양측 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날개(144)와, 상기 평면부(142)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상단마감판(146), 및 상기 평면부(142)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하단마감판(148)으로 구성된다.
상기 평면부(142)에는 체결수단인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43)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공(143)은 상기 평면부(142)에 너트를 인서트로 일체화시켜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볼트가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측면날개(144)에는 리벳을 이용하여 다리(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145)이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접에 의한 융착 또는 직결볼트를 이용하는 등과 같이, 다리(110)에 고정소켓(14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소켓(140)은, 평면부(142)를 중심으로 양측 및 상, 하부에 형성된 측면날개(144)와, 상부 및 하부마감판(146)(148) 각각을 절곡시키고, 절곡된 부분에 의한 밀착부분을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일체화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다리(110)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대응하는 다리(110)들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다리(110)의 상단부와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다리(110)의 길이방향의 어느 위치에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다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공(122)은 볼트가 체결되도록 너트를 인서트로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또는 관통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판(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다리(110)에 연결프레임(1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공(124)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면에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다리(110)와 연결프레임(120)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평면부(132)와, 상기 제2평면부(132)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는 상단 및 하단절곡부(134)(136)로 구성된다.
상기 제2평면부(132)에는 체결수단인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체결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 및 하단절곡부(134)(136)는 상기 제2평면부(132)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이를 절곡시켜 고정브라켓(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 및 하단절곡부(134)(136) 각각에는 중앙에 다리(11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일정깊이 가지는 밀착홈(137) 및 양단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연결프레임(120)의 제2체결공(122)에 삽입되는 삽입편(13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형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리(110)의 상단에 고정소켓(140)을 삽입한 후 상기 고정소켓(140)의 측면날개(144)에 형성된 제1결합공(145)을 통해 리벳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110)에 상기 고정소켓(140)을 고정시킨다.
이후, 다리(110)를 기준으로 양단에 연결프레임(12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다리(110)와 연결프레임(120)의 내측에 고정브라켓(130)을 위치시켜,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124)에 고정브라켓(130)의 삽입편(138)을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밀착홈(137)에 다리(110)의 일측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리(110)의 일측에 밀착되는 연결프레임(120)의 일단은 도 9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다리(110)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밀착되는 연결프레임(120)의 끝단에 의해 버팀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밀착력에 의해 다리(11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수단인 볼트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제3체결공(133)에 삽입시키면, 상기 볼트는 다리(110)의 삽입공(112)을 통해 상기 다리(110)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소켓(140)의 제1체결공(143)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볼트를 상기 제1체결공(143)에 체결되도록 조임시키면, 상기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30)이 다리(11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삽입편(138)은 연결프레임(120)의 제2결합공(124)에 삽입된 상태임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다리(110)에 밀착되도록 유도한다.
이는,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삽입편(138)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20)의 제2결합공(124)에 비스듬히 삽입된 상태를 이루어 잡아당기는 형식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다리(110)에 연결프레임(120)이 확고하게 밀착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30)을 통해 다리(110)와 연결프레임(120)의 고정이 완료되어 프레임(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상판(20)을 안착시켜 체결수단인 볼트 또는 기타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프레임(10)에 상판(20)의 고정을 완료시켜, 테이블(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형 테이블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립형 테이블 10: 프레임
110: 다리 112: 삽입공
120: 연결프레임 122: 제2체결공
124: 제2결합공 130: 고정브라켓
132: 제2평면부 133: 제3체결공
134: 상단절곡부 136: 하단절곡부
137: 밀착홈 138: 삽입편
140: 고정소켓 142: 평면부
143: 제1체결공 144: 측면날개
145: 제1결합공 146: 상단마감판
148: 하단마감판 20: 상판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판을 고정시켜 사용되는 조립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복수의 다리(110)들;
    상기 복수의 다리(110)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20); 및
    상기 다리(110)와 상기 다리(110)에 인접되어 밀착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120)들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브라켓(130)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110)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상단에 상판(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122) 및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제2결합공(124)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체결공(133)이 형성된 제2평면부(132)와, 상기 제2평면부(13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서 절곡되어 일정길이를 형성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에는 다리(110)의 일측이 밀착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밀착홈(137) 및 양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제2결합공(124)에 삽입되는 삽입편(138)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110)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30)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소켓(1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소켓(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43)이 형성된 평면부(142);
    상기 평면부(14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다리(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145)이 형성되는 측면날개(144); 및
    상기 평면부(142)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상단 및 하단마감판(146)(14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삽입편(138)은,
    다리(110)에 밀착되는 연결프레임(120)을 잡아당기는 형식으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제2결합공(124)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
    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KR1020150035202A 2015-03-13 2015-03-13 조립형 테이블 Active KR10153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02A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3-13 조립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02A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3-13 조립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812B1 true KR101531812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202A Active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3-13 조립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40B1 (ko) 2018-06-15 2019-07-31 임광순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KR102350513B1 (ko) 2021-07-02 2022-01-11 이성민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KR20220147430A (ko) * 2021-04-27 2022-11-03 (주)케이가구 테이블 조립구조
KR200496854Y1 (ko) 2022-04-22 2023-05-16 이성민 조립식 가변테이블
KR20230157061A (ko) 2022-05-09 2023-11-16 (주)명지산업 테이블용 프레임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99B1 (ko) * 2006-04-06 2008-03-04 장용건 책상
KR20140121496A (ko) * 2013-03-27 2014-10-16 김선갑 조립식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99B1 (ko) * 2006-04-06 2008-03-04 장용건 책상
KR20140121496A (ko) * 2013-03-27 2014-10-16 김선갑 조립식 책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440B1 (ko) 2018-06-15 2019-07-31 임광순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KR20220147430A (ko) * 2021-04-27 2022-11-03 (주)케이가구 테이블 조립구조
KR102481232B1 (ko) 2021-04-27 2022-12-26 (주)케이가구 테이블 조립구조
KR102350513B1 (ko) 2021-07-02 2022-01-11 이성민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KR200496854Y1 (ko) 2022-04-22 2023-05-16 이성민 조립식 가변테이블
KR20230157061A (ko) 2022-05-09 2023-11-16 (주)명지산업 테이블용 프레임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1242050B1 (ko) 케이블트레이
KR102075150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앵글 조립체
KR101450476B1 (ko) 합성목재 패널 고정장치
JP5827437B1 (ja) 天板構造及びテーブル
KR20130000056U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CN112244548B (zh) 一种桌腿及其桌子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JP7027772B2 (ja) 天板の支持装置
JP5600126B2 (ja) 天板の連結構造
KR102059723B1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170011017A (ko) 앵글 무볼트 파일 선반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CN204245490U (zh) 桌子及其支撑结构
KR20200002318A (ko)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CN204071440U (zh) 落地屏风
KR101318967B1 (ko) 조립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KR20110088651A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가구
KR101421404B1 (ko) 컴퓨터 본체의 수납을 위한 책상용 하부 선반
JP2008104512A (ja) 天板の連結構造
KR101630263B1 (ko) 선반용 시스템 가구
KR101453844B1 (ko) 와이어 선반용 코너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