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495B1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Google Patents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3495B1 KR100993495B1 KR1020100075452A KR20100075452A KR100993495B1 KR 100993495 B1 KR100993495 B1 KR 100993495B1 KR 1020100075452 A KR1020100075452 A KR 1020100075452A KR 20100075452 A KR20100075452 A KR 20100075452A KR 100993495 B1 KR100993495 B1 KR 100993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wall
- floor
- vertical
- pane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통풍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시공되는 형태의 벽체용 패널과 호크단추 타입으로 연결 시공되는 형태의 바닥용 패널을 조합한 새로운 슬래브 건조용 습기제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슬래브 상부의 신속한 습기 제거를 통한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와 공기단축은 물론, 제품의 전반적인 시공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기제거용 통풍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panel for quickly removing mois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ab by implementing a new slab drying dehumidification means by combining the wall panel and the floor panel of the type connected to the hawk button type is integrally extended alo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wall and the floor, It provides a moisture-removing ventilator that can enhance the durability and shortening of the structure through rapid moisture removal at the top, as well as improve the overall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기제거용 통풍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시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통풍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plate for removing mois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panel for quickly removing moisture on the upper part of a slab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 시공시 각층 바닥면의 시공은 슬래브의 상부에 층간 차음재를 설치한 다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방용 온수 파이프의 배관 및 바닥 미장, 그리고 장판이나 마루 등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as a multi-family house, install floor insulation material on the upper part of slab, install lightweight foam concrete, install piping and floor plastering of hot water pipes for heating, and finish materials such as flooring or flooring. It is done in the order of installation.
이때,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열공사, 난방용 온수 파이프를 배관하는 난방공사, 바닥 미장을 실시하는 미장공사 등은 모두 습식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슬래브의 상부면에 수분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과정에서도 수분이 발생한다. At this time, the thermal insulation work for plac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the heating work for piping hot water pipes for heating, and the plastering work for plastering the floor are all performed in a wet process. Moisture also occurs during concrete hardening.
이러한 수분은 건물의 각종 수장재를 부식시켜서 악취 및 곰팡이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슬래브 콘크리트의 균열 및 박리현상을 초래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Such moisture causes odors and molds to corrode various decorative materials of the building, and causes cracking and peeling of slab concrete,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stability of the structure.
따라서, 최근에는 슬래브의 상부면에 집중되는 수분과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신속하게 증발시켜 배수시킬 수 있는 등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통풍판을 많이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onstruct a lot of ventilation plates that can effectively remove moisture, such as to quickly evaporate and drain moisture concentr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nd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slab concrete curing process to the outside.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45266호에는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45266 discloses a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a slab.
상기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은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래브 중앙부에 고이는 수분을 외부로 신속하게 증발시켜 배출할 수 있고, 공기단축 및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The slab drying ventilation panel is a combination of a vertical panel and a horizontal panel. The slab drying ventilation panel is configured to rapidly evaporate and discharge moisture accumulated in the center of the slab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air and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
그러나, 상기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은 다음과 같은 여러 단점을 갖고 있다. However, the slab drying ventilation panel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첫째,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에서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이 서로 겹친 상태로 연결되는 관계로 연결상태가 좋지 않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wall and the flo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state is poor and the workability is poor.
둘째, 공기통로를 조성하는 두겹의 수직패널 간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통풍면적이 좁아지는 등 습기제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iciency of moisture removal is inferior, such as narrowing the ventilation area as the deformation occurs between two vertical panels forming the air passage.
셋째, 바닥에 시공되는 수평패널의 경우에 간격유지를 위해 형성되어 있는 컵을 서로 끼워서 연결하는 구조인 관계로 수평패널 간의 연결부위가 쉽게 분리되는 등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Third,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panel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i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cups form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each other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rizontal panel is easily separated, such as poor construction properties.
넷째, 두겹으로 이루어진 수직패널의 접힘부위가 벽체로부터 들뜨면서 시멘트 몰탈이 침입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시공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Fourth, the construction quality is not only deteriorated, such as the occurrence of the cement mortar penetrates as the folded portion of the vertical panel consisting of two layers is lifted from the wall, so the construction is very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시공되는 형태의 벽체용 패널과 호크단추 타입으로 연결 시공되는 형태의 바닥용 패널을 조합한 새로운 슬래브 건조용 습기제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슬래브 상부의 신속한 습기 제거를 통한 구조물의 내구성 강화와 공기단축은 물론, 제품의 전반적인 시공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기제거용 통풍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 combination of the wall panel and the floor panel of the type connected by the hook button type to be integrally extended along the site contacting the wall and the floor. By implementing a new dehumidification means for drying slabs, it provides a moisture removal ventilating plate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air shortening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rapid dehumidific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lab, as well as the overall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product.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기제거용 통풍판은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를 따라 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혀진 후에 체결되어 두겹으로 포개지며, 각 겹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일대일로 맞닿으면서 각 겹을 서로 이격시켜 수직방향으로의 공기통로를 조성하는 다수의 컵이 형성되어 있고 벽체측에 밀착 배치되는 수직패널과, 상기 수직패널 중 어느 1개의 수직패널로부터 꺽임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과 접하는 저면쪽으로 돌출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컵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에는 호크단추를 가지는 패널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측에 밀착 배치되는 수평패널로 구성되는 벽체용 패널과, 상기 벽체용 패널의 수평패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바닥과 접하는 저면쪽으로 돌출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컵이 구비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호크단추를 가지는 패널 연결부가 구비되어 패널 간을 이어 붙혀서 연결할 수 있으며, 바닥측에 밀착 배치되는 바닥용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반영구적인 친환경 자재로서,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Moisture removal vent plat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the bottom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fter being fo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each other overlapped in two layers, each layer protrudes inward A plurality of cups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one-to-one mann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n air passag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wall, and can be folded from any one of the vertical panels. It is a horizontal panel which is integrally formed and protrudes toward the bottom contacting the bottom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ps to maintain a gap therebetween, and at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a panel connection part having a hawk button and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It is connected to the wall panel comprised and the horizontal panel of the said wall panel, The floor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ps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to contact the bottom and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loor, and both ends are provided with a panel connection portion having a hawk button, and can be connected by connecting the panels. As a semi-permanent eco-friendly material formed in the form including a panel, there is a feature that can quickly remove the moisture on the top of the slab.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기제거용 통풍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Moisture removal plat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악취 및 곰팡이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Firs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moisture on the top of the slab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odor and mold, etc.,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it is economical to shorten the air.
둘째, 벽체측 수직패널과 바닥측 수평패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벽체와 바닥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다. Second, by using the wall panel made of the integral of the wall side vertical panel and the floor side horizontal pane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and floor contact area, an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Can be.
셋째, 두겹으로 이루어진 수직벽체 간의 공기통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습기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air passage between the two-layered vertical wall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oisture removal.
넷째, 두겹으로 이루어진 수직벽체 간의 접힘부위에 요홈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접힘상태를 확보함으로써, 벽체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시멘트 몰탈이 침입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ourth, by providing a recessed portion in the folded portion between the two-layered vertical wall to ensure a stable folded st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of cement mortar intrusion, such as to prevent lifting with the wall.
다섯째, 호크단추 방식으로 수평패널 간을 연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 분리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fth,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panel between the hawk button method, it is easy to install and can improve the workability to completely eliminate the panel separation problem.
여섯째, 벽체용 패널의 수직벽체에 커팅 기준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시멘트 몰탈 시공 후 패널의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ixth, by providing a cutting reference projection on the vertical wall of the wall pane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panel after cement mortar construction.
일곱째, 수평패널의 호크단추 주변이나 패널 중앙부분에 절취선을 마련함으로써, 시공면적에 대응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h, by providing a perforation line around the hawk button of the horizontal panel or the center portion of the pan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structed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여덟째, 공기통로의 조성을 위해 패널에 형성되는 컵의 배치 형태를 개선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기제거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Eighth,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of the cup formed in the panel for the composition of the air passage to induce the flow of ai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moisture removal efficiency.
도 1a,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접는 과정의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바닥용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바닥용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와 바닥용 패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에서 벽체용 패널과 바닥용 패널에 형성되는 컵의 배치 형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Figure 1a,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showing the panel for the wall of the damp plate for removing moist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folded state showing the panel for the wall of the ventilation plate for moisture remov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for the wall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ing process showing the panel for the wall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for the bottom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panel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wall panel and the floor panel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8B, 8C, and 8D are cross-sectional view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cup formed on the wall panel and the floor panel in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와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1A and 1B and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of a wall panel of a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moi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anel for walls of a ventilation plate for removal.
상기 통풍판은 벽체용 패널(16)와 바닥용 패널(17)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패널은 벽체측과 바닥측에 밀착 배치되면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조성하게 되고, 이렇게 조성되는 공간을 통해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ventilation plate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상기 벽체용 패널(16)은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 즉 벽체와 바닥이 이어지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두겹의 포개지는 수직패널(12,12b)과 바닥쪽으로 꺽여지는 수평패널(15)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수직패널(12a,12b)은 한쪽 측단의 접힘부(18)를 이용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접혀진 후에 다른 한쪽 측단의 결합부(23)를 통해 체결되어 두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패널(15)은 2개의 수직패널(12a,12b) 중 1개의 수직패널(12a)의 하단으로부터 꺽임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이러한 벽체용 패널(16)은 두겹의 수직패널(12a,12b)을 통해 벽체측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수직패널(12a,12b)로부터 90°꺽이는 수평패널(15)을 통해 바닥츠게 밀착 배치되는 구조로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The
특히, 상기 벽체용 패널(16)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기통로(10)가 조성되어 있어서 슬래브 상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이를 위하여, 사각의 패널로 되어 있는 수직패널(12a,12b)의 각 겹에는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면서 패널이 접혀져 포개졌을 때 서로 일대일로 맞닿는 다수의 컵(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 컵(11a)들 서로 맞닿아 각 겹을 서로 이격시킴과 아울러 견고히 지지함에 따라 수직패널(12a,12b)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기통로(10)가 형성된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컵(11a)은 경량기포콘크리트나 미장 콘크리트 등의 타설로 인한 측압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수분 배출 및 환기를 위한 공기통로(10)를 조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두겹의 수직패널(12a,12b)이 서로 맞닿는 컵(11a) 간의 견고한 버팀작용에 의해 서로 나란한 이격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통풍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습기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two pairs of
여기서, 상기 컵(11a) 및 후술하는 컵(11b,11c)은 단면이 원형으로써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의 컵 모양으로 하는 것이 역학적 특성상 및 적층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Here, the
그러나, 상기 컵은 원형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the cup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square, etc.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벽체용 패널(16)의 수직패널(12a,12b)에 형성되는 컵(11a) 및 수평패널(15)에 형성되는 컵(11b), 그리고 후수하는 바닥용 패널(17)에 형성되는 컵(11c)은 패널 전체 면적에 걸쳐 규칙적인 배치형태 또는 불규칙한 배치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폭 중앙의 2줄 컵은 평행하게 배치하고, 그 양측의 각 2줄 컵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공기의 흐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내측에 공기통로(10)를 조성하면서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패널(12a,12b)의 한쪽 단부에는 패널 간의 체결을 위한 결합부(23)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결합부(23)는 패널면으로부터 대략 컵 높이 정도로 절곡되는 띠편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결합부(23)에는 서로 끼워지는 구조로 체결되는 체결용 돌기(24)와 체결용 홀(25)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The
이에 따라, 수직패널(12a,12b)을 서로 접어서 포갠 다음, 서로 맞닿는 결합부(23)를 밀착시킨 후에 한쪽 수직패널(12b)에 있는 체결용 돌기(24)를 다른 한쪽 수직패널(12a)에 있는 체결용 홈(25)에 끼워서 체결하면, 수직패널(12a,12b)의 포갠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또 그 내측에서는 컵(11a)들이 서로 맞닿으면서 공기통로(10)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수직패널(12a,12b)의 다른 한쪽 단부에는 접힘부(18)가 마련되며, 이때의 접힘부(18)는 임의로 구부렸을 경우에 패널이 들뜨지 않도록 해주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벽체와의 사이에 이격을 없앨 수 있게 되고, 결국 시멘트 몰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panel (12a, 12b) is provided with a folded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패널(12a,12b) 간의 접힘부(18)는 패널 단부로부터 몇차례 절곡되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삼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이어지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접힘부(18)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요홈(19)이 위아래로 길게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folded
이에 따라, 상기 요홈(19)을 가지는 접힘부(18)가 일직선상의 뼈대 역할(스톱퍼 역할)을 수행하면서 수직패널(12a,12b) 간의 균형을 유지해줄 수 있게 되고, 결국 수직패널(12a,12b)이 벽체와 완전한 밀착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벽체와의 틈새로 시멘트 몰탈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Accordingly, the folded
또한, 상기 벽체용 패널(16)의 수직패널(12a,12b)에는 패널의 상하높이 중간쯤되는 위치에 컵(11a)이 형성되지 않는 절단영역(20)이 마련되며, 이때의 절단영역(20)의 수직패널, 즉 벽체쪽으로 붙는 수직패널(12b)에는 공기통로(10)가 조성되어 있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커팅 기준 돌기(2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차음재나 기포콘크리트 등 시멘트 몰탈을 시공한 후, 수직패널(12a,12b)을 절단할 때의 커팅 기준을 잡을 수 있고, 또 커팅 작업 또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fter the cement mortar such as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oamed concrete is constructed, the cutting criteria for cutting the
예를 들면, 시공 완료 후, 수직패널을 절단할 때, 종전과 같이 시멘트 몰탈이 컵에 차 있으면 커팅에 방해가 되므로, 컵이 없는 영역까지 시멘트 몰탈을 시공한 후에 그 윗부분을 커팅함으로써, 커팅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panel is cut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if cement mortar is filled in the cup as in the past, the cutting is interrupted, so cutting the upper part after applying the cement mortar to the area without the cup, It will be able to easily perform.
특히, 상기 벽체용 패널(16)은 벽체와 바닥이 이어지는 부위의 바닥쪽까지 연장 배치되는 수평패널(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In particular, the
상기 수평패널(15)은 앞뒤로 배치되는 2개의 수직패널(12a,12b) 중에서 어느 1개의 수직패널, 즉 앞쪽으로 배치되는 수직패널(12a)의 하단으로부터 꺽임가능하게 일체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The
즉, 상기 수평패널(15)은 수직패널(12a)에 대해 자유롭게 꺽임가능하게 되며, 설치시에는 수직패널(12a)과 90°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이에 따라, 상기 벽체용 패널(16)의 수평패널(15)과 수직패널(12a,12b)이 벽체와 바닥이 접하는 부위에 동시에 밀착 배치되므로, 종전과 같이 별도로 이어 붙히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등 우수한 시공성 및 연결부위에 대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이러한 수평패널(15)에도 상기 수직벽체(12a,12b)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컵(11b)이 형성되는데, 이때의 컵(11b)은 바닥과 접하는 저면쪽으로 돌출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널과 바닥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확보되는 통로는 수직벽체(12a,12b)의 내측에 조성되는 공기통로(10)와 그대로 연통되므로서, 바닥쪽 슬래브 상면의 습기가 공기통로(10)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Like the
그리고, 상기 수평패널(15)에는 바닥용 패널(17)과의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패널 연결부(14a)가 구비되며, 이때의 패널 연결부(14a)에는 똑딱단추와 같은 호크단추(13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호크단추(13a)를 이용하여 바닥용 패널(17)의 패널 연결부(14b)에 있는 호크단추(13b)와 연결되므로서, 벽체용 패널(16)과 바닥용 패널(17)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평패널(15)에는 패널 연결부(14a)와 패널 본체 간의 경계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21)이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시 절취선(21)을 절취하여 패널 본체로부터 패널 연결부(14a)를 제거한 후에 곧바로 바닥용 패널(17)의 패널 본체측과 이어 붙혀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즉, 현장의 시공면적에 대응하여 절취선(21)을 제거한 후, 패널 간을 이어 붙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remov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벽체용 패널을 나타내는 접는 과정의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process showing the panel for the wall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넓게 펼쳐져 있는 2개의 수직패널(12a,12b)과 1개의 수평패널(15)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벽체용 패널(16)을 접는 과정을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4, here, a process of folding the
먼저, 양옆으로 펼쳐져 있는 수직패널(12a,12b)을 바로 세워서 수평패널(15)에 대해 90°를 이루게 한 다음, 한쪽의 수직패널(12b)을 접힘부(18)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접어서, 즉 옆쪽으로 돌려서 다른 한쪽의 수직패널(12a)의 뒷면에 밀착시켜 포갠다. First, the
계속해서, 서로 포개져 있는 수직패널(12a,12b)의 결합부(23)에 있는 체결용 돌기(24)와 체결용 홈(25)을 체결하면, 두겹의 수직패널(12a,12b)은 그 사이 내측에 공기통로(10)를 조성하면서 일체식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시공가능한 상태의 벽체용 패널(16)이 완성된다. Subsequently, when the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바닥용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바닥용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loor panel of a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panel of a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상기 바닥용 패널(17)은 슬래브 바닥에 시공되는 패널로서, 벽체용 패널(16)의 수평패널(15)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이러한 바닥용 패널(17)은 바닥과 접하는 컵(11c)을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므로서, 슬래브 바닥의 물기나 습기를 바닥측과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Sinc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용 패널(17)에는 바닥과 접하는 저면쪽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놓여지면서 바닥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컵(11c)이 구비되고, 패널 양단부에는 호크단추(13b)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 연결부(14b)가 각각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설치장소에 따라 다수 개의 바닥용 패널(17)을 길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용 패널(17)들은 서로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패널 연결부(14b)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또 벽체용 패널(16)의 수평패널(15)과도 역시 패널 연결부(14b)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이때, 패널 연결부 간의 연결은 서로 간의 호크단추를 체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can be made in the form of fastening the hawk button between each other.
또한, 상기 바닥용 패널(17)에 있는 컵(11c)은 공간 조성 이외에 충격음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컵 내부에서 상부로부터 발생한 소음이 회전하여 소멸되므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up (11c) in the
그리고, 상기 바닥용 패널(17)에는 절취선(21)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때의 절취선(21)은 패널 연결부(14b)와 패널 간의 경계라인 또는 패널 중간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시공면적에 대응하여 절취선(21)을 절취한 후, 패널 연결부(14b)를 제거한 다음, 패널 간을 직접 이어 붙히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렇게 바닥용 패널(17) 간의 연결시 패널 연결부(14b)에 있는 호크단추(13b)를 끼워서 체결하는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시멘트 몰탈 시공시 등과 같은 시공과정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is way, by connecting the hook button (13b) in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14b) in the form of connection betwe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제거용 통풍판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8A to 8D are sectional view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습기제거용 통풍판은 재질에 무관하게 생산이 가능하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a to 8d, the moisture removing vent plate can be produc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it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when using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먼저 벽체(100)와 바닥(110)이 접하는 부위에 벽체용 패널(16)을 설치한다. First, the
즉, 벽체용 패널(16)의 수직패널(12a,12b)을 두겹으로 포갠 후에 수평패널(15)과 90°를 이루도록 만든 다음, 수직패널(12a,12b)은 벽체(100)측에, 수평패널(15)은 바닥측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That is, the
이때, 수직패널(12a,12b)과 수평패널(15)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벽체(100)와 바닥(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다음, 양편 벽체용 패널(16)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슬래브 바닥에 바닥용 패널(17)을 설치한다. Next, the
즉, 바닥용 패널(17)들은 서로 간의 패널 연결부(14b)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벽체용 패널(16)의 수평패널(15)과는 각각이 가지고 있는 패널 연결부(14a,14b)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That is, the
이때, 바닥용 패널(17)은 슬래브의 너비를 고려하여 미리 제작하거나, 현장에서 재단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다음, 상기 바닥용 패널(17)의 상부에 차음재+기포콘크리트+마감재(120)를 벽체용 패널(16)의 수직패널(14a,14b)에 있는 절단영역(20)의 높이까지 시공한 다음, 계속해서 벽체용 패널(16)의 윗쪽 남는 부분을 커팅하여 제거한다. Next,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 foam concrete +
계속해서, 층간차음재, 경량기포콘크리트, 난방 및 마감재의 시공이 순차적으로 완료된 후, 상기 바닥용 패널(17)은 이들 하부에 매립된 채로 바닥과의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과 벽체용 패널(16)에 만들어진 공기통로(10)를 통해 슬래브 상부면에 모인 수분이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ng material, the light-bubble concrete, the heating and the finishing material is completed in sequence, th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 change.
10 : 공기통로 11a,11b,11c : 컵
12a,12b : 수직패널 13a,13b : 호크단추
14a,14b : 패널 연결부 15 : 수평패널
16 : 벽체용 패널 17 : 바닥용 패널
18 : 접힘부 19 : 요홈
20 : 절단영역 21 : 커팅 기준 돌기
22 : 절취선 23 : 결합부
24 : 체결용 돌기 25 : 체결용 홈
100 : 벽체 110 : 바닥
120 : 차음재+기포콘크리트+마감재10:
12a, 12b:
14a, 14b: Panel connection part 15: Horizontal panel
16:
18: folded portion 19: groove
20: cutting area 21: cutting reference projection
22: perforation line 23: coupling portion
24: fastening protrusion 25: fastening groove
100: wall 110: floor
120: sound insulation material + foam concrete + finish material
Claims (6)
상기 벽체용 패널(16)의 수평패널(15)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바닥과 접하는 저면쪽으로 돌출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컵(11c)이 구비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호크단추(13b)를 가지는 패널 연결부(14b)가 구비되어 패널 간을 이어 붙혀서 연결할 수 있으며, 바닥측에 밀착 배치되는 바닥용 패널(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용 통풍판.
It is installed along the part where the wall and the flo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fo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fastened and overlapped in two layers. A plurality of cups 11a forming 10 are formed and can be folded from the vertical panels 12a and 12b which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from one of the vertical panels 12a and 12b. And a plurality of cups 11b are formed to extend integrally and protrude toward the bottom contacting the bottom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bottom and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14a having the hawk button 13a at the front end. A wall panel (16) composed of a horizontal panel (15)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ide;
I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anel 15 of the wall panel 16,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ps 11c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contacting the bottom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bottom, and both ends of the hawk button ( A panel connecting portion 14b having a 13b) is provided to connect the panels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and the floor panel 17 closely disposed on the bottom side;
Ventilation plate for water removal comprising a.
The cups 11a, 11b, and 11c of the wall panel 16 and the floor panel 17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wo rows of the center of the panel width, and each of two rows on both sides thereof. The ventilation plate for moisture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made to cross each other.
The ventilation plat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ups (11a, 11b, 11c)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The folding part 18 between the vertical panels 12a and 12b of the wall panel 16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side of the wall panel 16 is inwardly directed. At least one concave groove (19) is conc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plate for moisture removal.
The vertical panels 12a and 12b of the wall panel 16 are provided with a cutting area 20 in which a cup 11a is not formed, and a vertical panel 12b of the cutting area 20. There is a cutting reference projection 21 is formed to protrude inward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plate for moisture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to catch the standard when cut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452A KR100993495B1 (en) | 2010-08-05 | 2010-08-05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452A KR100993495B1 (en) | 2010-08-05 | 2010-08-05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500A KR20100095500A (en) | 2010-08-31 |
KR100993495B1 true KR100993495B1 (en) | 2010-11-10 |
Family
ID=4275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4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3495B1 (en) | 2010-08-05 | 2010-08-05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34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0561B1 (en) * | 2011-02-16 | 2013-11-18 | 부경기건(주) | Elimination apparatus for Moisture-resonance in floor sturctur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446B1 (en) * | 2010-11-09 | 2011-02-22 | 안상엽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KR101280835B1 (en) * | 2010-12-29 | 2013-07-03 | 박진옥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KR101308978B1 (en) * | 2012-08-31 | 2013-10-04 | 김정현 | Ventilation board for drying slab |
KR200495636Y1 (en) * | 2020-10-12 | 2022-07-13 | 이재혁 | Concrete Crack Prevention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153B1 (en) | 2007-07-06 | 2009-09-15 | 김지윤 | Drainage plate with adjustable slide position |
KR100945266B1 (en) | 2009-07-30 | 2010-03-03 | 안홍준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2010
- 2010-08-05 KR KR1020100075452A patent/KR1009934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153B1 (en) | 2007-07-06 | 2009-09-15 | 김지윤 | Drainage plate with adjustable slide position |
KR100945266B1 (en) | 2009-07-30 | 2010-03-03 | 안홍준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0561B1 (en) * | 2011-02-16 | 2013-11-18 | 부경기건(주) | Elimination apparatus for Moisture-resonance in floor sturctur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500A (en) | 2010-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3495B1 (en) |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 |
EP3146125B1 (en) | Subfloor drainage panel | |
ES2398555B1 (en) | BLOCK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SUCH BLOCK. | |
RU2640834C1 (en) | Multi-layered restoration construction element | |
KR101437337B1 (en) |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208230B1 (en) | Foldable wall resilient member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CN201152003Y (en) | Assembled floor | |
KR20160125107A (en) | 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
EP3766385B1 (en) | Modular pavement | |
KR100721850B1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heet with air hole | |
KR20090130711A (en) |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manufacturing method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10024336A (en) | Building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0418758Y1 (en) | Combined structure of composite insulation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n buildings | |
KR101015446B1 (en)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KR200409418Y1 (en) | Composite insulation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n buildings | |
KR101308978B1 (en) | Ventilation board for drying slab | |
KR101207288B1 (en) |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30130307A (en) | Soundproofing and ventilation panel, and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428760B1 (en) | Materia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
KR20140008569A (en) | If the moisture bamrrier wall and concrete sub-floor room for suppan panel manufaeturing method. | |
KR101156601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KR100945266B1 (en)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KR101280835B1 (en) | Ventilation panel for drying slab | |
KR100677703B1 (en) | Combined structure of composite insulation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n buildings | |
KR101433912B1 (en) | Heating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8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