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3689B1 -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689B1
KR102593689B1 KR1020230003374A KR20230003374A KR102593689B1 KR 102593689 B1 KR102593689 B1 KR 102593689B1 KR 1020230003374 A KR1020230003374 A KR 1020230003374A KR 20230003374 A KR20230003374 A KR 20230003374A KR 102593689 B1 KR102593689 B1 KR 10259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gs
frame
fire
expa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숙
Original Assignee
(주)중앙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중앙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0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화문틀(50)에 축설치되어 회동되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틀(50)에 좌측단부 상하단이 축설치되어 축회동되고 정면이 직사각링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측단면이 "┏┓"형상인 상단프레임(11)이 형성되고, 측단면이 "┗┛"형상인 하단프레임(12)이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좌측단프레임(13)이 형성되고, 평단면이 "┗┛"형상으로 정면 중심부에 도어핸들설치공(14a)을 갖는 우측단프레임(14)이 형성되는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외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 내측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 외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외측포켓요부(25a)를 갖는 외측수직문판(25)이 형성되고, 외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외측난연폼(2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 외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27b,28b)와 너트(27c,2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7a,2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상하단프레임(11,12)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27,28)이 각각 형성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수직대칭되게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측에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 내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 내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내측포켓요부(35a)를 갖는 내측수직문판(35)이 형성되고, 내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내측난연폼(3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내측날개(21,22) 내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37b,38b)와 너트(37c,3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37a,3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상하단프레임(11,12)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37,38)이 각각 형성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 및 상기 와측슬라이딩확장문(20)의 외측난연폼(26)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의 내측난연품(36)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기립된 직사각판형의 실리카 주름포로 형성된 튜브체로, 일측에는 내부로 부동액(42)을 주입시켜 충전시키는 부동액주입구(43)가 형성되고, 상하단면과 좌우측단면에는 열기에 의해 신축되는 선단신축주름(41)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열기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4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 사이에 위치되어 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을 구비하여 실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내부적으로 확장되면서 열기를 자체 소멸시킴에 따라 화재시 열기로 인한 열변형이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Fire-resistant fire door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 사이에 위치되어 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을 구비하여 실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내부적으로 확장되면서 열기를 자체 소멸시킴에 따라 화재시 열기로 인한 열변형이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는 상황에서 아파트 및 빌딩 등의 고층 건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건물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인명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상구와 방화문의 설치가 의무화 되고, 또한 완강기 등 각종 대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완강기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극히 적으므로, 완강기를 통한 대피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비상구의 경우에는 화재시 굴뚝의 역할을 하여 매연과 유독가스가 차게 되므로, 비상구를 통한 대피도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종래 공동 주택의 발코니 또는 고층 건물의 내부에 화재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이 소방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대피할 수 있는 화재 대피실이 알려져 있다.
이런 화재 대피실은 공동 주택의 발코니나 또는 고층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방면 둘레와 상하부가 차단되어 있는 대피실과,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대피실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방화문과, 대피실 안에 대피한 사람들이 사다리차를 통해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대피실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출구문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 대피실의 내부로 사람이 대피한 다음, 입구측의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실내로 확산되는 화염의 열기와 유독가스가 방화문을 통해 빠르게 전도된 다음, 이 전도열이 바로 대피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에서 확산되는 화염의 열기와 유독가스가 대피실의 내부로 빠르게 유입됨에 따라 대피실 내부에 유독가스가 차고, 또한 대피실의 내부온도가 단시간에 상승됨으로써, 대피자가 고열로 인하여 화상을 입거나, 유독가스로 인하여 질식사고를 입게 된다.
이렇게 공동 주택의 실내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공동 주택의 실내와 연통되게 대피실(10)에 형성되어 입구의 역할을 하는 차열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차열 방화문(1)은 상기 대피실(10)의 입구 개방부(20)에 설치되는 문틀(2)과; 상기 문틀(2)의 내부와 외측에 다수의 일측 경첩부(4)로 연결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문(3)과; 상기 문(3)의 타측과 문틀(2)의 타측에 구비되어 문(3)을 닫는 잠금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문(3)의 외측판(33)은 고온이 열기의 접촉으로 인하여 양측 단부가 양측으로 신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서 중앙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수단(5)은 조작을 통해 문(3)을 내측으로 당겨주어 문(3)을 닫은 당김 잠금부(51)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잠금부(51)는, 상기 문틀(2)의 타측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부 누름경사면(522)과 중간 삽입홈(523)으로 구성되는 당김캠면(521)에 형성되며 내측의 상부에서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는 돌출캠부(52)와, 상기 문(3)의 타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종방향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내,외측 회전노브(531)(532)를 가지는 손잡이부(53)와, 상기 내측 회전노브(531)의 둘레에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회전노브(531)나 외측 회전노브(53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당김캠면(521)에 밀착 상승되어 문(3)의 내측으로 당겨주면서 상기 중간 삽입홈(523)에 삽입되는 회전 당김축(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이 특허등록 제10-1585378호(2016.01.22. 공고)로 개시된 바, 화재 발생시 문을 구성하는 외측판의 양측 신장을 방지하여 문의 양측 단부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문의 양측 단부에서 유독가스가 대피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틈을 방지함으로써, 대피자의 질식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런 종래 선행기술은, 방화문의 내화성이 떨어지므로, 실내에서 확산되는 화염의 열기로 인하여 방화문이 손상되거나 또는 변형됨에 따라 대피자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고, 또한 방화문을 통해 대피실의 내부로 전달되는 고온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므로, 대피자들이 화상을 입거나 인명피해를 입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 주택에서 화재 대피실(100)의 입구에 설치되는 방화문(10)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10)에 내장 설치되는 차열단열재(20); 상기 방화문(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열단열재(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차열공간부(30); 상기 차열단열재(20)와 차열공간부(30)의 외부로 감싸는 외장패널(40); 상기 차열단열재(20)와 차열공간부(30) 및 외장패널(4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대피실(100)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50);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공간부(30)는 금속 철판을 사용하여 직사각의 밀폐된 공간으로 구성되고, 방화문(10)의 내부에서 차열단열재(20)의 실내측 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공간에 황토분말 또는 점토분말 중에서 어느 하나를 넣어 설치되고, 상기 외장패널(40)은 전면부에 수직상으로 팽창부(41)가 형성되며, 상기 팽창부(41)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장패널(40)의 전면부에 미세한 크기로 차열돌기(4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차열돌기(42)는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이 특허등록 제10-2061008호(2020.01.08.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은, 방화문(10)의 내부에 내화성 차열단열재(20)가 내장되고, 차열단열재(20)의 전면에 차열공간부(30)가 구성됨으로써 방화문(10)의 내화성을 높일 수 있고 유독가스를 차단하여 대피자들의 질식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반면에, 실제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외장패널의 열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높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85378호(2016.01.22. 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61008호(2020.01.0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 사이에 위치되어 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을 구비하여 실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내부적으로 확장되면서 열기를 자체 소멸시킴에 따라 화재시 열기로 인한 열변형이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방화문틀(50)에 축설치되어 회동되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틀(50)에 좌측단부 상하단이 축설치되어 축회동되고 정면이 직사각링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측단면이 "┏┓"형상인 상단프레임(11)이 형성되고, 측단면이 "┗┛"형상인 하단프레임(12)이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좌측단프레임(13)이 형성되고, 평단면이 "┗┛"형상으로 정면 중심부에 도어핸들설치공(14a)을 갖는 우측단프레임(14)이 형성되는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외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 내측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 외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외측포켓요부(25a)를 갖는 외측수직문판(25)이 형성되고, 외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외측난연폼(2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 외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27b,28b)와 너트(27c,2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7a,2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상하단프레임(11,12)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27,28)이 각각 형성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수직대칭되게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측에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 내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 내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내측포켓요부(35a)를 갖는 내측수직문판(35)이 형성되고, 내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내측난연폼(3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내측날개(21,22) 내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37b,38b)와 너트(37c,3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37a,3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상하단프레임(11,12)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37,38)이 각각 형성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 및
상기 와측슬라이딩확장문(20)의 외측난연폼(26)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의 내측난연품(36)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기립된 직사각판형의 실리카 주름포로 형성된 튜브체로, 일측에는 내부로 부동액(42)을 주입시켜 충전시키는 부동액주입구(43)가 형성되고, 상하단면과 좌우측단면에는 열기에 의해 신축되는 선단신축주름(41)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열기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40)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 사이에 위치되어 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을 구비하여 실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내부적으로 확장되면서 열기를 자체 소멸시킴에 따라 화재시 열기로 인한 열변형이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의 시공후 화재시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1)은, 공동주택의 방화문틀(50)에 축설치되어 회동되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으로,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과, 부동액확장튜브틀(40)로 구성된다.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은, 상기 방화문틀(50)에 좌측단부 상하단이 축설치되어 축회동되고 정면이 직사각링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측단면이 "┏┓"형상인 상단프레임(11)이 형성되고, 측단면이 "┗┛"형상인 하단프레임(12)이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좌측단프레임(13)이 형성되고, 평단면이 "┗┛"형상으로 정면 중심부에 도어핸들설치공(14a)을 갖는 우측단프레임(14)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은,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외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 내측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 외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외측포켓요부(25a)를 갖는 외측수직문판(25)이 형성되고, 외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외측난연폼(2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 외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27b,28b)와 너트(27c,2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7a,2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상하단프레임(11,12)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27,2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은,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수직대칭되게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측에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 내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 내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내측포켓요부(35a)를 갖는 내측수직문판(35)이 형성되고, 내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내측난연폼(3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내측날개(21,22) 내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37b,38b)와 너트(37c,3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37a,3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상하단프레임(11,12)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37,3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부동액확장튜브틀(40)은, 상기 와측슬라이딩확장문(20)의 외측난연폼(26)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의 내측난연품(36)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기립된 직사각판형의 실리카 주름포로 형성된 튜브체로, 일측에는 내부로 부동액(42)을 주입시켜 충전시키는 부동액주입구(43)가 형성되고, 상하단면과 좌우측단면에는 열기에 의해 신축되는 선단신축주름(41)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열기 소멸시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열기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과,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 사이에 위치되어 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40)을 구비하여, 실제 화재시 화염의 고온 열기 또는 불길에 의해 부동액확장튜브틀(40)의 부동액(42)이 내부적으로 확장되면서 열기를 자체 소멸시킴에 따라 화재시 열기로 인한 열변형이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고, 이로 인해 확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방화문
10 :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
20 : 외측슬라이딩확장문
30 : 내측슬라이딩확장문
40 : 부동액확장튜브틀
50 : 방화문틀

Claims (1)

  1. 공동주택의 방화문틀(50)에 축설치되어 회동되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화문(1)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틀(50)에 좌측단부 상하단이 축설치되어 축회동되고 정면이 직사각링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 측단면이 "┏┓"형상인 상단프레임(11)이 형성되고, 측단면이 "┗┛"형상인 하단프레임(12)이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좌측단프레임(13)이 형성되고, 평단면이 "┗┛"형상으로 정면 중심부에 도어핸들설치공(14a)을 갖는 우측단프레임(14)이 형성되는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외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좌우측단수직외측날개(23,24) 내측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외측수평날개(21a,22a)와 좌우측단외측수평날개(23a,24a) 외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외측포켓요부(25a)를 갖는 외측수직문판(25)이 형성되고, 외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외측난연폼(2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 외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27b,28b)와 너트(27c,2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7a,2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외측날개(21,22)와 상하단프레임(11,12)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27,28)이 각각 형성되는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과 수직대칭되게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측에 수직기립된 프레임으로, 선단에는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의 상하단프레임(11,12)과 좌우측단프레임(13,14) 내부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기립되는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좌우측단수직내측날개(33,34) 내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내측수평날개(31a,32a)와 좌우측단내측수평날개(33a,34a) 내측단이 만나 수직절곡되어 수직면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내측포켓요부(35a)를 갖는 내측수직문판(35)이 형성되고, 내측포켓요부(25a)에 삽입되는 수직기립되는 판체인 내측난연폼(36)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호형상의 스프링판으로 상기 상하단수직내측날개(21,22) 내측면 중심측에 앵커볼트(37b,38b)와 너트(37c,38c)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37a,38a)을 각각 갖고 상하단수직내측날개(31,32)와 상하단프레임(11,12)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방화문확장레일프레임(10)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상하단복원탄발판스프링(37,38)이 각각 형성되는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 및
    상기 외측슬라이딩확장문(20)의 외측난연폼(26)과 내측슬라이딩확장문(30)의 내측난연품(36)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기립된 직사각판형의 실리카 주름포로 형성된 튜브체로, 일측에는 내부로 부동액(42)을 주입시켜 충전시키는 부동액주입구(43)가 형성되고, 상하단면과 좌우측단면에는 열기에 의해 신축되는 선단신축주름(41)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열기에 의해 확장되고 열기 소멸시 원위치되는 부동액확장튜브틀(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KR1020230003374A 2023-01-10 2023-01-10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Active KR10259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374A KR102593689B1 (ko) 2023-01-10 2023-01-10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374A KR102593689B1 (ko) 2023-01-10 2023-01-10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689B1 true KR102593689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374A Active KR102593689B1 (ko) 2023-01-10 2023-01-10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4388B1 (ko) 2024-09-24 2025-02-27 (주)보다 전기차 방화 차고의 방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78B1 (ko) 2015-05-18 2016-01-22 김정호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JP2016186164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フジタ 耐火扉
KR101794327B1 (ko) * 2017-01-04 2017-11-07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2061008B1 (ko) 2017-09-01 2020-01-08 배종옥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360322B1 (ko)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102454091B1 (ko) * 2021-12-02 2022-10-14 주식회사 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전고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473241B1 (ko) * 2022-05-01 2022-12-01 김성배 탈부착 가능한 방화 유리틀이 구비된 방화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6164A (ja) *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フジタ 耐火扉
KR101585378B1 (ko) 2015-05-18 2016-01-22 김정호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794327B1 (ko) * 2017-01-04 2017-11-07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KR102061008B1 (ko) 2017-09-01 2020-01-08 배종옥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360322B1 (ko) * 2021-05-21 2022-02-09 주식회사 건일씨엠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102454091B1 (ko) * 2021-12-02 2022-10-14 주식회사 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전고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473241B1 (ko) * 2022-05-01 2022-12-01 김성배 탈부착 가능한 방화 유리틀이 구비된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4388B1 (ko) 2024-09-24 2025-02-27 (주)보다 전기차 방화 차고의 방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681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774830B1 (ko)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JP6715728B2 (ja) 防火サッシ
KR101607895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의 차연 및 차열장치
JP6240546B2 (ja) サッシ窓用の換気装置及びサッシ窓
KR102593689B1 (ko)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565975B1 (ko) 방화 및 단열기능을 갖는 미서기 이중창호
CN113137166A (zh) 一种自堵缝防烟型安全防火门
KR102126939B1 (ko)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CN108952513A (zh) 一种铝合金断桥非隔热防火窗
CN211115578U (zh) 一种带有灭火装置的智能防火门
CN208236267U (zh) 一种隔热防火窗
CN209413771U (zh) 一种钢质隔热防火门
KR102447023B1 (ko) 방화 차열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마감재 구조체
KR20130024575A (ko)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KR20190088290A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CN208137785U (zh) 一种带逃生门的消防卷帘结构
KR100859583B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CN211422435U (zh) 一种具有密封结构的防火门
CN222436255U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防火卷帘门
CN213683807U (zh) 一种隔断效果好的高强度防火门
CN220815444U (zh) 一种防烧毁的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