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8383Y1 -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83Y1
KR200468383Y1 KR2020110007617U KR20110007617U KR200468383Y1 KR 200468383 Y1 KR200468383 Y1 KR 200468383Y1 KR 2020110007617 U KR2020110007617 U KR 2020110007617U KR 20110007617 U KR20110007617 U KR 20110007617U KR 200468383 Y1 KR200468383 Y1 KR 200468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fire
plate
shutter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29U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이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2020110007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8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발생 시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과 유독가스 등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화셔터(100)의 슬랫(101)과 비상문(200)의 슬랫(201)의 경계선(L)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0)에 있어서,상기 잠금장치(10)의 플레이트(20)에는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를 수용하는 수용홈(20b)과; 상기 플레이트(20) 후방에는 장력조절부재(5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Fire the shutter lock system }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발생 시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염과 유독가스 등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로 분류된 백화점ㆍ대회의장ㆍ공항ㆍ체육관 등 넓은 공간에 부득이하게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설치하며, 방화셔터의 용도로는 방화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방화셔터에는 발화된 지역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비상문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비상문의 설치 조건은 통상 건축법시행령에 따라 비상문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 유효높이는 2M이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비상문 특징으로는 1000℃ 이상 넘는 온도에도 화재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야 한다.
또한, 비상문에 설치되는 자동잠금장치는 비상문 한 개소에 대략 30개가 넘게 설치되며, 설치되는 위치는 방화셔터의 슬랫과 비상문의 슬랫의 경계선에 배치하게 된다.
특히, 자동잠금장치는 화재가 발생되면 1000℃ 가 넘는 온도와 높은 압력에도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구조적 특징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화셔터의 비상문은 특허등록제0551633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비상자동잠금장치에는 걸림쇠가 조금 돌출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닫히면, 방화셔터에 설치된 브래킷은 사각 막대 형상인 걸림쇠의 곡면부를 가압하게 되고, 걸림쇠는 순간적으로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송된 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 이송되어 방화셔터의 브래킷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방화셔터의 비상문은 걸림쇠로 인하여 닫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 상태인 비상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인력에 의해 비상문을 밀어서 가압하는 경우 브래킷은 걸림쇠의 곡면부에 의해 점차 밀려나게 되고, 방화셔터의 브래킷은 걸림쇠의 곡면부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탈되므로 비상문이 개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높은 온도에 의해 자동잠금장치에 내부에 배치된 잠금부재가 용융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재 두께만큼 걸림쇠가 방화셔터 브래킷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열풍, 낙하물의 충격 및 방화셔터의 열 변형 등의 경우에도 개방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비상문 자동잠금장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높은 압력에도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탄력적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시된 종래의 자동잠금장치에는 이러한 것에 있어 취약한 부분이 적지 않게 있다 하겠다.
즉, 걸림쇠 단부에 형성된 전면 곡면부는 브래킷이 정방향으로 가압할 때 걸림쇠를 후진시켜 브래킷이 통과한 후 다시 걸림쇠가 돌출되어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수단이며, 걸림쇠 단부에 형성된 후면 곡면부는 비상문을 역방향으로 밀었을 때 걸림쇠가 후퇴하여 비상문이 열릴 수 있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 있어 후면 곡면부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수평면은 브래킷의 수평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압력에도 비상문이 개방되어 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이러한 자동잠금장치가 비상문 한 개소에 대략 30개가 넘게 설치되어 다고 가정할 때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쉽게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슬랫과 슬랫 사이의 공간이 넓고 그 공간에는 비상문의 브래킷과 방화셔터의 브래킷이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를 보면 통상의 슬랫 보다 폭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어 높은 압력이 가해질 때 자동잠금장치의 기능적 역할보다는 그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겠다.
또한, 종래 자동잠금장치는 덮개판 안내홈으로 걸리쇠가 안착되고 걸림쇠의 가이드구멍으로는 스토퍼가 삽입되며, 조정나사 덮개판 후방으로는 잠금부재와 와셔를 조정나사에 의해 결합된 형태이므로,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생산원가의 상승 및 그에 따른 판매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잠금장치 단부에는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면의 반은 방화셔터의 걸쳐지도록 하여 잠금부를 가지며,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내부에 잠금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플레이트 단부에는 장력조절부재가 배치되어 비상문의 잠금수단을 가능한 비교적 간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생산원가 및 판매가의 절감을 가져오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잠금장치(10)의 플레이트(20)에는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를 수용하는 수용홈(20b)과; 상기 플레이트(20) 후방에는 장력조절부재(50)가 배치되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잠금부재가 구면으로 되어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의 효과가 있으며, 플레이트 내부에 잠금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고, 플레이트 단부에는 장력조절부재가 배치되어 비상문의 잠금수단을 가능한 비교적 간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생산원가 및 판매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방화셔터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방화셔터에 설치된 상태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이 방화셔터와 비상문이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6 내지 7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상기와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100)의 비상문(200)에 설치되는 본 고안은 잠금장치(10)는 방화셔터(100)의 슬랫(101)과 비상문(200)의 슬랫(201)의 경계선에 배치되며, 잠금장치(10)는 플레이트(20)와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 및 장력조절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0) 양측면은 비상문(200)과 결합부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20a)이 형성되며, 플레이트(20)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0) 전방에는 비상문(200) 슬랫과 슬랫 사이의 공간(s)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20c)가 배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50)가 조립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구멍(20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40) 일측단부에는 축(41)에 결합되어 비상문이 개방할 때 회전하게 되는 롤러베어링(42)과 타측단부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50)가 체결되어 잠금부재(40)의 거리조정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리조절 나사구멍(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재(50) 전방은 나사봉(50a)으로 형성되고, 후방은 슬라이드봉(5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봉(50a)의 길이와 슬라이드봉(50b)의 길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잠금장치(10)는 비상문(20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경계선(L)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의 롤러베어링(42)의 돌출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잠금부재(40) 후방에 나사로 결합된 장력조절부재(50)를 원하는 거리만큼 좌/우 회전하면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구멍(20d)에서는 장력조절부재(50)의 슬라이드봉(50b)에 의해 장력조절부재(50)는 슬라이드 되고, 탄성부재(30)는 잠금부재(40)의 이동한 거리만큼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부재(40)의 거리를 조절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밀폐된 공간에서는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방화셔터(100)와 비상문(200)이 곡선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화재 현장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은 비상문(200)을 개방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문(200)을 화재의 반대방향으로 개방하면, 비상문(200)은 롤러베어링(42)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한 힘에 의해 롤러베어링(42)과 결합된 축(41) 및 잠금부재(40) 전체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탄성부재(30)가 후방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장력조절볼트(50)는 잠금부재(40)가 이동한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비상문(200) 한 개소에 대략 30개가 넘게 설치되어 있어도 구면인 롤러베어링(42)이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 등도 얼마든지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방화셔터 200: 비상문
10: 잠금장치 20: 플레이트
30: 탄성부재 40: 잠금부재
50: 장력조절부재

Claims (4)

  1. 방화셔터(100)의 슬랫(101)과 비상문(200)의 슬랫(201)의 경계선(L)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10)의 플레이트(20)에는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를 수용하는 수용홈(20b)과;
    상기 플레이트(20) 후방에는 장력조절부재(5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잠금부재(40) 전방에는 축(41)에 결합되어 비상문이 개방할 때 회전하게 되는 롤러베어링(42)과;
    상기 잠금부재(40) 후방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50)가 체결되어 잠금부재(40)의 거리조정을 할 수 있도록 천공된 거리조절 나사구멍(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 양측면은 비상문(200)과 결합부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천공된 체결공(20a)과;
    상기 플레이트(20) 내측에는 탄성부재(30)와 잠금부재(40)가 수용되는 수용홈(20b)과;
    상기 플레이트(20) 전방에는 비상문(200) 슬랫과 슬랫 사이의 공간(s)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20c)와;
    상기 플레이트(20) 후방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50)가 조립되어 장력조절부재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구멍(20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50) 전방은 나사봉(50a)으로 형성되고, 후방은 슬라이드봉(50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KR2020110007617U 2011-08-23 2011-08-23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68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17U KR200468383Y1 (ko) 2011-08-23 2011-08-23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17U KR200468383Y1 (ko) 2011-08-23 2011-08-23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29U KR20130001429U (ko) 2013-03-06
KR200468383Y1 true KR200468383Y1 (ko) 2013-08-09

Family

ID=5139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1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8383Y1 (ko) 2011-08-23 2011-08-23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386B1 (ko) * 2018-07-27 2023-05-18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KR102740235B1 (ko) * 2023-04-07 2024-12-10 (주)하이원플러스 방화문용 내화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29U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30B1 (ko)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US9309702B2 (en) Door latch structure
JP5991824B2 (ja) 扉用防火装置
KR100551633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US20120235428A1 (en) Device for preventing unauthorized opening of a door
KR200468383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20100004361A (ko)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JP2010007309A (ja)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1161768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2593689B1 (ko)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KR101024520B1 (ko) 건축물의 방범용 창문 위치 고정 구조
TWI736004B (zh) 建築物通風裝置
KR101142794B1 (ko) 방화셔터 비상도어 잠금장치
KR102094605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JPH08277684A (ja) 防火建具
KR101291773B1 (ko) 양개형 피난창문용 잠금장치
KR20210000058U (ko) 미닫이 창문의 외부 개방 방지장치
KR1008504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094193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0577980B1 (ko) 방화셔터용 역경첩
KR20250043315A (ko) 중량물 방화 도어 고정 시스템
KR200297292Y1 (ko) 미닫이 샤시문의 보조 잠금창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8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8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005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