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5695Y1 -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95Y1
KR200465695Y1 KR2020110006843U KR20110006843U KR200465695Y1 KR 200465695 Y1 KR200465695 Y1 KR 200465695Y1 KR 2020110006843 U KR2020110006843 U KR 2020110006843U KR 20110006843 U KR20110006843 U KR 20110006843U KR 200465695 Y1 KR200465695 Y1 KR 200465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wheelchair
shape
support plat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57U (ko
Inventor
강병혁
Original Assignee
강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혁 filed Critical 강병혁
Priority to KR2020110006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9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해에 의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가 간단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휠체어로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지지판의 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지지판이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지지판을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돌출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양 단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판의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와;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판과;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과; 상기 제2체결판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Getting on and off Lift of a car for patient or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본 고안은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에 의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가 간단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휠체어로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 등(이하 "장애인"이라 총칭함)과 같이 자력으로 차량에 탑승하기가 어려운 사람들을 승하차 시키기 위해서는 좁은 차량 내에서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보호자가 장애인을 안아 올려야 하므로 보호자에게 큰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의 수송 차량에는, 장애인을 차량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하차 시키기 위한 별도의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휠체어 안착부(1)와, 휠체어 안착부(1)를 차체 내부 또는 외부로 승하강시키는 휠체어 승하강부(2)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휠체어용 리프트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에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차량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서 차량을 개조하지 않고서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는 해체하기도 어려워 장애인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이 아닌 일반차량에서는 수요가 거의 없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에 의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함과 아울러 설치가 간단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은,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홀(102)(104)과;
상기 지지판(100)의 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지지판(100)이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지지판(100)을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돌출판(106)(108)(110)(112)(114)(116)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 양 단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판(100)의 가이드홀(102)(10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120)와;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판(122)과;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판(124)과;
상기 제1체결판(122)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상기 제2체결판(124)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은 분해가 간단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가 간단하여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휠체어로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승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해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차량의 실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차량운행시, 탑승객 또는 차량의 내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상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차량에 설치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에 휠체어가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은,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홀(102)(104)과;
상기 지지판(100)의 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지지판(100)이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지지판(100)을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고정수단(도시는 생략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돌출판(106)(108)(110)(112)(114)(116)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 양 단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판(100)의 가이드홀(102)(10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120)와;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판(122)과;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판(124)과;
상기 제1체결판(122)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상기 제2체결판(124)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와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20)는,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포 깨어질 때,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으로부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설치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홀(102)(104)과 돌출판(106)(108)(110)(112)(114)(116)과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120)를 구비한 지지판(100)을 일정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지지판(100)의 가이드홀(102)에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를 삽입시킨 후,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를 조정한다.
그리고, 지지판(100)의 가이드홀(104)에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20)를 삽입시킨 후,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20)를 조정한다.
그리고,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제1체결판(122)을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킴과 아울러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20)의 상면에 제2체결판(124)을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판(122)의 상면에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을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체결판(124)의 상면에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을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을 수용시킨 후,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을 수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설치과정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지지판(100)의 돌출판(106)(108)(110)(112)(114)(116)을 차량 내부의 바닥 면 상에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킨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의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상면과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상면 또는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의 상면과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의 상면으로 휠체어를 밀어올리거나 내린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지지판
102, 104 : 가이드홀
106, 108, 110, 112, 114, 116 : 돌출판
118, 120 :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
122 : 제1체결판
124 : 제2체결판
126 :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
128 :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
130 :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
132 :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

Claims (5)

  1.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홀(102)(104)과;
    상기 지지판(100)의 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지지판(100)이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지지판(100)을 차량 내부의 바닥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돌출판(106)(108)(110)(112)(114)(116)과;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 양 단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판(100)의 가이드홀(102)(10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120)와;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판(122)과;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판(124)과;
    상기 제1체결판(122)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상기 제2체결판(124)의 상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휠체어의 바퀴를 수용하고, 휠체어의 바퀴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18)와 "+"자 형상의 이탈방지부(120)는,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에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포 깨어질 때, 상기 지지판(100)의 상면으로부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과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과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과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미끄럼틀(126)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제2미끄럼틀(128)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제3미끄럼틀(130)의 내부에는,
    상기 "ㄷ"자 형상의 제4미끄럼틀(1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KR2020110006843U 2011-07-27 2011-07-27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KR200465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43U KR200465695Y1 (ko) 2011-07-27 2011-07-27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43U KR200465695Y1 (ko) 2011-07-27 2011-07-27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7U KR20130000857U (ko) 2013-02-06
KR200465695Y1 true KR200465695Y1 (ko) 2013-03-06

Family

ID=5135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43U KR200465695Y1 (ko) 2011-07-27 2011-07-27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2655A2 (en) 1986-07-09 1988-01-13 Metrocab Limited Passenger-carrying vehicles
US20050241083A1 (en) 2004-04-28 2005-11-03 Enable Access Foldable ram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0794551B1 (ko) 2007-04-09 2008-01-17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US20080028546A1 (en) 2004-05-10 2008-02-07 Kevin John Fullerton Brid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2655A2 (en) 1986-07-09 1988-01-13 Metrocab Limited Passenger-carrying vehicles
US20050241083A1 (en) 2004-04-28 2005-11-03 Enable Access Foldable ram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80028546A1 (en) 2004-05-10 2008-02-07 Kevin John Fullerton Bridging Device
KR100794551B1 (ko) 2007-04-09 2008-01-17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안전고정기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57U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6489B1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docking system
KR102599821B1 (ko) 천장식 환자 리프트 시스템을 위한 수용 모듈
JPWO2006067889A1 (ja)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と担架
KR101306104B1 (ko)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200465695Y1 (ko)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KR101764141B1 (ko) 차량용 휠체어 안전 고정장치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ES2688357T3 (es) Aparato de transporte para transportar una persona discapacitada o una persona con movilidad reducida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JP2010137982A (ja) 車いす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CN204978672U (zh) 轨道车辆
JP2013163467A (ja) トラック荷台への昇降装置
KR101423887B1 (ko)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JP6628538B2 (ja) 分離式昇降搬送車及び入浴装置
GB2447384A (en) Cassette Mounted Access Ramp
KR20050103461A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101157736B1 (ko) 램프작동장치
JP3698430B2 (j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KR200404817Y1 (ko) 승강장 안전도피 계단장치
KR20180083980A (ko) 차량의 휠체어 고정 장치
JP3207814U (ja) 水洗便器付き大型移動自動車。
JP201610200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15481A (ko) 차량 출입구 틈새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7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