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23Y1 -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 Google Patents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523Y1 KR200459523Y1 KR2020100002943U KR20100002943U KR200459523Y1 KR 200459523 Y1 KR200459523 Y1 KR 200459523Y1 KR 2020100002943 U KR2020100002943 U KR 2020100002943U KR 20100002943 U KR20100002943 U KR 20100002943U KR 200459523 Y1 KR200459523 Y1 KR 2004595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ke
- piece
- stand
- pedestal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는 케익이 그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케익 받침대, 및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케익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조각 케익 받침으로 분리되며, 상기 각 조각 케익 받침은 그 상단에 놓인 조각 케익에 대한 개별 접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익 받침대 자체를 활용하여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는 과정없이 분할된 케익을 취식가능하게 하므로 별도의 접시를 이용하므로써 발생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케익 취식시 접시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Dish combined cak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ke pedestal on which the cake is placed on its top, and a lower cake pedestal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cake pedestal, wherein the upper cake pedestal is a plurality of radially based on its center The pieces of cake stand are separated, and each piece of cake st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separate dish for the piece cake placed on top.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t the divided cake without the process of using a separate plate by using the cake stand itself, so that waste of resources generated by using a separate plate can be reduced,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the plate separately when the cake is eaten. Can be elimina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익을 커팅하여 취식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접시를 추가로 요구함이 없이 케익을 지지하는 분리가능한 받침대를 이용하여 접시로서 활용가능한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plate cake stand, and more specifically, a double plate cake stand that can be used as a plate by using a detachable stand for supporting the cake without additionally requiring a separate plate in the process of cutting and eating the cake. It is about.
종래에 케익을 포장하는 과정을 보면, 원형의 케익을 사각형의 케익 받침대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중공의 케이스 내에 삽입하는 형태로 포장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포장이 이루어진 케이크를 취식하는 경우에 케익 받침대를 케이스로부터 빼낸 후 케익을 절단하여 별도의 개별 접시와 포크 등을 이용하여 케익을 먹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packaging the cake, the packaging is made in the form of inserting the round cake on the rectangular cake stand in a hollow case. In the case of eating a cake having a packaging as described above, the cake holder is removed from the case and the cake is cut to eat the cake using a separate individual plate and fork.
기존의 케익 받침대는 케익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형태를 보존하는 기능을 하거나 케익을 받치는 기능 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고, 케익을 절단한 후 조각 케익을 먹기 위해 개별 접시를 마련한 후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의 개별 접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겆이 등의 별도의 후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별개의 접시를 마련하기 어려운 야외의 경우에 개별 인원별로 케익을 나누기 어려운 애로사항이 있다.
Existing cake stand has no function except preserving the shape by supporting the deformation of the cake or supporting the cake, and loses its function after preparing the individual dish to eat the piece cake after cutting the cake. do.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individual dish, it may cause inconvenience that requires separate post-treatment such as washing dishes. In addi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dividing the cake by individual persons in the case of the outdoor where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separate dish.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받침대의 기능인 케익지지기능과 동시에 조각 케익으로서 케익을 취식하는 경우에 분할된 조각 케익 및 상기 조각 케익을 지지하는 분할된 받침대를 같이 분리함으로써 상기의 분할된 받침대를 접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separating the divided piece cake and the divided stand supporting the piece cake together when the cake is eaten as the piece cake at the same time as the cake supporting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st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 combined cake stand having a function of using a divided stand as a dis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는 케익이 그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케익 받침대, 및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케익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조각 케익 받침으로 분리되며, 상기 각 조각 케익 받침은 그 상단에 놓인 조각 케익에 대한 개별 접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h combined cak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cake pedestal on which the cake is placed on the top, and a lower cake pedestal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cake pedestal, the upper cake The pedest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 cake stands radially about the center thereof, wherein each piece cake stand serves as a separate dish for the piece cake placed on top thereof.
상기의 각 조각 케익 받침의 하단에는 직선형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익 받침대 상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은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가이드레일 간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A linear sliding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each piece of cake support, and a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cake support, and the piece cake support is formed in a sliding motion between the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rail. Can be separated.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의 외측면로부터 연장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을 분리하는 경우에 파지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piece cake support may be formed to perform a grip part function when the piece cake stand is separated.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8개의 조각 케익 받침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 케익 받침대 상에 "+" 자 교차로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의 분리시에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cake rest is divided into eight pieces of cake stand based on the center thereof, and the guide rail is disposed on the lower cake stand in the shape of a "+" cross-section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when the pieces of cake stand are separated. can do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는 케익을 커팅용 칼로 나누어 취식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접시를 추가로 요구함이 없이 케익을 지지하는 분리가능한 받침대를 이용하여 접시로서 활용가능하게 하는 편리함이 있다.Dish combined cak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convenience of making it possible to use as a plate by using a detachable pedestal for supporting the cake in the process of dividing the cake into a cutting knife for additionally requiring a separate plate.
본 고안은 케익 받침대 자체를 활용하여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는 과정없이 분할된 조각 케익을 취식가능하게 하므로 별도의 접시를 이용하므로써 발생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케익 취식시 접시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ake pedestal itself so that the divided pieces of cake can be eaten without the process of using a separate plate,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caused by using a separate plate and prepare the plate separately when eating the cake. Discomfort can be elimina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익 받침대 중 일부 조각 케익 받침이 조각 케익과 함께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케익 받침대를 보이는 사시도, 및
도 4는 상부 케익 받침대의 일 조각 케익 받침에 대한 사시도로서, 하부 케익 받침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슬라이딩홈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purpose cak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ece of cake stand is separated together with a piece of cake ca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ca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ece of cake support of the upper cake holder, showing a slid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lower cake holder.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late-based cak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케익'은 제과점에서 판매하는 일반적인 원형 형태의 케익에 한정됨이 없이, 수개의 조각으로 분리 가능한 피자, 빵, 및 떡 등의 절단 취식형 음식물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한편, '조각 케익'은 커팅된 케익의 일부를 한정하는 것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cake' is not limited to a cake in a general circular form sold in a bakery, and is defined as a concept encompassing cut-eat foods, such as pizza, bread, and rice cake, which can be separated into several pieces. On the other hand, 'carved cake' is defined as limiting a portion of the cake cu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익 받침대 중 일부 조각 케익 받침이 조각 케익과 함께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케익 받침대를 보이는 사시도, 및 도 4는 상부 케익 받침대의 일 조각 케익 받침에 대한 사시도로서, 하부 케익 받침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대응되는 슬라이딩홈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purpose cake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ece of cake stand is separated with a piece of cake cak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ne piece cake stand of the upper cake stand, and shows a slid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lower cake stand.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10)는 케익(2)이 그 상단에 올려지는 상부 케익 받침대(20) 및 상부 케익 받침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익 받침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dual-
상부 케익 받침대(20)는 그 상면에 원형의 케익(2)이 놓여지는 정사각형의 판넬 형상을 가지게 되고,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균등하게 나뉘어지게 된다. 일 예로서, 상부 케익 받침대(20)의 중심으로부터 각 꼭지점과 각 모서리의 중점을 연결하게 되면 전체 면적을 8등분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부 케익 받침대(20)의 형상이 반드시 정사각형에 한정되거나 동일한 각도로 균등하게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에서처럼 8등분이 아닌 4등분 내지 6등분 등 다른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The
상부 케익 받침대(20)는 분리되어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으로 분리된다. 각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손잡이(21a, 22a 등)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1a, 22a 등)는 사용자가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을 분리하는 경우에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잡아끌거나 들 수 있도록 한다.
The
도 2를 참조하여,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 중 분리된 제1조각 케익 받침(21) 및 제2조각 케익 받침(22)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2조각 케익 받침(21,22) 상에는 분할된 조각 케익(2a,2b)이 각각 분리되어 안착된다. 케익(2)은 취식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절단이 가능하지만, 케익(2) 하단에 마련된 상부 케익 받침대(20) 상의 분리선(29)을 참조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 2, the 1st piece cake stand 21 and the 2nd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익 받침대(30)는 사각형상의 본체(30a) 및 본체(30a) 상단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31 내지 38)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31 내지 38) 중 제1,2가이드레일(31,32)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2가이드레일(31,32)은 그 일측 끝단이 일정각으로 서로 만나도록 구성되며, 그 타측 끝단은 본체(30a)의 모서리를 향하여 일정거리 연장된다. 여기에서, 제1,2가이드레일(31,32)의 타측 끝단의 가상 연장선은 본체(30a)의 모서리에 법선이 되도록 구성되고, 제1,2가이드레일(31,32) 간의 교각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the
제3,4가이드레일(33,34), 제5,6가이드레일(35,36), 및 제7,8가이드레일(37,38)의 경우에도 상기 제1,2가이드레일(31,32)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제2가이드레일(32)과 제3가이드레일(33)의 가상 연장선은 본체(30a)의 일 모서리에 모두 법선을 이루므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4,5가이드레일(34,35) 6,7 가이드레일(36,37) 8,1가이드레일(38,31)의 경우에도 2,3가이드레일(32,33)과 마찬가지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8가이드레일(31 내지 38)의 배치를 상부에서 바라보면 "+"자 형상(십자 형상)의 교차로 형상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hird and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2조각 케익 받침(21,22)의 구조 및 기능을 살핀다. 제1조각 케익 받침(21)은 분할된 조각 케익(2a)이 그 상단에 안착되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형태를 띠고, 그 하단부로부터는 일정깊이로 제1슬라이딩홈(21b)이 형성된다. 제2조각 케익 받침(22)의 경우도 조각 케익(2b)이 상단에 안착되고, 그 하단부로부터는 일정깊이로 제2슬라이딩홈(22b)이 형성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2조각 케익 받침(21,22)은 각 경사진 면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분리되는 경우 그 진행방향이 하부 케익 받침대(30) 상에 형성된 제1,2가이드레일(31,32)의 결합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도 2의 도면부호 41,42 참조). 즉, 제1조각 케익 받침(21)의 하단에 형성된 제1슬라이딩홈(21b)이 제1가이드레일(31)에 대응하고, 제2조각 케익 받침(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슬라이딩홈(22b)이 제2가이드레일(32)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제1,2조각 케익 받침(21,22)은 제1,2가이드레일(31,32)이 이루는 각을 따라 분리되는 과정을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cake support 21 and 22 form a structure in which each inclined surface faces each other, and when separated,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formed on the
제2,3조각 케익 받침(22,23)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각각 제2,3가이드레일(32,33)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게 됨으로써 서로 간섭받지 않는 상태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and third piece cake supports 22 and 23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second an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10)는 복수의 균등한 형태의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각의 조각 케익 받침(21 내지 28)은 하부 케익 받침대(30) 상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1 내지 3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조각 케익을 받치는 접시로서 기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te-based cake stan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of uniform piece cake stands 21 to 28, and each piece cake stand 21 to 28 is a lower cake. By sliding along the
본 고안은 케익 받침대(20) 자체를 활용하여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는 과정없이 분할된 케익(2)을 취식가능하게 하므로 별도의 접시를 이용하므로써 발생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케익(2) 취식시 접시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t the divided cake (2) without the process of using a separate plate by using th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That is,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 20 : 상부 케익 받침대
21 내지 28 : 조각 케익 받침 21a,22a : 손잡이부
21b,22b : 제1,2슬라이딩홈 29 : 기준선
30 : 하부 케익 받침대 31 내지 38 : 가이드레일10: plate combination cake stand 20: upper cake stand
21 to 28:
21b, 22b: 1st, 2nd sliding groove 29: reference line
30: lower cake stand 31 to 38: guide rail
Claims (4)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케익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조각 케익 받침으로 분리되며, 상기 각 조각 케익 받침은 그 상단에 놓인 조각 케익에 대한 개별 접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의 각 조각 케익 받침의 하단에는 직선형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익 받침대 상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은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가이드레일 간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
An upper cake holder on which the cake is placed; And
A lower cake hold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cake holder;
Including;
The upper cake pedest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 cake stands radially about the center thereof, each piece cake stand serves as a separate dish for the piece cake placed on top of the pieces,
A straight sliding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each piece of cake support, and a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cake support.
The piece cake stand is a dual plate cak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by the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sliding groove and the guide rail.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의 외측면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을 분리하는 경우에 파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iece of cake support is formed, the handle portion plate combined cake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gripping function when separating the piece cake stand.
상기 상부 케익 받침대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8개의 조각 케익 받침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 케익 받침대 상에 "+" 자 교차로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각 케익 받침의 분리시에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겸용 케익 받침대.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cake rest is divided into eight pieces of cake stand based on the center thereof, and the guide rail is disposed on the lower cake stand in the shape of a "+" cross-section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when the pieces of cake stand are separated. Plate stand cak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943U KR200459523Y1 (en) | 2010-03-22 | 2010-03-22 |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943U KR200459523Y1 (en) | 2010-03-22 | 2010-03-22 |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205U KR20110009205U (en) | 2011-09-28 |
KR200459523Y1 true KR200459523Y1 (en) | 2012-03-28 |
Family
ID=4509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2943U KR200459523Y1 (en) | 2010-03-22 | 2010-03-22 |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523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980Y1 (en) * | 2015-06-02 | 2016-08-05 | 이정모 | Functional Cake Container |
CN108928570B (en) * | 2016-03-24 | 2019-12-03 | 大连大学 | Cake tray connection structure and fixed device |
WO2017217564A1 (en) * | 2016-06-13 | 2017-12-21 | 이우형 | Cake packaging body |
KR101865187B1 (en) * | 2017-03-24 | 2018-06-08 | 김성봉 | Cake supporting plate |
KR102417658B1 (en) * | 2020-09-08 | 2022-07-05 | 정윤호 | Cake Pack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279Y1 (en) | 2001-08-02 | 2001-11-28 | 심서래 | Paper Board for Cake Package |
KR100899024B1 (en) | 2008-09-05 | 2009-05-21 | 송승민 | Cake stand |
KR20090005914U (en) * | 2007-12-12 | 2009-06-17 | 이창연 | Perforated Cake Pedestal |
KR100926374B1 (en) * | 2008-11-28 | 2009-11-10 | 박은미 | Cake storage device |
-
2010
- 2010-03-22 KR KR2020100002943U patent/KR200459523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279Y1 (en) | 2001-08-02 | 2001-11-28 | 심서래 | Paper Board for Cake Package |
KR20090005914U (en) * | 2007-12-12 | 2009-06-17 | 이창연 | Perforated Cake Pedestal |
KR100899024B1 (en) | 2008-09-05 | 2009-05-21 | 송승민 | Cake stand |
KR100926374B1 (en) * | 2008-11-28 | 2009-11-10 | 박은미 | Cake stora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205U (en) | 2011-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9523Y1 (en) | Cake support which can be used as dish | |
CN202681746U (en) | Multifunctional kitchen tool barrel | |
CN204541560U (en) | A kind of service plate of Chinese style band pallet | |
JP3169969U (en) | Tableware that is easy to arrange | |
JP3203738U (en) | Tree food pick | |
CN101933749B (en) | Tableware integrated with toothpicks | |
CN202714714U (en) | Dual-purpose frying pan | |
JP3175492U (en) | container | |
KR20130004481U (en) | Buffet Dish | |
KR20110009229U (en) | Perforated Stick Cake Stand | |
CN204445203U (en) | Combined type Table-service utensil | |
CN211002528U (en) | Multipurpose cake box | |
JP7082259B1 (en) | How to make bamboo tableware and bamboo tableware | |
CN213551047U (en) | Chafing dish container | |
CN201976954U (en) | Shopping basket | |
CN201894574U (en) | Storage chopping board | |
CN204561662U (en) | A Chinese-style dinner plate and plate rack | |
US20180133916A1 (en) | Hand tool for cutting and serving portions of culinary preparations | |
CN203000598U (en) | Double-layer baking tray | |
JP3165411U (en) | Frying pan | |
CN210581956U (en) | Service plate | |
CN103859965B (en) | A kind of stackable meal pallet | |
CN201986880U (en) | Meal box for travel | |
CN201070304Y (en) | Handhold basin | |
KR200349816Y1 (en) | vessel for buff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3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01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