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1572Y1 - 향기나는 넥타이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72Y1
KR200461572Y1 KR2020100011631U KR20100011631U KR200461572Y1 KR 200461572 Y1 KR200461572 Y1 KR 200461572Y1 KR 2020100011631 U KR2020100011631 U KR 2020100011631U KR 20100011631 U KR20100011631 U KR 20100011631U KR 200461572 Y1 KR200461572 Y1 KR 20046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fragrance
perfume
operation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00U (ko
Inventor
강민준
배상태
Original Assignee
배상태
강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태, 강민준 filed Critical 배상태
Priority to KR2020100011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7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16Linings; 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향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한 넥타이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향기나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넥타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되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성되어 넥타이 정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주머니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향수를 수용하는 조작부;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의 연결공 각각에 일단이 결합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측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 타단과 결합되고, 그 상면부 넥타이 정면에 노출되되 투습방수성 소재의 막으로 구성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향기나는 넥타이{A fragrance exhalation 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향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한 넥타이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향기나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출시 몸에서 나는 나쁜냄새가 제거되고 좋은 향기가 나도록 향수를 몸이나 의류에 뿌려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향수의 사용은 쉽게 증발하여 실질적인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과다하게 뿌릴 경우에 향기가 독하여 오히려 주위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남성들은 향수의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5978 "향기 나는 넥타이"가 제안되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통상의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10)는 배면 소정위치에 향료가 수납된 향기주머니(12)가 부착하되 특히 상기 향기주머니(12)는 넥타이(10) 또는 넥타이라벨(13)의 내측면에 접합수단(1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이다.
하지만 상술한 향기나는 넥타이의 경우 향기 성분이 넥타이 배면에 위치하여 향기 성분이 발산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산되는 향기 성분의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향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한 넥타이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는 향기나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넥타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되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성되어 넥타이 정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주머니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향수를 수용하는 조작부;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의 연결공 각각에 일단이 결합하는 다수의 연결관과;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측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 타단과 결합되고, 그 상면부 넥타이 정면에 노출되되 투습방수성 소재의 막으로 구성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스폰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의 고무주머니 일측에는, 향수를 포함하고 별도의 주사바늘이 구성된 스포이트와 연결 가능한 세공의 향수 주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는 사용자가 외출시에 별도로 향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한 넥타이로부터 은은한 향기가 발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향기나는 넥타이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향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넥타이.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내부에 구성되는 조작부, 연결관, 튜브를 보여주는 조립 구성도.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향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한 넥타이로부터 향기가 발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 향기나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의 간단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여 더욱 상세한 고안의 구성을 알아본다.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 내부에 구성되는 조작부, 연결관, 튜브를 보여주는 조립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는 통상의 일반적인 넥타이 내부에 구성요소를 더 부가하여 향기성분이 발산가능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는 크게 향기성분을 포함하며 향기성분의 발산량을 조절하거나 향기성분을 외부로부터 보충하기 위한 조작부(100)와, 상기 조작부(100)와 연결되고 넥타이 외부로 향기 성분을 발산하게 하는 다수의 튜브(300)와 상기 튜브(300)와 조작부(100)를 연결하고 향기 성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관(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조작부(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향기성분을 수용하는 박스형으로서 측면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공(115)이 형성되어 상술한 다수의 연결관(200)이 연결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10) 상면에 위치하는 고무주머니(120)로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부(100)의 몸체(110)는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넥타이 정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넥타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미관상 그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구성된 고무주머니(120)는 넥타이 정면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고무주머니(1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작부(100)의 고무주머니(12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누르면 고무주머니(12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여 몸체(110)가 수용하고 있는 향기 성분을 연결공(115)으로 밀어내보내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부(100)의 연결공(115)에 그 일단이 연결 구성된 연결관(200)은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그 재질은 비닐재를 선택하여 굽힘에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넥타이 정면에는 향기 성분이 외부로 발산되는 다수의 막(310)이 구성되는데, 상기 막(310)은 도 4와 같이 넥타이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200)의 타단과 연결되는 튜브(300)의 상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300)의 막은 액상의 향기 성분이 넘쳐 넥타이 정면에 흘러내리거나 하는 오염을 막기 위하여 투습방수성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방수성 소재는 일반적으로 기능성 의류에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튜브(300)의 내부에는 향기 성분을 수용할 수 있는 스폰지(320)를 더 구성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향기성분을 튜브(300)가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향기나는 넥타이의 경우 향기 성분의 보충을 위하여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조작부(100)의 고무주머니(120)의 일측에 향수 주입구(125)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향수 주입구(125)는 그 형상을 바늘구멍과 같은 세공(세밀한 통공)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고무재의 고무주머니(124) 특성으로 내부에 주입된 액상의 향수(향기 성분)가 다시 향수 주입구(125)로 토출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향수 주입구(124)에 향수를 보충하기 위하여는 도 4에 보이는 별도의 스포이트(a)나 주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들에 구성된 선단의 바늘로 상시 향수 주입구(124)에 찔러 넣어 주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조작부 200 : 연결관
300 : 튜브
110 : 몸체 115 : 연결공
120 : 고무주머니 310 : 투습방수성 소재

Claims (3)

  1. 넥타이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측면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공(115)이 형성되되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구성되어 넥타이 정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무주머니(120)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향수를 수용하는 조작부(100);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100)의 연결공(115) 각각에 일단이 결합하는 다수의 연결관(200)과;
    넥타이 내부에 위치하며 측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200) 타단과 결합되고, 그 상면부 넥타이 정면에 노출되되 투습방수성 소재의 막(310)으로 구성되는 튜브(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00)의 내부에는,
    스폰지(320)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00)의 고무주머니(120) 일측에는,
    향수를 포함하고 별도의 주사바늘이 구성된 스포이트(a)와 연결 가능한 세공의 향수 주입구(12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넥타이.
KR2020100011631U 2010-11-11 2010-11-11 향기나는 넥타이 KR20046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31U KR200461572Y1 (ko) 2010-11-11 2010-11-11 향기나는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31U KR200461572Y1 (ko) 2010-11-11 2010-11-11 향기나는 넥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00U KR20120003500U (ko) 2012-05-21
KR200461572Y1 true KR200461572Y1 (ko) 2012-07-20

Family

ID=4661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31U KR200461572Y1 (ko) 2010-11-11 2010-11-11 향기나는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7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78Y1 (ko) 2000-03-31 2000-09-15 한부산업주식회사 향기 나는 넥타이
KR200408615Y1 (ko) 2005-11-15 2006-02-13 김연중 지퍼넥타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78Y1 (ko) 2000-03-31 2000-09-15 한부산업주식회사 향기 나는 넥타이
KR200408615Y1 (ko) 2005-11-15 2006-02-13 김연중 지퍼넥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00U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967B1 (en) Potpourri shower curtain
KR200461572Y1 (ko) 향기나는 넥타이
JP3134320U (ja) 圧覚式靴体内部除臭器
KR200438243Y1 (ko) 휴대용 아로마캡슐
KR200462144Y1 (ko) 방향 패드가 부착된 베개
JP3057428U (ja) 芳香・抗菌スチームアイロン
CA2464489A1 (en) Cover lid or handle for a urinal having a fresh scent compartment
JP5576979B1 (ja) 消臭靴
KR101674788B1 (ko) 신발 소독탈취기
KR101202507B1 (ko) 두 가지 향기가 나는 탈취방향제
KR101111098B1 (ko) 향수를 갖는 밴드
KR200195978Y1 (ko) 향기 나는 넥타이
JP3145736U (ja) 揮発性物質の発生装置
KR20130135437A (ko) 소독액과 향기액이 발산되는 문 손잡이 커버
CN209274113U (zh) 一种香水包装布
CN207305733U (zh) 一种宠物除臭服
JP3089931U (ja) エッセンス嚢袋構造
KR101294227B1 (ko) 휴대용 향 패드
KR200356873Y1 (ko) 휴대용 간이 향수병
KR20240101255A (ko) 마스크 냄새 탈취제 향수
KR20240001324U (ko) 부착형 스마트폰 소독기
CN205329807U (zh) 一种用于排便器消毒机的飘香水槽结构
CN205658980U (zh) 一种一次性使用医用中单
JP3136195U (ja) 芳香・防臭具
KR20190121901A (ko) 셀프 향기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