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29Y1 -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529Y1 KR200459529Y1 KR2020090006277U KR20090006277U KR200459529Y1 KR 200459529 Y1 KR200459529 Y1 KR 200459529Y1 KR 2020090006277 U KR2020090006277 U KR 2020090006277U KR 20090006277 U KR20090006277 U KR 20090006277U KR 200459529 Y1 KR200459529 Y1 KR 2004595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unit
- layer
- floor
- mois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 및 그를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은, 수분을 흡수하는 유닛 외피; 및 상기 유닛 외피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닛 외피에서 흡수된 수분과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다수의 홈부가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 moisture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nd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the same. Noise / humidification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unit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unit body disposed in the unit shell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to release moisture absorbed from the unit shell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floor into the atmosphere. As such, while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per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in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소음, 층간 소음, 습기, 발생, 방지 Noise, interlayer noise, moisture, occurrence, preven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 및 그를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a noise / humidity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capable of appropriately eliminating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in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It is related with the generation | occurrence removal unit and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provided with the same.
일반 빌딩을 비롯하여 빌라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 시공 시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 중에 하나가 소음 문제일 수 있다. 물론, 바닥의 습기 문제 역시 중요한 사안일 수 있다.Noise problem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such as villas or apartments. Of course, floor moisture can also be an important issue.
건축물에서 야기되는 소음은 크게 중량소음과 경량소음으로 나뉠 수 있다. 중량소음은 예컨대 사용자가 걸어 다닐 때 발생되는 저주파의 소음일 수 있고, 경량소음은 숟가락과 같은 물건을 떨어뜨릴 때 발생되는 중 내지 고주파의 소음일 수 있다.Noise generated in buildings can be divided into heavy noise and light noise. The heavy noise may be, for example, low frequency noise generated when a user walks, and the lightweight noise may be medium to high frequency noise generated when an object such as a spoon is dropped.
이와 같은 소음 문제가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물이 축조되면 생활 중에 층간 소음으로 인한 다양한 민원이 제기될 수 있고 또한 생활이 불편해 질 수 있다.If such a noise problem is not properly solved,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may raise various complaints due to the noise between floors and make life uncomfortable.
마찬가지로 바닥의 습기 문제가 적절하게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축물이 축조되면 습기로 인한 강성 약화, 곰팡이 발생 등의 폐단이 유발되기 때문에 생활이 불편해질 수밖에 없다.Likewise, i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without the proper problem of moisture on the floor, the building will be inconvenient because it will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moisture and mold.
따라서 건설 회사 등에서는 이러한 소음 및 습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시공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Therefore,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like propose various construction structures to solve such noise and moisture problems.
그 중에 하나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609호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인용기술 1)이고, 다른 하나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823호의 벽면에 부착되는 방통 테이프(인용기술 2)이다.One of them is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98609 (quotation technology 1), and the other is a barrier tap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7823 (quotation technology 2) )to be.
인용기술 1에 대한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 건축물의 바닥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로 타설되어 바닥면과 아래층의 천장면을 구성하는 슬라브층(10)과, 슬라브층(10)의 상부에 단열성 확보 및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층(25)이 형성된 단열 완충재층(20)과, 단열 완충재층(20) 상부에 습식공법에 의한 온돌바닥 시공 시 타설되는 채움층(30)과, 채움층(30) 상부에 형성되어 난방 배관(미도시)이 내설되는 미장층(40)으로 이루어진다.A drawing for Cited Technique 1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ure 1, in the prior art,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미장층(40)의 상부에는 표면 마감층(50)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열 완충재층(20), 채움층(30) 및 미장층(40)의 적층 구조물과 슬라브층(10)의 측벽 사이에는 충격음을 차단하고 바닥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벽면 필러(filler)(70)가 배치된다.The
인용기술 2에 대한 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 벽면에 부착되는 방통 테이프는, 본체(81), 부착판(82), 접착층(85) 및 이형지(84)로 이루어진다.A drawing for the cited technique 2 is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2, in the prior art, the barrier tap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is composed of a
본체(8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기다란 띠 형상을 이루고, 부착판(82)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본체(81)의 일측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부착판(82)들 사이에는 통기공(83)이 형성된다. 부착판(82)의 전면에는 접착제가 일정 두께로 도포된 접착층(85)이 형성되며, 접착층(85)에 이형지(84)가 결합된다.The
이러한 인용기술 1 및 인용기술 2 모두는 건축물의 시공 시 소음 문제와 습기 문제를 적절히 해소하기 위한 방안인데, 실질적으로 공사에 적용해보면 효과가 거의 없거나 미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oth the citation technique 1 and the citation technique 2 are measures to properly solve the noise and moistur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it is known that the application is practically ineffective or insignificant whe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 및 그를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unit and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the same, which have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can proper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 및 그를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unit and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the same, which has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and can proper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in the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It is.
상기 목적은, 수분을 흡수하는 유닛 외피; 및 상기 유닛 외피 내에 배치되 며, 상기 유닛 외피에서 흡수된 수분과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다수의 홈부가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 unit shell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unit body disposed in the unit shell, the unit body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to release moisture absorbed from the unit shell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floor into the atmosphere. Achieved by the removal unit.
여기서, 상기 유닛 본체는 PE(polyeth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상기 유닛 외피는 부직포로 제작될 수 있다.Here, the unit body may be made of plastic of polyethylene (P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the unit shell may be made of nonwoven fabric.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바닥에 시공되는 층간소음재층; 수분을 흡수하는 유닛 외피와, 상기 유닛 외피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닛 외피에서 흡수된 수분과 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다수의 홈부가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홈부가 상기 층간소음재층 쪽을 향하도록 상기 층간소음재층의 상면에 배치되되 단부 영역이 상방으로 절곡되게 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 상기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층간소음재층의 상면으로 시공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에 배치되는 다수의 배관; 상기 다수의 배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의 상면으로 시공되는 방바닥 몰탈층; 및 상기 층간소음재층,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상기 방바닥 몰탈층과 측벽 사이에 시공되는 죠인트필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object is an interlayer noise material layer is construct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 unit body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unit body disposed in the unit shell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for releasing moisture absorbed from the unit shell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floor into the atmosphere. At least one noise / humidity generating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absorbing material layer such that a groove portion of the at least one groove is directed toward the interlayer noise absorbing material layer, and the end region is bent upwardly;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which is constru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absorbing material layer with the noise / moisture generation removal unit therebetween; A plurality of pipes disposed i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A floor mortar layer which is constru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with the plurality of pipe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t is also achieved by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comprising the interlayer noise material layer,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the joint pillar is constructed between the floor mortar layer and the side wall.
여기서, 상기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은 상기 층간소음재층의 상면에 십자 형태로 시공되며, 상기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의 절곡부는 상기 방바닥 몰탈층의 상부로 노출되게 시공된 후 추후에 제거될 수 있다.Here, the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is constructed in a cross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layer noise material layer, the bent portion of the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can be removed after the construction is exposed to the top of the mortar layer of the floor. have.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perly solve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in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3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having a noise / moisture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Figure 8 is a line AA 'of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0.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는, 층간소음재층(110),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 다수의 배관(140), 방바닥 몰탈층(150) 및 죠인트필라(160)를 구비하며,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이들을 순차적으로 시공함으로써 완료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layer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시공 과정과 그에 따른 특징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to 7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its features as follows.
우선, 건축물의 바닥(101)과 측벽(102)이 도 3과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건축물의 바닥(101)과 측벽(102)이 접하는 영역에 죠인트필라(160)를 측벽(102) 쪽으로 배치하고, 이어 바닥(101)에 층간소음재층(110)을 시공한다.First, in the state where the
죠인트필라(160)는 소음 발생, 특히 숟가락과 같은 물건을 떨어뜨릴 때 발생되는 중 내지 고주파의 소음인 경량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죠인트필라(160)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7-0007265호의 에어캡을 사용한 죠인트필라(160)를 사용할 수 있다.The
실제로, 상기 문헌의 죠인트필라(160)를 이용하여 시공한 경우 특히 경량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In fa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especially when the construction using the
층간소음재층(110)은 건축물의 바닥(101)에 1차로 시공되는 부분이다. 스티로폼, EPP 또는 발포EVA과 같은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대략 2 센티미터 정도면 충분하다. 물론, 이의 수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The interlayer noise absorbing
다음,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소음재층(110)의 상면으로 본 고안의 핵심 적인 부품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을 배치하여 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이 사용되고 있다.Next, as shown in FIGS. 4 and 9, the noise / humidity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및 수분을 흡수 또는 일시 저장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다수의 홈부(121a~121d)가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닛 본체(121)와, 유닛 본체(121)의 외면을 둘러싸게 마련되는 유닛 외피(12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noise / humidity
이때, 유닛 본체(121)는 PE(polyeth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유닛 외피(122)는 부직포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만약에, 유닛 본체(121)가 PE(polyethylene)로 제작되면 재질적인 특성상 추후에 절단이 쉽기 때문에 시공상 유리한 이점이 있다.If the
본 실시예에서 홈부(121a~121d)의 개수는 4개로 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홈부(121a~121d)의 개수는 4개보다 많아도 혹은 적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이러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소음재층(110)의 상면에서 십자 형태로 시공된다.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이 십자가 형태로 시공되면 겹치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의 두께는 5 밀리미터 내외이기 때문에 겹치더라도 시공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Such noise /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을 층간소음재층(110)의 상면에 시공함에 있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은 홈부(121a~121d)들이 층간소음재층(110)을 향하도록 시공된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noise / humidity
이때, 최초에 도 10과 같이 일직선 형태였던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은 층간소음재층(110)의 상면에 시공될 때, 단부 영역이 상방으로 절곡되게 시공된다.At this time, the noise /
다시 말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은 단부 영역을 절곡시켜 절곡부(123a,123b,124a,124b)를 형성한 후, 절곡부(123a,123b,124a,124b)들이 측벽(102)과 나란하면서 상방을 향하도록 도 9와 같이 시공된다.In other words, the noise / humidity
절곡부(123a,123b,124a,124b)의 길이는 최종적으로 시공되는 방바닥 몰탈층(150)의 상면보다 높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절곡부(123a,123b,124a,124b)는 최종적인 공사 후에 제거되는 부분이다.The length of the
도 9와 같은 형태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을 시공하고, 그 위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을 타설한 후 양생한 다음 다수의 배관(140) 및 방바닥 몰탈층(150)을 차례로 시공하게 되면, 부직포로 된 유닛 외피(122)의 자체 통기공으로 수분이 침투된 후 유닛 본체(121)의 홈부(121a~121d)들로 저장된 다음에 대기로 노출된 절곡된 단부를 통해 대기 중에 연속적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바닥에 존재 가능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Construction of noise / humidity removal unit (120a, 120b) in the form as shown in Figure 9, after pouring the light-
물론,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의 절곡부(123a,123b,124a,124b)가 추후에 제거되는 구성이기는 하지만, 층간소음재층(110)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 사이의 습기는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에 의해 언제든지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습기 문제를 해소하기에 충분한 것이다.Of course, although the
또한 이러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에 형성된 다수의 홈부(121a~121d)가 바닥의 소음을 잡아 즉 소음을 약간 상쇄시킨 후에 습기와 마찬가지로 대기 중으로 방출시킴에 따라 소음 문제 역시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습기 발생 제거 유닛(120a,120b)을 사이에 두고 층간소음재층(110)의 상면으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그 두께는 대략 5 내지 6 센티미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ightweight foamed
도 6을 참조할 때, 다수의 배관(140)은 냉난방 보일러용 배관이며, 방바닥 몰탈층(150)은 도시 않은 장판을 깔기 전에 다수의 배관(140)을 사이에 두고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의 상면에 시공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방바닥 몰탈층(150)의 두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에 비해 작을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방바닥 몰탈층(150)이 시공되고 양생된 후에는 장판을 깔게 되는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장판을 깔기 전에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을 구부려 상방으로 향하도록 해 놓았던 절곡부(123a,123b,124a,124b)는 도 7과 같이 커팅된다.After the
절곡부(123a,123b,124a,124b)가 커팅되었다 하더라도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을 통해 대기와 층간소음재층(110) 및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 사이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기 때문에 소음 및 수분 배출에 이상이 없다.Even if the
이처럼, 죠인트필라(160)와 층간소음재층(110)을 시공한 후에,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의 단부를 구부려 열십자 형태로 시공하고, 그 위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30), 다수의 배관(140), 방바닥 몰탈층(150)을 시간 간격별로 시공한 다음,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의 절곡부(123a,123b,124a,124b)를 커팅하여 시공을 완료한다.As such, after constructing the
그러면, 기출원된 죠인트필라(160)로 인해 숟가락과 같은 물건을 떨어뜨릴 때 발생되는 중 내지 고주파의 소음인 경량소음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20a,120b)으로 인해 소음 문제, 특히 중량소음과 습기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e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ight and noise of the medium to high frequency noise generated when dropping an object such as a spoon due to the previously appli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noise and moisture in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while having a simple and simple structure.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이다.12 is a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provided, Figure 14 is a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having a noise / moisture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와 같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220a,220b,220c)은 하나에 대해 다른 두개가 이격되면서 교차되게 시공될 수도 있고, 도 13과 같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320a,320b,320c,320d)은 하나에 대해 다른 3개가 이격되면서 교차되게 시공될 수도 있고, 도 14와 같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420)은 열십자의 형태가 중첩되지 않은 일체형 십자가 구조일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s shown in FIG. 12, the noise / humidity
물론,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것 외의 방법으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이 배열되면서 시공되어도 무방할 것인데, 이는 바닥의 넓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면 된다.Of course, the noise / humidity generating unit may be constructed while being arranged in a manner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12 and 14, which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floor and the like.
도 1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 humidity generation removing un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경우,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52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약간 상이하게 마련된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noise / moisture
즉 본 실시예에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520)이 유닛 본체(521)와 유닛 외피(522)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역할이 소음 및 습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인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도 15와 같이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520)에 형성되는 홈부(521a~521d)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arc) 형태의 홈부(521a~521d)를 개시하고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ise / humidity
물론, 도 15와 같은 형태의 홈부(521a~521d)가 마련된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520)이 적용되더라도 건축물의 바닥구조에서 소음 및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는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다.Of course, even if the noise / humidity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에 대한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면에 부착되는 방통 테이프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netration tape attached to a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3 to 7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having a noise / moisture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도 8은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7;
도 9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4;
도 10은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ise / moisture generation removal unit,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11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0;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12 is a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remov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FIG. 13 is a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을 구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부분 시공 사시도,14 is a partial construction perspective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having a noise / humidity generation elimina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 humidity generation removing un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10 : 층간소음재층 120a,120b : 소음/습기 발생 제거유닛110: interlayer
130 :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140 : 배관130: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140: piping
150 : 방바닥 몰탈층 160 : 죠인트필라150: mortar layer of the floor 160: joint pilla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277U KR200459529Y1 (en) | 2009-05-25 | 2009-05-25 |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277U KR200459529Y1 (en) | 2009-05-25 | 2009-05-25 |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733U KR20100011733U (en) | 2010-12-03 |
KR200459529Y1 true KR200459529Y1 (en) | 2012-03-28 |
Family
ID=4420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277U Expired - Lifetime KR200459529Y1 (en) | 2009-05-25 | 2009-05-25 |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52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119B1 (en) * | 2020-08-12 | 2021-02-26 | 윤이중 |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6747B1 (en) * | 2007-10-23 | 2008-02-27 | 이종철 | Breathable wall buff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09
- 2009-05-25 KR KR2020090006277U patent/KR20045952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6747B1 (en) * | 2007-10-23 | 2008-02-27 | 이종철 | Breathable wall buff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733U (en) | 201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5878B1 (en) |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 |
KR101437337B1 (en) |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21850B1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heet with air hole | |
KR102208230B1 (en) | Foldable wall resilient member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0756415B1 (en) | Insulation buffer material and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structure using same | |
KR200459529Y1 (en) | Unit for remove noise and humidity, and floor structure for buildings having the same | |
KR100993495B1 (en)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
KR20110024336A (en) | Building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1479167B1 (en) |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 |
KR200433766Y1 (en) | Floor noise reduction material of building | |
KR102137373B1 (en) | Heating panel including noise damp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 |
KR101598342B1 (en) | Floor structure for impact sound reduction | |
KR101623506B1 (en) | A concrete structrue | |
KR101424593B1 (en) | Floor space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 and thereof | |
KR20160046047A (en) | Sound absorption panel and Floor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
KR101308978B1 (en) | Ventilation board for drying slab | |
KR20130130307A (en) | Soundproofing and ventilation panel, and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 |
TWM551630U (en) | Noise-muffling device for floor deck panel | |
KR200357988Y1 (en) | A storey gap of noise prevention pannel for an apartment house of the hypocaust floor | |
TWI655347B (en) | Floor-mounted sound insulation | |
KR101725596B1 (en) | Floor structure | |
KR102580462B1 (en) | Multi-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laminated a noise absorbing part with a jar, cylinder and concavo-convex structure and a damper with a vibration blocking fun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loor structure of building ab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15446B1 (en)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KR20160046062A (en) | Damping panel,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damping panel | |
KR100825889B1 (en) | Floor noise reduction material of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5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41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4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41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