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0050Y1 -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50Y1
KR200460050Y1 KR2020110011133U KR20110011133U KR200460050Y1 KR 200460050 Y1 KR200460050 Y1 KR 200460050Y1 KR 2020110011133 U KR2020110011133 U KR 2020110011133U KR 20110011133 U KR20110011133 U KR 20110011133U KR 200460050 Y1 KR200460050 Y1 KR 200460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cover
bolt cover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무
Original Assignee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 패널의 소정위치에 못으로 고정되어짐과 아울러 앵커볼트의 선단 나선부가 삽입되어진 앵커볼트 보호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가 양생되어 진 후 거푸집 분리후 앵커볼트 커버가 간단히 분리되게 한 앵커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면부(12)에는 그 중심에 앵커볼트(20)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공(11)을 형성하고, 중간부는 하방으로 널게 경사면(13)을 이루고, 이 경사면(13)이 끝나는 소정위치에 고정공(14)을 형성한 네개 고정구(17)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내측 중심에 삽입홈(15)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홈(15)을 회전시켜 콘크리트 형틀용 커버 몸체(10)를 분리시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을 가지며,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이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회전시켜 앵커볼트 커버를 간단히 이탈케 하는 앵커볼트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reclaimable anchorage bolt cover for use of a contructing a building gaengpom}
본 발명은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 패널의 소정위치에 못으로 고정되어짐과 아울러 앵커볼트의 선단 나선부가 삽입되어진 앵커볼트 보호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가 양생되어 진 후 거푸집 분리후 앵커볼트 커버가 간단히 분리되게 한 앵커볼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천장에 일정공간을 확보한 뒤 각종 구조물(덕트, 천장판, 전기배선 등)을 시공하고 천장판을 부착하는 시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천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 할 때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앵커볼트나 볼트에 대응되는 인서트가 매설된다.
도 1a는 종래의 인서트의 시공예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인서트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바, 이를 위해 몸체, 고정구가 사용된다. 몸체는 캡에 의해 분리되면서 상단에 너트가 삽입되고, 하단에 삽입관을 구비한다. 고정구는 상단이 돌출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하단에 못이 설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인서트는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삽입관에 고정구의 삽입부가 삽입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H)의 상부면에 베이스를 올려놓은 뒤에 삽입공에 못을 박아서 인서트를 거푸집(H)에 고정시킨 뒤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내측에 인서트를 매설하게 된다.
이후에, 콘크리트(C)가 양생되어 거푸집(H)을 해체하면 못이 박힌 고정구가 거푸집(H)과 함께 해체되고, 몸체의 삽입관을 통하여 달대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각종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서트는 달대 볼트를 삽입시켜 연결하기 위하여 앵커볼트 커버를 분리함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간혹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면을 깨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b는 종래 천장에 매설된 인서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바, 이를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체결되는 고정구로 구성된다.상기 몸체는, 캡에 의해 분리되면서 상단에 너트가 삽입되고, 하단에 삽입관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단이 돌출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하단에 못이 설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가 구비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인서트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장형성된 삽입관에 상기 고정구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판(H)에 베이스를 올려놓은 뒤에 삽입공에 못을 박아 상기 인서트를 거푸집판(H)에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내측에 인서트를 매설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C)가 양생되면 거푸집판(H)에 상기 못에 의해 고정된 고정구와 함께 거푸집판(H)을 해체하고, 몸체의 삽입관을 통하여 앵커볼트나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몸체의 상단 내측에 삽입된 너트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각종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서트는 거푸집판(H)에 설치하기 위해 고정구의 삽입공을 통하여 못을 타격공구로 일일이 박아 고정시켜야 함으로써, 건물의 시공시에 상기 거푸집판(H)에 인서트를 수십개씩 설치하는 바, 일일이 수작업으로 인서트를 거푸집판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행해짐에 따라 시공성과 작업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며 이러한 단순작업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극히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첨부 도면 도 1c,1d에서 도시하는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가 알려져 있고, 도 1e, 1f에서 도시하는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들의 단점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에서 앵커볼트 커버를 빼내고 내부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나사맞춤으로 롯드바의 너트부를 삽입시켜 나사맞춤으로 연결시켜야하지만 이를 제거함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앵커볼트 커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간편하게 앵커볼트 커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이면에 동전의 두께가 삽입될 정도의 삽입홈을 마련하여 거푸집 제거후 앵커볼트 커버를 간단히 제거시킨 뒤 달대볼트등을 연결함에 편리하게 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이면에 삽입홈을 회전시켜 앵커볼트 커버를 간단히 제거시킨 뒤 달대볼트등을 연결하게 되는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알려진 앵커블트 커버들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거푸집 설치후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거푸집 제거후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10)는 대략 상협하광(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형태)의 원뿔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면부(12)에는 그 중심에 앵커볼트(20)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공(11)을 형성하고, 중간부의 외측 하방으로는 경사면(13)을 이루고, 이 경사면(13)이 끝나는 단부에는 고정공(14)을 형성한 고정구(17)가 수 개 형성되며, 저면에는 내측 중심에 칸막이(16)를 형성하되 두 칸막이(16)사이에 보호컵 이탈용 회전용 삽입홈(15)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연결공(11)에는 나사(18)를 형성하지 않았으나, 합성수지재이므로 나선(21)이 형성된 앵커볼트(20)를 연결공(11)에 밀착, 회전시키면서 삽입하게 되며, 이 경우 합성수지재의 연결공(11)의 벽면에 밀착되는 앵커볼트(20)의 나사로 인하여 밀착,삽입으로 나사(나선)이 형성된다. 이후 앵커볼트 커버 몸체(10)의 이탈시에는 거푸집(40)에 고정된 못(30) 제거후 앵커볼트 커버 몸체(10)를 회전시키면서 빼내면 나사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된다.
또한, 칸막이(16)는 직각방향으로 보강벽(19)이 형성되어 칸막이(16)의 강도를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중 도 4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10) 역시 상협하광(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형태)의 원뿔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면부(12)에는 그 중심에 앵커볼트(20)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공(11)을 형성하되,내부에 나사(18)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의 외측 하방으로는 경사면(13)을 이루고, 이 경사면(13)이 끝나는 단부에는 고정공(14)을 형성한 고정구(17)가 수개 형성되며, 저면에는 내측 중심에 칸막이(16)를 형성하되 두 칸막이(16)사이에 보호컵 이탈용 회전용 삽입홈(15)을 형성한다.연결공(11)의 나사(18)는 나사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공(11)에는 나사(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앵커볼트 커버 몸체(10)의 이탈시에는 거푸집(40)에 고정된 못(30) 제거후 앵커볼트 커버 몸체(10)를 회전시키면서 빼내면 나사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거푸집 설치후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의 거푸집 제거후 본 고안 앵커볼트 보호커버의 분리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푸집(40)과, 못(30)을 제거하면 보호 커버몸체(10)만이 남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홈(15)에 납작한 도구등을 넣고 회전시켜 보호커버를 빼낸다. 이후 노출된 콘크리트면의 앵커볼트(20)에 달대볼트의 선단너트부분이 나사맞춤으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보호커버는 종래 알려진 각종 앵버 볼트 보호커버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거푸집 해제후 커버몸체의 분리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잇점이 있다.
10:콘크리트 형틀용 커버 몸체,11:연결공, 12: 상면부, 13:경사면, 14:고정공, 15: 삽입홈, 16:칸막이, 17:고정구, 18:나사, 19: 보강벽,

Claims (2)

  1.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부(12)에는 그 중심에 앵커볼트(20)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공(11)을 형성하고, 중간부는 하방으로 널게 경사면(13)을 이루고, 이 경사면(13)이 끝나는 소정위치에 고정공(14)을 형성한 네개 고정구(17)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내측 중심에 삽입홈(15)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홈(15)을 회전시켜 콘크리트 형틀용 커버 몸체(10)를 분리시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형틀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1)에 나선(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형틀용 커버.
KR2020110011133U 2011-12-15 2011-12-15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KR200460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33U KR200460050Y1 (ko) 2011-12-15 2011-12-15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133U KR200460050Y1 (ko) 2011-12-15 2011-12-15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50Y1 true KR200460050Y1 (ko) 2012-05-02

Family

ID=466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133U KR200460050Y1 (ko) 2011-12-15 2011-12-15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85A (ko) 2017-11-06 2019-05-16 주식회사 국영 앙카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07U (ja) * 1993-07-22 1995-02-14 大成建設株式会社 スラブ用インサート
JPH0726495U (ja) * 1993-10-19 1995-05-19 富国石油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インサート金具の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07U (ja) * 1993-07-22 1995-02-14 大成建設株式会社 スラブ用インサート
JPH0726495U (ja) * 1993-10-19 1995-05-19 富国石油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インサート金具の支持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85A (ko) 2017-11-06 2019-05-16 주식회사 국영 앙카캡
KR102054458B1 (ko) * 2017-11-06 2019-12-11 주식회사 국영 앙카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008146B1 (ko)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60050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0693374B1 (ko)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100675814B1 (ko) 슬라브 매립 앵커볼트
KR20090126407A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KR10092120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1493249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200323015Y1 (ko)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KR20100026852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101294745B1 (ko) 방수턱거푸집 설치구조
KR200459900Y1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679057B1 (ko)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KR101047311B1 (ko) 천정등용 접속함의 고정장치
JP5378137B2 (ja) 既存布基礎および土台の補強構造
KR101090301B1 (ko) 천정등 접속함의 결합구조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349428Y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21804Y1 (ko) 건물의 배관 고정용 인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2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4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