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9398Y1 -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Google Patents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98Y1
KR200459398Y1 KR2020110010454U KR20110010454U KR200459398Y1 KR 200459398 Y1 KR200459398 Y1 KR 200459398Y1 KR 2020110010454 U KR2020110010454 U KR 2020110010454U KR 20110010454 U KR20110010454 U KR 20110010454U KR 200459398 Y1 KR200459398 Y1 KR 200459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coffee beans
disposable
cup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관표
Original Assignee
신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관표 filed Critical 신관표
Priority to KR2020110010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일회용 컵과, 상기 컵의 입구에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드리퍼와, 상기 드리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와,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한 원두커피액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음용구로 음용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입구에 원두커피 드리퍼를 구비하여 뜨거운 물만 부으면 언제 어디서든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드립식으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보다 저렴한 비용의 원두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본 고안은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플라스틱컵 등을 포함한 일회용 컵의 입구에 원두커피 드리퍼를 구비하여 뜨거운 물만 부으면 언제 어디서든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드립식으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보다 저렴한 비용의 원두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의 추출방식 중 하나인 드립식 추출법을 이용한 핸드드립은 드리퍼에 여과지를 얹고 커피분말을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 내에서 커피분말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천천히 추출하여 맛과 향을 보존하는 추출방식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드리퍼는 보온성, 경제성, 편리성에 따라 도자기, 플라스틱, 동제품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에 따라 메리타, 칼리타, 고노, 하리오 등의 종류로 나뉜다.
이 중에서도 칼리타는 밑면에 3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빠짐이 용이하면서도 깔끔하고 산뜻한 맛을 내기 때문에 가장 애용되는 드리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리퍼를 이용하여 핸드드립으로 추출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드리퍼의 휴대가 어려우므로 장소에 따른 제약이 있고, 드리퍼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원두커피 전문점이나 테이크 아웃(take-out) 매장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수요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저렴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원두커피의 공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종래에도 종이컵 등에 간단히 설치되는 필터를 이용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간단히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구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80326호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컵의 입구에 두 개의 고정구가 형성된 드리퍼가 고정되고, 드리퍼 내측면에는 여과지가 구비되어 손쉽게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내측면에 여과지가 부착된 드리퍼가 컵의 입구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드리퍼와 여과지를 드러내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컵, 플라스틱컵 등을 포함한 일회용 컵의 입구에 원두커피 드리퍼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드리퍼에 원두커피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 드리퍼를 드러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피분말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천천히 추출되어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보존하도록 하는 형상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가의 원두커피 전문점이나 테이크 아웃(take-out) 매장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편의점 등에서 양질의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원두커피의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일회용 컵과, 상기 컵의 입구에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드리퍼와, 상기 드리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와,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한 원두커피액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음용구로 음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드리퍼는 원두커피 분말이 온수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천천히 추출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드리퍼는 상기 컵의 내측면에 끼워지어 고정되도록 상기 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연장되며 원추형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상부몸체의 측면을 내측으로 요입하여 상기 컵과 사이에 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드리퍼 내부의 원두커피 분말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 형상에 대응되는 유입방지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는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드리퍼는 상기 컵의 입구 테두리에 얹혀지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서 하향절곡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연장되며 원추형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리퍼는 원추형 하부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컵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홀은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드리퍼는 외곽면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컵의 입구에 끼워지는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추출홀의 하면에는 원두커피액을 음용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편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편은 상기 추출홀의 하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컵, 플라스틱컵 등을 포함한 일회용 컵에 원두커피 드리퍼를 구비하여 손쉽게 원두커피를 음용함과 동시에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 드리퍼를 드러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리퍼의 형상이 칼리타 형상과 유사하므로, 커피분말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천천히 추출되어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보존하면서도 물빠짐이 용이하고 깔끔하고 산뜻한 맛을 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원두커피 전문점이나 테이크 아웃(take-out) 매장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편의점 등에서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원두커피의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드리퍼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드리퍼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드리퍼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컵(10)을 포함한다.
상기 컵(10)은 상부몸체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일회용 종이컵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컵이 될 수 있다.
상기 컵(10)의 내부에는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드리퍼(20)가 수용된다.
상기 드리퍼(20)는 상기 컵(10)의 입구에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4a)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21)이 형성된다.
상기 드리퍼(20)의 내면에는 통상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칼리타 등의 드리퍼(20)의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드리퍼(20)의 내측면에는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30)가 수용되고, 상기 드리퍼(20)의 상부몸체에는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42)가 형성된 뚜껑(40)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드리퍼(20)를 통해 원두커피를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한 원두커피액을 상기 배출구(24a)를 통해 상기 음용구(42)로 음용할 수 있는 구성임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원두커피를 음용함에 있어서, 드리퍼(2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점이나 가판대 등 온수가 구비되는 장소라면 어느 곳이든지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드리퍼(20)는 원두커피 분말이 온수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천천히 추출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리퍼(20)는 상기 컵(10)의 내측면에 끼워지어 고정되도록 상기 컵(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몸체(26)와, 상기 상부몸체(26)의 하부에 연장되며 원추형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26)는 컵(10)의 내측면에 끼워짐으로써, 드리퍼(20)가 컵(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컵(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컵(10)은 입구에서 바닥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이므로, 상기 상부몸체(26) 역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리퍼(20)를 통해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4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6)의 측면을 내측으로 요입하여 상기 컵(10)과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원두커피액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24a)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자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배출구(24a)를 상부몸체(26)의 측면에 1개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음용구(42)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뚜껑(40)에는 사용자가 음용구(42)를 통해 원두커피를 마실 때 상기 배출구(24a)를 통해 드리퍼(20) 내부의 원두커피 분말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24a) 형상에 대응되는 유입방지판(44)이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구(24a)가 'ㄷ'자형 단면형상이므로, 상기 유입방지판(44)도 'ㄷ'자형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구(24a)의 형상으로 'ㄷ'자형 단면형상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배출구(24a)가 반원형이라면 상기 유입방지판(44)도 이에 맞게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22)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부분(22a)과, 직선형 평면(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직선형 평면(22b)은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리퍼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추출홀(21)은 칼리타 드리퍼와 동일한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드리퍼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리퍼(20)가 상기 컵(10)의 입구 테두리에 얹혀지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랜지(24)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24)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24)에는 원두커피액이 배출되는 배출구(24a)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4a)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양측에 2개를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리퍼(20)는 상기 플랜지(24)에서 하향절곡되는 상부몸체(26)와, 상기 상부몸체(26)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추형 형상의 하부몸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26)는 상기 컵(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컵(10)과의 사이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원두커피가 상기 배출구(24a)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22)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부분(22a)과, 직선형 평면(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직선형 평면(22b)은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리퍼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추출홀(21)은 칼리타 드리퍼와 동일한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드리퍼(20)는 그 내주면 일정한 높이에는 적절한 온수의 투입량을 지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원두커피의 농도에 따라 온수의 투입량이 기재된 물지시선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물지시선은 진하게, 보통, 흐리게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컵(10)에 드리퍼(20)를 안치한 후 뚜껑(40)을 닫으면 상기 컵(10)과 뚜껑(40)이 상호 이탈될 염려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두커피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뚜껑(40)을 먼저 분리시킨 후, 상기 여과지(30)에 수용된 원두커피 분말에 온수를 투입한다.
이때, 온수는 드리퍼(20)의 내주면에 표시되어 있는 물지시선의 높이까지 채워지도록 투입함으로써 간단하게 투입량을 맞추어 줄 수 있다.
이렇게 온수가 투입되면 원두커피액이 드리퍼(20)의 추출홀(21)을 통해 추출되어 컵(10)에 저장이 되며, 원두커피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뚜껑(40)의 음용구(42)를 통해 저장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드리퍼(20)의 배출구(24a)와 상기 뚜껑(40)의 음용구(42)가 연통되어 드리퍼(20)를 배출시키지 않고도 원두커피액을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뚜껑(40)에는 복수개의 음용구(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2명이 동시에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2명이 함께 음용할 수 있도록 연인용, 커플용으로 제품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컵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드리퍼는 플랜지(124)의 외곽면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컵(10)의 입구에 끼워지는 연장부(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단부가 컵(10)의 입구에 끼워지어 뚜껑처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3)는 상기 플랜지(124)에서 직각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드리퍼를 컵(10)에서 이탈시킨 후 뚜껑(40)을 닫으면, 상기 뚜껑(40)이 컵(10)의 입구에 꼭맞게 결합되어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12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명 '자바라'라고 하는 주름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홀(121)의 하면에는 원두커피액을 음용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편(125)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편(125)은 상기 추출홀(121)의 하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어, 원두커피액을 추출할 경우에는 상기 역류방지편(125)이 약간 벌어지면서 상기 추출홀(121)을 통해 원두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뚜껑(40)의 음용구(42)를 통해 원두커피액을 마실 경우에는 상기 역류방지편(125)이 상기 추출홀(121)을 막는 기능을 하여 원두커피액이 상기 드리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드리퍼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드리퍼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상기 드리퍼가 상기 플랜지(224)에서 하향절곡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추형 하부몸체(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추형 하부몸체(222)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이다.
또한, 본 고안의 드리퍼(322)는 도 7a 내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추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를 설명하면서 드리퍼에 수용된 것으로 원두커피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원두커피 뿐만 아니라 녹차, 홍차 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원료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10 : 컵 20 : 드리퍼
21 : 추출홀 22 : 원추형 하부몸체
24 : 플랜지 24a : 배출구
26 : 상부몸체 30 : 여과지
40 : 뚜껑 42 : 음용구

Claims (14)

  1. 일회용 컵;
    상기 컵의 입구에 수용되며, 상기 컵의 내측면에 끼워지어 고정되도록 상기 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연장되며 원추형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상부몸체의 측면을 내측으로 요입하여 상기 컵과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 및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드리퍼 내부의 원두커피 분말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 형상에 대응되는 유입방지판이 형성되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한 원두커피액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음용구로 음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6. 일회용 컵;
    상기 컵의 입구에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 및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드리퍼는 원두커피 분말이 온수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천천히 추출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의 입구 테두리에 얹혀지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서 하향절곡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연장되며 원추형 형상을 갖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는 원추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는 직선형 평면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홀은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는 외곽면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컵의 입구에 끼워지는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13. 일회용 컵;
    상기 컵의 입구에 수용되며,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복수개의 추출홀을 갖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의 내측면에 수용되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 및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원두커피액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구가 형성된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홀의 하면에는 원두커피액을 음용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편이 부착되어, 상기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한 원두커피액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음용구로 음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편은 상기 추출홀의 하면에 일단이 접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20110010454U 2011-11-24 2011-11-24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459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4U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1-11-24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4U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1-11-24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98Y1 true KR200459398Y1 (ko) 2012-03-23

Family

ID=4762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54U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1-11-24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98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996Y1 (ko) * 2012-05-14 2012-08-20 김용일 일회용 여과지 고정 컵
KR101386603B1 (ko) 2012-12-26 2014-04-24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원두커피 여과기
KR101415626B1 (ko) 2012-04-23 2014-07-09 황형진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1592851B1 (ko) 2015-03-20 2016-02-18 임한수 일회용 커피드리퍼
KR101636661B1 (ko) * 2015-12-24 2016-07-05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KR101840911B1 (ko) * 2015-11-13 2018-03-21 소병일 액상 추출기
WO2019117334A1 (ko) * 2017-12-12 2019-06-20 (주)아로마빌 커피 음료추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20200020449A (ko) 2018-08-17 2020-02-26 울산과학기술원 일회용 커피 드리퍼
US20200383513A1 (en) * 2019-06-04 2020-12-10 Toddy, Llc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for cupping
KR20230093564A (ko) *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RU224175U1 (ru) * 2024-01-17 2024-03-18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дву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фиксаторами и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KR20240001746U (ko) * 2023-04-14 2024-10-22 서광운 유청 분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6U (ja) * 1993-10-13 1995-05-09 株式会社カリタ 折り畳み式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200280326Y1 (ko) *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0384723Y1 (ko) 2005-02-25 2005-05-17 장순주 포터블 컵용 커버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6U (ja) * 1993-10-13 1995-05-09 株式会社カリタ 折り畳み式コーヒードリッパー
KR200280326Y1 (ko) *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0384723Y1 (ko) 2005-02-25 2005-05-17 장순주 포터블 컵용 커버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26B1 (ko) 2012-04-23 2014-07-09 황형진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200461996Y1 (ko) * 2012-05-14 2012-08-20 김용일 일회용 여과지 고정 컵
KR101386603B1 (ko) 2012-12-26 2014-04-24 (주)씨엔엔 커피 코리아 농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원두커피 여과기
KR101592851B1 (ko) 2015-03-20 2016-02-18 임한수 일회용 커피드리퍼
KR101840911B1 (ko) * 2015-11-13 2018-03-21 소병일 액상 추출기
KR101636661B1 (ko) * 2015-12-24 2016-07-05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WO2017111240A1 (ko) * 2015-12-24 2017-06-29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WO2019117334A1 (ko) * 2017-12-12 2019-06-20 (주)아로마빌 커피 음료추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20200020449A (ko) 2018-08-17 2020-02-26 울산과학기술원 일회용 커피 드리퍼
US20200383513A1 (en) * 2019-06-04 2020-12-10 Toddy, Llc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for cupping
KR20230093564A (ko) *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240015702A (ko) * 2021-12-20 2024-02-05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102666126B1 (ko) * 2021-12-20 2024-05-16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102686095B1 (ko) * 2021-12-20 2024-07-19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KR20240001746U (ko) * 2023-04-14 2024-10-22 서광운 유청 분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98771Y1 (ko) 2023-04-14 2025-02-03 서광운 유청 분리가 가능한 일회용 포장용기
RU224175U1 (ru) * 2024-01-17 2024-03-18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дву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фиксаторами и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8459468B2 (en) Vacuum mug separable cap
US7464637B1 (en) Insulated brewing pot for coffee or tea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11045036B2 (en) Beverage filtering system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20090000674U (ko)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CN206651658U (zh) 具有挡板的壶具
KR20160002220U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JP7350032B2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1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