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53Y1 - Circulator for green house - Google Patents
Circulator for green ho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8453Y1 KR200458453Y1 KR2020080016987U KR20080016987U KR200458453Y1 KR 200458453 Y1 KR200458453 Y1 KR 200458453Y1 KR 2020080016987 U KR2020080016987 U KR 2020080016987U KR 20080016987 U KR20080016987 U KR 20080016987U KR 200458453 Y1 KR200458453 Y1 KR 2004584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house
- air
- circulator
- case
-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실내의 습기를 제거하고, 실내의 공기를 골고루 순환시킬 수 있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that can remove moisture in the greenhouse and evenly circulate indoor air.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는, 농작물을 생육하는 온실에 사용하는 온실용 순환기에 있어서, 케이스상판; 상기 케이스상판에 구성되어 수직 하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 상기 공기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함 - 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의 측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코일; 및 상기 팬모터의 수직 하방으로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고이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에 드레인 홀이 형성된 케이스하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상판은 상기 팬모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코일을 통과한 후에 수평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코일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케이스하판은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이 가장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eenhouse circulator used in the greenhouse for growing crops, the case top plate; A fan motor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case upper plate and capable of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vertical downwards, wherein the air contains carbon dioxide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at of the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One or more heat exchange coil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an motor; And a case lower plate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med vertically downwardly of the fan motor, and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one side such that condensation water accumulated there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ase upper plate has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tor.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 coil is opened to smoothly discharge horizontally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coil, and the case lower plat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edge and the drain hole is positioned lowest. .
온실, 제습, 온도, 순환 Greenhouse, dehumidification, temperature, circula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온실용 순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는 온실용 순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irc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eenhouse circulator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온실은 농축산업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해당 상품을 재배 및 사육시켜 농가의 수입을 증가시키는 수단이다.Greenhouses are a means of increasing farmers' income by growing and raising their products in any season in the agriculture industry.
이러한 온실은 경작물이 필요로 하는 환경, 즉 일정한 실내 온도와 알맞은 습도를 유지하여야 경작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재배에 부적합한 동절기에는 일조로 인하여 낮 동안의 온도가 실외보다 높게 올라가고, 온실 내부에서 일정시간 보온이 이루어지지만, 단순히 온실의 형성만으로는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절기와 같은 저온기에는 난방 장치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하절기와 같이 온도가 너무 높을 시에는 냉방 장치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재배 또는 사육하고자하는 대상에 따라 온실내의 습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보다 이상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In such a greenhouse, the crops can be grown normally only when the environment that the crops need is maintained, that is, a constant room temperature and a proper humidity. During the winter season, which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on, the temperature during the day rises higher than the outdoors due to sunshine, and heat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inside the greenhouse, but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required temperature simply by forming a greenho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in a low temperature unit such as winter by using a heating device. On the contrary, when the temperature is too high, such as summer,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by using a cooling device. In additi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humidity in the greenhouse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grown or rais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re ideal environment.
한편, 온실 내의 온도 분포는 공기의 밀도차이에 의해 상부 층의 온도가 높 으며, 지면에 가까운 하부 층은 온도가 비교적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실의 상부 층에 집중적으로 머물고 있는 더운 공기는 온실 천정의 차가운 면과 접촉되면서 빠르게 외부로 열원을 빼앗기게 되므로 열효율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실의 하부 층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하부 층에 위치하는 작물이나 가축의 재배 또는 사육 환경에 좋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is a high temperature of the upper layer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air, the lower layer close to the ground will mainta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s a result, the hot air staying concent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greenhouse is rapidly deprived of heat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ld side of the greenhouse ceiling, which leads to poor thermal efficiency and lower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It is not good for the cultivation or breeding environment of the crops or livestock.
상추, 고추, 딸기 등 일반적인 원예작물은 2.5m 높이의 온실에서도 재배가 가능하지만, 길이생장이 매우 발달한 식물을 위하여 천정이 높은 온실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낮은 온실에서 재배 가능한 식물인 경우에도, 예를 들어, 덩굴 식물은 낮은 높이의 온실에서 옆으로 자라게 하여 재배할 수는 있지만, 식물의 생장시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온실의 천정을 높여서 지면과 수직으로 자라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생장하면서 스트레스를 가급적이면 덜 받도록 하는 온실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General garden crops such as lettuce, red pepper, and strawberries can be grown in a greenhouse of 2.5m height, but a greenhouse with a high ceiling is required for plants with very long growth.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plants which can be grown in a low greenhouse, for example, vine plants can be grown by growing sideways in a greenhouse of a low height, but are subjected to a lot of stress when the plants grow.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greenhouse structure that raises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so that it grow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plant grows and receives less stress as much as possible.
한편, 온실 실내의 천정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는 커지게 되는 바, 온실의 천정 높이가 대략 2.5m 인 경우에는 온실 내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가 3℃이지만, 천정 높이가 대략 4.5m 인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가 6 내지 8℃에 이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ceiling height in the greenhouse increas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increases. When the height of the greenhouse is about 2.5m,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greenhouse is 3 ℃, but the ceiling height is about 4.5m.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6 to 8 ℃.
따라서, 온실의 천정이 높으면서도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공기 순환 장치의 필요성이 크다. 또한, 공기를 하방에 좀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하여 교반기를 낮게 설치할수록 식물 재배 등의 작업에 방해가 되어, 작업자가 온실 내에서 수확이나 제초 등의 식물 재배 작업이 매우 불편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더하 여, 교반기가 지면과 가까울수록 교반기 그늘은 뚜렷하여 그늘진 부분에서 자라는 식물의 생장 발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an air circul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while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is high. In addition, the lower the stirrer in order to supply more air to the lower the more hinders the work, such as plant cultiv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orker is very uncomfortable plant cultivation work such as harvesting or weeding in the greenhouse. In addition, the closer the stirrer is to the ground, the more the stirrer shade is detrimental and adversely affect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growing in the shaded area.
본 고안은 온실의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capable of heating and cooling the greenhouse, and dehumidification.
또한, 본 고안은 온실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moisture in the greenhouse.
또한, 본 고안은 결로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that can prevent corrosion due to condensation water.
또한, 본 고안은 천정의 높이와 무관하게 실내 공기를 골고루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 공기의 정체를 막을 수 있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that can prevent the stagnation of the floor air because it can circulate evenly indoor air irrespective of the height of the ceiling.
또한, 본 고안은 식물이나 가축에 직접 공기를 배출하지 않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that does not directly discharge air to plants or livestock.
또한, 본 고안은 식물 재배 등의 작업시에 불편을 주지 않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yet another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not inconvenient during the operation of plant cultivation.
또한, 본 고안은 식물의 생장 발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그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온실용 순환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greenhouse circulator that can minimize the shade that adversely affects the growth of plants.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는, 농작물을 생육하는 온실에 사용하는 온실 용 순환기에 있어서, 케이스상판; 상기 케이스상판에 구성되어 수직 하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 - 상기 공기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함 - 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의 측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코일; 및 상기 팬모터의 수직 하방으로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고이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에 드레인 홀이 형성된 케이스하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상판은 상기 팬모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코일을 통과한 후에 수평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코일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케이스하판은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이 가장 낮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eenhouse circulator used in the greenhouse for growing crops, the case top plate; A fan motor configured to be disposed in the case upper plate and capable of discharging air sucked from the vertical downwards, wherein the air contains carbon dioxide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at of the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One or more heat exchange coil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an motor; And a case lower plate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med vertically downwardly of the fan motor, and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one side such that condensation water accumulated there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ase upper plate has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tor.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 coil is opened to smoothly discharge horizontally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coil, and the case lower plat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edge and the drain hole is positioned lowest. .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하판 하부의 공기 흡입공에 부착되어 공기 흡입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신축자재 흡입관; 및 상기 케이스하판과 상기 신축자재 흡입관에 구성되어, 상기 신축자재 흡입관을 신장 또는 압축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flexible material suction pipe is attached to the air intake hole in the lower case lower case to serve as an air intake passage; And an elevating means configured in the case lower plate and the stretchable material suction pipe to stretch or compress the stretchable material suction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수단은,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신축자재 흡입관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신축자재 흡입관을 신장 또는 압축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ifting means, the electric motor; A rotating shaft rotating by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And one end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tretchable material suction pipe, and the other end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nd includes a wire for extending or compressing the stretchable material suction pip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모터는, 상기 케이스상판 내부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는 팬; 및 상기 케이스상판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여 상기 팬의 중심축과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an motor, the fan is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inside the case upper plate; And a motor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fan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ase upper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모터는, 상기 케이스상판 내부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축과 중심축이 결합되는 팬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fan motor, the motor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case top plate; And a fan to which the shaft and the central shaft of the motor are coupl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흡입공은 상기 팬측으로 단턱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ir intak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to the fan 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실 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는 600 내지 900 ppm이고, 상기 케이스하판은 상기 농작물의 최고 높이보다 0.5 내지 1.5 미터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arbon dioxide in the air in the greenhouse is 600 to 900 ppm, the low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0.5 to 1.5 meters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crop.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자재 흡입관은 상기 온실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온실 최고 높이의 육분의 일 내지 삼분의 일까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retchable material su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eenhouse to one-sixth to one third of the maximum height of the greenhouse.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는, 하나의 장치로 온실의 냉난방과 제습이 가능하므로 시설원예농업에 매우 유용하고, 온실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함으로써 식물생육에 있어서 최적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로수로 인한 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를 위한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천정의 높이에 무관하게 실내 공기를 골고루 순환시킬 수 있고, 식물이나 가축에 직접 공기를 배출하지 않으므로 생장 발육에 유리하며, 식물 재배 등의 작업시에 불편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for horticulture farming because it is capable of cooling and heating and dehumidifying the greenhouse with a single device, and can effectively maintai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umidity in plant growth by effectively collecting and discharging moisture in the greenhouse. In addition, since the corrosion of the device due to the condensation water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effort and cost for maintenance. In addition, the indoor air can be evenly circulate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ceiling, and since the air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plants or livestock, it is advantageous for growth and growth, and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when working on plant cultiv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properly describ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사시도이고, 도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정면도, 도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분해 사시도, 및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케이스하판의 측면, 평면, 및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front view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case lower plate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는 케이스상판(10)의 내부 중앙에 구성되는 팬(30), 팬(30)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개의 열교환코일(40), 팬(30)의 수직하방으로 공기 흡입공(21)이 형성된 케이스하판(20), 및 케이스하판(20)과 결합되어 팬(30)의 중심축의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상판(1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상판(11)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팬(30)의 중심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모터(31)를 케이스상판(10)에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31)는 케이스상판(10)의 내부에 구성되어 팬(30)의 중심축과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여기서, 팬(30)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우터로터형팬일 수 있다. 팬(30)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개의 열교환코일(40)은 각각 수관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방열판을 통과하여 형성되며, 열교환코일(40)의 입수구(41)와 출수구(42)는 각각 동일 선상에서 연결되어 형성된다.Here, the
케이스상판(10)의 양측면은 팬(30)으로부터 열교환코일(40)을 거쳐 외부로 냉온풍이 방출되도록 개방되고, 케이스하판(20)에 형성된 공기 흡입공(21)은 외부로부터 원할하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팬(30)의 크기 및 모양에 적합하게 형성되며, 일실시예로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하판(20)의 공기 흡입공(21)을 통해 열교환코일(40)에 응결된 결로수가 케이스하판(20)의 하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하판(20)은 공기 흡입공(21)의 모서리를 따라 단턱(22)이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하판(20)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부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하판(20)의 내부에 포집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케이스하판(20)의 일측에 드레인홀(23))을 형성하고, 드레인홀(23)에는 호스를 결합하여 결로수를 소정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집된 결로수를 드레인홀(23)로 원할히 유도하기 위하여 케이스하판(20)은 드레인홀(23)이 더 낮은 위치에 구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케이스상판(10)과 케이스하판(20)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로수와 습기로 인한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상판(10)과 케이스하판(20)의 재질은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PVC, PP, FRP, PS, PBT등 내 부식성과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When the case
케이스 하판(20)에는 케이스하판(20)의 공기 흡입공(21) 하부에 결합 되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신축자재 흡입관(50), 케이스하판(20)과 신축자재 흡입관(50)에 구성되어 신축자재 흡입관(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수단(60)을 구성함으로써, 신축자재 흡입관(5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팬(30)의 하부로 유입되어 열교환코일을 지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case
승강 수단(60)은 케이스하판(20)에 구성되는 승강 모터(61)와 회전축(62), 한 쌍의 롤러(63), 회전축 고정수단(64) 및 와이어(65)로 구성되며, 승강 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2)의 타단은 회전축 고정 수단(64)에 의해 고정된다. 승강 모터(61)가 회전하면 회전축(62)과 롤러(63)가 함께 회전하고, 와이어(65)는 롤러(63)에 감긴다. 와이어(65)의 타단부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의 하부에 고정되므로 와이어(65)가 롤러(63)에 감김에 따라 신축자재 흡입관(50)의 길이가 줄어들며, 승강 모터(6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신축자재 흡입관(50)의 길이를 늘일 수 있다. 신축자재 흡입관(50)은 승강 수단(60)에 의하여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흡입하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의 길이를 조절하여 흡입하고자 하는 위치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수 단(60)은 케이스하판(20)의 외측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ans 60 is composed of a lif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온실용 순환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Greenhouse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ts as follows.
냉수 혹은 온수가 입수구(41)를 통해 열교환코일(4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수 혹은 온수는 열교환코일(40)의 수관을 통과하여 출수구(42)로 배출된다. 팬(30)이 회전하면 공기는 신축자재 흡입관(50)과 공기 흡입공(21)을 통해 흡입되고, 수직으로 흡입된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양측에 위치한 열교환코일(40)의 방열판을 통과한다. 이때 열교환 코일(40) 내부에 온수가 순환되면 난방이 되고, 냉수가 순환되면 냉방이 되는 것이다. Cold water or ho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공기가 외부로 수평배출됨과 동시에 케이스하판(20)에 형성된 공기 흡입공(21) 하방의 공기가 수직 상승하면서 열교환을 이루고, 대향하는 열교환코일(40)을 통과한 공기는 소정 거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온실용 순환기 하방으로 집결함으로써 온실 내 공기를 상하로 교반시킨다.At the same time as the air is horizont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 below the
이때, 실내 공기의 온도가 열교환코일(40)의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경우, 열교환코일(40)에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하부로 낙하하고, 케이스하판(20)의 내부에 모이는 결로수는 드레인홀(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드레인홀(23)에 연결되는 호스는 출수구(42)에 연결되는 배출관과 연결될 수 있고,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는 결로수는 배출관으로 배출되어, 배출관의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됨으로써, 폐기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i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사시도로서, 열교환코일(40)을 사방으로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온실 내부의 공기를 더욱 고르고 빠르게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air by configuring th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의 상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내 온도 분포 상황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천정의 높이와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부의 공기를 하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므로, 하부에 위치하는 식물이나 가축이 직접적으로 받는 공기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약하다. 따라서, 식물이나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생장 발육에 좋다. 또한, 기존의 위치가 고정되는 온실용 순환기는, 예를 들면 식물을 재배하는 작업자가 방해받는 높이에 위치하면 작업에 매우 불편하였으나, 본원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주간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압축시키고, 작업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야간에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신장시키는 방식으로 신축자재 흡입관(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신축하기 위한 모터(31)의 구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광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밝기가 소정값 이상이면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압축시키고, 소정값 미만이면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신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스위치 를 조작하여 주간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압축시키고, 야간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신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간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끌어올려 놓음으로써 온실용 순환기에 의해 발생하는 그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자재 흡입관(50)은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하여 그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expansion
도6a 내지 도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적용 예시도로서, 도6a와 같이 온실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신장시켜 온실 하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온실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공기 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6b와 같이 온실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압축시킴으로써 온실 높이에 대응하여 최적의 공기 순환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신축자재 흡입관(50)을 온실 바닥면으로부터 온실 최고 높이의 1/6 내지 1/3 까지 신장시켜 해당 범위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온실 내 상층부과 하층부의 공기 교반에 매우 유리하다. 이는 신축자재 흡입관(50)을 바닥면에 매우 근접시키는 경우, 농작물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농작물의 생장에 불리한 한편, 바닥면으로부터 너무 높은 곳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농작물에 주는 스트레스는 줄일 수 있으나, 바닥면의 찬 공기를 끌어올리지 못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6A to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height of the greenhouse is high as shown in FIG. 6A, the elastic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온실 내부의 습도, 온도, 계절, 밤낮, 날씨, 작업 시간 등에 따라 온실의 냉난방, 제습, 신축자재 흡입관(50)이 길이, 및 팬(30)의 속도 제어를 통하여 공기 순환을 보다 정확하게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더욱 이상적인 온실 환경을 만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control means in the greenhouse according to the humidity, temperature, season, day and night, weather, working time, etc. of the greenhouse heating, dehumidification, expansion
본 고안의 온실용 순환기는 주간에는 온실 내 CO2 가스의 공급용으로 사용되고, 야간에는 온실 내 지표면의 찬공기를 상층부의 더운 공기와 혼합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Greenhouse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supplying CO2 gas in the greenhouse during the day, and is used for mixing cold air of the ground surface in the greenhouse with hot air in the upper layer at night.
즉, 일반적으로 대기중에는 300ppm 정도의 이산화탄소(CO2)가 포함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온실용 순환기가 적용되는 온실 내에는 600 내지 900 ppm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유지되도록 CO2 가스를 공급한다. 그런데, CO2가스는 다른 가스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온실 내 농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일으키는 이파리 높이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온실용 순환기를 사용하여 지표면에 깔려 있는 CO2 가스를 수직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농작물의 이파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공급하게 되고, CO2 가스를 충분하게 공급받은 농작물의 이파리는 광합성 작용을 활발하게 일으킬 수 있다.That is, in general, about 300 ppm of carbon dioxide (CO2) is included in the atmosphere, but in the greenhouse to which the greenhouse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2 gas is supplied to maintain carbon dioxide at a concentration of 600 to 900 ppm. However, CO 2 gas is heavier than other gases, and thus does not reach the height of the leaves that cause photosynthesis of crops in the greenhouse. Therefore, by using the greenhouse cir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2 gas laid on the ground surface is sucked from the vertical downwards and dischar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eaves of crops are located, and the leaves of the crops sufficiently supplied with CO2 gas. Can actively trigger photosynthesis.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케이스하판(20)은 농작물의 최고 높이보다 대략 0.5 ~ 1.5미터 정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미터 정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농작물이 이보다 더 높게 생장하는 경우에는 농작물의 가지를 옆으로 눕히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a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본 고안의 온실용 순환기는, 인위적인 환경조성이 요구되는 일정규모의 온실이나 버섯재배사, 축사 등에 필요한 냉난방기(열교환기) 및 공기교반기, 공기순환용 팬, 및 제습기(습도조절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능률을 향상하며, 수량증대와 더불어 연중 양질의 농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어 농축산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unctions such as an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an air stirrer, an air circulation fan, and a dehumidifier (humidity controller) required for a greenhouse, mushroom cultivation, and barn of a certain scale requiring artificial environmental composition. can do. Accordingly, by maintaining a pleasant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costs, improve work efficiency, increase yields, provide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throughout the year, and increase productivity by increasing productivity.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정면도, Figure 2a is a front view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측면도, Figure 2b is a side view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케이스하판의 측면, 평면, 및 정면도,Figure 4 is a side, plane, and front view of the lower case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사시도, 및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cy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6a 내지 도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순환기의 적용 예시도이다.6a to 6b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greenhouse cir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케이스상판 20: 케이스하판10: upper case 20: lower case
30: 팬 31: 모터30: fan 31: motor
40: 열교환코일 50: 신축자재 흡입관40: heat exchange coil 50: expansion material suction pipe
60: 승강 수단60: lifting mean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6987U KR200458453Y1 (en) | 2008-11-28 | 2008-12-22 | Circulator for green ho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5888 | 2008-11-28 | ||
KR2020080016987U KR200458453Y1 (en) | 2008-11-28 | 2008-12-22 | Circulator for green ho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5834U KR20100005834U (en) | 2010-06-07 |
KR200458453Y1 true KR200458453Y1 (en) | 2012-02-20 |
Family
ID=4445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6987U KR200458453Y1 (en) | 2008-11-28 | 2008-12-22 | Circulator for green ho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8453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827B1 (en) * | 2010-09-06 | 2011-04-12 |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vinyl house |
KR101247649B1 (en) * | 2010-11-01 | 2013-03-26 | 한국그린에너지 주식회사 | Ventilating system for vinylhouse |
CN110488894B (en) * | 2019-07-31 | 2021-07-30 | 中国电器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by using same |
EP4489561A1 (en) * | 2022-03-07 | 2025-01-15 | Beektech Industries B.V. | Height adjustable ventila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1546U (en) * | 1985-06-06 | 1986-12-17 | ||
JPS6227450U (en) | 1985-08-05 | 1987-02-19 | ||
KR200388412Y1 (en) | 2005-04-11 | 2005-06-29 | 김주섭 | Air mixer for heating and cooling |
KR200390880Y1 (en) * | 2005-03-17 | 2005-07-28 | 김주섭 | System for heat exchange and air mix in a greenhouse |
-
2008
- 2008-12-22 KR KR2020080016987U patent/KR20045845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1546U (en) * | 1985-06-06 | 1986-12-17 | ||
JPS6227450U (en) | 1985-08-05 | 1987-02-19 | ||
KR200390880Y1 (en) * | 2005-03-17 | 2005-07-28 | 김주섭 | System for heat exchange and air mix in a greenhouse |
KR200388412Y1 (en) | 2005-04-11 | 2005-06-29 | 김주섭 | Air mixer for heating and coo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5834U (en) | 2010-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1702B1 (en) | An automatic temperature contol system for a greenhouse using temperature differential of inside and outside | |
JP2014057570A (en) | Agricultural greenhouse | |
KR101222399B1 (en) | Hydroponic cultivation greenhouse for cold and heating | |
EP3986116B1 (en) | Greenhouse | |
CN103650989A (en) | Potted anthurium cultivating greenhouse | |
KR200458453Y1 (en) | Circulator for green house | |
CN109699352A (en) | Integrated environment regulator control system and regulation method are provided to crop canopies space | |
CN205897383U (en) | Greenhouse air dewetting economizer | |
KR200263476Y1 (en) | Cool and h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house | |
KR20110132697A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
CN212464270U (en) | Ventilation system in big-arch shelter | |
CN208080023U (en) | A kind of multispan greenhouse of wind resistance anti-ice-snow | |
KR20160116653A (en) | ventilator heating system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of greenhouse | |
CN103314810A (en) | Wet curtain fan circulating ventilation cooling system of solar greenhouse | |
KR101396436B1 (en) | Cultivation system of greenhouse plant | |
CN210076122U (en) | Big-arch shelter is planted to asparagus with wet function of accuse temperature accuse | |
KR200452448Y1 (en) | Greenhouse Air Conditioning Fan Coil Unit | |
CN212116433U (en) | Semi-closed system of greenhouse | |
CN111226662A (en) | Semi-closed system of greenhouse | |
CN208095485U (en) | A kind of family cultured mushroom growth cabinet | |
JP2021136976A (en) | Air-conditioning system for agricultural house | |
KR101791254B1 (en) | Heating systems using waste heat for horticulture house | |
CN216600986U (en) | Air mixing homogenization climatic chamber | |
JP2001037347A (en) | Greenhouse | |
CN209420459U (en) | A kind of greenhouse of essence control humid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2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00524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1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2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