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7363Y1 -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363Y1
KR200457363Y1 KR2020110007372U KR20110007372U KR200457363Y1 KR 200457363 Y1 KR200457363 Y1 KR 200457363Y1 KR 2020110007372 U KR2020110007372 U KR 2020110007372U KR 20110007372 U KR20110007372 U KR 20110007372U KR 200457363 Y1 KR200457363 Y1 KR 200457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s
pair
door
guide rail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2020110007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36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cold-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는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들 각각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냉동 창고의 출입구 상단 벽면에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중 상기 한 쌍의 도어를 폐쇄 시 인접하는 브라켓 각각에는 서브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서브 브라켓 각각의 상단에는 걸림바가 상기 서브 브라켓과 직교하게 돌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상부 수평면 중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되어 인접한 면이 접촉 시 상기 걸림바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바 각각이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스토퍼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하부 수평면 중 상기 스토퍼들과 중첩되는 중심부분은 다운셋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 시 상기 한 쌍의 도어는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한 쌍의 도어에 의해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폐쇄 시 도어 상부에 결합된 걸림바가 가이드 레일 상면에 결합된 스토퍼에 안착 결합되어, 이 상태에서 도어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도어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냉동 창고 내부를 완전 기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FOR COLD STORAGE WAREHOUSE}
본 고안은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로 이루어져 폐쇄 시 폐쇄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이나 제품 등을 낮은 온도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창고로 냉동창고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냉동창고와 같은 저장창고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외부와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열성이 높고 내부의 밀폐된 상태가 잘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냉동창고에는 물건이나 제품 등의 반입이나 반출 등을 위한 출입구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출입구는 방열문과 같은 도어를 통하여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 이러한 저장창고의 출입구는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그 무게가 매우 무거워짐에 따라 도어가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개폐시키는 것도 구성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냉동창고의 출입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여닫이 방식으로 방열문인 도어을 설치하여 출입구의 개폐를 하는데, 근래에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공간의 효율성이 우수하고 작업자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냉동창고용 슬라이딩식 방열문 도어는 통상 냉동창고의 출입구 상측으로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레일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어가 레일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기 위해, 상기 도어와 레일의 각 양측에는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는데, 이 슬라이딩부재는 그 최상단에 서로 마주보는 롤러가 배치되어져 있으며, 그 롤러 간의 틈에 레일이 결합되게 되고, 롤러의 축에는 힌지축이 결합되어져 있으면서 동시에 하우징의 내부에 롤러를 내재시키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한 쌍이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개방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서로 접촉되면서 폐쇄하게 되는데, 이때 양 슬라이딩 도어가 같은 거리만큼 이동되어야 정확히 중심이 맞으면서 폐쇄할 수 있고, 또한 자체 무게에 의하여 중심에 왔더라도 지면의 평편도에 따라 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그지 않으면 일부가 개방되어 냉동창고 내로 외부의 공기가 들어가 기밀성을 훼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에 의하여 냉동창고의 폐쇄 시 지면의 편평도에 상관없이 그리고 잠금장치로 잠그지 않아도 냉동창고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는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들 각각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냉동 창고의 출입구 상단 벽면에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중 상기 한 쌍의 도어를 폐쇄 시 인접하는 브라켓 각각에는 서브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서브 브라켓 각각의 상단에는 걸림바가 상기 서브 브라켓과 직교하게 돌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상부 수평면 중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되어 인접한 면이 접촉 시 상기 걸림바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바 각각이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스토퍼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하부 수평면 중 상기 스토퍼들과 중첩되는 중심부분은 다운셋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 시 상기 한 쌍의 도어는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직각 삼각형 구조이되, 직각 부분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빗변 중심에 상기 걸림바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 수평면 상에는 상기 스토퍼의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하부 수평면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완충바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의 최대 이동 거리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의하면, 한 쌍의 도어에 의해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폐쇄 시 도어 상부에 결합된 걸림바가 가이드 레일 상면에 결합된 스토퍼에 안착 결합되어, 이 상태에서 도어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도어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냉동 창고 내부를 완전 기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한 쌍의 도어에 의하여 출입구를 폐쇄한 경우에도 도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또는 도어가 설치된 지면의 편평도에 따라 도어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아 냉동 창고의 내부를 완전하게 기밀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가이드 레일 상면에 가이드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의 결합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출입구의 개방을 위해 한 쌍의 도어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는 경우, 도어 이동의 한계 위치에 완충바를 결합시킴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도어의 최대 이동 거리를 큰 충격없이 한정할 수 있어 도어 및 그 밖의 구성요소의 파손이나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중 스토퍼에서 걸림바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서 가이드 레일 상에 롤러가 안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가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어와 완충바가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가 출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중 스토퍼에서 걸림바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서 가이드 레일 상에 롤러가 안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가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어와 완충바가 접촉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는 한 쌍의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2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도어(110)는 냉동창고의 출입구에 대해 양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출입구를 개폐한다.
여기서, 한 쌍의 도어(11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접촉되는 경우 출입구를 폐쇄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출입구를 개방한다.
도어(110) 상단 양측에는 각각 브라켓(111)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11) 각각에는 롤러(112)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20)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롤러(112)는 가이드 레일(120)과 접촉되는 부분인 중심이 오목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한 쌍의 도어(110) 각각에 결합된 브라켓(111) 중 도어(110)에 의해 출입구의 폐쇄 시 서로 인접한 브라켓(111)의 상부에는 서브 브라켓(113)이 결합되며, 서브 브라켓(113)에는 도어(1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120) 상면에서 소정 거리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바(114)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바(114)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중심에 안착링(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안착링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브라켓(113)이 결합된 브라켓(111)에서 서브 브라켓(113)과 롤러(112)의 배치 위치는 롤러(112)가 한 쌍의 도어(110)의 접촉면 측에 배치되고, 서브 브라켓(113)이 그 반대 측에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은 "ㄷ"자와 유사한 형태로, 냉동 창고의 출입구 상부 벽면에 결합된다.
"ㄷ"자와 유사한 형태의 가이드 레일(120) 중 하부 수평면의 개구된 측 단부는 롤러(112)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분으로, 롤러(112)의 오목한 부분과 암수 결합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롤러(112) 중심의 오목한 부분이 단면 형상으로 볼 때 삼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 레일(120) 중 상기 롤러(112)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분은 마름모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암수 결합되는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ㄷ"자와 유사한 형태로 하부 수평면의 개구된 단부 측 상면에는 결합홈(12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결합홈(122)에 마름모 형태로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파이프(123)가 암수 결합되며, 이 파이프(123)의 상부 모서리 상에 롤러(112)의 오목한 부분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 수평면의 하면에는 삽입홈(12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4)에는 완충바(140)가 삽입 결합되는데, 삽입홈(124)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완충바(14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바(140)는 상기 서브 브라켓(113)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도어(110)가 슬라이딩되어 출입구의 개방 시 도어(110)의 일면에 접촉되어 도어(110)가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완충바(140) 중 도어(110)와 접촉되는 부분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하부 수평면 중 중심 부분, 즉 후술할 한 쌍의 스토퍼(130)와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은 하방으로 다운셋되어 한 쌍의 도어(110)가 폐쇄 시 도어(110)들이 하강하면서 냉동 창고를 밀폐하고, 걸림바(114)가 스토퍼(130) 상에 안착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120)의 상면("ㄷ"자 형태에서 상부 수평면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21)은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0)는 한 쌍이 상기 가이드 레일(120) 상면에 결합되며, 가이드홈(121)이 형성된 경우 가이드홈(121)에 결합되되, 가이드홈(121) 내에서 적절한 위치로 이동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130)는 가이드 레일(120) 상면 중 상기 한 쌍의 도어(110)가 출입구를 폐쇄 시 걸림바(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다.
스토퍼(130)는 직각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각 부분이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즉 직각 삼각형의 빗변 부분이 완충바(140)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빗변의 중심 부분에는 안착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31)은 한 쌍의 도어(110)에 의하여 출입구를 폐쇄 시 걸림바(114)가 안착 결합되는 부분으로, 안착홈(131)과 걸림바(114)는 서로 암수 결합 형태로 결합된다.
안착홈(131)에 걸림바(114)가 안착 결합 시 출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110)를 밀지 않으면 안착홈(131) 내에 걸림바(114)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며, 출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110)를 미는 경우 걸림바(114)가 안착홈(131)으로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스토퍼(130)는 걸림바(114)와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홈(131)에 걸림바(114)의 안착 또는 이탈은 탄성 압축 및 복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내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의하면, 한 쌍의 도어(110)에 의해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폐쇄 시 도어(110) 상부에 결합된 걸림바(114)가 가이드 레일(120) 상면에 결합된 스토퍼(130)에 안착 결합되어, 이 상태에서 도어(110)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도어(110)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냉동 창고 내부를 완전 기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한 쌍의 도어에 의하여 출입구를 폐쇄한 경우에도 도어 자체의 무게에 의해 또는 도어가 설치된 지면의 편평도에 따라 도어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아 냉동 창고의 내부를 완전하게 기밀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가이드 레일(120) 상면에 가이드홈(12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130)의 결합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출입구의 개방을 위해 한 쌍의 도어(11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는 경우, 도어(110) 이동의 한계 위치에 완충바(140)를 결합시킴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도어(110)의 최대 이동 거리를 큰 충격없이 한정할 수 있어 도어(110) 및 그 밖의 구성요소의 파손이나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10... 도어 111... 브라켓
112... 롤러 113... 서브 브라켓
114... 걸림바 120... 가이드 레일
121... 가이드홈 122... 결합홈
123... 파이프 124... 삽입홈
130... 스토퍼 131... 안착홈
140... 완충바

Claims (4)

  1. 냉동 창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들 각각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롤러 및 상기 냉동 창고의 출입구 상단 벽면에 "ㄷ"자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냉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중 상기 한 쌍의 도어를 폐쇄 시 인접하는 브라켓 각각에는 서브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서브 브라켓 각각의 상단에는 걸림바가 상기 서브 브라켓과 직교하게 돌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상부 수평면 중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되어 인접한 면이 접촉 시 상기 걸림바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바 각각이 안착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스토퍼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하부 수평면 중 상기 스토퍼들과 중첩되는 중심부분은 다운셋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가 폐쇄 시 상기 한 쌍의 도어는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바가 상기 스토퍼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직각 삼각형 구조이되, 직각 부분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빗변 중심에 상기 걸림바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 수평면 상에는 상기 스토퍼의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태의 가이드 레일의 하부 수평면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완충바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의 최대 이동 거리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KR2020110007372U 2011-08-16 2011-08-16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Expired - Lifetime KR200457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72U KR200457363Y1 (ko) 2011-08-16 2011-08-16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72U KR200457363Y1 (ko) 2011-08-16 2011-08-16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363Y1 true KR200457363Y1 (ko) 2011-12-16

Family

ID=4556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372U Expired - Lifetime KR200457363Y1 (ko) 2011-08-16 2011-08-16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393B1 (ko) * 2012-11-20 2013-11-20 박설화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74B1 (ko) 2005-10-13 2007-02-0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냉기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냉동실 및 건조실탄약보관창고등의 슬라이딩 도어
KR200437336Y1 (ko) 2007-01-24 2007-11-27 민병호 도어의 레일
JP2008025873A (ja) 2006-07-19 2008-02-07 Soogo:Kk 冷凍・冷蔵倉庫等の扉開閉機構
KR100883579B1 (ko) 2008-07-30 2009-02-12 정백성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74B1 (ko) 2005-10-13 2007-02-05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냉기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냉동실 및 건조실탄약보관창고등의 슬라이딩 도어
JP2008025873A (ja) 2006-07-19 2008-02-07 Soogo:Kk 冷凍・冷蔵倉庫等の扉開閉機構
KR200437336Y1 (ko) 2007-01-24 2007-11-27 민병호 도어의 레일
KR100883579B1 (ko) 2008-07-30 2009-02-12 정백성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393B1 (ko) * 2012-11-20 2013-11-20 박설화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579B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US9285160B1 (en) Refrigerator with tiltable drawer
US20130160240A1 (en) Damping Assembly and Damping Mechanism Therefor
CN1154827C (zh) 至少有一块装在其内腔中用来放置冷藏物的搁板的冰箱
KR20100015373A (ko) 슬라이딩 도어 디바이스
BRPI0506441B1 (pt) sistema de retenção resiliente para um painel de porta
KR101044803B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식 도어의 레일 이탈방지장치
KR20110009437A (ko) 냉장고
CN106766472A (zh) 冰箱及冰箱抽屉
KR200457363Y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KR101581295B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장치
KR102341813B1 (ko) 단열 미서기창
CN104641066A (zh) 具有改进气密性的滑窗
KR101443723B1 (ko) 슬라이딩식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CN205037670U (zh) 冰箱
KR20100107723A (ko) 냉동창고의 슬라이드식 방열문 하부 이탈방지 및 완충장치
KR200463300Y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KR101980879B1 (ko) 미닫이 도어용 도어스토퍼
KR102050793B1 (ko) 단열 및 기밀 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
KR102251901B1 (ko)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CN210798690U (zh) 一种用于冷链贮藏的冷库门
KR101045298B1 (ko)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KR200483440Y1 (ko) 기밀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8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216