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697A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2697A KR20110132697A KR1020100052168A KR20100052168A KR20110132697A KR 20110132697 A KR20110132697 A KR 20110132697A KR 1020100052168 A KR1020100052168 A KR 1020100052168A KR 20100052168 A KR20100052168 A KR 20100052168A KR 20110132697 A KR20110132697 A KR 20110132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th
- nutrient solution
- cultivation
- unit
- oxyg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5—Special apparatus therefor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에 채용되는 재배부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또는 재배자가 자신이 원하는 작물을 선택하여 재배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여, 건축물 실내에 유니트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부스 내부에 가변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재배부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게 되는 유니트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제공하되, 상기 재배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종류를 달리하여 농작물의 크기가 커졌을 때 이를 포용할 수 있는 범위내로, 재배부와 재배부간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하나의 농작물 재배용 부스에서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 재배부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ltivation unit employed in the crop cultivation booth to be variable, so that the user or grower can select the desired crop to be cultivated, inside the booth provided in a united state inside the building By providing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that grows crops by using a growing unit fixed in a variable state, the range that can be embraced when the size of the crops is increased by varying the types of crops grown in the growing unit. Inn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ltivation unit and the cultivation unit,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in the cultivation booth for crop cultivation to have the effect that the cultivation of a variety of crops in one crop cultivation booth.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닛화된 구조의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하여 식물 재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부스내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재배부를 형성하여 농작물을 건물 실내, 일반 가정집, 식당 등에서 효용 될 수 있도록 하는 부스를 이용하여 공장형의 구조를 갖는 실내 공간에 다수 구획 설치하되, 그 배열되는 각각의 부스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개별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농작물이나 식물 재배만을 위한 공간으로 주어지는 부스 내에서만 작황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각 부스의 농작물 또는 식물의 재배시 발생 되는 산소를 별도로 포집한 후, 공조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내 각 실내로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a crop cultivation booth of a unitized structure, and in detail, by forming a cultivation unit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one booth, the crops can be useful in buildings, homes, restaurants, etc. By using a booth to allow a number of compartments to be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having a factory-type structure, and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each of the booths arranged so that individual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given only as a space for crop or plant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energy required for crops only in the booth,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to separately collect oxygen generated when cultivating crops or plants in each booth, and to supply each room in the building us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to enable this Relates to a water cultivation system.
농작물이나 식물 등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통상 비닐하우스나 노지 등에서 재배한 후 수확하여, 중간 유통 과정을 거쳐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어 왔다.To cultivate crops or plants, they are usually grown in vinyl houses or open fields, harvested, and delivered to consumers through an intermediate distribution process.
생산지에서의 수확으로부터 중간 유통자를 거쳐 소비자들에게 야채 등의 식물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유통과정에서의 변질 우려가 있어, 소비자들에게는 일반적으로 신선한 야채를 공급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It takes considerable time for the delivery of plants such as vegetables to the consumers from the harvest at the production site to the intermediate distributors, and there is a fear of deterioratio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so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supply fresh vegetables to the consumers.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는 자신이 관리하여 자라는 농작물을 계속 수확하여 이용하므로 시장에서 구입한 농작물보다 더 싸고 신선하며 농약 등의 걱정이 없는 안전한 무공해 채소를 먹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재배상자를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2000-36499(2000. 7. 5자 공개)가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sumers continue to harvest and use the crops they manage and grow, thus enabling them to eat safe, clean, and safe, pollution-free vegetables that are cheaper, fresher, and free of pesticides than those purchased on the market.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6499 (published on July 5, 2000), which is previously filed and published by the JPO, is published.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경우 박스 형태를 단순히 다단으로 배열한 후 야채를 재배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바, 주로 실내의 온도에 따라 재배될 수 있어 식물의 효율적 재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충분한 온도와 빛 및 수분의 적정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수분의 과다한 공급으로 인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growing vegetables after simply arranging the box form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grown main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efficient growing conditions of plants, sufficient Inadequate supply of temperature and light and moisture may result or problems due to excessive supply of moisture.
즉, 실내에서 재배되는 시스템의 경우 실내 공간 전체의 온도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식물 재배를 위한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하는바, 에너지 효율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system cultivated indoors,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indoor space must be controlled, more energy than necessary for plant cultivation must be supplied,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energy efficiency is sharply lowered.
이외에도 2007. 3. 29자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된 특허 2007-34752의 경우, 조립식 텃밭에 관한 것인바 주로 베란다, 옥상 등에서 화초나 채소등을 소비자가 직접 재배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재배 수단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2007-34752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March 29, 2007, relates to prefabricated gardens, and mainly provides a means of directly cultivating flowers or vegetables on the veranda, roof,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s impossible to mov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poor.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2007-88847(2007. 8. 30 공개)의 경우, 수용 홈을 갖으면서 상단 뒷면 일부에 접속단자 및 체결홈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그 하우징 상단에 내장되어 빛을 비추는 조명등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홈에 장착되는 식물재배용 방수박스를 구비하되,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 시기에 따라 내부 온도의 상승 하락 작용을 반복 수행하게 되어, 야채 등의 식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신선하고 질 좋은 신뢰성을 갖는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다.In additio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88847 (published on Aug. 30, 2007), filed and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a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 housing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and a fastening groove in a part of the upper rear side and embed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provided with a light that illuminates the light, and equipped with a waterproof box for plant cultivation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amp, in this case the intern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ighting and lighting time of the lamp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effect of, adversely affects plants such as vegetables, it is not possible to cultivate fresh, high-quality crops.
또한 상기한 여러 선행기술 등에 의해 실시되는 농작물 재배 구성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단으로 비닐하우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와 상술한 선행 기술 등에서는 실내의 모든 공간의 온도를 식물 및 농작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항상 적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열에너지의 비효율성이 항상 문제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crop cultivation configuration carried out by the various prior arts described above, a vinyl house, etc. may be mentioned as a generally known means. Since it must always be properly maintained to grow well, the inefficiency of thermal energy is alway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에 의해 일반 건축물의 실내, 가정, 식당, 학교 등에서 설치하여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a booth for crop cultivation, which is installed in an indoor, home, restaurant, school, etc. of a general building to enable cultivation of crops.
농작물 재배용 부스의 경우, 동일 종류의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였는데, 작황되는 농작물의 수요가 작은 경우에, 예컨데 일반 가정집이나, 식당 등과 같은 곳에서 자신의 목적에 따라 농작물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작황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crop cultivation booths, it is possible to grow the same kind of crops, but when the demand for crops is small, for example, in general homes, restaurants, etc., the crop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re will be.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재배용 부스 내부의 재배부(본 발명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단을 통칭하여 재배부라 한다.)를 부스내 적정 위치에 고정하기 보다는 상호 가변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such a case, it would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mutually variable state of the cultivation unit inside the cultivation booth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ultivation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cultivating crops) at a proper position in the booth. .
아울러, 각 농작물 재배용 부스의 전면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여 실내와 부스간 온도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부스내에서만 국한되어 농작물, 식물의 재배에 적정한 온도는 항상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열에너지의 효율적 관리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In addition, the front door of each crop cultivation booth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eve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and the booth is limited only within the booth, so that the proper temperature for cultivating crops and plants is always maintained, thereby providing efficient management and thermal energy. Its purpose is to make th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 자신이 농작물을 재배하여 신선한 농작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농작물의 식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수적 목적과, 소비자 자신이 관리하여 자라는 농작물을 계속 수확하여 이용하므로 시장에서 구입한 농작물보다 더 신선하며 농약 등의 걱정이 없는 안전한 무공해 채소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object of allowing consumers to cultivate crops to supply fresh crops so that they can always eat edible fresh crops, and crops purchased from the market because the consumers continue to harvest and use crops grown and managed by the consumers themselves. Another goal is to be able to eat safer, more pollution-free vegetables that are fresher and free of pesticides.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 부스에서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별도의 덕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포집 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산소를 건물의 각 실내 또는 농작물 재배 부스가 설치된 당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항상 산소농도가 충분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oxygen generated by photosynthetic action in each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as a whole using a separate duct, oxygen as needed in each room of the building or the room where the crop cultivation booth is installed Another purpose is to ensure that 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is maintain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sp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부스(100)에 있어서,In the
상기 부스(100)를 다수 배열하고, 각 부스(100)의 전면으로 상하에 각각 도어(101) 개폐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102)을 구비하고,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상기 부스(100)와 타 부스(100')간을 인접되도록 하며 다수 반복 배열 설치하되, 상기 부스(100)와 타 부스(100')의 전면 양측을 각각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양측방이 각각 개구되어 상기 도어(101)의 개방시 도어(101)의 양측단 중 개방되는 측단이 함입되며 가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실내에 유니트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부스를 다수 연결하도록 하고, 각 부스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되 각 부스와 부스의 전면 연결 부분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도어 개폐시 각 부스간 상호 간섭이 없도록 하므로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며 부스의 설치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oths provided in a united state inside the building are connected, and provided with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each booth, and a guide part is formed at the front connection portion of each booth and the booth to open and close the door. Since there is n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booths, spac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booth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스의 재배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 식물 등으로부터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산소를 각 부스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덕트를 이용하여, 포집되도록 한 후 건물내 선택되는 실내측으로 산소 공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어, 실내 공기의 산소 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xygen generated by photosynthetic action from crops and plants grown in the cultivation unit of each booth is collected by using a duct connected from the top of each booth, and oxygen is supplied to the indoor side selected in the building. This can be made easy,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can be properly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에 채택되는 부스의 내부에 가변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재배부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게 되는 유니트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제공하되, 상기 재배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종류를 달리하여 농작물의 크기가 커졌을 때 이를 포용할 수 있는 범위내로, 재배부와 재배부간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하나의 농작물 재배용 부스에서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by using a cultivation unit fixed in a variable state inside the booth to be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to cultivate the crop, by varying the type of crop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unit When the size of the increase in the range that can be embrac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ltivation and the cultivation can be adjus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grown in a variety of crops in one crop cultivation booth.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토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토사의 교체, 교환 작업이 불필요하여 본 발명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없는 등, 관리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생산자가 곧 소비자가 될 수 있어 자신이 재배한 농작물을 안전하면서도 신선도 있는 신뢰성을 갖는 농작물을 먹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il is not used,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or replace the soil,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performed, and thus, a useful effect can be obtained in terms of manag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eat crops with their own crops safe and fresh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들이 배열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재배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2의 재배부에서, 부스 내벽의 고정부에 재배부의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의한 재배부 및 고정부를 이용하여 재배부를 다단 이격 고정한 일예를 도시한 개괄도면
도 8은 고정부를 래크로 형성하고, 상기 래크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을 갖으며 상기 피니언을 정역구동시키기 위한 정역구동모터를 각각의 재배부 일측에 구성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의한 개괄적인 정면도
도 10은 재배부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또다른 구성을 보인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도 10에 의하여 재배부가 상하 승강 되는 예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2는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부의 실내측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의 개괄적 도면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booths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cultivation unit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o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hook of a growing unit is formed in a fixing unit of a booth inner wall in the growing unit of FIG. 2 to be fixed to the fixing unit.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growth unit is multi-stage spaced apart using the growth unit and the fixing unit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ixed part is formed as a rack, a pinion coupled to the rack, and a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motor configured to reversely drive the pinion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each cultivation unit.
9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8.
10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for lifting up and down the cultivation unit
FIG. 1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growing unit is lifted up and down by FIG. 10.
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supplying oxygen to an indoor side inside a building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나타낸다.1 shows a crop cultivation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작물 재배용 부스(100)는 일반적으로 사각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측에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유리 또는 아크릴 투명체 등으로 도어(101)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도어(10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어(101)의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부스(100)의 상하단에 각각 레일(102)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아울러 상기 도어(101)가 좌우로 각각 슬라이딩 개방될 때 도어(101)의 외부측이 부스(100)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는데, 상기한 부스(10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며 다른 부스(100')와 인접되며 설치되어야,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상기 도어(101)가 열릴 때 그 돌출되는 길이만큼 다른 부스(100')가 이격되며 부스(100,100') 들이 설치될 경우에는 실내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부스(100)와 부스(100')가 서로 인접하며 설치되더라도 도어(101)의 개방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when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 또는 도 12에서 보듯이, 부스(100)와 부스(100')의 전면양측을 각각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양측방이 각각 개구되어 상기 도어(101)의 개방시 도어(101)의 양측단 중 개방되는 측단이 함입되며 가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3)를 구비하였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or FIG. 12, both sides of the
상기 가이드부(103)는 양방향으로 각각 개구되어 도어(101)의 개방시 그 도어(101)의 일측단이 가이드부(103)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였다.The
도 1 에서 보듯이 예컨데 부스(100)의 도어(101)를 개방할 때, 그 부스(100)와 인접되는 다른 부스(100')의 도어(101)는 열려지지 않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도어(101')는 부스(100)와 부스(100')의 전면 측단으로 교차 연결되는 가이드부(103)에는 진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when the
따라서, 부스(100)의 도어(101)를 개방하더라도 그 부스(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도어(101)의 측단은 가이드부(103) 내부측으로 진입되어지되, 인접되는 부스(100')의 도어(101)와는 간섭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상기 부스(100)와 부스(100')의 전방측 상하로는 레일(102)을 길게 설치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부스(100,100' ; 이하 부스는 도면부호 100으로 표기하며 도시하였다)는 도 1, 12에 도시된 일예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Meanwhile, the
즉, 상기 부스(100)는 그 내부의 양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150)를 따라 재배부(200)가 고정 위치를 달리하며 이격 고정되도록 하고, 부스(100) 하단으로 양액실(120)이 구비되며, 상기 양액실(120)에서 모터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각각 재배부(200)와 연결되는 호스(122)를 따라 양액이 상기 각 재배부(200)측으로 공급되며 재배부(200)의 농작물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되, 일부 양액은 재배부(200)간을 연결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회수관(123)측으로 유도되어 양액실(120) 내부로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의 양액 공급과 상기 조명램프(111)의 조도, 부스(100)내 설치되는 온도센서(1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구비되도록 하였다.That is, the
이와 같은 부스(100)의 구성은 동일하게 근접되는 부스(100')에도 적용된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아울러 부스(100) 상단으로는 공조실(11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공조실(110)은 부스(100) 내부에서 작황 되는 농작물로부터 발생 되는 산소 등을 포집한 후, 필요에 따라 실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공조실(110)의 일예로서, 부스(100) 내부에 다단 설치되는 재배부(200)의 농작물과 부스(100)내 조명램프(111)(230)의 빛 조사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발생 되는 산소가 상기 공조실(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그 유입된 산소는 일부 회수되어 양액실(120) 측으로 유도 유입되어 용존되도록 하되, 그 용존율이 높을 경우 결과적으로 농작물의 재배에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과하게 포집 되는 산소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좋다.As an example of such an
이를 위해서, 공조실(110) 하단측으로는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무수히 통공되도록 하고, 동시에 공조실(110) 하단측과 후술하게 되는 재배부(200)의 하단에 각각 조명램프(111)(230)가 구비되어 부스(100) 내부를 조사하게 된다.To this end, the
또한 공조실(110) 내부에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고, 공조실(110) 전면으로는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115)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산소공급부(115)는 평상시에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예컨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조명램프(111)에서 조사되는 빛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된 산소는 공조실(110) 저면의 유입공(112)을 통해 포집탱크(113)측으로 유입 저장되고, 일부 산소는 산소공급관(114)을 통해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어 양액실내 양액에 용존 된 후, 양액을 활성화 시키며 양액과 함께 재배부(200)의 농작물에 공급되도록 하였다.Here, the
한편, 산소공급부(115)에서 산소를 원할하면서도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그 전단부에 송풍휀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in the front end portion in order to discharge the oxygen from the
아울러, 필요에 따라 또는 상기 포집탱크(113) 측에 유입되며 포집되는 산소의 양이 과다하거나, 상기 산소공급관(114)을 통해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양이 과다하여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포집탱크(113)측에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외부 즉 실내측으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or the amount of oxygen introduced into the
따라서 이를 위해 포집탱크(113)와 공조실(110) 전면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부(115)를 연결하는 산소배출관(116)을 개방하여, 상기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for this purpose, the
여기서, 상기 산소배출관(116)을 개방하거나 또는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수단이 필요하고, 이러한 차폐수단은 공지된 기술에 의한 적용이 가능하다.Here, a separate shielding means for opening or shielding the
예를 들면, 실린더 등에 의해 산소배출관(116)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을 구성하여, 양액실(120)측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게 되는 농도센서의 산소농도를 제어부(140)를 통해 인식되도록 한 다음, 그 인식값에 의해 상기 차폐판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부스(100)의 전면에 산소농도센서(117)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의 산소농도를 체크한 후 그 값에 따라 기준치 과소 여부를 판단하여 산소를 공급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결정 변수에 의해 차폐판을 개방 또는 닫혀지도록 하므로서, 포집탱크(113)에서 산소공급부(115)측으로 배출되는 산소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by configuring a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한편, 전술한 예는 농산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 된 산소를 각 개별적 부스(100)에서 포집한 후, 실내의 산소농도센서(117)에 의해 산소 농도를 체크한 다음 산소공급부(115)를 통해 실내측으로 배출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각 부스(100)에서 발생 되는 산소를 전체적으로 수집한 후, 건축물의 각 실내로 공급하도록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xample, after the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a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 is collected in each
예를 들면,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스(100) 상단측으로 부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포집탱크(113)와 연결되는 배출구(160)를 구비하고, 부스(100)의 각 배출구(160)와 연결되는 덕트(170)를 각각 구성하여, 각각의 덕트(170)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를 포집 또는 수집하기 위한 중앙산소탱크(180)를 외부에 설치하고, 그 중앙산소탱크(180)로부터 건축물의 각 실내측으로 연결되는 덕트(190)를 구성하여 산소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상기한 각 덕트(190)를 통해 각각의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은 개별 차단 및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of oxygen supplied to each indoor side through each of the above-described
이와 같이 건축물 전체에 대하여, 중앙공조시스템을 갖출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에 개별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산소탱크(180)로부터 각각 실내측으로 연결되는 덕트(190)의 댐퍼(D2) 개폐 제어가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building, the dampers D2 of the
아울러, 상기한 부스(100) 상단 공조실(11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포집탱크(113)와 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구(160)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댐퍼(D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amper (D1) is provided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discharge port 160 connected upward with the
상기 댐퍼(D1)은 각 부스(100)의 포집탱크(113)에서 중앙산소탱크(180)측으로 연결되는 덕트(170)를 통해 유동 될 수 있는 산소의 공급 유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댐퍼(D2)는 중앙산소탱크(180)에서 건축물의 각 실내측으로 유도되는 덕트(19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는 산소의 공급 유무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amper (D1) is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oxygen that can flow through the
아울러, 상기한 각 댐퍼(D1, D2)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D1)의 개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양액실(120)의 양액과 혼합되는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는 농도센서(124)에 의해 양액에 용존되는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양액실(120)측으로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댐퍼(D1)를 개방하여 부스(100) 공조실(110)의 포집탱크(113)내 포집되어 있는 산소를 댐퍼(D1)을 통하여 덕트(170)측으로 유도되도록 한 후 중앙산소탱크(180)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댐퍼(D2)는 그 각각의 댐퍼(D2)가 위치되는 각 실내측의 산소 농도 즉 각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 농도를 체크 하여 공기 중 산소농도의 기준치 과소 여부를 판단 한 후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amper (D2) checks the oxygen concentration of each indoor side where each damper (D2) is located, that is, the oxygen concentration contained in each indoor air to determine whether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ai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fter determining the oxygen Will be able to supply.
이를 위해서 각 실내(이때의 실내는 부스가 설치되는 실내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각 실내를 의미한다)에도 산소농도를 체크 하기 위한 산소농도체크센서(191)를 각각의 실내 적정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equip each room (in this case, not only the room where the booth is installed, but also each room of the building) with an oxygen
상기한 산소농도체크센서(191)는 실내 적정 위치에 구비한 후, 그 산소농도체크센서(191)의 데이터값을 판독하여, 상기 댐퍼(D2)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192)를 별도로 구비하여, 작업자의 수동에 의해 또는 셋팅 된 제어값에 따라 자동 개폐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oxygen
본 발명의 예에서 산소의 농도를 체크 하는 수단으로 각각 양액실(130)에는 농도센서(124), 각 부스(100)를 통해 외부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부스가 설치되는 실내 산소 농도를 체크 하는 것으로 산소농도센서(117), 부스(100)가 설치되지 않는 실내 공간으로도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각 실내의 산소 농도를 체크 하기 위한 것으로 산소농도체크센서(191)로 각각 그 구분을 달리하여 명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각 구성에서의 용어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인 기능이나 목적은 동일하다.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check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each
상기한 농도센서(124)와 산소농도센서(117)는 각 부스(100)에 구비되는 제어부(140)에 의해 데이터값을 인식한 후 산소 공급 여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나, 건축물의 각 실내 산소 농도를 체크하는 산소농도체크센서(191)는 각 실내측으로 연결되는 덕트(190) 댐퍼(D2)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어, 상기 산소농도체크센서(191)의 데이터값을 인식한 후 댐퍼(D2)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반(19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또한 부스(100)의 하단측으로는 양액실(120)이 구비되고, 부스(100) 내부의 공간으로 다단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 배치되는 재배부(200)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재배부(200)의 구성으로는 대략적으로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본 발명의 재배부(200)에는 토사를 포함하지 않는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재배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갖는 함체를 이루되, 상면측으로는 농작물의 뿌리 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211)가 다수개 배열되는 상판체(210)를 형성하되, 그 상판체(210)는 재배부(200)의 상부에 안착된다.The
따라서, 농작물의 뿌리부분은 상기한 삽입구(211)를 관통하여 꽂혀지는 형상을 갖으며, 그 뿌리부분은 상판체(210) 하단으로 노출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has a shap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아울러, 상판체(210) 하단으로 본체(220)가 이루어지되 본체(220)의 저면은 일측방향으로 구배되도록 하고, 본체(200)의 일측으로 양액실(120)의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공급호스(222)와 연결되는 노즐(221)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221)을 통해 양액이 분무 분사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노즐(221)을 통해 분무, 분사되는 양액은 상기 상판체(210)의 삽입구(211)에 삽입되어 노출되어 있는 농작물의 뿌리 부분을 간헐적으로 적셔주게 되어 자양분을 공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nutrient solution sprayed and sprayed through the
한편, 농작물의 뿌리 부분을 적셔준 양액은 일방향으로 구배되어 경사진 하단면을 갖는 본체(220) 하단면의 구배면을 따라 흘러 일측의 이물질걸름부(240)를 갖는 양액배출구(250)로 유도된 후,재배부(200)와 재배부(200)를 연결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흘러 내리도록 하여, 양액실(120)의 상단측을 관통하고 있는 회수관(123)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that wetted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flows along the gradie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양액유도부(223)는 사슬 형태를 갖도록 하여 각각의 재배부(200)를 연결하도록 하였는데 이와는 달리 호스 또는 관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ent
한편, 상기한 재배부(200)의 하단면으로도 조명램프(230)가 구비되어 하단측으로 구성되는 재배부(200)의 농작물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또한, 부스(100) 내벽으로 재배부(200)를 고정 거치하기 위한 고정부(150)가 형성되어 있어, 재배부(200)를 일정 간격 유격시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 되며 고정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상기 고정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부(200)를 부스(100)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재배부(200)간 이격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예를 들어,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50)를 부스(100) 양측 내벽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고정부(150)를 등간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형성하고, 상기 재배부(200)의 양측으로 각각 후크(240)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ixing
이와 같이 고정부(150)의 관통홀(151)을 따라 재배부(200)를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이격시켜 재배부(200)의 후크(240)를 적정 위치의 관통홀(151)에 끼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한편, 상기한 수작업에 의한 구성과는 달리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50)를 래크로 형성하고, 상기 래크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251)을 갖으며 상기 피니언(251)을 정역구동시키기 위한 정역구동모터(250)를 각각의 재배부(200) 일측에 구성하고, 상기 정역구동모터(250)는 제어부(140)를 통해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configuration by the manual operation as shown in Figure 10 to form the fixing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재배부(200)에 원하는 농작물 즉 각 재배부(200) 마다 종류가 상이한 농작물을 파종한 후, 도어(101)를 닫은 상태에서 제어부(140)를 조작하여, 각각의 재배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며 셋팅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user sows the desired crops to the
아울러, 농작물의 성장 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재배부(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정역구동모터(250)는 도면상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습기가 많을 수 밖에 없는 특성상, 정역구동모터(250)를 에워싸는 하우징(미도시)은 방수처리되어야 할 것이다.Here,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또한, 상기 정역구동모터(250)의 동력을 전달 받아 구동하게 되는 피니언(251)은 어느 한측이 구동피니언이 되어야 하고, 이러한 구동피니언의 구동력을 스프로켓(S) 등을 이용하여 타측 피니언 즉 종동피니언측에 그 구동력이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정역구동모터(250)의 구동에 따라 동일 회전비에 의해 재배부(200) 양측으로 구비되는 피니언(251)을 회전시켜 상기 래크로 되는 고정부(150)를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도면부호 251은 구동피니언을 의미하고, 251'는 종동피니언을 의미하며, S는 구동피니언과 종동피니언을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인 스프로켓이 된다.
상기 구동피니언(251)와 종동피니언(251')은 각각 재배부(200)의 전후단에 축(252,252')에 의해 연결된다.The driving
한편, 상기한 구동피니언(251) 및 종동피니언(251')과, 이들과 치차결합되는 고정부(150) 즉 래크는 부스(100) 내부에 항상 습기가 상존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고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프로켓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Although the sprocket is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t will not be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구동 및 종동피니언(251,251')의 동축상으로 로울러를 각각 구비하여 벨트로의 치환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벨트 이외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서술하는 실시예에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국한 시킬 필요는 없다.For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rollers may be replaced by the rollers in the coaxial form of the driving and driven
한편, 이와는 다른 구성에 의해 재배부(200)의 상하 승강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즉, 도 1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스(100)의 양측 내벽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부(150)를 래크로 형성하고, 재배부(200)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심축(260)을 구성하되 상기 중심축(260) 전후단에 각각 로울러(261)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260)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70)와, 상기 회전손잡이(27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인접되는 위치에 스토퍼(271)를 형성하고, 상기 재배부(200)의 양측과 전후단에 각각 축(252,252')을 구성하고 그 축(252,252')단에 피니언(251,251')을 형성하고, 상기 각 피니언(251,251')의 전단부에 피동로울러(253,253')를 구성하여, 상기 중심축(260)의 로울러(261)와 상기 피동로울러(253,253')를 크로스 시키며 연결하는 벨트(V)로 구성되도록 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fixing
앞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251을 구동피니언, 251'를 종동피니언으로 지칭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종동 및 피동의 구분이 필요 없으므로 피니언으로 통일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51 is referred to as the driving pinion and 251 'as the driven pin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driven and driven is not necessary, the pinion is unifi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손잡이(27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회전손잡이(270)의 회전과 연동되어 중심축(26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중심축(260) 전단의 로울러(261)와 벨트(V)에 의해 크로싱 연결되는 각 피니언(251,251')의 전단측 피동로울러(253,253')도 연동 회전하게 되는데, 벨트(V)에 의해 크로싱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피니언(251,251')은 서로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각 피니언(251,251')과 치차 결합되어 있는 래크로 되는 고정부(150)를 따라 상하 승하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건축물 실내에 유니트화된 상태의 재배부(200)를 다단 설치하여서 되는 부스(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여러대를 설치하여, 농작물의 작황이 가능할 수 있다.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y install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 즉 재배자가 자신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하나의 농작물 부스에서 다양한 작황이 가능하도록 이종의 농작물을 파종하여 재배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 즉 재배자는 재배부와 재배부간의 이격거리를 농작물의 성장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 재배가 하나의 부스에서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hat is, the grower can cultivate the crops that he or she wants to cultivate by planting heterogeneous crops so as to enable various crops in one crop booth.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ultivation unit and the cultivation unit can be selectively or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growth size of the crop, various kinds of crop cultivation is possible in one booth.
또한 계절에 구애되지 않은 채 사시사철 이용자가 원하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식당이나 학교, 농협과 같이 농산물을 취급하는 기관, 농수산물센터 등 적정한 장소나 공실 등에 설치하여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ow crops desired by users in all seasons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variety of crops by installing them in appropriate places or vacant places such as restaurants, schools, agricultural handling agencies such as agricultural cooperatives, agricultural and fishery centers, etc. will be.
또한, 토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토사의 교체, 교환 작업이 불필요하여 본 발명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없는 등, 관리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측면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use of earth and sand, there is a useful aspect in terms of management, such as the need for replacement and replacement of earth and sand, which prevents the maintenance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performed.
아울러 본 발명은, 각각의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 부스에서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별도의 덕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포집 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산소를 건물의 각 실내 또는 농작물 재배 부스가 설치된 당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항상 산소농도가 충분한 공기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action in each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is collected in a whole using a separate duct, the oxygen in each room of the building or crop cultivation booth, if necessary By being able to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t all times.
100; 부스 101; 도어
110; 공조실 111; 조명램프
112; 유입공 113; 포집탱크
114; 산소공급관 115; 산소공급부
116; 산소배출관 120; 양액실
121; 모터펌프 122; 호스
123; 회수관 130; 온도센서
140; 제어부 150; 고정부
151; 관통홀 160; 배출구
170; 덕트 180; 중앙산소탱크
190; 덕트 D1, D2; 댐퍼
191; 산소농도체크센서 192; 제어반
200; 재배부 210; 상판체
211; 삽입구 220; 본체
221; 노즐 222; 양액공급호스
223; 양액유도부 230; 조명램프
240; 후크 250; 정역구동모터
251; 구동피니언 251'; 종동피니언
S; 스프로켓100;
110;
112;
114;
116;
121;
123;
140; A
151; Through hole 160; outlet
170;
190; Ducts D1, D2; Damper
191; Oxygen
200;
211;
221;
223;
240;
251; Drive pinion 251 '; Driven pinion
S; sprocket
Claims (4)
상기 부스(100)를 다수 배열하고, 각 부스(100)의 전면으로 상하에 각각 도어(101) 개폐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102)을 구비하고,
상기 부스(100)와 타 부스(100')간을 인접되도록 하며 다수 반복 배열 설치하되, 상기 부스(100)와 타 부스(100')의 전면 양측을 각각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양측방이 각각 개구 되어 상기 도어(101)의 개방시 도어(101)의 양측단 중 개방되는 측단이 함입되며 가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화 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In the booth 100 for growing crops,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booth 100, and provided with a rail 102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01 to the front and bottom of each booth 100, respectively,
The booth 100 and other booths 100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epetitive arrangements are installed, and both sides of the booth 100 and the other booth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both sides are opened. A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103 is formed so as to guide and guide the open side end of both sides of the door 101 when the door 101 is opened.
상기 부스(100) 상단으로 공조실(110)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양액실(120)이 구비되며, 상기 공조실(110) 하면에 조명램프(111)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100) 내벽으로 다수의 고정부(150)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0)에 고정 설치되는 재배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 모터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재배부(200)와 연결되는 호스(122)를 따라 양액이 상기 재배부(200)측으로 공급되어 재배부(200)에 구비되는 농작물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한 후, 일부 양액은 재배부(200) 하단으로 연결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상기 양액실(120)로 회수관(123)을 통해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의 양액 공급과 상기 조명램프(111)의 조도, 부스(100)내 설치되는 온도센서(1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조실(110) 저부에는 상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공조실(110) 하단측에 무수히 통공되고, 공조실(110)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상기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고, 공조실(110) 전면으로는 실내측으로 상기 포집탱크(113)와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부(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화 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oth 100, and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oth 100. An illumination lamp 11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a plurality of inner walls of the booth 100 are provided. The fixing unit 15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cultivation unit 20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150 is installed, and the cultivation unit 200 by the drive of the motor pump 121 in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nd After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side along the hose 122 to be connected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rops provided in the cultivation unit 200, some nutrient solution is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bott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from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nd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111 are installed in the booth 100 to be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pipe 123 to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through 223. The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sensor 13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the inflow hole 112 for introducing oxygen generated by the crops of the cultivation unit 200 by the photosynthetic action is innumerably perfor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 collecting tank 113 for collecting oxyge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12 is provided, and an oxygen supply pipe 114 connecting the collection tank 113 and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110) Front of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a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oxygen supply unit 115 for supplying oxygen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113 to the interior side.
상기 부스(100) 상단으로 공조실(110)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양액실(120)이 구비되며, 상기 공조실(110) 하면에 조명램프(111)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100) 내벽으로 다수의 고정부(150)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0)에 고정 설치되는 재배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 모터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재배부(200)와 연결되는 호스(122)를 따라 양액이 상기 재배부(200)측으로 공급되어 재배부(200)에 구비되는 농작물에 양액이 공급되도록 한 후, 일부 양액은 재배부(200) 하단으로 연결되는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상기 양액실(120)로 회수관(123)을 통해 회수되도록 하고, 상기 양액실(120)에서의 양액 공급과 상기 조명램프(111)의 조도, 부스(100)내 설치되는 온도센서(1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공조실(110) 저부에는 상기 재배부(200)의 농작물이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112)이 공조실(110) 하단측에 무수히 통공되고, 공조실(110)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112)을 통해 유입되는 산소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탱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탱크(113)와 상기 양액실(120)을 연결하는 산소공급관(114)이 구비되고, 공조실(110) 상방을 통해 부스(100) 상단으로 연통되는 덕트(170)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부스(100) 상단 덕트(170)들이 연결되는 중앙산소탱크(180)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중앙산소탱크(180)로부터 각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190)가 배치되며, 상기 덕트(170)(190)에 댐퍼(D2)(D1)가 구비되어 제어반(192)의 제어에 의해 각 실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닛화 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oth 100, and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oth 100. An illumination lamp 11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a plurality of inner walls of the booth 100 are provided. The fixing unit 15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cultivation unit 20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150 is installed, and the cultivation unit 200 by the drive of the motor pump 121 in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nd After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side along the hose 122 to be connected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rops provided in the cultivation unit 200, some nutrient solution is connect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bott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from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and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amp 111 are installed in the booth 100 to be recovered through the recovery pipe 123 to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through 223. The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sensor 13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the inflow hole 112 for introducing oxygen generated by the crops of the cultivation unit 200 by the photosynthetic action is innumerably perfor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n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110. A collecting tank 113 for collecting oxyge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12 is provided, and an oxygen supply pipe 114 connecting the collection tank 113 and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is provided. A central oxygen tank 180 having a duct 170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oth 100 through the upper part and connected to the upper duct 170 of each of the booths 100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outside, and A duct 190 for supplying oxygen from the central oxygen tank 180 to each indoor side is disposed, and the dampers D2 and D1 are provided in the ducts 170 and 190 and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192. For cultivating united crops, including supplying oxygen to each interior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a booth.
상기 재배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갖는 것으로 본체(220)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체(210)를 이루되, 상기 상판체(210)는 농작물의 뿌리 부분이 삽입되어 하부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구(211)가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본체(220)의 저면은 일측방향으로 구배되며 경사지도록 하되 본체(200)의 일측으로 양액실(120)의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공급호스(222)와 연결되는 노즐(221)이 구비되어 양액이 분무 분사되도록 하고, 분무 분사된 양액은 본체(220) 하단면의 구배를 따라 일측의 이물질걸름부(240)를 갖는 양액배출구(250)로 유도된 후, 양액유도부(223)를 통해 흘러 내려, 양액실(120)의 상단측을 관통하고 있는 회수관(123)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부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ultivation unit 200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o form a top plate 21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the top plate 210 to insert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1 are arrange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inclined, but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hose 222 is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Nozzle 221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spray the nutrient solution, and the sprayed nutrient solution is guided to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250 having a foreign matter filter portion 240 of one side along the gradie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 The crop cultivation booth, characterized in that flow down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induction unit 223, to be recovered to the recovery pipe 123 penetrating the upper 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chamber 1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168A KR101259674B1 (en) | 2010-06-03 | 2010-06-03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168A KR101259674B1 (en) | 2010-06-03 | 2010-06-03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2697A true KR20110132697A (en) | 2011-12-09 |
KR101259674B1 KR101259674B1 (en) | 2013-05-02 |
Family
ID=4550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2168A Active KR101259674B1 (en) | 2010-06-03 | 2010-06-03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9674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32B1 (en) * | 2012-09-19 | 2013-03-18 | (주)인성테크 | Plant growing system including a extendable growing housing |
CN103493720A (en) * | 2013-05-24 | 2014-01-08 | 魏延恕 | Horizontal type upper-open soilless culturing device |
CN103651085A (en) * | 2013-11-26 | 2014-03-26 | 魏延恕 | Electric-push-and-pull automatic-retraction type soilless cultivation device |
CN103999761A (en) * | 2014-06-04 | 2014-08-27 | 魏延恕 | Hydraulic-driven foldable lifting frame type soilless cultivation system |
CN104025990A (en) * | 2014-06-12 | 2014-09-10 | 魏延恕 | Soilless culture system with hydraulic drive lifting function |
CN104381112A (en) * | 2014-10-29 | 2015-03-04 |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 Combined type household plant factory |
CN113317086A (en) * | 2021-07-02 | 2021-08-31 |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 Sugarcane seedling bree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93502B2 (en) | 2007-06-28 | 2012-03-07 | Mkvドリーム株式会社 | Humidified air flow supply system to each stage of the growth shelf of the multi-stage plant growing device |
-
2010
- 2010-06-03 KR KR1020100052168A patent/KR101259674B1/en active Active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32B1 (en) * | 2012-09-19 | 2013-03-18 | (주)인성테크 | Plant growing system including a extendable growing housing |
CN103493720A (en) * | 2013-05-24 | 2014-01-08 | 魏延恕 | Horizontal type upper-open soilless culturing device |
CN103493720B (en) * | 2013-05-24 | 2016-05-25 | 魏延恕 | A kind of horizontal upper unlatching cultivation apparatus without soil |
CN103651085A (en) * | 2013-11-26 | 2014-03-26 | 魏延恕 | Electric-push-and-pull automatic-retraction type soilless cultivation device |
CN103999761A (en) * | 2014-06-04 | 2014-08-27 | 魏延恕 | Hydraulic-driven foldable lifting frame type soilless cultivation system |
CN104025990A (en) * | 2014-06-12 | 2014-09-10 | 魏延恕 | Soilless culture system with hydraulic drive lifting function |
CN104381112A (en) * | 2014-10-29 | 2015-03-04 |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 Combined type household plant factory |
CN113317086A (en) * | 2021-07-02 | 2021-08-31 |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 Sugarcane seedling breeding device |
CN113317086B (en) * | 2021-07-02 | 2023-08-01 |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 Sugarcane seedling bree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9674B1 (en) | 2013-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06774B2 (en) | Vertical hyd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 |
KR101259674B1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united crop cultivation booth | |
RU2762415C2 (en) | Automatic modular system for managing vertical farms | |
CN105104158B (en) | Intelligent water planting vegetable cultivation cabinet | |
CN205018017U (en) | Intelligence water planting vegetable planting cabinet | |
KR101422636B1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CN103975839B (en) | A kind of family small garden | |
KR101670059B1 (en) | A Cultivation apparatus of plant | |
CN203590790U (en) | Integrated intelligent-control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CN203872727U (en) | Small household vegetable garden | |
KR101893196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101408932B1 (en) | Vegetables growing apparatus of home electronic appliance type based on digital for growing vegetables | |
KR102241200B1 (en) |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 |
CN111642290A (en) | Energy-efficient seedling culture device for forestry | |
CN204929893U (en) | A kind of shoot vegetable breeding arrangement | |
KR101248985B1 (en) | A plant cultivation box | |
KR20110132698A (en) | Crop booth oxygen supply device | |
JP6088650B2 (en) | Organic ginseng continuous cultivation system using multi-stage cultivation floor | |
KR102026448B1 (en) |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 |
CN103718890A (en) | Intelligent kitchen garden cultivation cabinet | |
KR102102289B1 (en) | a wall green device using vegetation pot | |
KR101248986B1 (en) | A plant cultivation box transfer equipment | |
KR102187054B1 (en) | A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 |
CN218388940U (en) | Environment-friendly greenhouse capable of controlling carbon dioxide | |
KR20140064011A (en) | Hydroponic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