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4245Y1 -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45Y1
KR200464245Y1 KR2020110004541U KR20110004541U KR200464245Y1 KR 200464245 Y1 KR200464245 Y1 KR 200464245Y1 KR 2020110004541 U KR2020110004541 U KR 2020110004541U KR 20110004541 U KR20110004541 U KR 20110004541U KR 200464245 Y1 KR200464245 Y1 KR 200464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handle
string
roll
kee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294U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2020110004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블라인드를 조절 끈들이 상호 엉키지 않고, 또는 별도의 조작 체인 등에 엉키지 않으면서 분리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 상기 제1 끈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 상기 제1 끈 및 제2 끈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 상기 끈 구속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와 끈 구속부재가 제2 끈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RD FOR A ROLL BLIND DEVICE}
본 고안은 롤 블라인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끈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두 가닥의 끈을 하나의 파이프형 끈 구속부재 내부로 통과시키고, 두 가닥의 끈 중 제1 끈의 끝단에는 제1 손잡이를 연결하며, 다른 하나의 제2 끈은 제1 손잡이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끼워서 그 끝단에 제2 손잡이를 연결시킴으로써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끈들이 상호 엉키지 않고, 또는 별도의 조작 체인 등에 엉키지 않으면서 분리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사무실 등에서 사생활보호, 채광, 난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커텐이나 윈도우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종래의 블라인드 시스템은 창문 등에 인접배치되어 실내를 차광시키는 블라인드 원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하나의 권취롤을 구비하며,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휠과 조작 체인을 구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 시스템은 소위 "싱글롤 블라인드 시스템"으로서, 창문에 인접 배치된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롤에 감아주게 되면, 블라인드 원단이 상부측으로 들리면서 창문을 개방하고, 투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롤로부터 풀어주게 되면, 블라인드 원단이 하부측으로 내려오면서 창문을 가리게 되어 실내를 차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싱글롤 블라인드 시스템"에서 조작 체인은 무한궤도형으로 일측에 늘어진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이러한 조작 체인들이 서로 얽혀서 연결됨으로써 블라인드 원단을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싱글롤 블라인드 시스템은 1장의 블라인드 원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입이므로,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다양하게 실내 공간을 차광시키거나 투광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된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복수의 상,하부롤(10,20)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롤(10,20)에는 각각 상단부가 고정되며, 폭이 일정한 투광부(P1)와 불투광부(P2)가 폭 방향 쪽에서 교호로 형성된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B1,B2)이 각각 배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제1 구동부(40)를 통해서 상,하부롤(10,20)에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B1)(B2)을 감거나 풀고, 제2 구동부(50)에 의해서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B1,B2)의 투광부(P1)와 불투광부(P2)가 각각 서로 겹치거나,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투광상태와 차광상태를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은 상,하부롤(10,20)에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B1,B2)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조작 체인(52)을 구비하고, 제1 블라인드 원단(B1)을 제2 블라이드 원단(B2)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켜서 불투광부(P2)가 서로 일치하여 겹치고 투광부(P1)가 일치하여 겹치는 투광상태로 조절하거나, 또는 불투광부(P2)와 투광부(P1)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광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조절 끈(62)을 상기 조작 체인(52)과는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작 체인(52)과 조절 끈(62)들은 각각 무한 궤도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 체인(52)은 체인형의 구조이고, 조절 끈(62)은 섬유 등을 꼬아서 이루어진 섬유사로 보통 이루어지며, 그 끝단에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롤러(64)가 매달려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의 경우, 무한궤도형으로 나란하게 늘어진 조작 체인(52)과 조절 끈(62)들이 서로 얽혀서 꼬이게 됨으로써 블라인드 원단(B1,B2)을 상,하부롤(10,20)에 감거나 풀어주는 작동을 어렵게 하고,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B1,B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절 끈들이 상호 엉키지 않고, 또는 조절 끈이 별도의 조작 체인 등에 엉키지 않도록 하여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블라인드의 개방 및 폐쇄 조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롤 블라인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끈 조정장치에 있어서,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
상기 제1 끈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
상기 제1 끈 및 제2 끈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
상기 끈 구속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와 끈 구속부재가 제2 끈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롤 블라인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끈 조정장치에 있어서,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
상기 제1 끈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
상기 제1 끈 및 제2 끈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
상기 끈 구속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와 끈 구속부재가 제2 끈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끈 구속부재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경은 제1 끈 및 제2 끈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크게 형성된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손잡이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들은 그 어느 일측에서 돌출된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끼움 공들에 압입 결합되어 제1 부재 및 제2 부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끈의 끝단은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그 내부에서 제1 끈 및 제2 끈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크게 형성된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손잡이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3 부재 및 제4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부재 및 제4 부재들은 그 어느 일측에서 돌출된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끼움 공들에 압입 결합되어 제3 부재 및 제4 부재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끈의 끝단은 매듭이 형성되고, 제3 부재 또는 제4 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으로 끼워져서 결합 고정되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손잡이는 결합 홈의 일측에 상기 제2 끈의 매듭보다 직경이 축소된 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목부에 인접하여 제2 끈의 매듭이 삽입가능한 삽입 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끈의 매듭은 삽입 공을 통해서 제2 손잡이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목부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제2 손잡이는 그 내부에 중량추가 내장되어 중량을 크게 형성하고, 증가된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끈을 하향으로 당겨서 항상 직선적으로 유지시키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에 의하면,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끈의 끝단에는 제1 손잡이를 연결하고,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2 끈은 상기 제1 손잡이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끼워서 그 끝단에 제2 손잡이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의 내부에는 중량추를 내장하여 상기 제2 끈을 하향으로 당기고, 항상 직선적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1 및 제2 끈들은 파이프 형상의 끈 구속부재내에서 상호 엉키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1 끈과 제2 끈 사이 및, 별도의 조작 체인 간에 서로 엉키지 않고, 항상 양호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블라인드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에서 불투광부와 투광부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광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에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조작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를 잡아당긴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에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조작하기 위하여 제2 손잡이를 잡아당긴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1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끈(110)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1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끈(110,120)은 종래의 조절 끈과는 다르게, 무한 궤도형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아니고, 각각 롤 블라인드 시스템(1)에 연결되어 제1 끈(110)을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제2 끈(120)을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
나아가, 제1끈(110)을 하향으로 당길 경우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끈(120)을 하향으로 당길 경우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는 상기 제1 끈(110) 및 제2 끈(120)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끈 구속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경(D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끈(110) 및 제2 끈(120)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크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는 상기 끈 구속부재(130)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110)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12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 손잡이(140)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1 부재(144a) 및 제2 부재(14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144a) 및 제2 부재(144b)들은 그 어느 일측에서 돌출된 다수의 끼움 돌기(150)들이,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끼움 공(148)들에 압입 결합되어 제1 부재(144a) 및 제2 부재(144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끈(110)의 끝단은 제1 부재(144a) 또는 제2 부재(144b)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152)에 일체로 결속되어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142)은 그 내부에서 제1 끈(110) 및 제2 끈(12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크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는 상기 제1 손잡이(14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120)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1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손잡이(160)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3 부재(164a) 및 제4 부재(16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부재(164a) 및 제4 부재(164b)들은 그 어느 일측에서 돌출된 다수의 끼움 돌기(168)들이,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끼움 공(170)들에 압입 결합되어 제3 부재(164a) 및 제4 부재(164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끈(120)의 끝단은 매듭(120a)이 형성되고, 제3 부재(164a) 또는 제4 부재(164b)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 홈(174)으로 끼워져서 결합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결합 홈(174)은 그 일측에 상기 제2 끈(120)의 매듭(120a)보다 직경이 축소된 목부(176a)를 형성하고, 상기 목부(176a)에 인접하여 제2 끈(120)의 매듭이 삽입가능한 삽입 공(176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끈(120)의 매듭(120a)은 결합 홈(174)의 삽입 공(176b)을 통해서 제2 손잡이(16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목부(176a)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 손잡이(160)는 그 내부에 중량추(180)가 내장되어 중량을 크게 형성하고, 증가된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끈(120)을 하향으로 당겨서 항상 직선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손잡이(140)를 하향으로 당기면(도 4의 실선 참조), 제1 손잡이(140)와 끈 구속부재(130)가 제2 끈(120)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160)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킨다(도 4의 점선 참조).
이와 같은 경우, 제1 끈(110)은 롤 블라인드 시스템(1)에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제1 끈(110)을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는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끈(110)이 제1 손잡이(140)에 의해서 당겨지면, 제1 끈(110)은 끈 구속부재(130)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제2 끈(120)은 제1 손잡이(140)의 관통구멍(142)과, 그 상부측의 끈 구속부재(130)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끈 구속부재(130)는 제1 손잡이(140)의 상부에서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강하여 그 하단이 제1 손잡이(140)의 상단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 손잡이(140)의 하향 당김에 의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손잡이(160)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140)와 끈 구속부재(130)가 제2 끈(120)을 따라서 상승하고, 제2 손잡이(160)가 하강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끈(120)은 롤 블라인드 시스템(1)에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제2 끈(120)을 하향으로 당기면, 롤 블라인드는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끈(120)이 제2 손잡이(160)에 의해서 당겨지면(도 5의 실선 참조), 제2 끈(120)은 끈 구속부재(130)와, 제1 손잡이(140)의 관통구멍(142)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제1 끈(110)은 끈 구속부재(130)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손잡이(140)를 상부측으로 당겨서 끈 구속부재(130)도 동시에 상승되도록 한다(도 5의 점선 참조).
따라서 제2 손잡이(160)의 하향 당김에 의해서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100)에 의하면,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끈(110)의 끝단에는 제1 손잡이(140)를 연결하고,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2 끈(120)은 상기 제1 손잡이(140)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끼워서 그 끝단에 제2 손잡이(16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160)의 내부에는 중량추(180)를 내장하여 상기 제2 끈(120)을 하향으로 당기고, 항상 직선적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손잡이(140)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2 손잡이(160)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제2 손잡이(160)를 당기면 제1 손잡이(140)가 제2 끈(120)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130)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고안에 구비된 제1 및 제2 끈(110,120)들은 파이프 형상의 끈 구속부재(130)내에서, 그리고 제1 손잡이(140)의 관통구멍(142) 내에서 상호 엉키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블라인드의 폐쇄 및 개방 작동중에, 종래의 싱글롤 블라인드 시스템(1)에서는 제1 끈(110)과 제2 끈(120) 사이에서 엉킴이 방지되고,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1)에서는 제1 끈(110)과 제2 끈(120) 사이에서 엉킴이 방지되면서, 동시에 제1 및 제2 끈(110,120)과 별도의 조작 체인(52) 간에 서로 엉킴이 방지되어, 항상 양호하게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블라인드를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본 고안이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싱글롤 블라인드 시스템에서 블라인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종래의 듀얼롤 블라인드 시스템 10,20: 상,하부롤
40: 제1 구동부 50: 제2 구동부
52: 조작 체인 62: 조절 끈
64: 롤러 100: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110: 제1 끈 120: 제2 끈
120a: 매듭 D1: 내경
130: 끈 구속부재 140: 제1 손잡이
142: 관통구멍 144a: 제1 부재
144b: 제2 부재 148: 끼움 공
150: 끼움 돌기 152: 고정 돌기
160: 제2 손잡이 164a: 제3 부재
164b: 제4 부재 168: 끼움 돌기
170: 끼움 공 174: 결합 홈
176a: 목부 176b: 삽입 공
180: 중량추 B1,B2: 제1 및 제2 블라인드 원단
P1: 투광부 P2: 불투광부

Claims (3)

  1. 롤 블라인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끈 조정장치에 있어서,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
    상기 제1 끈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
    상기 제1 끈 및 제2 끈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
    상기 끈 구속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와 끈 구속부재가 제2 끈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2. 롤 블라인드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끈 조정장치에 있어서,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끈;
    상기 제1 끈에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향으로 당겨서 롤 블라인드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끈;
    상기 제1 끈 및 제2 끈이 나란하게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끈 구속부재;
    상기 끈 구속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끈의 끝단이 내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끈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끈의 끝단이 내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여 제1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면 제1 손잡이와 끈 구속부재가 제2 끈을 따라서 하강하고, 제2 손잡이가 상승하면서 블레이드 원단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손잡이를 당기면 제1 손잡이가 제2 끈을 따라서 끈 구속부재와 함께 상승하여 블레이드 원단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끈 구속부재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손잡이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2 분할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끈의 끝단은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그 내부에서 제1 끈 및 제2 끈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KR2020110004541U 2011-05-25 2011-05-25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64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41U KR200464245Y1 (ko) 2011-05-25 2011-05-25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41U KR200464245Y1 (ko) 2011-05-25 2011-05-25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94U KR20120008294U (ko) 2012-12-05
KR200464245Y1 true KR200464245Y1 (ko) 2012-12-18

Family

ID=4751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4245Y1 (ko) 2011-05-25 2011-05-25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37Y1 (ko) 2001-03-02 2001-09-28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KR200237034Y1 (ko) 2001-04-20 2001-10-11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JP4832180B2 (ja) 2006-06-23 2011-12-07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操作コードの安全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37Y1 (ko) 2001-03-02 2001-09-28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KR200237034Y1 (ko) 2001-04-20 2001-10-11 김지웅 버티칼브라인드의 손잡이
JP4832180B2 (ja) 2006-06-23 2011-12-07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操作コードの安全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94U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07667A (zh) 設有阻力平衡機構的窗簾
US8807192B2 (en) Blind with multiple panels and controls
KR101716888B1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ES2631141T3 (es) Dispositivo de control y movimiento para mosquiteras, cortinas y similares
US8662136B2 (en) Anti-strangulation apparatus for, and hanging freely with, a looped cord of a window covering device
JP6144306B2 (ja) 横型ブラインド
US9249619B2 (en) Window covering
TWI638090B (zh) curtain
CA2777011A1 (en) Screen device
GB2517547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screen assembly
KR100817245B1 (ko) 롤블라인드 버티컬
US904593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CA2834099C (en) Cordless blind systems having cord enclosures with a swivel feature and methods of assembling such cord enclosures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130009939A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US8505607B2 (en) Window shade
JP6670540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0464245Y1 (ko) 롤 블라인드용 끈 조정장치
KR20130011342A (ko) 조정 줄을 갖는 블라인드의 어린이 안전장치
US8851140B2 (en) Window shade
JP2004027657A (ja) ブラインド開閉制御装置
JP7256244B2 (ja) 日射遮蔽装置
JP472927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JP2005105750A5 (ko)
JP6566632B2 (ja) 日射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5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2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