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4723Y1 - 포터블 컵용 커버 - Google Patents

포터블 컵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723Y1
KR200384723Y1 KR20-2005-0005145U KR20050005145U KR200384723Y1 KR 200384723 Y1 KR200384723 Y1 KR 200384723Y1 KR 20050005145 U KR20050005145 U KR 20050005145U KR 200384723 Y1 KR200384723 Y1 KR 200384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cover
present
perfo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주
Original Assignee
장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주 filed Critical 장순주
Priority to KR20-2005-0005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7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나 수지 등과 같이 경량으로 제작되어 들고 다니기 편리한 컵에 적용되어 밀폐를 자재로이 할 수 있어 들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는 포터블 컵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 체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컵(1)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컵(1)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일측에 천공(21)이 형성되는 덮개(2)와, 상기 덮개(2)가 장착된 컵(1)의 상부를 밀착되게 덧씌우면서 일측에 천공(31)이 형성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되어 저렴함으로 일회용에 적합하며, 조작이 손쉬워서 밀폐/개방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취향에 따라 직접 음용 또는 스트로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완성된 효과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포터블 컵용 커버{Cover for potable cup}
본 고안은 종이나 수지 등과 같이 경량으로 제작되어 들고 다니기 편리한 컵에 적용되어 밀폐를 자재로이 할 수 있어 들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는 포터블 컵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컵이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면서 용이하게 복용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서 대개는 실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간편/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경량의 컵으로서 들고 다니기 편리한 구조의 컵들인 종이 또는 수지제의 컵이 등장하면서 실외(Out-door)에서의 사용도 점점 증가 일로(增加 一路)에 있다.
그런데, 컵을 실내에서 사용할 때는 정치(定置)된 상태에서의 사용이라서 문제가 되지 않던 것이, 실외에서의 사용 시에는 문제로 되는 점이 있는데, 이는 부정지(不正地)에 놓아두는 경우에 컵 내에 보관되던 내용물이 유출되던가 또는 들고 다니면서 음용할 시에 쏟아지는 문제가 그것으로,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실외에서의 컵 사용 시에는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기존의 커피를 담는 일회용 컵의 경우 커피를 마시기 위해 뚜껑을 완전히 개방하여 음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때로는 뚜껑 개폐시에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컵을 밀폐 용기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외에서 사용되는 컵은 대부분 일회용이라서, 사용 후 폐기(분리 수거)처분 할 수 있으나, 특수 제작되는 밀폐형 컵은 사용 후 다시 가져가야 함으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따라서 일회용 컵일지라도 밀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컵이 소망되어 온지 오래이다.
이러한 소망에 부응할 수 있는 것으로는 실용신안공고 제20-0147401호(1999년 3월 8일 등록)인 '컵 뚜껑' 고안이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에 구성상태 및 사용상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와 뚜껑(50)으로 되어 있는 컵뚜껑으로서, 본체(40)는 하부원통부(40a)와 이보다 직경이 큰 상부원통부(40b)가 한 몸체로 된 것으로서, 상부원통부(40b)의 안쪽하부에는 원호상의 평면테두리(46)(46')가 마주보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절결부(45)(4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 한쪽에는 손잡이(48)가 달려 있으며, 뚜껑(50)에는 그 저면에 L자형 걸림편(53)(53')이 마주보는 위치에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53)(53')과 직각의 위치의 뚜껑(50)주면에 절결부(5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손잡이(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으로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고안은 본체(40)을 컵(C)에 눌러서 끼우면 상부원통부(40b)의 외주면이 컵(C)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고, 하부원통부(40a)는 컵(C)의 링형돌출부(R)와 접촉된 채로 탄력편(43)의 돌기(44)가 링형돌출부(R)의 하부를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므로 본체(40)은 컵(C)에 안정하게 끼워질 수 있고 또 이탈시킬 수 있고, 컵(C)에 끼워져 있는 본체(40)에 뚜껑(50)을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걸림편(53)(53')을 본체(40)의 절결부(45)(45')에 맞춘 다음에 손잡이(52)를 잡고 돌리면 평면테두리(46)(46')에 걸림편(53)(53')이 끼워져서 걸려있으므로 뚜껑(50)이 본체(40)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컵(C)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뚜껑(50)을 돌려서 본체(40)의 절결부(45)(45')와 뚜껑(50)의 절결부(51)(51')가 일치되도록 하면 절결부(45)(45')를 통해서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를 막론하고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으며, 반대로 본체(40)의 절결부(45)(45') 및 뚜껑(50)의 절결부(51)(51')가 일치되지 않도록 뚜껑(50)을 돌려놓으면 컵(C)안의 음료를 밀폐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경비가 과다하게 들게 되어 일회용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아서 그다지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않고 있어 개량이 요망되어 왔던 바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되어 저렴함으로 일회용에 적합하며, 조작이 손쉬워서 밀폐/개방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뚜껑을 벗기지 않고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직접 음용 또는 스트로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완성된 고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통상적인 컵에 있어서 윗면을 밀폐하는 덮개와, 이를 덮으면서 회전 자재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덮개와 뚜껑의 조합에 의하여 소정의 개방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상태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2a는 밀폐상태를 도 2b는 일부 개방상태에서 스트로우(6)를 꽂은 상태를, 도 2c는 완전 개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체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컵(1)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컵(1)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일측에 천공(21)이 형성되는 덮개(2)와, 상기 덮개(2)가 장착된 컵(1)의 상부를 밀착되게 덧씌우면서 일측에 천공(31)이 형성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로서, 도 3a는 덮개(2) 및 뚜껑(3)의 천공(21, 31) 조합을 바꾼 것이고, 도 3b는 뚜껑(3)을 보다 개량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덮개(2)에 형성되는 천공(21)이 원형 또는 부채꼴 또는 이들 양자 모두이고,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이 십자 원형 및 부채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의 일부에 위쪽으로 콘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각 부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컵(1)에 적용되는 것으로, 대별하면 덮개(2)와 뚜껑(3)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덮개(2)는 컵(1)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예컨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컵(1)이라면 덮개(2)도 원형으로 되고, 각형의 단면이라면 그 상단면에 맞춘 형태로 되는 것이고, 그 주변부에는 풀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착부(22)에 의해 컵(1)의 상면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이며{물론, 컵(1)과 덮개(2)가 일체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님}, 그 일측에 천공(2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3)은 상기 덮개(2)가 장착된 컵(1)의 상부를 밀착되게 덧씌우면서 일측에 천공(31)이 형성되는 것인데, 가장 손쉽게 제작하는 것으로는 수지제(P.E. 또는 P.P.)로 하고 컵(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12)을 압압(押壓)하면서 회전이 되도록 하면, 이 부분이 실링부(32)로 작용하여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구조가 아닐 경우에는 고무나 연질 수지로 되는 부분이 덮개(2)의 주변부와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부(32)를 별개로 형성시킴으로서 공고한 밀폐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컵(1)의 상단에 천공(21)을 가지는 덮개(2)를 부착하고, 다시 그 위에 천공(31)을 가지는 뚜껑(3)을 덧씌우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뚜껑을 회전(도 2의 A방향 또는 B방향)함으로서 천공(21, 31)간에 맞추어 일부개방(도 2b 참조)을 하거나 완전개방(도 2c 참조)을 할 수 있고, 또한, 천공(21, 31)간에 어긋나게 함으로서 밀폐(도 2a 참조)를 할 수 있어서, 천공(31)을 통해 직접 음용하거나 스트로우(6)를 꽂아 빨아 마실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11은 손잡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컵(1)은 이렇게 손잡이가 있는 것(예컨대, 유리 또는 도기로 되는 컵)이나 없는 것(예컨대, 종이 컵 등)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여, 특정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회용 컵(1)에 적용되는 예를 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덮개(2)에 형성되는 천공(21)이 원형 또는 부채꼴 또는 이들 양자 모두이고,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이 십자 원형 및 부채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하였는데, 이는 천공(21, 31)간의 적절한 조합을 선택함으로서 음용 시에 흘릴 수 있는 여지를 남기지 않고자 하는 배려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의 일부에 위쪽으로 콘부(33)가 형성되는 것인데, 이는 입을 대고 마시기 편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로서, 덮개(2)와 뚜껑(3)간을 지축(34)으로 축지지하도록 하는 것인데, 지축(34)은 리벳이음 되어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덮개(2)와 뚜껑(3)간의 회전의 중심으로서 원활한 회전이 보다 잘 되도록 기능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이라도 원활한 회전에 문제가 없으므로, 경제성 면에서는 열등한 점이 있어서 별도로 청구하지는 않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추가 구성이 본 고안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음은 명백한 바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되어 저렴함으로 일회용에 적합하며, 조작이 손쉬워서 밀폐/개방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취향에 따라 직접 음용 또는 스트로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완성된 효과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상태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전개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컵
11. 손잡이 12. 단턱
2. 덮개
21. 천공 22. 부착부
3. 뚜껑
31. 천공 32. 실링부(sealing parts)
33. 콘부(corn parts) 34. 지축
40. 본체 40a. 하부원통부 40b. 상부원통부
45, 45'. 절결부 46, 46'. 평면테두리 48. 손잡이
50. 뚜껑 51, 51'. 절결부 52. 손잡이
53, 53'. 걸림편 C. 컵
6. 스트로우(straw)

Claims (3)

  1. 일정 체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컵(1)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컵(1)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일측에 천공(21)이 형성되는 덮개(2)와, 상기 덮개(2)가 장착된 컵(1)의 상부를 밀착되게 덧씌우면서 일측에 천공(31)이 형성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지는 포터블 컵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에 형성되는 천공(21)이 원형 또는 부채꼴 또는 이들 양자 모두이고,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이 십자 원형 및 부채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컵용 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에 형성되는 천공(31)의 일부에 위쪽으로 콘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컵용 커버.
KR20-2005-0005145U 2005-02-25 2005-02-25 포터블 컵용 커버 Ceased KR200384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45U KR200384723Y1 (ko) 2005-02-25 2005-02-25 포터블 컵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45U KR200384723Y1 (ko) 2005-02-25 2005-02-25 포터블 컵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723Y1 true KR200384723Y1 (ko) 2005-05-17

Family

ID=4368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145U Ceased KR200384723Y1 (ko) 2005-02-25 2005-02-25 포터블 컵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7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8Y1 (ko)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8584B2 (en) Drinking vessel with selectable drinking mode
US10420433B2 (en) No-spill drinking container
AU632810B2 (en) A container
US4714173A (en) Leak-proof closures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20030160055A1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US20080142519A1 (en) Rotating type cup lid
US20040084452A1 (en) Multifunctional drinking cup structure
RU2006106923A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аканчика
US20110036851A1 (en) Container closure
US20150136771A1 (en) Beverage container lid
JP3430225B2 (ja) 飲料ボトル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US20120261416A1 (en) Container cap
WO2012173869A1 (en) Drinking lid
KR200384723Y1 (ko) 포터블 컵용 커버
KR20170059596A (ko) 진공 텀블러
JP5940594B2 (ja) 収納容器
KR200193549Y1 (ko) 음료용기 부착형 빨대
JP4458337B2 (ja) 飲料容器
KR200480691Y1 (ko)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CN217161677U (zh) 随行谷物牛奶杯
JP3116238U (ja) 筒状飲み口を有するボトルキャップ
CN211933559U (zh) 吸管杯盖及吸管杯
TWM552906U (zh) 容器蓋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