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69Y1 -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 Google Patents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169Y1 KR200459169Y1 KR2020100002336U KR20100002336U KR200459169Y1 KR 200459169 Y1 KR200459169 Y1 KR 200459169Y1 KR 2020100002336 U KR2020100002336 U KR 2020100002336U KR 20100002336 U KR20100002336 U KR 20100002336U KR 200459169 Y1 KR200459169 Y1 KR 2004591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astening
- profile
- coupling uni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이형 판넬 결합유닛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은, 제1 판넬의 치수조절 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제1 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 및 제1 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바디부와 고정부 사이에는 제1 판넬과 제2 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들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is disclosed.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dimensional adjustment hole of the first panel and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a fixing part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through the profile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coup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nel, an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of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 chamfer strip inserting space in which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interposed in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different types of panels interposed between the chamfer strip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형 판넬 결합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that can easily connect different types of panels interposed between the chamfer strips and connected in a cross direction.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판넬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판넬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판넬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됨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및 기둥 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building an apartment or other high-rise building, in order to pour concrete, formwork is usually formed by a plurality of panels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hat is, by extending a plurality of panel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placing the concrete in a space formed by standing up to face the panels in such a state, to form the walls and pillars that make up the building as the concrete is cured.
거푸집의 제작에 사용되는 판넬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Panels used in the manufacture of formwork are largely classified into gangforms and euroforms, where gangforms refer to all forms made of steel plates, and the Euroforms are made of plywood and the profile of the plywood is set on the sides that contact concrete. Jang Sunjae refers to the formwork made of metal and light weight.
한편, 벽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탄한 면은 다수의 건축용 판넬들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시공되고,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규격화되어 제작된 갱폼 또는 유로폼 등을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한 뒤 아웃코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이를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방법에 따라 시공된다.Meanwhile, a flat surface of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wall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uilding panels to form a form, and then pouring and curing concrete, and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corner portion or a column of the wall is standardized and manufactured gangform or euroform. After the back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t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m using the out-corner fixing device and placing and curing concrete.
하지만, 종래의 아웃코너 고정장치는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를 모따기하기 위한 챔퍼스트립(면귀)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니고 있지 못하므로 챔퍼스트립이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ut-corner fixing device does not have a space for inserting a chamfer strip (faceting) for chamfer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or the angular edge of the pil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mfer strip is difficult to use.
즉, 벽체의 모서리 부분 도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는 콘크리트 타설 전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갱폼 또는 한 쌍의 유로폼 사이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에 의하여 모따기되는데, 종래의 아웃코너 고정장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지니고 있지 못하므로 모따기된 기둥 등을 시공하는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corners of the wall or the angular corners of the columns are chamfered by a chamfer strip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gangforms or a pair of euroforms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before concrete placement. Since one end of the lip does not have a space into which it can be insert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adequate for constructing a chamfered column.
또한, 종래의 아웃코너 고정장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ut-corner fix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ny method for easily fastening different types of panels.
본 고안의 목적은,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that can easily connect different types of panels interposed between the chamfer strips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1 판넬의 치수조절 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dimensional adjustment hole of the first panel and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a fixing part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through the profile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coup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nel, wherein the first panel and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achieved by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is inserted into which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interpos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panel is formed.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은, 상기 챔퍼스트립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may be bent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a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and length of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2 판넬은 유로폼이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유로폼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유로폼용 프로파일이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유로폼용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anel is a flow path, the profile portion is a flow path profil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flow path,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low path profile.
상기 제2 판넬은 알루미늄폼이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알루미늄폼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이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anel is aluminum foam, the profile portion is an aluminum foam profil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aluminum foam,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aluminum foam profile.
상기 제2 판넬의 상기 프로파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홀; 및 상기 원형홀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file portion of the second panel is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astening hole, a circular ho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air of square holes each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hole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원형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 돌기; 및 상기 원형 돌기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상기 사각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protrusion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hole; And a pair of square protrusions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protrusion, respectively, an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quare hole.
상기 이형 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판넬과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제1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ange part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panel.
상기 이형 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inter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irst body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body extending stepwis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dy, wherein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상기 체결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지지부; 및 상기 체결지지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되 하면에 상기 삽입 돌기가 마련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the fastening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 fastening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astening body part so as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fastening body part; And a second flange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support part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be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을 상호 연결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은, 다수의 치수조절 홀이 관통형성되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일측면이 접촉되는 판면부; 및 상기 판면부의 테두리가 각각 안착되는 프로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 판넬 결합유닛은, 상기 치수조절 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넬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A second panel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nel; And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panel includes: a plate portion having one side contacting concrete in which a plurality of dimensional adjustment holes are formed and being poured; And a profile portion in which the edges of the plate surface portions are respectively seated, wherein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dimension adjusting hole and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a fixing part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through a profile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coup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nel, wherein the first panel and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also achieved by a release panel coup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is inserted into which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interpos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panel is formed.
상기 제1 판넬은, 상기 판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강빔; 상기 제1 보강빔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판면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빔; 및 상기 치수조절 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 보강빔 및 상기 제2 보강빔의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nel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reinforcing beam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ate surface part; At least one second reinforcing beam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eam; And a reinforcing plat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mension adjusting hole is formed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eam and the second reinforcing beam.
상기 프로파일부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클램프체결 그루브; 및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마찰방지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file portion, the fram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 clamping groove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fram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nti-friction grooves recess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챔퍼스트립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different types of panels interposed between the chamfer strips and connected in mutually intersecting directions.
도 1은 제1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벽체 건축시 사용되는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기둥 건축시 사용되는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측에서 바라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측에서 바라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ane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ure 2 seen from the lower side.
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ure 2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viewed from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viewed from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제1 판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anel.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판넬(10)은,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시스템 판넬(출원번호 제10-2009-0040999호)로 마련되며(코너보강부 제외) 이하에서 동일하다. 제1 판넬(1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을 형성하는 판면부(11)와, 판면부(1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프로파일부(12)와, 판면부(11)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1 보강빔(13) 및 제2 보강빔(14)과, 제1 보강빔(13) 및 제2 보강빔(14)의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판(15)을 포함한다. 판면부(11)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치수조절 홀(11a)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보강판(15)에는 치수조절 홀(11a)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치수조절 홀(11a)과 연통되는 연통홀(15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치수조절 홀(11a) 및 연통홀(15a)을 따라서는 후술하는 바디부(110)의 체결부(111)가 관통 연장된 후 와셔(WD)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프로파일부(12)는 인접하는 시스템판넬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클램프체결 그루브(12b) 및 마찰방지 그루브(12c)가 마련되어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시스템 판넬(출원번호 제10-2009-0040999호)을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넬(10)은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에 다수의 치수조절 홀을 관통시켜 마련될 수도 있으며(미도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제1 판넬(10)의 유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벽체 건축시 사용되는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기둥 건축시 사용되는 도 2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ure 2 seen from the bottom, Figure 4 is a release panel of Figure 2 used in wall construction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coupling unit,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은 제1 판넬(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110)와, 제2 판넬(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체결홀(2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21)를 포함하는 고정부(120)와, 바디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을 포함한다.2 to 5, the release
바디부(110)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금속성 부재로 제1 판넬(10)의 치수조절 홀(11a)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부(111)를 포함한다.The
체결부(111)는 치수조절 홀(11a) 및 연통홀(15a)을 관통하여 연장된 뒤 와셔(WD)에 의하여 고정된다. 체결부(111)는 바디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112)와, 제1 몸체(1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제1 몸체(112)의 하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는 제2 몸체(113)를 포함한다.The
제1 몸체(112)는 후술하는 제1 플랜지부(140)의 하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며, 제2 몸체(113)는 하단부에 나사산(113a)이 형성됨으로써 와셔(WD)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몸체(112)의 직경은 치수조절 홀(11a)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마련되며, 제2 몸체(113)의 직경은 제1 몸체(112)의 직경보다 약간 작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제1 몸체(112)의 직경을 치수조절 홀(11a)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하고, 제2 몸체(113)의 직경을 제1 몸체(112)의 직경보다 작도록 마련함으로써 체결부(111) 전체가 치수조절 홀(11a)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몸체(113)의 직경을 제1 몸체(112)의 직경보다 작도록 하여 제2 몸체(113)가 제1 몸체(112)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도록 함으로써, 제1 몸체(112)와 제2 몸체(113)를 연결하는 면에 변화를 주게 되어 체결부(111)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한편, 고정부(120)는 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제1 판넬(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20)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121)를 구비하여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을 상호 체결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fixing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판넬(20)은 일반적인 유로폼으로 마련되며, 프로파일부는 유로폼용 프로파일(21)로 마련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폼으로 마련되는 제2 판넬(20)의 둘레를 따라서는 웨지핀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돌기(121)는 이러한 체결홀(21a)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도 4 참조).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은 바디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C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은 바디부(110)의 하단부와 고정부(120)의 하단부 사이에서 삽입되는 챔퍼스트립(CS)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기둥의 각진 모서리는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의 연결지점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CS)에 의하여 모따기 되는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은 이러한 챔퍼스트립(CS)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챔퍼스트립(CS)이 사이에 개재된 제1 판넬(10) 및 제2 판넬(20)이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chamfer
한편,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은 바디부(11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140)와, 바디부(110)의 양측면 및 제1 플랜지부(140)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리브(15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lease
제1 플랜지부(140)는 바디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판넬(10)의 판면부(11)에 접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플랜지부(140)는 바디부(110)의 폭만큼 바디부(110)의 양단부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어 바디부(110)의 하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된다.The
다수의 보강리브(150)는 바디부(110) 및 제1 플랜지부(14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양측면 및 제1 플랜지부(140)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강리브(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성 부재로 마련되어 바디부(110)의 양측면과 플랜지부(160)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된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Now, the method of using the release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을 배치시킨 뒤에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을 사용하여 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의 연결부분에는 챔퍼스트립(CS)이 개재된 상태로 마련된다.After arranging the
먼저, 바디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111)를 제1 판넬(10)의 치수조절 홀(11a) 및 연통홀(15a)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며, 고정부(12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121)를 제2 판넬(20)의 유로폼용 프로파일(21)의 체결홀(21a)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은 챔퍼스트립(CS)의 일단부를 정확히 수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마련되므로 작업자는 단순히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을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의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기초준비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다음으로, 제1 판넬(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11)의 제2 몸체(113)에 와셔(WD)를 체결하는데 와셔(WD)는 제1 판넬(10)의 제1 보강빔(13)과 제2 보강빔(14)에 걸칠 정도의 크기로 마련됨으로써 체결력을 높이게 된다. 와셔(WD)의 체결에 따라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의 고정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이 상호 연결된다.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의 연결을 완료한 후에는 치수조절 홀(11a) 중 사용되지 않는 치수조절 홀(11a)을 마개(미도시)로 막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기둥 등을 완성한다.Next, the washer WD is fastened to the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100)은, 체결부(111)를 포함하는 바디부(110)와, 삽입 돌기(121)를 구비하는 고정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챔퍼스트립(CS)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10, 2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release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200)은 제1 판넬(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210)와, 제2 판넬(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체결홀(2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1)를 포함하는 고정부(220)와, 바디부(210)와 고정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release
바디부(2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23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바디부(1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ters relating to the
고정부(220)는 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제1 판넬(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20)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221)를 구비하여 제1 판넬(10)과 제2 판넬(20)을 상호 체결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고정부(220)는 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몸체부(221)와, 체결몸체부(22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체결몸체부(22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지지부(222)와, 체결지지부(222)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플랜지부(223)를 포함한다.The fixing
체결몸체부(221)는 바디부(11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구성이며, 체결지지부(222)는 체결몸체부(22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체결몸체부(22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구성이고, 제2 플랜지부(223)는 체결지지부(222)의 좁은 폭에 의하여 고정부(120)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체결지지부(222)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게 마련되는 구성이다.The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200)은 체결몸체부(211)에 대하여 단차지도록 체결지지부(222)를 형성시킴으로써 부재의 소모량을 줄이고 이형 판넬 결합유닛(2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판넬(20)의 유로폼용 프로파일(21)에 면접촉되는 지점을 제2 플랜지부(223)에 의하여 확대시킴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release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측에서 바라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of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300)은 제1 판넬(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310)와, 제2 판넬(3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체결홀(3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1)를 포함하는 고정부(320)와, 바디부(310)와 고정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3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release
바디부(3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33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바디부(1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ters regarding the
고정부(320)는 바디부(3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제1 판넬(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30)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321)를 구비하여 제1 판넬(10)과 제2 판넬(30)을 상호 체결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판넬(30)은 일반적인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되며, 프로파일부는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31)로 마련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되는 제2 판넬(30)의 둘레를 따라서는 알루미늄폼용 핀(이하 '알폼핀'이라 한다)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돌기(321)는 이러한 체결홀(31a)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도 7 참조).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기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300)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ther matters related to the method of using the release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300)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10, 3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release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측에서 바라본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lease panel coupling unit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tate diagram of th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of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400)은 제1 판넬(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디부(410)와, 제2 판넬(4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프로파일부의 체결홀(41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1)를 포함하는 고정부(420)와, 바디부(410)와 고정부(420)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430)을 포함한다.9 and 10, the release
바디부(4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430)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바디부(110) 및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3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matters relating to the
고정부(340)는 바디부(4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제1 판넬(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40)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421)를 구비하여 제1 판넬(10)과 제2 판넬(40)을 상호 체결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판넬(40)의 프로파일부는 유로폼용 프로파일(21) 또는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31)과 달리 나비모양의 체결홀(41a)을 갖도록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판넬(40)의 프로파일부(42)에 형성된 체결홀(41a)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홀(41b)과, 원형홀(41b)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홀(41c)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file portion of the
이에 대응하여 고정부(420)의 삽입 돌기(421)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 돌기(421a)와, 원형 돌기(421a)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 돌기(421b)를 포함한다(도 9 참조).Correspondingly, the
기타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 판넬 결합유닛(300)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ther matters related to the method of using the release
본 실시예의 이형 판넬 결합유닛(400)은 제2 판넬(40)의 프로파일부(4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삽입 돌기(421)를 포함하여 제2 판넬(20)에 견고히 체결될 뿐만 아니라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판넬(10, 4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release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 이형 판넬 결합유닛 10 : 제1 판넬
110, 210, 310, 410 : 바디부 20, 30, 40 : 제2 판넬
120, 220, 320, 420 : 고정부 CS : 챔퍼스트립
130, 230, 330, 430 : 챔퍼스트립 삽입공간100, 200, 300, 400: release panel coupling unit 10: first panel
110, 210, 310, 410:
120, 220, 320, 420: Fixed part CS: Chamfer strip
130, 230, 330, 430: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Claims (14)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 판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판넬의 일측에 마련된 프로파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판넬과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챔퍼스트립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A body part including a fastening part extending through the dimension adjusting hole of the first panel and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 fix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through a profile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a second panel coup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nel; And
A first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widen a contact area with the first panel;
And a chamfer strip inserting space in which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is insert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상기 챔퍼스트립 삽입공간은,
상기 챔퍼스트립의 일단부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chamfer strip insertion space,
Release panel coupl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ben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width and length of one end of the chamfer strip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2 판넬은 유로폼이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유로폼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유로폼용 프로파일이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유로폼용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anel is a euro foam,
The profile portion is a profile for the euroform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euroform,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low path profile.
상기 제2 판넬은 알루미늄폼이며,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알루미늄폼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이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anel is aluminum foam,
The profile portion is an aluminum foam profil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aluminum foam,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profile for aluminum foam.
상기 제2 판넬의 상기 프로파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홀; 및
상기 원형홀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ofile portion of the second panel is forme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astening hole,
A circular ho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Release panel coupl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square holes each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hole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원형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원형 돌기; 및
상기 원형 돌기의 좌우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상기 사각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사각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protrusion,
A circular protrusion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hole; And
And a pair of squar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lar protrusion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quare hole.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inter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A first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second body extending stepwis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상기 체결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지지부; 및
상기 체결지지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되 하면에 상기 삽입 돌기가 마련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판넬 결합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ortion,
A fastening body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art;
A fastening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astening body part so as to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fastening body part; And
And a second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the second flange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336U KR200459169Y1 (en) | 2010-03-08 | 2010-03-08 |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336U KR200459169Y1 (en) | 2010-03-08 | 2010-03-08 |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744U KR20110008744U (en) | 2011-09-16 |
KR200459169Y1 true KR200459169Y1 (en) | 2012-03-21 |
Family
ID=4509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2336U Expired - Lifetime KR200459169Y1 (en) | 2010-03-08 | 2010-03-08 |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16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106Y1 (en) * | 2018-06-12 | 2018-12-13 | 오관우 | Cutting eurofor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9471A (en) * | 1997-12-30 | 1999-07-26 | 정순착 |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co-owner of concrete wall structure |
JP2003147958A (en) | 2001-11-14 | 2003-05-21 | Sogo Keiei Kenkyusho:Kk | Connection structure of concrete framework at external angles |
KR20090001153A (en) * | 2007-06-29 | 2009-01-08 | (주)화인테크 | Variable formwork for concrete column construction |
KR20110003114U (en) * | 2009-09-21 | 2011-03-29 | (주)블루폼 | Connector of system pannels |
-
2010
- 2010-03-08 KR KR2020100002336U patent/KR20045916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9471A (en) * | 1997-12-30 | 1999-07-26 | 정순착 | Formwork system for constructing co-owner of concrete wall structure |
JP2003147958A (en) | 2001-11-14 | 2003-05-21 | Sogo Keiei Kenkyusho:Kk | Connection structure of concrete framework at external angles |
KR20090001153A (en) * | 2007-06-29 | 2009-01-08 | (주)화인테크 | Variable formwork for concrete column construction |
KR20110003114U (en) * | 2009-09-21 | 2011-03-29 | (주)블루폼 | Connector of system panne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744U (en) | 2011-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2260B1 (en) |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 |
KR101194682B1 (en) | Clamp for coupling of panels and concrete form using the same | |
KR200453780Y1 (en) | Formwork corner connecting unit and formwork corn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406583B1 (en) | U-shaped composite beam | |
KR101731382B1 (en) | Apparatus for molding block | |
KR101649747B1 (en) | A steel form assembly for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 |
KR100761964B1 (en) | Formwork for wall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 |
KR20130059010A (en) |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 |
KR20180047905A (en) | Device for fixing concrete form f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afacturing thereof | |
KR101482979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cap plate and structure system thereof | |
KR101125472B1 (en) | Clamp for connecting pannels and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59169Y1 (en) | Connector of diffrent pannels | |
KR101566801B1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using half slab | |
KR101926248B1 (en) | Producing method of steel column assembly for filling concrete and steel column assembly | |
KR101376232B1 (en) | Module for Assembly-Typ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1482977B1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 |
KR10117455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crete filled diagrid node | |
KR101308055B1 (en) |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 |
KR20190037416A (en) | Buttress unit for retaining wall and assembly type retaining wall with the same | |
KR101310843B1 (en) | 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 |
KR101101741B1 (en) | Corner blocking unit for column-beam separation | |
KR101870436B1 (en) | Gang form prefabricated by aluminium pannel | |
JP6489662B2 (en) | Lightweight embankment sidewall | |
KR200486761Y1 (en) | Corner angle for connecting form panels | |
KR200459170Y1 (en) | Connector of system pann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3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14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